맨위로가기

다누비오 FC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누비오 FC는 1932년 몬테비데오에서 창단된 우루과이의 축구 클럽이다. 1988년 첫 리그 우승을 시작으로 2004년, 2006-07 시즌, 2013-14 시즌까지 총 4번의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을 차지했다. 198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현재 검은색 대각선 띠가 있는 유니폼을 사용하며, 홈 구장은 히포드로모 마리아 민체프 데 라자로프 경기장이다. 알바로 레코바, 디에고 포를란, 에딘손 카바니 등 많은 유명 선수들을 배출한 유소년 시스템으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페냐롤
    페냐롤은 1891년 창단되어 1913년 재창단된 우루과이의 축구 클럽으로,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등 국제 대회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풋살, 농구, 럭비 팀도 운영한다.
  •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플라사 콜로니아
    1917년 창단된 우루과이의 축구 클럽 플라사 콜로니아는 콜로니아 데포르티보를 연고로, 2000년 프로 데뷔 후 2016년 클라우수라 챔피언십 우승으로 "우루과이의 레스터 시티"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2021년 아페르투라 토너먼트 우승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했다.
  • 1932년 설립된 축구단 - 레알 사라고사
    레알 사라고사는 1932년 창단된 스페인 사라고사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로스 마그니피코스" 시대 코파 델 레이와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 UEFA컵 위너스컵 우승 등의 흥망성쇠를 거듭하며 현재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활동 중이다.
  • 1932년 설립된 축구단 - 알쇼르타 SC
    알쇼르타 SC는 이라크 프리미어리그 최다 우승팀이자 아랍 클럽 챔피언스컵 우승 경력을 가진 1932년 창단된 이라크의 축구 클럽으로, 바그다드 더비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 축구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축구 리그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다누비오 FC
기본 정보
클럽 명칭다누비오 풋볼 클럽
원어 명칭Danubio Fútbol Club
애칭라 프란하 (La Franja)
로스 데 라 쿠르바 (Los de la Curva)
라 우니베르시다드 델 푸트볼 우루과요 (La Universidad del Fútbol Uruguayo)
창단1932년 3월 1일
홈 구장하르디네스 델 이포드로모 마리아 민체프 데 라자로프,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수용 인원11,018명
구단주아르투로 델 캄포
회장호르헤 로렌소
감독알레한드로 아푸드
리그프리메라 디비시온
웹사이트다누비오 공식 웹사이트
다누비오 FC 엠블럼
엠블럼
시즌 정보
시즌2024
리그 순위프리메라 디비시온, 16팀 중 6위
유니폼 정보
pattern_la1: _derbyc2021h
pattern_b1: _danubio21h
pattern_ra1: _derbyc2021h
pattern_sh1: _danubio21h
pattern_so1: _socks
leftarm1: FFFFFF
body1: FFFFFF
rightarm1: FFFFFF
shorts1: FFFFFF
socks1: FFFFFF
원정pattern_la2: _danubio21a
pattern_b2: _danubio21a
pattern_ra2: _danubio21a
pattern_sh2: _danubio21a
pattern_so2: _socks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000000
socks2: 000000
세 번째 유니폼pattern_la3: _danubio21t
pattern_b3: _danubio21t
pattern_ra3: _danubio21t
pattern_sh3: _danubio21t
pattern_so3: _socks
leftarm3: FFFFFF
body3: FFFFFF
rightarm3: FFFFFF
shorts3: FFFFFF
socks3: FF0000

2. 역사

다누비오 FC는 1932년 3월 1일 몬테비데오에서 불가리아 출신 형제 미하일(미겔) 라자로프와 이반(후안) 라자로프를 중심으로 창단되었다.[1][12] 클럽 이름은 유럽의 다뉴브 강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창립자 형제의 어머니가 제안한 이름이다.[2][3][12]

1948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처음 참가한 이후, 두 시즌(1960, 1970)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1부 리그에 소속되어 왔다.[12] 우루과이 축구에서 전통적인 강호인 페냐롤과 나시오날의 양강 구도 속에서, 다누비오는 데펜소르 스포르팅과 함께 3강 체제를 형성하는 클럽으로 평가받는다.[11] 데펜소르 스포르팅과의 경기는 Clásico de los Medianos|클라시코 데 로스 메디아노스spa(중견팀들의 더비)라고 불린다.[11]

다누비오는 총 4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는 페냐롤과 나시오날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기록이다.[11] 첫 우승은 1988년에 달성했고,[4] 이후 2004년, 2006-07 시즌, 2013–14 시즌에도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12] 특히 2006-07 시즌에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를 모두 제패하는 통합 우승을 기록했다.[12]

남미 클럽 대항전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는 총 8번 출전했으며, 1989년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여 4강에 오른 것이 최고 성적이다.[5][12] 또한, 다누비오는 우루과이에서 유일하게 1부 리그부터 4부 리그까지 모든 등급의 리그에서 우승을 경험한 클럽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1]

2. 1. 창단 초기 (1932-1947)

1932년 3월 1일, 몬테비데오의 "니카라과 공화국" 학교 학생들과 불가리아 출신 형제 미하일(미겔) 라자로프, 이반(후안) 라자로프가 주축이 되어 다누비오 FC를 창단했다.[1][12] 클럽의 이름은 유럽에서 두 번째로 긴 강인 다뉴브 강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미하일과 이반 형제의 어머니 마리아 민체프 데 라자로프가 제안한 것이다. 그녀는 처음에 불가리아의 다른 강인 마리차 강을 클럽 이름으로 제안했으나, 이름이 너무 여성스럽다는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2][3][12]

창단 당시 유니폼은 몬테비데오 원더러스에 대한 오마쥬로써 검은색 줄무늬 유니폼을 착용했다. 그러나 1940년대부터는 아르헨티나의 유명 클럽 리버 플레이트(붉은 대각선 띠 유니폼으로 유명)의 영향을 받아, 현재와 같이 흰색 바탕에 검은색 대각선 띠가 있는 유니폼을 입기 시작했다.

2. 2. 프리메라 디비시온 승격과 성장 (1948-1987)

창단 초기에는 몬테비데오 원더러스를 따라 검은 줄무늬 유니폼을 사용했으나, 1940년대부터 아르헨티나리버 플레이트의 영향을 받아 현재와 같은 흰색 바탕에 검은색 대각선 띠가 있는 유니폼을 착용하기 시작했다.

다누비오 FC는 1948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처음으로 승격하며 참가했으나, 해당 시즌은 선수 파업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1949년 시즌 이후로는 대체로 1부 리그에 소속되어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다만, 1960년과 1970년에는 세군다 디비시온(2부 리그)으로 강등되었으나, 해당 연도에 바로 우승하여 다음 시즌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복귀했다.

1978년에는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출전하였으나, 조별 리그 단계에서 탈락하였다. 이 시기 동안 다누비오는 우루과이 리그 내에서 점차 입지를 다져나갔다.

2. 3. 첫 리그 우승과 전성기 (1988-1997)

일도 마네이로 감독이 이끌었던 1988 시즌은 다누비오 FC 역사상 첫 리그 우승을 기록한 해이다. 당시 다누비오는 18승 4무 2패, 승점 40점을 기록하며 2위 페냐롤을 승점 9점 차로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12] 특히 루벤 다 실바는 23골을 기록하며 리그 득점왕을 차지하는 등 젊은 선수들의 활약이 돋보였다.[4]

이 우승으로 다누비오는 198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처음으로 출전할 자격을 얻었다. 조별 리그 5조에서 페냐롤, 볼리비아볼리바르, 더 스트롱게스트와 경쟁하여 3승 3패의 성적으로 조 2위를 차지,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5][12] 16강에서는 같은 우루과이의 강호 나시오날을 만나 합계 3-1로 승리했고, 8강에서는 칠레의 코브레로아를 합계 4-1로 꺾으며 준결승에 진출했다.[5][12] 준결승 상대는 콜롬비아아틀레티코 나시오날이었다.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1차전은 0-0 무승부로 끝났으나, 원정 2차전에서 0-6으로 대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4강 진출은 다누비오 FC의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역사상 최고 성적으로 남아있다.[5][12]

198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의 성공 이후, 다누비오는 1990년대 초반까지 안정적으로 리그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며 클럽의 전성기를 이어갔다.[12]

2. 4. 두 번째, 세 번째 리그 우승 (1998-2012)

헤랄도 페루소 감독이 이끌던 2004 시즌에 다누비오는 두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다누비오는 클라우수라와 연간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시즌 마지막 순간 나시오날과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디에고 페로네가 넣은 백힐 골에 힘입어 극적인 우승을 거머쥐었다.[12] 비록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는 1–4로 패배했지만, 최종적으로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이후 구스타보 마토사스 감독 체제 하의 2006-07 시즌에는 세 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이 시즌 다누비오는 아페르투라(전기 리그)와 클라우수라(후기 리그)를 모두 제패하는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12] 이는 1998 시즌의 나시오날 이후 처음으로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를 동시에 우승한 기록이었다.

2006년 아페르투라 우승은 페냐롤과의 극적인 최종전 승리로 결정되었다. 2006년 12월에 열린 이 경기에서 다누비오는 페냐롤에 승점 1점 앞선 32점으로 선두를 달리고 있었고, 우승을 위해서는 반드시 승리가 필요했다. 반면 페냐롤은 무승부만 거두어도 우승할 수 있는 유리한 상황이었다. 페냐롤이 먼저 득점했지만, 다누비오는 경기를 뒤집어 4–1 대승을 거두었고, 당시 매우 젊었던 에딘손 카바니가 마지막 골을 기록하며 우승을 확정지었다.[6]

이어진 2007년 클라우수라에서도 다누비오는 다시 한번 페냐롤을 만났다. 경기는 연장전까지 1–1 무승부로 이어졌고, 결국 승부차기에서 다누비오가 승리하며 클라우수라 우승과 함께 2006-07 시즌 통합 우승을 완성했다.[7]

2. 5. 네 번째 리그 우승과 현재 (2013-현재)

다누비오는 2013–14 시즌에서 네 번째 우루과이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 상대는 몬테비데오 원더러스였는데, 결승 2차전 연장전에서 카밀로 마야다가 경기 종료 직전 바이시클 킥으로 극적인 동점골을 터뜨려 2–2 무승부를 만들었고, 이어진 승부차기에서 승리하며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11]

2019 시즌 종료 시점에서 다누비오의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횟수는 총 4회로, 페냐롤과 나시오날에 이어 리그 3위에 해당한다. 우루과이 리그는 전통적으로 페냐롤과 나시오날의 양강 체제가 강하지만, 최근에는 다누비오가 데펜소르 스포르팅과 함께 이들을 위협하는 3번째 강팀으로 평가받고 있다. 데펜소르 스포르팅과의 경기는 Clásico de los Medianos|클라시코 데 로스 메디아노스es(중견팀들의 더비)라고 불린다.[11] 다누비오는 1부 리그부터 4부 리그까지 모든 등급의 리그에서 우승을 경험한 우루과이 유일의 클럽이기도 하다.

1948년 처음 1부 리그에 참가한 이후, 1960년과 1970년 시즌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1부 리그에 소속되어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는 총 8번 출전했으며, 최고 성적은 1989년 대회에서 기록한 4강이다.

3. 유니폼

1932년 창단 당시, 다누비오 FC는 1931년 우루과이 아마추어 리그 마지막 챔피언이었던 몬테비데오 원더러스에 대한 경의를 표하며 그들의 유니폼 색상인 검은색과 흰색 줄무늬 유니폼을 채택했다.

하지만 1940년대부터는 아르헨티나의 강호 리버 플레이트의 유니폼 디자인에서 영감을 받아 현재와 같은 형태의 유니폼을 입기 시작했다. 리버 플레이트 유니폼은 흰색 바탕에 붉은색 대각선 띠가 특징이지만, 다누비오는 흰색 바탕에 검은색 대각선 띠를 사용하는 것으로 차별화했다. 하의는 주로 검은색(일부 시즌에는 흰색)이며, 양말은 흰색 또는 검은색을 착용한다.

서드 유니폼은 몇 차례 변화를 겪었다. 2005-06 시즌에는 미라마르 미시오네스나 원더러스와 같이 비슷한 색상의 유니폼을 입는 팀과의 경기를 위해, 녹색 바탕에 흰색 대각선 띠가 있는 유니폼을 도입했다. 이 녹색 유니폼은 2007년 데포르티보 사프리사와의 경기에서도 사용되었으나, 녹색 유니폼을 입었을 때 원더러스나 미라마르에게 자주 패배하여 '저주받은 유니폼'으로 여겨져 2007-08 시즌을 끝으로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현재 서드 유니폼은 빨간색이다. 클럽 창립자의 출신지인 불가리아 국기가 흰색, 녹색, 빨간색으로 이루어져 있어, 녹색과 빨간색은 팀의 대체 색상으로 활용된다.

2019년 말에는 클럽의 불가리아 기원을 기념하는 특별한 서드 유니폼을 선보였다. 이 유니폼은 빨간색 셔츠를 바탕으로 가슴과 소매 부분에 흰색과 녹색 가로 줄무늬를 넣어 불가리아 삼색기를 형상화했다. 또한 유니폼에는 불가리아 국가의 구절과 같은 세부 디자인도 포함되었다.[8]

4. 경기장

다누비오 FC의 홈구장은 히포드로모 마리아 민체프 데 라자로프 경기장(Jardines del Hipódromo María Mincheff de Lazaroff|하르디네스 델 이포드로모 마리아 민체프 데 라사로프es)이다. 이 경기장은 1957년에 개장했으며, 약 18,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2017년, 클럽 회원들의 투표를 통해 경기장 이름이 변경되었다. 새로운 이름은 다누비오를 창단한 미하일(미겔)과 이반(후안) 라자로프 형제의 어머니이자 클럽 이름 '다누비오'를 제안했던 마리아 민체프 데 라자로프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5. 우승 기록

몬테비데오를 연고로 하는 다누비오 FC는 페냐롤과 나시오날의 양강 구도가 강한 우루과이 축구계에서 데펜소르 스포르팅과 함께 주요 클럽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데펜소르 스포르팅과의 경기는 Clásico de los Medianos|클래시코 데 로스 메디아노스es라고 불린다.[11]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는 총 4차례 우승(1988, 2004, 2006-07, 2013-14)을 차지하여, 페냐롤과 나시오날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국제 대회에서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8번 출전했으며, 1989년 대회에서 4강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또한, 다누비오는 우루과이에서 유일하게 1부 리그부터 4부 리그까지 모든 디비시온에서 우승을 경험한 클럽이다.[13]

5. 1. 국내 대회

주요 우승 기록
대회우승 횟수우승 연도
프리메라 디비시온4회1988, 2004, 2006-07, 2013-14
세군다 디비시온3회1947, 1960, 1970
테르세라 디비시온1회1943[13]



다누비오는 총 4번의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을 차지했다.


  • '''1988년:''' 루벤 다 실바와 같은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첫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루벤 다 실바는 해당 시즌 23골로 리그 득점왕에 올랐다.[4] 이 우승으로 클럽은 198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처음 진출하여 준결승까지 오르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5]
  • '''2004년:''' 나시오날과의 경기에서 디에고 페로네가 경기 막판 백힐 골을 성공시키며 극적으로 두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다누비오는 클라우수라와 연간 순위에서 1위를 기록하며 최종 우승을 확정지었다.
  • '''2006-07년:''' 2006년 아페르투라에서 페냐롤을 4-1로 꺾고 우승했으며,[6] 2007년 클라우수라에서도 연장전 끝에 승부차기로 페냐롤을 다시 꺾으며 세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7] 특히 2006년 아페르투라 마지막 경기에서는 페냐롤에 승점 1점 앞선 상황에서 맞대결을 펼쳐, 선제골을 내줬음에도 역전승을 거두었다. 당시 매우 젊었던 에딘손 카바니가 마지막 골을 기록했다. 이 시즌 우승으로 다누비오는 1998년 나시오날 이후 처음으로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를 모두 우승한 클럽이 되었다.
  • '''2013-14년:''' 몬테비데오 원더러스와의 결승 2차전에서 연장전까지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 끝에 네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카밀로 마야다가 경기 종료 직전 극적인 바이시클 킥 동점골을 터뜨리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5. 2. 국제 대회

다누비오 FC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총 8번 출전했으며, 최고 성적은 1989년 대회에서 기록한 4강이다.

1988년 리그 우승을 통해 처음으로 198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출전 자격을 얻었다.[4] 이 대회에서 다누비오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준결승까지 진출했다. 5조에서 3승 3패로 조 2위를 기록한 후, 16강에서는 같은 우루과이 클럽인 나시오날을 합계 3-1로 꺾었다. 8강에서는 칠레의 코브레로아를 만나 합계 4-1로 승리하며 준결승에 올랐다. 준결승 상대는 콜롬비아의 아틀레티코 나시오날이었는데,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0-0으로 비겼으나, 원정 2차전에서 0-6으로 크게 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이는 구단 역사상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최고 성적이다.[5]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출전 기록
연도결과
1978조별 리그 탈락
1984조별 리그 탈락
19894강
2005조별 리그 탈락
20071라운드 탈락
2008조별 리그 탈락
2015조별 리그 탈락
20192라운드 탈락


6. 선수

다누비오 FC는 창단 이후 많은 뛰어난 축구 선수들을 배출해왔다. 특히 클럽의 유소년 시스템은 우루과이 내에서 명성이 높으며, 이곳을 거쳐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이나 유럽의 주요 리그로 진출한 선수들이 많다.

과거 주요 선수로는 1988년 첫 리그 우승 당시 23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던 루벤 다 실바[4], 2006-07 시즌 우승에 기여하고 이후 유럽 빅리그에서 활약한 에딘손 카바니[6], 2013-14 시즌 우승 결정전에서 극적인 동점골을 기록한 카밀로 마야다 등이 있다.

자세한 현재 선수 명단과 클럽을 거쳐간 주요 선수들의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15일 기준)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1군 선수 명단'''
번호포지션국적이름비고
1GK-- 우루과이마우로 고이코에체아
2DF-- 우루과이산티아고 에체바르네
3DF-- 우루과이마티아스 프라키아
4DF-- 우루과이에밀리아노 안체타
5MF-- 우루과이후안 밀란
6FW-- 우루과이레안드로 소사주장
7MF-- 우루과이이그나시오 핀토스
8MF-- 우루과이크리스티안 티손
9FW-- 아르헨티나니콜라스 블란디
11FW-- 우루과이루카스 산세비에로
12GK-- 우루과이호세 리오
13MF-- 우루과이에르난 노빅
14DF-- 우루과이라미로 브라조니스클루브 나시오날에서 임대
15MF-- 우루과이리차드 누녜스
16MF-- 우루과이마테오 페랄타
18FW-- 우루과이곤살로 부에노
19MF-- 우루과이산티아고 로메로
20MF-- 우루과이막시밀리아노 칸테라
21FW-- 우루과이이그나시오 페레이라
22DF-- 우루과이파쿤도 사라비아
23MF-- 우루과이마티아스 곤잘레스페냐롤에서 임대
24DF-- 우루과이루이스 페미아
25MF-- 우루과이악셀 몬타냐
26FW-- 우루과이디에고 피리즈
27DF-- 우루과이마테오 아르구엘로
30FW-- 우루과이세바스티안 페르난데스
31MF-- 우루과이파쿤도 실베스트레
32GK-- 우루과이케빈 마르티네스
33FW-- 우루과이가브리엘 레예스
34DF-- 우루과이케빈 루이스
44DF-- 우루과이기예르모 프라타
MF-- 우루과이막시모 카브랄



'''임대 선수 명단'''
번호포지션국적이름임대 구단
FW-- 우루과이파쿤도 실베라미라마르 미시오네스
MF-- 우루과이호아킨 페르난데스알비온 FC


6. 2. 주요 선수

다누비오 FC는 클럽 역사상 많은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특히 유소년 시스템을 통해 성장한 선수들이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이나 유럽의 주요 리그에서 활약하는 경우가 많다. 클럽에서 최소 50경기 이상 출전했거나 국가대표팀에서 30경기 이상 출전한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5]

이 외에도 루벤 올리베라, 아드리안 데안, 넬리 카스티요, 리카르도 로드리게스 등 많은 선수들이 다누비오 FC 유소년 시스템을 거쳐갔다.

참고로 클럽 최다 출장 기록 보유자는 1947년부터 1962년까지 411경기에 출전한 카를로스 로메로이며, 클럽 최다 득점 기록 보유자는 총 4번의 기간 동안 활약하며 72골을 기록한 디에고 페로네이다.

7. 유소년 시스템

다누비오 FC의 유소년 시스템은 우루과이에서 최고 수준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많은 훌륭한 선수들을 배출해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성장한 선수 중 상당수는 이후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이나 유럽의 주요 리그에서 활약하며 명성을 떨쳤다. 다누비오의 유소년 시스템은 우루과이 축구 발전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인정받는다.

대표적인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다누비오 FC 유소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많은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선수 이름주요 활동 및 경력
루벤 소사우루과이 대표팀, 라치오, 인테르 밀란 등에서 활약
마르셀로 살라예타우루과이 대표팀, 유벤투스, 세비야 등에서 활약
루벤 올리베라우루과이 대표팀, 유벤투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등에서 활약
아드리안 데안우루과이 축구 선수
루벤 다 실바1988년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득점왕, 우루과이 대표팀, 리버 플레이트 등에서 활약
하비에르 체반톤우루과이 대표팀, 레체, 모나코, 세비야 등에서 활약
리차르도 누녜스우루과이 대표팀, 그라스호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등에서 활약
왈테르 가르가노우루과이 대표팀, 나폴리, 인테르 밀란, 몬테레이 등에서 활약
카를로스 그로스뮬러우루과이 대표팀, 샬케 04, 레체 등에서 활약
이그나시오 곤살레스우루과이 대표팀, 모나코, 발렌시아, 뉴캐슬 유나이티드 등에서 활약
크리스티안 스투아니우루과이 대표팀, 레반테, 에스파뇰, 미들즈브러, 지로나 등에서 활약
넬리 카스티요멕시코 대표팀, 올림피아코스, 샤흐타르 도네츠크, 맨체스터 시티 등에서 활약
리 카르도 게에로 로드리게스우루과이 축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Danubio's river of talent https://www.fifa.com[...] FIFA 2009-01-13
[2] 웹사이트 "Данубио" никога няма да забрави българските си корени https://btvnovinite.[...] bTV Media Group 2020-10-19
[3] 웹사이트 Danubio will never forget its Bulgarian roots https://www.tfmethod[...] The Football Methods 2020-10-19
[4] 웹사이트 Uruguay 1988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21-11-20
[5] 뉴스 Danubio, la humildad que abrazó la gloria http://www.fifa.com/[...] FIFA 2006-12-13
[6] 웹사이트 Danubio goleó por 4-1 al Peñarol y ganó el título del Apertura https://www.mediotie[...] 2021-11-20
[7] 웹사이트 Soccer-Modest Danubio win Uruguayan championship https://www.espn.com[...] 2009-08-31
[8] 웹사이트 Camiseta homenaje a Bulgaria http://www.danubio.o[...] Danubio Fútbol Club 2020-10-19
[9] 웹사이트 Jardines del Hipódromo María Mincheff de Lazaroff http://www.danubio.o[...] Danubio Fútbol Club 2020-10-27
[10] 웹사이트 Danubio FC https://www.transfer[...] transfermarkt 2020-01-02
[11] 문서 このクラシコは、クラシコ本来の歴史的な地域ライバルに基づくものではなく、近年好成績を残している2クラブの対戦をマスメディアが持ち上げたものである。そのため、クラシコと呼ぶことに否定的な意見もある。
[12] 웹사이트 Danubio's river of talent http://www.fifa.com/[...] FIFA.com 2009-01-13
[13] 문서 ディビシオナル・インテルメディアは、1915シーズン-1941シーズンは2部相当リーグであったが、1942シーズン-1971シーズンは3部相当リーグであ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