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리아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리아가는 12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 사르데냐에 영지를 소유하고, 제노바를 비롯한 리구리아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한 이탈리아의 유서 깊은 귀족 가문이다. 1110년경 기록에 처음 등장하며, 1284년 멜로리아 해전에서 오베르토 도리아가 승리하고, 1298년 쿠르촐라 해전에서 람바 도리아가 승리하는 등 해군 지휘관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16세기에는 안드레아 도리아 제독이 제노바 공화국을 부활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1537년부터 1795년까지 여러 차례 도제를 배출했다. 도리아 가문은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탐험가들을 지원하고, 문학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노바 공화국 - 제노바 식민지
    제노바 식민지는 제노바 공화국이 지중해, 흑해, 서유럽 등에 건설했던 식민지들을 통칭하며, 십자군 원정 참여, 흑해 해협 장악 등을 통해 번성했으나 오스만 제국의 확장으로 1742년 마지막 식민지가 멸망하며 종말을 맞이했다.
  • 도리아가 -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는 제노바 도리아 가문 출신으로 제노바 함대 제독을 지냈고 레판토 해전에서 신성 동맹 우익을 지휘했으며 투르시 후작, 멜피 공작, 산티아고 기사단 단장을 역임한 군인이자 제독이다.
  • 도리아가 - 암브로시오 스피놀라 도리아
    암브로시오 스피놀라 도리아는 제노바 출신으로 스페인으로 망명하여 군 지휘관으로 임명된 후 네덜란드 독립 전쟁 등에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으나, 이후 몰락하여 만토바 공국 계승 전쟁 중 사망한 스페인 군인이자 군사 전략가이다.
  • 제노바의 역사 - 1992년 세계 박람회 (제노바)
    1992년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와 항해 시대'를 주제로 개최된 세계 박람회는 렌초 피아노의 설계로 포르토 안티코 지역을 재개발하고 다양한 전시 시설을 갖췄으나, 방문객 수 조작 논란과 재정적 어려움으로 정치적 파장을 겪었다.
  • 제노바의 역사 - 도제 (작위)
    도제는 베네치아와 제노바 공화국의 국가 원수를 지칭하는 용어로, 각 공화국에서 선출 과정을 거쳐 통치했으며 권력 남용 방지를 위한 제약을 받았다.
도리아가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가문 정보
가문 명칭도리아 가문
모토"Altiora peto" (더 높은 곳을 추구한다)
영지제노바 공화국
교황령
나폴리 왕국
사르데냐 왕국
오네글리아 공국
돌체아쿠아 영지
돌체아쿠아 후작령
국가이탈리아
유럽 연합
작위제노바 공화국의 도제 (세습되지 않음)
사르데냐 부왕 (세습되지 않음)
멜피 공작
오네글리아 공작
발몬토네 공작
앙그리 공작
투르시 공작
에볼리 공작
돌체아쿠아 후작
토리글리아 후작
치리에 후작
카파초 백작
사소코르바로 백작
몬탈데오 백작
오네글리아 영주
설립 연도10세기
분가도리아-팜필리-란디 가문
언어별 명칭
리구리아어Döia
기타
로마자 표기Doria
IPA/ˈdɔːja/
문장
도리아 가문의 문장

2. 기원

1284년 멜로리아 해전에서 오베르토 도리아가 거둔 큰 승리, 그의 동생 람바 도리아도 1298년 쿠르졸라 해전에서 승리하였다.


도리아 가문의 기원은 전설과 역사적 기록을 통해 추론해 볼 수 있다. 도리아 가문은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 사르데냐리비에라의 돌체아쿠아, 오넬리아, 포르토피노 등지에 영지를 보유하며 성장했다.

2. 1. 전설

전설에 따르면, 아우리아 (Auria) 또는 오리아 델라 볼타 (Oria della Volta)라는 제노바 귀족 여성이 제1차 십자군 때 예루살렘으로 향하던 귀족 순례자와 사랑에 빠졌고, 그의 이름은 아르두이노 디 나르보네 (Arduino di Narbonne)였다. 하지만 그들의 자녀는 어머니의 이름을 따 데 오리아 (de Oria)라고 이름 붙여졌다. 아르두이노는 피에몬테 지역의 아르두이니치 가문의 전형적인 이름이며, 거기 가문 출신 중 일부는 아우리아테 백작 작위를 가지게 되었다. 그때부터 추측하기로 아우리아테의 아르두이니치 가문 일원 중 한 명이 11세기 말 리구리아의 지역 유력자로 갑작스럽게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기록에 따르면, 1110년에 마르티노 (Martino)와 제누아르도 (Genuardo)라는 가문의 두 명이 언급되고, 이들을 ''필리 아우리아에'' (filii Auriae, 오리아의 아들들 또는 자녀들)이라 불렸다. 도리아 가문은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 사르데냐에 영지를 지녔고, 또한 제노바에서 서쪽 리비에라에 있는 돌체아쿠아, 오네글리아, 포르토피노도 보유했었다.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도리아는 여성의 이름으로도 알려져있다.

2. 2. 역사적 기원

전설에 따르면 아우리아 (Auria) 또는 오리아 델라 볼타 (Oria della Volta)라는 제노바 귀족 여성이 제1차 십자군 때 예루살렘으로 향하던 귀족 순례자와 사랑에 빠졌고, 그의 이름은 아르두이노 디 나르보네 (Arduino di Narbonne)였다. 하지만 그들의 자녀는 어머니의 이름을 따 데 오리아 (de Oria)라고 이름 붙여졌다. 아르두이노는 피에몬테 지역의 아르두이니치 가문의 전형적인 이름이며, 그 가문 출신 중 일부는 아우리아테 백작 작위를 가지게 되었다. 그때부터 추측하기로 아우리아테의 아르두이니치 가문 일원 중 한 명이 11세기 말 리구리아의 지역 유력자로 갑작스럽게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기록에 따르면 1110년에 마르티노 (Martino)와 제누아르도 (Genuardo)라는 가문의 두 명이 언급되고, 이들을 ''필리 아우리아에'' (filii Auriae, 오리아의 아들들 또는 자녀들)이라 불렸다. 도리아 가문은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 사르데냐에 영지를 지녔고, 또한 제노바에서 서쪽 리비에라에 있는 돌체아쿠아, 오네글리아, 포르토피노도 보유했었다.

3. 유명 인물

도리아 가문은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며 이탈리아 제노바를 중심으로 활동한 유력 가문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유명 인물들을 배출했다.


  • 초기: 12세기 시모네 도리아는 제3차 십자군 원정에서 제노바 함대를 이끌었고, 페르치발레 도리아는 전쟁 지휘관이자 프로방스어 시인으로 이름을 알렸다. 오베르토 도리아와 람바 도리아 형제는 해군 지휘관으로 활약하며 각각 멜로리아 해전과 쿠르촐라 해전에서 승리했다.
  • 중세 후기 ~ 근세 초기: 오토네 도리아는 크레시 전투에서 제노바 쇠뇌병 부대를 지휘했으나 전사했다. 안드레아 도리아제노바 공화국을 부활시킨 가장 유명한 인물이며, 그의 조카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 역시 해군 제독으로 활약했다.
  • 국제 관계: 도리아 가문은 일 칸국아바카 칸과의 관계를 맺는 등 유럽 외 정치 세력과도 교류했다.


다음은 제노바 공화국의 도제(Doge)를 역임한 도리아 가문 인물들이다.

재임 기간이름
1537년-1538년조반니 바티스타 도리아
1579년-1581년니콜로 도리아
1601년-1603년아고스티노 도리아
1621년암브로조 도리아
1633년-1635년조반니 스테파노 도리아
1793년-1795년주세페 마리아 도리아


3. 1. 초기

포르토베네레의 도리아 성 (사진의 위쪽)


1606년 페테르 파울 루벤스가 그린 브리지다 스피놀라 도리아 후작부인의 초상


시모네 도리아는 12세기 말에 살았던 인물로, 제3차 십자군 원정에서 아크레 공격에 참여한 제노바 함대의 제독이었다. 페르치발레 도리아는 기벨린파를 위해 싸우다 1275년에 사망한 인물로, 악명높은 전쟁 지휘관이자 유명한 프로방스어 시인이었다. 시모네 도리아는 사보나알벤가포데스타였다. 오베르토 도리아와 람바 도리아 형제는 해군 지휘관이자 정치인이었다. 오베르토는 제노바의 민중대장으로 1284년 피사와의 멜로리아 해전에서 승리했고, 람바는 1298년 쿠르촐라 해전에서 베네치아안드레아 단돌로에게 승리하였다. 테디시오 도리아 (또는 테오도시오)는 1291년 반디노와 우골리노 비발디의 탐험을 재정 지원해주었다. 브란카 도리아는 1275년에 그의 장인 미켈레 찬체를 살해한 죄로 단테의 《신곡》에서 언급되었다. 브란칼레오네 도리아는 아르보레아 주디카토국을 다스렸고 14세기 말에는 사르데냐섬 대부분을 정복했다.

오토네 도리아는 1346년 8월 크레시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고용되어 5,000명이 넘는 제노바 쇠뇌병을 지휘했다. 그는 잉글랜드군과 프랑스군 양측에 공격받아 제노바군이 괴멸되면서 전사하였다. 폭우로 인해 쇠뇌의 시위가 젖어 사용할 수 없게 되자 (잉글랜드의 장궁병들과는 달리 젖은 시위를 쉽게 제거할 수 없었다) 오토네는 퇴각 명령을 내렸다. 프랑스군은 이를 비겁한 행위로 보고 공격했고, 잉글랜드 장궁병들도 이들을 학살했다.[4]

도리아 가문의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한 명은 멜피 공작 안드레아 도리아 제독으로, 제노바 공화국을 부활시켰다. 그의 조카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 역시 해군 제독이었다. 조반니 안드레아의 아들은 로마 가톨릭 주교 조반니 도리아이다. 이 시기 도리아 가문의 유명한 인물로는 해군 제독 카를로 도리아와 예술품 수집가 조반니 카를로 도리아 등이 있다.

도리아 가문은 유럽 내와 외부의 정치 세력들과 관계를 맺었다. 몽골계 국가인 일 칸국아바카 칸이 프랑스-몽골 동맹을 시도할 때, 제노바와의 유대 강화가 그의 전략에 포함되었다. 도리아 가문의 많은 젊은이들은 아바가, 카사노, 킬리키아의 아르메니아 왕국의 왕 헤툼 1세의 이름을 따서 아이토네 등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3. 2. 중세 후기 ~ 근세 초기

시모네 도리아는 12세기 말 제3차 십자군의 제노바 함대 제독이었다. 페르치발레 도리아는 기벨린파 소속으로 1275년에 사망한 전쟁 지휘관이자 프로방스어 시인이었다. 시모네 도리아는 사보나알벤가포데스타였다. 오베르토 도리아와 람바 도리아 형제는 해군 지휘관이자 정치인이었다. 오베르토는 제노바의 민중대장으로 1284년 피사와의 멜로리아 해전에서 승리했고, 람바는 1298년 쿠르촐라에서 베네치아안드레아 단돌로에게 승리했다. 테디시오 도리아 (또는 테오도시오)는 1291년 반디노와 우골리노 비발디의 탐험을 재정 지원했다. 브란카 도리아는 1275년 장인 미켈레 찬체(Michele Zanche)를 살해하여 단테의 《신곡》에 언급되었다. 브란칼레오네 도리아는 아르보레아 주디카토국을 다스렸고 14세기 말 사르데냐섬 대부분을 정복했다.

오토네 도리아는 1346년 8월 크레시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고용된 5,000명 이상의 제노바 쇠뇌병을 지휘했다. 그는 제노바군이 양측에서 공격받아 괴멸당하면서 전사했다. 폭우로 쇠뇌 시위가 젖어 못 쓰게 되자 (잉글랜드 장궁병과 달리 쉽게 제거할 수 없었다) 오토네는 퇴각 명령을 내렸다. 프랑스군은 이를 비겁한 행위로 보고 공격했고, 잉글랜드 장궁병들도 이들을 학살했다.

멜피 공작 안드레아 도리아 제독은 제노바 공화국을 부활시킨 도리아 가문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한 명이다. 그의 조카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 역시 해군 제독이었다. 조반니 안드레아의 아들은 로마 가톨릭 주교 조반니 도리아이다. 이 시기 도리아 가문의 유명한 인물로는 해군 제독 카를로 도리아와 예술품 수집가 조반니 카를로 도리아 등이 있다.

도리아 가문은 유럽 내외 정치 세력들과 관계를 맺었다. 아바카 칸이 프랑스-몽골 동맹을 시도할 때 제노바와의 유대 강화가 그의 전략에 포함되었다. 도리아 가문의 많은 젊은이들은 아바가 (Abaga, 아바카 칸), 카사노 (Casano, 가잔 칸), 킬리키아의 아르메니아 왕국의 왕 헤툼 1세의 이름을 딴 아이토네 (Aitone) 등 외국 군주들의 이름으로 불렸다.[4]

3. 3. 전성기

시모네 도리아는 12세기 말 제3차 십자군 원정에서 아크레 공격에 참여한 제노바 함대를 지휘했다. 페르치발레 도리아는 기벨린파를 위해 싸우다 1275년에 사망한 인물로, 악명높은 전쟁 지휘관이자 유명한 프로방스어 시인이었다. 시모네 도리아는 사보나알벤가포데스타였다. 오베르토 도리아와 람바 도리아 형제는 해군 지휘관이자 정치인이었으며, 오베르토는 제노바의 민중대장으로 1284년 멜로리아 해전에서 피사 공화국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람바는 1298년 쿠르촐라 해전에서 베네치아 공화국안드레아 단돌로에게 승리하였다. 테디시오 도리아 (또는 테오도시오)는 1291년 반디노와 우골리노 비발디의 탐험을 재정 지원해주었다. 브란카 도리아는 1275년에 그의 장인 미켈레 찬체를 살해하여 단테의 《신곡》에서 언급됐다. 브란칼레오네 도리아는 아르보레아 주디카토국을 다스렸고 14세기 말에는 사르데냐섬 대부분을 정복했다.

오토네 도리아는 1346년 8월 크레시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고용되어 5,000명 이상의 제노바 쇠뇌병을 지휘했다. 그러나 폭우로 인해 쇠뇌의 시위가 젖어 쓸모없게 되자, 오토네는 퇴각 명령을 내렸다. 이를 비겁한 행위로 본 프랑스군은 이들을 공격했고, 잉글랜드 장궁병들에게도 학살당하면서 제노바군은 괴멸당하고 오토네 도리아도 전사하였다.[4]

도리아 가문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은 안드레아 도리아 제독으로, 제노바 공화국을 부활시켰다. 그의 조카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 역시도 해군 제독이었다. 조반니 안드레아의 아들은 로마 가톨릭 주교 조반니 도리아이다. 이 시기 도리아 가문의 유명한 인물로는 해군 제독 카를로 도리아와 예술품 수집가 조반니 카를로 도리아 등이 있다.

도리아 가문은 유럽 내와 외부의 정치 세력들과 관계를 가졌다. 몽골계 국가인 일 칸국아바카 칸이 프랑스-몽골 동맹 형성 시도 기간에 그의 전략에는 제노바와의 유대 강화가 포함됐었다. 도리아 가문의 많은 젊은이들은 아바가 (Abaga, 아바카 칸), 카사노 (Casano, 가잔 칸), 킬리키아의 아르메니아 왕국의 왕 헤툼 1세의 이름에서 붙여진 아이토네 (Aitone)등 외국 군주들의 이름이 붙여졌다.[4]

3. 4. 제노바 공화국의 도제

도리아 가문의 일부는 제노바 공화국의 최고 정치 지도자인 도제(Doge)가 되었다.

재임 기간이름
1537년-1538년조반니 바티스타 도리아
1579년-1581년니콜로 도리아
1601년-1603년아고스티노 도리아
1621년암브로조 도리아
1633년-1635년조반니 스테파노 도리아
1793년-1795년주세페 마리아 도리아


4. 작위를 지닌 방계 가문

도리아 가문의 일원들은 멜피 공작(도리아팜팔리 방계), 센톨라 공작(도리아 당기리 방계), 몬탈데오 백작, 치리에에델마로 후작, 산콜룸바노 후작, 오네글리아 영주 등의 작위를 가졌다. 가문의 부계 출신들은 예우 작위로서 가문의 명칭에 코뇨메 후작이라는 칭호를 가졌다.

콜론나도리아 가문 같은 비부계 공작 방계 가문원들도 많았다. 후작 작위에 해당하는 스페인의 포라타 도리아 가문 (Porrata Doria) 같이 이탈리아 밖에서도 방계 가문이 존재했다.

5. 탐험에서의 역할

도리아 가문은 15세기 말에서 16세기에 걸쳐 스페인포르투갈 항해자들의 재정을 지원했다. 세비야의 은행가 프란체스코 도리아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항해를 재정 지원했고, 그의 아들 알레라모 도리아는 1556년까지 주앙 3세의 은행가였다. 알레라모의 딸 클레멘차 도리아는 16세기 포르투갈의 브라질 식민지의 초기 정착민 중 한 명이었다. 클레멘차는 두 차례 혼인했는데, 재혼 상대인 페르낭 바스 다 코스타는 포르투갈의 법무대신 크리스토방 다 코스타의 아들이자 전설적인 항해가 소에이루 다 코스타의 증손자였다. 그들은 오늘날까지 번성한 코스타 도리아 가문의 기원이며, 가문 출신원 중 한 명인 조제 카를루스 알렐루이아는 도리아 가문의 브라질 회의 대표자이며, 사업가 조앙 도리아는 조제 사르네이 정부 (1985년–1989년) 내각에 있었다.

크리스토 기사단의 기사였던 제노바인 로디시오 도리아는 마데이라섬에 정착했다. 그들의 후손은 페나 드'아기아 (Pena d'Aguia)의 영주 테이셰이라 도리아 가문과 포르투갈인 항해가 트리스탕 바스 테이셰이라의 직계 후손이기도 한 프란사 도리아 가문원들이다.

6. 문학 작품

코넬리아 푼케의 《잉크하트》 시리즈(특히 《잉크데스》)에는 도리아라는 이름의 인물이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으로 묘사되며, 결국 십 대 여주인공과 사랑에 빠진다.[1]

아다 파머의 근미래 공상과학 시리즈 《테라 이그노타》에는 줄리아 도리아 팜필리라는 인물이 등장하는데, 역사적인 도리아 가문의 후손인 것으로 암시된다.[2]

참조

[1] 웹사이트 TIG - Risultati http://www.zeneize.n[...] 2020-10-12
[2] EB1911 Doria-Pamphilii-Landi
[3] 서적 (제목 정보 없음)
[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