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노바 식민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노바 식민지는 제노바 공화국이 지중해, 흑해, 서유럽 등에 건설했던 식민지들을 의미한다. 제노바는 1096년경 독립하여 십자군 원정에 참여하며 레반트 지역에 식민지를 건설하여 부를 축적했으나, 이슬람 세력에게 정복당하며 소멸되었다. 13세기에는 코르시카와 사르데냐 북부를 점령했으며, 흑해와 지중해 동부에 식민지를 건설하며 흑해 해협에서 베네치아인들을 몰아냈다. 그러나 15세기 오스만 제국의 확장으로 인해 흑해 식민지가 쇠퇴하고, 마지막 식민지였던 타바르카가 1742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면서 제노바 식민지는 종말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노바 공화국 - 도리아가
도리아 가문은 11세기 말 제노바에서 부상한 귀족 가문으로, 해군 제독과 정치가를 배출하며 제노바 공화국과 유럽 정치, 군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고, 몽골 제국과 관계를 맺었으며, 대항해 시대에도 활약했다. - 식민제국 - 통가 제국
통가 제국은 10세기부터 19세기까지 폴리네시아에서 해군력을 바탕으로 번성하며 투발루, 피지, 사모아 일부 등 광대한 영토에 영향력을 미쳤으나, 왕조 교체와 외부 세력의 방문 이후 쇠퇴한 해양 제국이다. - 식민제국 - 스타토 다 마르
스타토 다 마르는 베네치아 공화국이 지배했던 해외 영토를 지칭하는 용어로, 달마티아 정복을 시작으로 아드리아 해를 중심으로 이스트리아, 달마티아, 이오니아 제도 등을 포함했으나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과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게 멸망하며 영토 대부분을 상실했다.
제노바 식민지 | |
---|---|
개요 | |
![]() | |
일반 명칭 | 제노바 식민지 |
국명 | 제노바 공화국 |
수도 | (알 수 없음) |
데모님 | (알 수 없음) |
역사 | |
시작 | 제노바 함대의 제1차 십자군 참여 (1096년) |
조약 | 님파이온 조약 (1261년) |
설립 | 가지리아 설립 (1266년) |
멸망 | 대부분의 동부 지중해 식민지 몰락 (15세기 후반) |
멸망 | 타바르카 함락 (1742년) |
조약 | 베르사유 조약 (1768년) |
종료 | 1768년 |
지리 및 위치 | |
현재 국가 | (알 수 없음) |
기타 | |
사건 | (알 수 없음) |
2. 역사
제노바 공화국의 역사는 인구 4,000명 정도의 작고 가난한 어촌에서 시작되었다. 1096년경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성을 갖춘 자유 코무네로 발전하면서 제노바는 점차 세력을 키워나갔다. 특히 십자군 전쟁에 함대를 파견하여 안티오키아와 아크레 정복 등에 기여하면서 막대한 부를 축적하고, 성지와 스페인 연안에 초기 식민지를 건설했다. 그러나 이들 초기 식민지는 오래 유지되지 못했다.[20][21]
제노바의 본격적인 영토 확장은 13세기에 시작되었다. 코르시카 (1284년 합병)와 사르데냐 북부를 점령했으며, 피사와의 멜로리아 해전 (1284년)에서 승리하여 티레니아해의 지배권을 확립했다. 같은 시기, 동지중해와 흑해 지역으로도 진출하여 식민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제노바의 해외 거점은 군사적 점령보다는 현지 세력과의 관계를 통한 경제적 "권리" 확보에 기반하는 경우가 많았다.[22]
비잔티움 제국과의 님파에움 조약 (1261년) 체결은 제노바가 흑해 무역에서 베네치아를 몰아내고 우위를 점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노바는 에게해의 히오스와 미틸리니, 크림반도의 카파를 비롯하여 흑해 연안 곳곳에 주요 상업 및 군사 거점을 확보했다.[23] 또한 콘스탄티노플 맞은편 갈라타 지역에도 중요한 상관(폰다코)을 운영했으며, 아르메니아 왕국 등과도 교류했다.
그러나 15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의 급격한 팽창은 제노바에게 큰 위협이 되었다. 1453년 콘스탄티노플의 함락으로 갈라타 지역을 상실했고, 이후 크림반도를 비롯한 흑해의 주요 식민지 대부분과 에게해의 히오스(1566년) 등을 오스만 제국에게 빼앗겼다.[24][26] 이러한 동방 식민지의 상실은 제노바 공화국에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주었으며, 유럽 강국으로서의 지위를 잃고 쇠퇴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27] 이후 제노바는 지중해 서부, 특히 스페인과의 금융 관계에 집중하게 되었다.
최후까지 남아있던 제노바의 식민지들도 18세기에 모두 사라졌다. 튀니지 연안의 타바르카 섬은 1742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고, 오랫동안 지배해 온 코르시카는 1768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프랑스에 합병되었다. 이로써 제노바의 식민 제국 시대는 막을 내렸다.
2. 1. 중세 초기
중세 초 제노바는 인구 4,000명의 작고 가난한 어촌 마을이었다. 상선단을 서서히 구축하면서 서지중해의 주요 상업 운송업체로 부상했으며, 11세기경부터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시작하여 1096년경에는 자유 코무네가 되었다. 도시의 모든 무역 협회(''compagnie'')와 주변 계곡 및 해안의 귀족 영주들의 회의는 결국 제노바 정부의 탄생을 알렸다. 당시 탄생한 도시 국가는 ''Compagna Communis''로 알려졌다. 이 지역 조직은 수세기 동안 정치적, 사회적 중요성을 유지했다.[1]2. 2. 십자군 전쟁과 식민지 확장
1096년경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적인 자유 코무네가 되기 시작했을 때, 제노바는 거주민 4,000명 정도의 작고 가난한 어촌이었다. 그러나 제1차 십자군 전쟁에 제노바 함대가 참여하여 특히 안티오키아와 아크레 정복에 기여하면서 막대한 부를 축적하게 되었다. 이 전쟁 동안 제노바 공화국은 아크레 항구 수입의 3분의 1과 비블로스(기벨레) 영토의 3분의 1을 얻었다. 비블로스는 이후 엠브리아코 가문의 영지가 되어, 가문 구성원들은 스스로를 기벨레의 영주라 칭했다.[2] 또한 시리아의 타르투스, 리비아의 트리폴리, 레바논의 베이루트 등지에도 소규모 식민지를 형성했다. 하지만 다음 세기에 걸쳐 진행된 이슬람 세력의 재정복으로 성지에 있던 제노바 식민지들은 사라지게 되었다. 제노바는 발렌시아에서 지브롤터에 이르는 스페인의 지중해 연안에도 식민지를 건설했으나, 이 역시 단기간만 존재했다.[3] 이 식민지들은 대개 낮은 층에 작업소를 지닌 목제로 된 1층 또는 2층짜리 가옥들로 이루어진 도시 지구(혹은 단일 광장) 형태였다.[4]2. 3. 13세기 이후의 확장
제노바의 직접적인 영토 확장은 13세기에 시작되었다. 이때 코르시카를 점령하여 1284년에 공식 합병했으며, 이 섬은 18세기까지 제노바의 지배하에 있었다. 또한 사르데냐 북부 지역도 점령하였다. 제노바는 오랜 경쟁 상대였던 피사와의 멜로리아 해전 (1284년)에서 결정적인 해상 승리를 거두며 티레니아해의 제해권을 장악했다.[5]13세기 후반부터 제노바는 동지중해와 흑해 지역에도 리구리아인들의 식민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제노바의 해외 거점 확보는 직접적인 군사 점령보다는 현지 상인 및 지배 계층과의 관계를 통해 얻어낸 경제적 "권리" 또는 "양보"에 기반한 경우가 많았다.[5]

특히 동지중해에서 제노바의 영향력은 비잔티움 제국이 콘스탄티노플을 되찾는 것을 도운 대가로 황제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와 체결한 님파에움 조약 (1261년)을 통해 크게 확대되었다. 이 조약으로 제노바는 사실상 베네치아 세력을 흑해로 통하는 해협에서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
제노바의 주요 상업 거점은 에게해의 키오스와 미틸리니 섬이었다. 흑해 지역에서는 몽골 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와 서유럽을 잇는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던 카파 (오늘날 페오도시야)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흑해 연안의 다른 주요 제노바 식민지들은 다음과 같다.[6][7]
지역 | 주요 식민지 (현대 지명) |
---|---|
크림반도 | 쳄발로 (발라클라바), 솔다이오 (수다크), 보스포로 (케르치) |
아조프해 연안 | 타나 (아조프), 마트레가 (타만), 마파 (아나파), 바타 (노보로시스크) |
압하지야 해안 | 사바스토폴리 (수후미) |
우크라이나 해안 | 살마스트로 또는 몬카스트로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지네스트라 (현재 오데사 일부) |
제노바는 이미 1155년에 비잔티움 황제 마누일 콤네노스로부터 콘스탄티노플 맞은편 갈라타 (페라) 지역에 상관(商館)인 '폰다코'를 설치할 권리를 얻었으나, 이후 비잔티움 제국과의 관계는 종종 긴장 상태에 놓였다. 1201년에는 아르메니아 왕국으로부터 특권과 거주 지역을 확보하기도 했다. 페라 지역은 1453년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플 전체를 점령하면서 함께 함락되었다. 한편, 키오스 섬은 1566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될 때까지 주스티니아니 가문의 영지로 남아 있었다.[10] 1933년 통계에 따르면, 콘스탄티노플과 이즈미르에는 약 33,000명의 제노바 식민지 개척자들의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었다.[11]
제노바는 또한 튀니지 해안에서 떨어진 타바르카 섬을 정복하여, 1540년부터 1742년까지 로멜리니 가문이 소유했다. 이후 타바르카의 주민 중 일부는 사르데냐의 카를로포르테로 이주했다.
13세기부터 15세기 사이 제노바 공화국의 최대 확장기 동안, 현재의 루마니아 지역에도 많은 식민지와 상업 및 군사 항구가 건설되었다. 이 지역의 주요 제노바 식민지로는 칼라파트, 리코스토모, 갈라치, 콘스탄차, 주르주 (산 조르조), 비치나 등이 있었다. 이 정착지들은 주로 제노바의 해상 무역로를 보호하고 이 지역에서 공화국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했다.[8][9]
15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의 팽창은 크림반도를 비롯한 흑해 지역 제노바 식민지의 쇠퇴를 가져왔다. 크림반도의 도시들 외에도, 귀족 지솔피 가문의 영지였던 타만 반도를 상실했으며, 몰다비아의 리코스토모와 오데사 인근의 몬카스트로 같은 상업 기지도 잃었다.[13] 이러한 동방 식민지의 상실은 제노바에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주었으며, 유럽 강국으로서 제노바 공화국이 쇠퇴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13] 최후의 제노바 식민지였던 타바르카는 1742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고, 코르시카는 1768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프랑스에 병합되었다.
2. 4. 오스만 제국의 부상과 쇠퇴
15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의 확장은 크림반도에 위치했던 제노바 식민지의 쇠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었다.[13][27] 오스만 제국의 군사적 압박으로 제노바는 크림반도의 도시들뿐만 아니라, 귀족 지솔피 가문이 통치하던 타만반도의 영토까지 상실했다. 또한 몰다비아의 리코스토모(Licostomo) 상업 기지와 오데사 인근의 몬카스트로(Moncastro) 등 흑해 연안의 다른 중요 거점들도 잃게 되었다.[13]동지중해에서도 제노바의 영향력은 축소되었다. 콘스탄티노플을 마주보는 갈라타 (페라) 지역은 1453년 오스만 군대가 콘스탄티노플 전체를 점령하면서 함께 함락되었다.[10][24] 에게해의 주요 거점이었던 히오스는 1566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될 때까지 주스티니아니 가문의 소유지로 남아 있었다.[10][24] 튀니지 해안의 타바르카 섬 역시 1742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다.[13]
이러한 동방 식민지들의 상실은 제노바 공화국에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주었으며, 이는 결국 유럽의 주요 강국으로서 제노바가 겪게 될 쇠퇴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13][27] 오랜 경쟁 상대였던 베네치아 공화국이 일부 동방 영토를 유지했던 것과 달리, 제노바는 주요 거점들을 대부분 상실하며 큰 타격을 입었다.[27]
동방에서의 영향력 약화로 인해 제노바는 서지중해로 관심을 돌리게 되었고, 카디스와 리스본에 새로운 제노바인 공동체를 형성하며 활로를 모색했다.[13][27] 특히 제노바는 합스부르크 스페인의 주요 금융 공급원 역할을 하며 대출을 제공하고, 아시엔토를 통해 노예 무역을 조직하는 등 스페인과의 관계를 강화했다.[14] 제노바 상인들은 태평양의 주요 항구였던 구 파나마에서도 활동했다.[14]
제노바의 마지막 식민지였던 코르시카는 1768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프랑스에 합병되었다.[13] 제노바 공화국 자체는 1797년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 제1공화국에 의해 정복되면서 그 역사를 마감했다.
2. 5. 제노바 공화국의 종말
지중해 동쪽 식민지들의 쇠퇴는 심각한 경제 문제를 야기했고, 이는 결국 유럽 강국으로서 제노바 공화국이 쇠퇴하는 결과를 낳았다.[27] 최후의 제노바 식민지들은 18세기에 사라졌다. 튀니지 해안가의 타바르카 섬은 1742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고, 코르시카는 1768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프랑스에 합병되었다.3. 주요 식민지
제노바 공화국은 십자군 전쟁 참여를 통해 얻은 부를 바탕으로 해외 식민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20] 초기에는 성지에 거점을 마련했으나 오래 유지되지는 못했고,[20] 이후 본격적인 영토 확장은 13세기 코르시카와 사르데냐 북부 점령, 그리고 경쟁 도시였던 피사와의 멜로리아 전투 (1284년) 승리를 통해 티레니아해를 장악하면서 시작되었다.
제노바의 식민지 확장은 군사적 점령보다는 주로 현지 상인 및 지배층과의 관계를 통해 경제적 이권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22][5] 이러한 방식으로 제노바는 동지중해, 흑해, 서지중해 등 광범위한 지역에 상업적 거점을 마련했다.
- 동지중해: 비잔티움 제국과의 관계, 특히 1261년 님파에움 조약 체결 이후 영향력을 크게 확대했다. 주요 거점으로는 에게해의 히오스 섬, 미틸리니와 콘스탄티노플 맞은편의 갈라타(페라) 지구가 있었다.
- 흑해: 님파에움 조약 이후 베네치아 세력을 몰아내고 흑해 무역을 주도했다. 몽골 지배 하의 동유럽과 서유럽을 잇는 무역 중심지였던 크림반도의 카파를 비롯하여 흑해 연안 곳곳에 다수의 식민지를 건설하고 운영했다.[6][7][8][9]
- 서지중해: 이베리아 반도 남부 해안과 북아프리카의 타바르카 섬 등에도 식민지를 두었다.[3] 동방 식민지 상실 이후에는 서쪽으로 관심을 돌려 스페인의 금융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15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의 팽창으로 크림반도를 비롯한 동방의 주요 식민지들을 상실하면서 제노바는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입었고, 이는 공화국 쇠퇴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13][27] 마지막 남은 식민지였던 타바르카는 1742년 오스만 제국에, 코르시카는 1768년 프랑스에 각각 넘어갔다.
3. 1. 동지중해
제1차 십자군 전쟁 시기 제노바는 성지에 여러 거점을 확보했으나, 이들 초기 식민지는 오래 유지되지 못했다.[20] 이후 제노바는 비잔티움 제국과의 관계를 통해 동지중해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 1155년, 제노바는 마누일 1세 콤니노스 황제로부터 콘스탄티노플 맞은편 갈라타 지구(페라)에 폰다코(fondaco, 상품 보관 및 상인 거주 구역)를 얻었지만, 이후 비잔티움과의 관계는 종종 긴장 상태에 놓였다.
상황은 1261년 님파에움 조약 체결 이후 크게 변화했다. 제노바는 콘스탄티노플 재정복을 도운 대가로 비잔티움 황제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로부터 막대한 특권을 얻었으며, 이는 흑해뿐 아니라 동지중해에서도 제노바의 입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갈라타(페라) 지역은 제노바의 주요 거점으로 발전했으며, 1348년에는 오늘날에도 남아있는 갈라타 탑이 세워지기도 했다. 그러나 1453년 콘스탄티노플이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면서 페라 지역 역시 오스만의 지배하에 들어갔다.[24]
에게해에서는 히오스 섬과 미틸리니가 제노바의 주요 상업 기지 역할을 했다. 특히 히오스 섬은 주스티니아니 가문의 소유로 오랫동안 남아 있었으나, 1566년 결국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다.[24]
한편, 제노바는 1201년에 킬리키아의 아르메니아 왕국으로부터 특전과 거주지를 확보하며 교역 관계를 맺기도 했다.
1933년 기준으로 콘스탄티노플과 이즈미르에는 약 33,000명의 제노바계 후손들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25] 동지중해 지역 식민지들의 상실은 제노바 공화국의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고, 이는 공화국 쇠퇴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27]
3. 2. 흑해
제노바는 13세기 후반부터 흑해 지역에 식민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이는 군사적 점령보다는 현지 상인 및 지배 계급과의 경제적 이권 확보를 통해 이루어졌다.[5] 동지중해에서 제노바의 영향력은 1261년 님파이움 조약 체결로 크게 확대되었다. 이 조약은 제노바가 비잔티움 제국 황제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의 콘스탄티노플 재정복을 도운 대가로 체결되었으며, 이를 통해 제노바는 흑해로 통하는 해협에서 경쟁자인 베네치아 세력을 사실상 몰아낼 수 있었다.[5][6]
제노바의 주요 상업 기지는 몽골 지배 하의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와 서유럽을 잇는 무역 중심지였던 크림반도의 카파였다. 크림반도에는 카파 외에도 쳄발로(오늘날의 발라클라바), 솔다이오(수다크), 보스포로(케르치) 등의 식민지가 있었다.[6][7] 크림 반도 외 흑해 지역의 주요 제노바 식민지로는 타만, 코파, 바타, 마우롤라카, 마파 등이 있었으며, 이들 대부분은 15세기 후반까지 제노바의 지배하에 있었다.[12]
아조프해 연안에는 타나 (아조프), 마트레가(타만), 마파(아나파), 바타(노보로시스크) 등이 있었고, 압하지야 해안에는 세바스토폴리(수후미)가, 우크라이나 해안에는 살마스트로 또는 몬카스트로(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와 지네스트라(현재 오데사의 일부) 같은 식민지가 존재했다.[6][7]
또한, 13세기에서 15세기 사이 제노바 공화국은 현재의 루마니아와 몰도바 지역에도 다수의 식민지와 상업 및 군사 항구를 보유했다. 주요 거점으로는 칼라파트, 리코스토모, 갈라치, 콘스탄차, 주르주(산 조르조), 비치나 등이 있었다. 이 정착지들은 주로 해상 무역로를 보호하며 제노바가 이 지역의 강자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했다.[8][9]
그러나 15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의 확장은 흑해 지역 제노바 식민지의 쇠퇴를 가져왔다. 제노바는 크림반도의 도시들 외에도 귀족 지솔피 가문이 다스리던 타만반도의 영토를 잃었다. 또한 몰다비아의 리코스토모와 오데사 인근 몬카스트로의 상업 기지도 상실했다.[13] 일부 이탈리아계 후손들은 20세기 초까지 크림반도에 여전히 존재했으며, 이오시프 스탈린 정권 하에서 탄압받은 민족들 중 하나에 속했다.[26] 동방 식민지들의 상실은 제노바 공화국에 심각한 경제 위기를 초래했고, 이는 결국 유럽의 주요 강대국으로서 제노바의 불가피한 쇠퇴로 이어졌다.[13][27]
3. 3. 서지중해
제노바는 발렌시아에서 지브롤터에 이르는 스페인의 지중해 해안가에도 식민지를 세웠으나, 이 지역 역시 단기간만 존재했다.[3] 이 식민지들은 대개 낮은 층에 작업소를 지닌 목제로 된 1층 또는 2층으로 된 가옥들로 이루어진 도시 지구 형태였다.[4]
또한 제노바는 튀니지 해안에서 떨어진 타바르카 섬을 정복하여 1540년부터 1742년까지 로멜리니 가문(Lomellini)이 소유했다. 타바르카의 일부 거주민들은 이후 사르데냐의 카를로포르테로 이주했다. 타바르카는 1742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다.
동쪽 식민지의 쇠퇴 이후, 제노바는 서지중해로 관심을 돌려 카디스와 리스본에 번성하는 공동체를 설립했다. 특히 제노바는 합스부르크 스페인의 효율적인 은행 기지가 되어 대출을 제공하고 노예 무역을 조직하여 아시엔토의 보유자 역할을 하기도 했다.[14] 제노바 상인들은 최소 1671년까지 태평양의 주요 항구 중 하나였던 올드 파나마에서 활동했으며, 필리핀의 삼보앙가 시 설립 당시 스페인 총독이 제노바인들을 모집하기도 했다.[14]
제노바의 마지막 서지중해 식민지였던 코르시카는 1768년 베르사유 조약 이후 프랑스에 병합되었다.
참조
[1]
서적
I "Politici" del Medioevo genovese: il Liber Civilitatis del 1528
[2]
서적
Je m'appelle Byblos
H & D
[3]
웹사이트
STORIA DELLA CITTA' DI GENOVA DALLE SUE ORIGINI ALLA FINE DELLA REPUBBLICA MARINARA
http://www.giustinia[...]
[4]
웹사이트
Structure of the Genoese colonies.
http://www.giustinia[...]
[5]
웹사이트
The first Genoese settlers
http://www.imperobiz[...]
2017-03-24
[6]
논문
A Regionalization or Long-Distance Trade? Transformations and Shifts in the Role of Tana in the Black Sea Trade in the First Half of the Fifteenth Century
2016
[7]
웹사이트
Researchomnia
http://researchomnia[...]
[8]
서적
Le Colonie Commerciali Degli Italiani in Oriente Nel Medio Evo
HardPress Publishing
[9]
서적
Revue Roumaine d'Histoire (Contributions à l'histoire des colonies génoises en Roumanie aux XIIIe – XVe siècles)
Editions de l'Académie de la République socialiste de Roumanie
[10]
웹사이트
I GIUSTINIANI DI SMIRNE
http://www.giustinia[...]
[11]
웹사이트
Alessandro Pannuti, "Cenni sugli italiani a Istanbul e la Levantinità
http://www.disp.let.[...]
2011-09-27
[12]
웹사이트
🕵 Северный Кавказ в древние времена. Шаги племён — Исторический Черкесск
http://cherkessk.su/[...]
2016-05-01
[13]
서적
Storia di Genova
[14]
서적
Imperial Ambition in the Early Modern Mediterranean: Genoese Merchants and the Spanish Crow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Colonies of Genoa in the Black Sea Region: Evolution and Transformation
https://www.routledg[...]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16]
웹사이트
Italia settentrionale e centrale nel progetto coloniale genovese sul Mar Nero: gente di Padania e Toscana a Caffa genovese nei secoli XIII – XV secondo i dati delle Massariae Caffae ad annum 1423 e 1461. In: Studi veneziani. 2016. Vol. 73. P. 237-240. Khvalkov E.
https://publications[...]
2019
[17]
간행물
Il progetto coloniale genovese sul Mar Nero, la dinamica della migrazione latina a Caffa e la gente catalanoaragonese, siciliana e sarda nel Medio Evo
http://www.deputazio[...]
Deputazione di Storia Patria per la Sardegna. www.deputazionestoriapatriasardegna.it
2015
[18]
웹사이트
KVK-Volltitel
http://kvk.bibliothe[...]
2019-10-16
[19]
웹사이트
Società Messinese di Storia Patria. Archivio Storico Messinese, Volume 96
http://www.societame[...]
2015
[20]
웹사이트
Page at History of Genoa website
http://www.giustinia[...]
[21]
웹사이트
제노바 식민지의 구조.
http://www.giustinia[...]
[22]
웹사이트
The first Genoese settlers
http://www.imperobiz[...]
2017-03-24
[23]
웹사이트
Genoese colonies in Romania and Moldavia
http://researchomnia[...]
[24]
웹사이트
The Turkish possessions of the Giustiani family
http://www.giustinia[...]
[25]
웹사이트
Alessandro Pannuti, "Cenni sugli italiani a Istanbul e la Levantinità
http://www.disp.let.[...]
2011-09-27
[26]
웹사이트
The unknown holocaust of the Crimean Italians
http://www.italianin[...]
2011-07-13
[27]
서적
Storia di Genov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