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르데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르데냐는 지중해에서 시칠리아 다음으로 큰 섬으로, 이탈리아의 자치주이다. 어원은 로마 시대의 '사르두스'에서 유래되었으며,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고대 로마, 반달족, 동로마 제국, 중세의 사르데냐 중세 왕국 시대를 거쳐 아라곤-스페인, 사보이아 왕가를 거쳐 1861년 이탈리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관광, 서비스업, IT 산업이 주요 경제이며, 이탈리아어와 사르데냐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르데냐주 - 스틴티노
스틴티노는 이탈리아 스틴티노 반도에 위치한 코무네로, 아시나라 국립공원으로 가는 관문이며, 1885년 아시나라섬 주민들이 이주하여 건설되었고, 아름다운 해변과 여러 항구를 가진 휴양지이다. - 사르데냐주 - 파네 카라사우
파네 카라사우는 사르데냐의 전통 빵으로, 얇게 구운 반죽을 다시 구워 만들어 건조한 상태로 보관이 용이하며 양치기들의 식량으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다양한 방식으로 섭취하거나 요리에 활용된다. - 로마의 속주 - 달마티아
달마티아는 아드리아해 동부 해안을 따라 뻗은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지역으로, 고대 로마 속주였으며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인식되지만 명확한 법적 경계는 없고, 다양한 세력의 지배와 문화적 교류를 거쳐 크로아티아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로마의 속주 - 트라키아
트라키아는 동남유럽의 다뉴브 강, 흑해, 북부 마케도니아, 일리리아를 경계로 하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는 불가리아, 그리스, 터키 3개국에 걸쳐있는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지역이다.
사르데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사르데냐 자치주 |
로마자 표기 | Sardegna |
현지어 명칭 | 이탈리아어: Sardegna 사르데냐어: Sardigna 사사리어: Sardhigna 갈루라어: Saldigna 카탈루냐어: Sardenya 리구리아어: Sardegna 코르시카어: Sardegna |
국가 | 이탈리아 |
자치권 유형 | 특별 자치주 |
수도 | 칼리아리 |
국가 | 이탈리아 |
정부 | |
정부 형태 | 지방 의회 |
집권당 | M5S |
주지사 | 알레산드라 토데 |
지역 의회 | Consiglio Regionale |
지리 | |
면적 | 24,090 제곱킬로미터 |
인구 | |
총 인구 | 1,628,384 명 (2020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통칭 | 사르데냐인 이탈리아어: 사르도 (남성), 사르다 (여성) 사르데냐어: 사르두 (남성), 사르다 (여성) 카탈루냐어: 사르드 (남성), 사르다 (여성) |
언어 | 이탈리아어 사르데냐어 |
소수 언어 | 사사리어 갈루라어 리구리아어 (타바르키노) 카탈루냐어 (알게로 방언) 코르시카어 (마달레나 제도) |
인구 통계 | |
시민권 | 이탈리아인 97% |
1인당 GDP | 350억 3200만 유로 (2021년)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서머타임 | CEST |
UTC 오프셋 (서머타임) | +2 |
기타 정보 | |
지역 번호 | IT-88 |
인간 개발 지수 (2021) | 0.871 아주 높음, 이탈리아 21개 지역 중 16위 |
유럽 연합 NUTS 지역 | ITG |
공식 웹사이트 | 사르데냐 자치주 공식 웹사이트 |
행정 구역 | |
현 | 오리스타노 올리아스트라 올비아-템피오 칼리아리 카르보니아-이글레시아스 사사리 누오로 메디오캄피다노 |
코무네 수 | 377 |
역사 | |
설치일 | 1948년 |
기타 | |
수호 성인 | 성 아우구스티누스 |
국회의원 | 17명 (하원) 8명 (상원) |
국가 | |
국가 | 이탈리아 |
2. 어원
사르데냐(Sardinia)라는 명칭은 로마자 표기로 사르두스(사르두스/sardusla, 여성형 사르다/sardala)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라틴어 이전 언어의 어근을 갖고 있는 로마 이전 민족명 스르드/사르드(*''s(a)rd-'')에서 유래한다. 이 이름은 노라 석비(Nora Stone)에서 ''ŠRDN'' 또는 *''Šardana''*라는 형태로 처음 등장하는데, 이는 페니키아 상인들이 도착했을 때 이미 이 이름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15]
사르데냐의 기후는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가 나타난다.
플라톤의 대화편 『티마이오스』(Timaeus)에 따르면, 사르데냐(고대 그리스 저술가들은 사르도/Sardṓgrc, 사르도/Σαρδώgrc)와 사르데냐 사람들은 Σάρδεις(사르디스), 즉 고대 리디아 왕국의 수도에서 태어난 사르도(Sardṓ, 사르도/Σαρδώgrc)라는 전설적인 여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6][17] 고대 누라기 문명의 사르드족을 해양 민족 중 하나인 셰르덴(Sherden)과 동일시하는 추측도 있다.[18][19][20][21][22]
이 이름은 고대 사르데냐 신화 속 영웅 신인 사르두스 파테르(사르두스 파테르)[23]("사르데냐의 아버지"; "사르데냐인들의 아버지"라는 흔한 해석은 "Sardorum Pater"가 되어야 하므로 잘못된 것이다)에 대한 형용사로도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종교적 의미를 지녔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또한 "사르카스틱한(sardonic)"이라는 형용사의 어근이기도 하다.
고전 고대 시대에 사르데냐는 ''Sardṓ''(사르도/Σαρδώgrc) 또는 ''Sardinia'' 외에도 이크누사/Ichnusala(그리스어 이흐누사/Ἰχνοῦσσαgrc의 라틴어 형태),[24] 산달리오티스/Σανδαλιῶτιςgrc[25] 및 아르기로플렙스/Αργυρόφλεψgrc[26]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페니키아인들은 이 섬을 이크누사(라틴식 표기로 Ichnusa, 원래는 Hyknusa)라고 불렀으며, 현재는 주도 칼리아리에서 생산되는 사르데냐에서 가장 인기 있는 맥주 이름으로 남아 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탈리아 반도를 발이라고 할 때, 그 발자국과 같은 섬의 모양 때문에 산달리온(Sandalyon)이라고 불렀다. 서든(Sardin)이라는 정어리의 영어 이름은 이 섬에서 유래했다.
사르데냐는 사르데냐어로 Sardigna, Sardinna, Sardinnia, 이탈리아어로 Sardegna, 카탈루냐어로 Sardenya라고 표기한다.
3. 지리
사르데냐는 지중해에서 시칠리아 다음으로 큰 섬이며(키프로스보다 크다), 면적은 24100 km2이다. 북위 38° 51' ~ 41° 18'(각각 이졸라 델 토로와 이졸라 라 프레사)와 동경 8° 8' ~ 9° 50'(각각 카포 델아르젠티에라와 카포 코미노) 사이에 위치한다. 사르데냐 서쪽에는 지중해의 일부인 사르데냐 해가 있고, 동쪽에는 지중해의 또 다른 부분인 티레니아 해가 있다.[27]
가장 가까운 육지는 (북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코르시카섬, 이탈리아 반도, 시칠리아, 튀니지, 발레아레스 제도, 프로방스이다. 지중해의 티레니아 해는 사르데냐 동해안과 이탈리아 본토 서해안 사이에 위치한다. 보니파시오 해협은 사르데냐 북쪽에 있으며 사르데냐와 프랑스령 코르시카섬을 구분한다.
사르데냐 해안선의 길이는 1849 km이다. 일반적으로 높고 험준하며, 길고 비교적 직선적인 구간, 탁월한 곶, 넓고 깊은 만, 리아스식 해안, 그리고 여러 개의 작은 섬이 있는 만이 특징이다.
이 섬은 오래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시칠리아와 이탈리아 본토와 달리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다. 사실 이 섬의 암석은 고생대에 생성되었다. 사르데냐의 캄브리아기-오르도비스기 초기 지층은 두께가 1500~3000m에 달한다.[28] 오랜 침식 과정으로 인해 화강암, 편암, 트라키트, 현무암(’jaras’ 또는 ’gollei’라고 불림), 사암, 돌로마이트 석회암(’tonneri’ 또는 ’heels’라고 불림)으로 이루어진 고지대는 평균 300에서 1000 m의 고도를 유지한다. 최고봉은 섬 중앙의 겐나르젠투 산맥에 있는 푼타 라 마르모라(사르데냐어로는 Perdas Carpìas)(1834 m)이다. 다른 산맥으로는 북동쪽의 몬테 림바라(1362 m), 북쪽으로 40 km에 걸쳐 있는 마르기네와 고체아노 산맥(1259 m), 몬테 알보(1057 m), 남동쪽의 세테 프라텔리 산맥, 술치스 산맥, 몬테 리나스(1236 m)가 있다. 섬의 산맥과 고원 지대는 넓은 충적 평야와 평원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주요 평원으로는 오리스타노와 칼리아리 사이의 남서부 캄피다노 평야와 북서부 누라 평야가 있다.
사르데냐에는 큰 강이 거의 없으며, 가장 큰 강은 길이 151 km의 티르소 강(사르데냐 해로 흘러든다), 코기나스 강(115 km), 플루멘도사 강(127 km)이다. 물과 전기를 공급하는 54개의 인공 호수와 댐이 있다. 주요 호수로는 오모데오 호와 코기나스 호가 있다. 유일한 자연 담수호는 바라츠 호이다. 해안가에는 많은 넓고 얕은 염수 석호와 웅덩이가 있다.
사르데냐섬은 지중해 서부 중앙에 위치한다. 섬의 면적은 24,090km² (시코쿠의 1.3배), 인구는 165만 명(시코쿠의 45%)이다.
동쪽의 이탈리아 반도와의 사이의 바다는 티레니아해라고 불린다. 북쪽에는 보니파시오 해협을 사이에 두고 프랑스령 코르시카섬(코르스섬)이 있다. 서쪽의 바다는 사르데냐해라고 불리며, 정서쪽에는 스페인령 발레아레스 제도가 있다. 남쪽에는 튀니지, 남동쪽에는 시칠리아섬이 있다.
섬 전체가 이탈리아 공화국의 사르데냐 자치주이다. 이탈리아 본토와의 역사적·지리적·문화적 차이가 크기 때문에 특별 자치주라는 위치에 있지만, 해외 영토(식민지)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본국의 일부이다. 주도인 칼리아리는 섬의 남쪽 해안에 위치하며, 튀니지의 수도 튀니스로부터 북북서쪽으로 약 283km, 시칠리아섬의 팔레르모로부터 북서쪽으로 약 388km, 이탈리아의 수도 로마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410km, 발레아레스 제도의 팔마데마요르카로부터 동쪽으로 약 558km 거리에 있다. 오모데오 호를 비롯한 54개의 저수지가 있다.
인구 3만 명 이상의 코무네(comune, 이탈리아의 기초자치단체)는 다음과 같다. 인구는 2011년 1월 1일 기준이다.[244]
주도인 칼리아리 주변의 칼리아리 대도시권칼리아리/Area metropolitana di Cagliariit에는 섬 전체 인구의 약 25%에 해당하는 약 42만 명이 거주한다. 반면, 섬의 동부를 중심으로 인구 밀도가 희박하며, 2011년 현재 도별 인구 밀도에서 이탈리아에서 가장 낮은 오리아스트라도(Ogliastra)(31.3명/km)를 비롯하여 누오로도(Nuoro)(40.8명/km, 3위), 올비아-템피오도(Olbia-Tempio)(46.5명/km, 4위), 오리스타노도(Oristano)(54.6명/km, 6위)가 인구 밀도가 낮은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사르데냐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지중해흰수염물범과 멧돼지를 비롯한 많은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반면, 대륙 어디에나 있는 뱀과 마못 등 많은 종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인간과 격리되어 야생화된 야생마인 자르가 마가 서식하고 있다.
해변이 펼쳐지는 아름다운 해안은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며, 관광객들이 기념품으로 모래를 가져가는 일이 끊이지 않는다. 2018년, 정부는 환경 보호를 위해 모래를 섬 밖으로 반출하는 자에게 벌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247]
3. 1. 지형
사르데냐섬은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자, 세계에서 48번째로 큰 섬이다. 동쪽에 위치한 이탈리아반도와 중간에 있는 바다는 티레니아해로 불린다. 북쪽에는 보니파시오 해협을 사이에 두고 프랑스령 코르시카(코르시카섬)와 분리되어 있다.
사르데냐섬은 지중해 서부 중앙에 위치하며, 섬의 면적은 24,090km²이다.
동쪽의 이탈리아 반도와의 사이의 바다는 티레니아해라고 불린다. 북쪽에는 보니파시오 해협을 사이에 두고 프랑스령 코르시카섬(코르스섬)이 있다. 서쪽의 바다는 사르데냐해라고 불리며, 정서쪽에는 스페인령 발레아레스 제도가 있다. 남쪽에는 튀니지, 남동쪽에는 시칠리아섬이 있다.
섬 전체가 이탈리아 공화국의 사르데냐 자치주이다. 주도인 칼리아리는 섬의 남쪽 해안에 위치하며, 튀니스로부터 북북서쪽으로 약 283km, 팔레르모로부터 북서쪽으로 약 388km, 로마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410km, 팔마데마요르카로부터 동쪽으로 약 558km 거리에 있다. 오모데오 호수를 비롯한 54개의 저수지가 있다.
사르데냐는 지중해흰수염물범과 멧돼지를 비롯한 많은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반면, 대륙 어디에나 있는 뱀과 마못 등 많은 종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인간과 격리되어 야생화된 야생마인 자르가 마가 서식하고 있다.
해변이 펼쳐지는 아름다운 해안은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며, 2018년, 정부는 환경 보호를 위해 모래를 섬 밖으로 반출하는 자에게 벌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247]
3. 2. 수자원
사르데냐섬은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자, 세계에서 48번째로 큰 섬이다. 동쪽에 위치한 이탈리아반도와 중간에 있는 바다는 티레니아해로 불린다. 북쪽에는 보니파시오 해협을 사이에 두고 프랑스령 코르시카(코르시카섬)와 분리되어 있다.
기후는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가 나타난다.
사르데냐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지중해흰수염물범과 멧돼지를 비롯한 많은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반면, 대륙 어디에나 있는 뱀과 마못 등 많은 종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인간과 격리되어 야생화된 야생마인 자르가 마가 서식하고 있다.
해변이 펼쳐지는 아름다운 해안은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며, 관광객들이 기념품으로 모래를 가져가는 일이 끊이지 않는다.[247] 2018년, 정부는 환경 보호를 위해 모래를 섬 밖으로 반출하는 자에게 벌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247]
3. 3. 기후
사르데냐의 기후는 위도와 고도에 따라 다양하며, 크게 두 가지 생물 기후, 즉 지중해 다우기후 해양성 기후와 온대 해양성 기후로 나뉜다. 아지중해성 기후라는 변종과 네 가지 대륙성 기후 등급, 여덟 가지 온도형 지평선, 일곱 가지 강수형 지평선으로 세분화되어 총 43가지의 서로 다른 등생물 기후 조합을 보인다.[29]
강수량은 겨울과 가을에 집중되며, 봄에는 폭우가 내리고 고지대에는 눈이 내린다. 평균 기온은 11°C에서 18°C 사이이다. 해안 지역은 겨울이 온화하고(1월 9~16°C) 여름이 더우며(7월 23~31°C), 산악 지대는 겨울이 춥고(1월 -2~4°C) 여름이 서늘하다(7월 16~20°C).
강수량은 지중해성 분포를 보여 여름에는 거의 비가 오지 않고 가을, 겨울, 봄에 집중된다. 여름에는 짧지만 강한 뇌우가 발생하여 산사태를 일으키기도 한다. 제노바 만과 대서양의 영향으로 가을철에는 '메디케인'이라 불리는 극외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할 수 있다. 2013년 클레오파트라 사이클론은 1시간 30분 만에 450mm의 강수량을 기록했다.[30]
사르데냐는 비교적 크고 구릉이 많아 날씨가 고르지 않다. 동부는 건조하지만 폭풍우가 잦다. 2009년 가을 시니스콜라에는 하루에 200mm가 넘는 비가 내렸고, 2013년 11월에는 2시간 만에 431mm가 넘는 비가 내렸다. 서해안은 고도가 낮더라도 강수량 분포가 높다(예: 이글레시아스, 고도 200m, 연평균 강수량 815mm). 가장 건조한 지역은 칼리아리 만 해안으로 연간 강수량이 450mm 미만이며, 섬 남동쪽 끝 카포 카르보나라에서는 381mm이다.[31] 겐나르젠투 산 정상은 연간 약 1500mm로 가장 강수량이 많다. 섬 전체 평균 강수량은 연간 약 800mm로 충분하다.[32] 북서풍인 미스트랄은 일년 내내 불지만 겨울과 봄에 가장 강하다.
칼리아리의 평균 기온(고도 4m 기준)은 최저 5.5°C(1월)에서 최고 30.8°C(8월) 사이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427.5mm이다.[33][34] 폰니(고도 1029m)의 평균 기온은 최저 1.2°C(2월)에서 최고 25.8°C(7월) 사이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919mm이다.
4. 역사
사르데냐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사르데냐에는 구석기 시대 말엽(약 2만 년 전 ~ 1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해 왔다. 신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코르베두 동굴 유적은 최후 빙기 최대기 동안 사르데냐에 인류가 존재했다는 초기 증거로 여겨진다.
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문명은 기원전 18세기부터 기원전 238년 또는 서기 2세기(섬의 일부 지역),[35] 그리고 서기 6세기(바르바지아(Barbagia)로 알려진 섬의 일부 지역)[36][37][38]까지 번영했던 토착 누라게 문명이다.
== 고대 ==
사르데냐는 유럽에서 지질학적으로 가장 오래된 땅덩어리 중 하나이다.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6천년에 초기 유럽 농경민의 이동으로 시작되었으며, 카르디움 토기 양식을 남겼다.[40][41] 중신석기 시대에는 오지에리 문화가 도무스 데 야나스를 퍼뜨렸고, 아르자케나 문화는 최초의 거석인 원형 무덤을 건설했다. 기원전 3천년대 초에는 구리와 은의 야금술이 발전했다. 후기 구석기 시대에는 비커 문화가 사르데냐에 나타났으며,[42] 초기 청동기 시대에는 보나나로 문화가 이를 계승했다.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24bb300_fa76cb2d.jpg|거인의 무덤(Giants' grave) (청동기 시대(Bronze Age)])] 도르갈리(Dorgali)
기원전 1500년경부터, 마을들은 ''누라게(nuraghe)''[43]라고 불리는 원형 탑 요새 주변에 건설되었다. 약 7,000개의 누라게가 사르데냐 지형에 분포되어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우 복잡하고 거대하게 발전했다.(예: ''산투 안티네 누라게(Nuraghe Santu Antine)'', ''수 누락시(Su Nuraxi)'', ''아루비우 누라게(Nuraghe Arrubiu)'') 누라기 시대에는 신성한 우물, 거인의 무덤(Giants' grave), 종교 건물들의 집합체(예: 비티(Bitti) 근처의 ''수 로만체수(Su Romanzesu)'') 등 다양한 건물들이 존재했다. 누라기 사람들은 해양 민족(Sea Peoples)의 셰르덴(Sherden)과 동일시되기도 한다.[44][35] 누라기 문명은 탈라이오틱 문화(Talaiotic culture), 토레안 문명(Torrean civilization)과 관련이 있었다.
기원전 9세기경, 페니키아인들은 카랄리스, 노라, 비티아, 술치, 타로스 등지에 기항지를 건설했다.[45] 기원전 6세기, 카르타고인들은 사르데냐를 병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기원전 510년부터 섬의 남부와 서중부는 카르타고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46]
기원전 238년, 제1차 포에니 전쟁 후 로마인들은 카르타고로부터 코르시카와 사르데냐를 합병하여 코르시카와 사르데냐 속주를 만들었다. 로마인들은 투리스 리비소니스와 페로니아와 같은 로마 식민지를 건설하고 로마 이민자들을 거주하게 했다. 로마의 군사 점령은 누라기 문명을 종식시켰고, 사르데냐에서 로마의 지배는 694년 동안 지속되었다.[47]
== 중세 ==
반달족은 456년에 사르데냐를 정복했다. 534년 동로마군이 섬을 탈환하면서 반달족의 지배는 끝났다.[48] 반달족 정부는 기존 로마 제국의 구조를 유지했다.[48] 서고트족 귀족 출신인 고다스는 사르데냐의 마지막 반달족 총독으로, 530년 섬의 독립을 선포하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와 협상을 시작했다.[48] 533년, 겔리메르는 고다스를 진압하기 위해 군대와 해군 대부분을 사르데냐로 보냈지만, 벨리사리우스가 이끄는 유스티니아누스의 군대가 카르타고에 도착하면서 반달 왕국은 멸망했고, 사르데냐는 로마의 지배하에 돌아왔다.[48]
533년, 사르데냐는 반달족이 벨리사리우스가 이끄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군대에 패배하면서 동로마 제국의 통치하에 돌아왔다.[49] 사르데냐는 551년 오스트로고트족의 짧은 침략 기간을 제외하고 다음 300년 동안 비잔티움의 지배를 받았다.[49] 비잔티움 지배하에서 섬은 ''mereíai'' (μερείαι)로 불리는 지역으로 나뉘었고, 기독교가 섬에 뿌리내렸고, 이교를 대체했다.[50][51] 바르바지아(Barbagia) 지역은 대부분 이교도였고, 호스피토(Hospito)를 왕으로 하는 독립 영토를 재건했다.[50][51]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는 호스피토에게 편지를 써서 그를 "바르바리키노룸(Barbariciniorum)의 두크스(Dux)"라고 칭하며, 그의 백성을 개종하도록 촉구했다.[52][53]
사르데냐에서 비잔티움 지배가 끝난 시기와 상황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그레고리우스(Gregory) 총독의 반란과 마그레브의 이슬람 정복 이후 지역 사절들이 권한을 부여받았다.[54] 697년 카르타고가 아랍인에게 함락된 후 아프리카 총독령의 고위 비잔티움 행정부가 카랄리스로 후퇴했다는 증거가 있다.[54] 아프리카에서 제국의 통제력 상실은 섬에 대한 아랍인의 습격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지방의 군사적 자급자족을 증가시켰다.[55]
라콘-구날레(Lacon-Gunale)이라는 지역 귀족 가문이 아르콘의 권력을 차지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여전히 비잔티움의 봉신으로 자신을 확인했지만, 사실상 독립적이었다.[64][65][66] 이 통치자들은 살루시오스()와 프로토스파타리오스 투르코투리오스() 두 명뿐이다.[64][65][66]
11세기 초 무자히드 알아미리(Mujahid al-Amiri) 알-삭라비(al-Ṣaqlabī)가 이베리아 반도를 근거지로 데니아 타이파(Taifa of Dénia)와 발레아레스 제도의 지배자였는데, 그가 섬을 정복하려고 시도했다.[68] 기독교인들이 승리했지만, 그 후 이전의 사르데냐 왕국은 붕괴되었고 이후 네 개의 더 작은 국가로 나뉘었다: 칼리아리(Calari), 아르보레아(Arbaree), 갈루라, 그리고 토레스 또는 로구도로.
10세기까지 소위 "판사들"( / )이 사르데냐의 자치 통치자로 등장했다.[70] 라는 칭호는 사르데냐어 judikesc가 되었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왕 또는 주권자를 의미하며, ''판사령''()은 '국가'를 의미하게 되었다.[70]
초기 중세 사르데냐의 정치 제도는 게르만족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은 수천 년 된 로마 제국 구조에서 발전했다. 판사령은 세습 영지였지만, 개인의 칭호나 명예가 국가와 별개라는 오래된 비잔티움 제국 개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각 판사령은 자체 방어를 담당하고, 자체 법률과 행정을 유지했으며, 자체 외교 및 무역 문제를 처리했다.[71]
네 개의 판사령의 역사는 제노바와 피사라는 두 이탈리아 해양 세력 사이의 영향력 다툼과, 후에 아라곤 왕국의 야망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칼리아리 판사령(Giudicato of Cagliari)은 제노바 공화국과 동맹을 맺었다. 1258년 수도 산타 이지아(Santa Igia)가 사르데냐와 피사 연합군에 의해 함락되고 파괴되면서 멸망했다. 로구도로 판사령(Giudicato of Logudoro)(토레스(Torres)라고도 함) 또한 제노바 공화국과 동맹을 맺었고, 1259년에 멸망했다. 갈루라 판사령(Giudicato of Gallura)는 1288년 마지막 판사 니노 비스콘티(단테 알리기에리의 친구)가 피사인들에게 쫓겨나면서 멸망했다.[72]
아르보레아 판사령(Giudicato of Arborea)는 다른 왕국들에 비해 가장 오래 지속되었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사르데냐는 456년 반달인에게 점령당했다가 동로마 제국에 의해 재정복되었다. 711년부터 사라센인들이 해안 도시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1063년부터 유디카티(Giudicati)라는 제도가 형성되었다. 중세 후기 주목할 만한 인물은 아르보레아 왕국의 왕비 엘레오노라 다르보레아(Eleonora d'Arborea)이다. 그녀는 1395년에 발효된 진보적인 민법전 카르타 데 로그(Carta de Logu)를 통해 법제 정비에 힘썼다.
같은 시대, 아라곤-카탈루냐 왕국의 영향력이 커졌고, 이는 아라곤에 의한 사르데냐 점령까지 이어졌다. 당시 스페인의 영향력이 강했던 것은 오늘날에도 알게로 주변에서 카탈루냐어 방언이 사용되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다.
== 근세 ==
1297년, 보니파시오 8세는 시칠리아 만종의 전쟁을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모투 프로프리오''로 사르데냐와 코르시카 왕국을 설립했다.
1324년, 아르보레아 왕국과 동맹을 맺은 아라곤 군대는 알폰소 왕세자의 지휘 하에 군사 원정을 통해 칼리아리와 갈루라의 피사 영토, 사사리 동맹 도시를 점령하고 "사르데냐와 코르시카 왕국"으로 명명했다.
아르보레아 판사령은 ''카르타 데 로구''('토지의 헌장')에 왕국의 법전을 공포했다. 아르보레아의 마리아누스 4세가 처음 편찬하고 아르보레아의 엘레오노라가 개정한 이 법전은 사르데냐어로 작성되었으며, 여성의 결혼 거부권과 재산 소유권 등 광범위한 시민의 권리를 규정하여 14세기 사르데냐를 유럽에서 가장 발전된 사회 중 하나로 만들었다.[73]
1353년, 아라곤의 페드로 4세는 사르데냐와 코르시카 왕국에 의회를 부여했지만, 권한은 제한적이었다. 아라곤 왕국은 사르데냐에 봉건 제도를 도입했다. 그러나 아르보레아 판사령은 봉건 제도를 채택하지 않고 ''코로나 데 로구''('왕국의 왕관') 의회를 유지했다.
1353년부터 1409년까지 아르보레아 판사들은 아라곤 왕관과의 동맹을 깨고 사르데냐-아라곤 전쟁을 일으켜 칼리아리와 알게로를 제외한 사르데냐 전역을 점령했다. 1409년, 시칠리아의 마르티노 1세는 산루리 전투에서 사르데냐인을 패배시켰다. 아르보레아 판사령은 1420년 마지막 왕이 권리를 매각하면서 사라졌다.
1469년,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와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의 결혼으로 "사르데냐 왕국"은 스페인의 샤를 1세에게 상속되었으며, 왕국의 상징은 네 명의 무어인이었다. 샤를 1세의 후계자들은 바르바리 해적의 침략으로부터 사르데냐 해안을 방어하기 위해 해안 감시탑 시스템을 구축했다.
사르데냐 왕국은 1323년부터 1708년까지 약 400년 동안 아라곤-스페인의 지배를 받으며 스페인의 전통, 관습, 언어 표현을 수용했다. 알게로(알게르)에서는 카탈루냐어가 여전히 사용된다.
1708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결과로 사르데냐 왕국의 통치권은 오스트리아로 넘어갔다. 우트레히트 조약으로 사르데냐는 오스트리아에 할양되었지만, 1717년 스페인이 사르데냐를 재점령했다.
1718년 런던 조약으로 사르데냐는 사보이아 가문에게 넘어갔고, 1760년 섬에 이탈리아어를 도입하여 이탈리아화 과정을 시작했다.[75][76][77]
1793년, 사르데냐인들은 프랑스 혁명 전쟁 중 프랑스의 ''사르데냐 원정''을 물리쳤다. 도메니코 밀레리레는 마달레나 제도 근처에서 프랑스 함대를 격파하여 이탈리아군 최초의 무공 훈장을 받았다.[78] 같은 달 사르데냐인들은 쿠아르투 산텔레나 해변에서 프랑스의 상륙 시도를 저지했다.
1796년 조반니 마리아 안지오이가 부총독 대리(알테르노스)로 임명되었다. 안지오이는 봉건제 종식과 독립 공화국 선포를 요구했지만, 왕당파에 패배 후 파리로 도망쳤다.[79][80]
1799년, 나폴레옹 전쟁으로 사보이아 왕가는 토리노를 떠나 칼리아리에 피신했다. 1847년, 사르데냐 의회는 연합에 합의하여 토리노에 단일 의회, 사법부, 정부를 구성했지만, 이는 섬의 주변부 상황을 악화시켰다.[83]
1820년, 사보이아인들은 토지 울타리법(''Editto delle Chiudende'')을 시행하여 토지의 공동 소유권을 사유 재산으로 전환하려 했으나, 이는 지주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여 많은 남용을 초래했다.[85]
스페인왕위계승전쟁 이후 사르데냐는 오스트리아로 넘어갔으나, 1717년 스페인이 다시 침공했다. 사국동맹전쟁 후 1720년 사보이아 가문이 시칠리아 섬과 교환하여 사르데냐를 소유하게 되었고, 이후 1861년까지 피에몬테와 함께 사르데냐 왕국을 형성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3년 프랑스 공화국군이 사르데냐 섬을 침공했지만 격퇴되었다.
19세기 초 카를로 펠리체 통치 아래 섬의 대동맥이 건설되었고, 1883년에는 칼리아리에서 사사리까지 철도가 개통되었다. 1861년 사르데냐 왕국은 이탈리아 통일을 달성하고 국호를 "이탈리아 왕국"으로 변경했다.
무솔리니 정권 하에서는 늪지대가 간척되고 카르보니아가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관광업이 성행했지만, 높은 운송비로 인해 고용 창출 정책은 잘 되지 않고 있다.
== 현대 ==
1708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결과로 사르데냐 왕국의 통치권은 오스트리아의 손으로 넘어갔다.[75] 1718년 런던 조약으로 사르데냐는 사보이아 가문에게 넘어갔다. 이 알프스 왕조는 1760년 섬에 이탈리아어를 도입하여 섬 주민들 사이에서 이탈리아화 과정을 시작했다.[76][77]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3년, 사르데냐인들은 프랑스의 ''사르데냐 원정''을 물리쳤다.[78] 1793년 2월 23일, 도메니코 밀레리레는 마달레나 제도 근처에서 프랑스 공화국의 함대를 격파했다.[78] 같은 달, 사르데냐인들은 쿠아르투 산텔레나 해변에서 프랑스의 상륙 시도를 저지했다. 이러한 불만으로 인해 1794년 4월 28일 칼리아리에서 봉기가 일어났다. (오늘날 ''sa die de sa Sardigna''로 기념됨)
1796년, 총독 필리포 비발다는 사르데냐 판사 조반니 마리아 안지오이에게 알테르노스의 직책을 맡겼다. 안지오이는 칼리아리에서 사사리로 이동했고, 여정 중 거의 모든 마을이 봉기에 가담하여 봉건제 종식과 섬의 독립 공화국 선포를 요구했다.[79][80] 그러나 왕당파 세력에 수적으로 열세가 되자 파리로 도망쳐 프랑스의 섬 합병을 요청했다.
1799년, 나폴레옹 전쟁의 결과로 사보이아 왕가는 토리노를 떠나 15년 동안 칼리아리에 피신했다. 1847년, 사르데냐 의회 (''Stamenti'')는 연합하기로 합의하여 토리노에 단일 의회, 단일 사법부 및 단일 정부를 구성했다.
1820년, 사보이아인들은 섬에 토지 울타리법 (''Editto delle Chiudende'')을 시행했다.[85]
1848년 완전 통합으로 사르데냐 왕국의 사보이아 왕가가 이끄는 여러 주의 연합은 단일 입헌 국가가 되었고, 이후 13년간 이어진 이탈리아 독립 전쟁을 통해 이탈리아 통일을 추진하였다. 1861년, 사르데냐 왕국의 의회는 법으로 왕국의 이름과 국왕의 칭호를 이탈리아 왕국과 이탈리아 국왕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하였다. 1850년 이후 사르데냐의 세금은 두 배 이상 증가하여 이탈리아-프랑스 관세 전쟁으로 인해 섬 주민들이 이미 겪고 있던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을 더욱 악화시켰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브리가타 사사리의 사르데냐 병사들은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사르데냐는 이탈리아 다른 지역보다 전선에서 더 많은 젊은이들을 잃었는데, 병사 1000명당 사망자 수가 이탈리아 평균 100명에 비해 138명에 달했다.
파시스트 시대에는 자급자족 정책의 시행으로 섬 주변의 여러 늪지대가 간척되고 농업 공동체가 설립되었다. 주요 공동체로는 오리스타노 지역의 아르보레아(무솔리니아 마을)와 알게로 시 인근 누라 지역의 페르틸리아가 있다. 또한 이 시대(1938년)에 설립된 카르보니아 도시는 석탄 채굴의 중심지가 되어 섬의 다른 지역과 이탈리아 본토에서 수천 명의 노동자를 유치했다. 사르데냐 작가 그라치아 델레다는 192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사르데냐는 중요한 공군 및 해군 기지였으며, 특히 칼리아리 시가 연합군의 집중적인 폭격을 받았다. 독일군은 카시빌레 휴전협정 후 며칠 후인 1943년 9월 8일에 사르데냐 섬을 떠나 제90 기갑척탄병 사단 사령관 카를 한스 룽거르하우젠 장군 간의 양자 협정에 따라 전투 없이 코르시카로 철수했다.[91]
1946년 국민투표를 통해 이탈리아는 공화국이 되었으며, 사르데냐는 1948년부터 특별 자치 규정에 따라 운영되었다. 1951년까지 말라리아 방지 지역 당국(ERLAAS)과 록펠러 재단(Rockefeller Foundation)의 지원을 통해 말라리아가 성공적으로 박멸되었고, 이는 사르데냐 관광 붐의 시작을 촉진시켰다.[92] 관광업의 증가와 함께 석탄의 중요성은 감소했지만, 사르데냐는 이탈리아 경제 기적(Italian economic miracle)을 따라갔다.
1960년대 초, '리나시타 계획'(Piani di Rinascita, 재생 계획)이라고 불리는 산업화 노력이 시작되어 섬에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다. 그러나 1973년 석유 위기(1973 oil crisis)는 석유화학 산업에 종사하는 수천 명의 노동자들의 고용 종식을 초래하여, 이미 1950년대와 1960년대부터 존재하던 이민 현상을 악화시켰다.
사르데냐는 같은 시기에 데치모만누 공군기지(Decimomannu Air Base)와 살토 디 키라(Salto di Quirra)(유럽 최대 규모의 군사 과학 기지)와 같은 군사 기지 건설에 직면했다.[93][94] 현재에도 이탈리아와 나토(NATO) 군사 시설의 약 60%가 사르데냐에 위치해 있다.[96]
사르데냐 민족주의(Sardinian nationalism)와 지역 항의 운동이 1970년대에 강해졌으며, 여러 명의 사르데냐 산적(Sardinian banditry)(Anonima Sarda)들이 1990년대에 끝난 장기간의 납치 사건을 시작했다.[100] 이는 분리주의와 공산주의 사상을 결합한 여러 급진주의 단체들을 탄생시켰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바르바지아 로사'(Barbagia Rossa)와 사르데냐 무장 운동(Sardinian Armed Movement)이다.[101] 1987년부터 1988년까지 단 2년 만에 224건의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105]
1983년 사르데냐 행동당(Partidu Sardu – Partito Sardo d'Azione)의 저명한 분리주의 활동가가 지역 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1980년대에는 이탈리아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하는 다른 여러 운동들이 생겨났다. 사르데냐어, 사사레세어, 갈루레세어, 알게레세 방언, 타바르키노어를 포함한 섬의 언어들은 이탈리아어와 함께 1999년에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오늘날 사르데냐는 관광 및 제3차 산업에 중점을 둔 다각화된 경제를 가진 유럽 연합(EU) 지역으로 발전하고 있다. 지난 20년간의 경제적 노력은 특히 저가 항공 여행(Low-cost carrier)과 고급 정보 기술 분야에서 섬의 고립이라는 불리한 점을 줄였다. 예를 들어, 사르데냐 고등 연구 개발 센터(CRS4)는 1991년 유럽에서 두 번째, 이탈리아에서는 첫 번째 웹사이트[106]와 1995년 웹메일을 개발했다.
4. 1. 고대
사르데냐는 유럽에서 지질학적으로 가장 오래된 땅덩어리 중 하나로, 선사 시대부터 최근까지 여러 차례의 이주로 인구가 증가했다.[39] 코르베두 동굴 유적은 최후 빙기 최대기 동안 사르데냐에 인류가 존재했다는 초기 증거로 여겨지지만, 일부 학자들은 중석기 시대 이전까지 인류 거주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다고 주장한다.[39]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6천년에 초기 유럽 농경민의 이동으로 시작되었으며, 카르디움 토기 양식을 남겼다.[40][41] 중신석기 시대에는 오지에리 문화가 도무스 데 야나스를 퍼뜨렸고, 아르자케나 문화는 최초의 거석인 원형 무덤을 건설했다. 기원전 3천년대 초에는 구리와 은의 야금술이 발전했다. 후기 구석기 시대에는 비커 문화가 사르데냐에 나타났으며,[42] 초기 청동기 시대에는 보나나로 문화가 이를 계승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르데냐 인구는 통합되었지만, 여러 작은 부족 집단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24bb300_fa76cb2d.jpg|거인의 무덤(Giants' grave) (청동기 시대(Bronze Age)])] 도르갈리(Dorgali)
기원전 1500년경부터, 마을들은 ''누라게(nuraghe)''[43]라고 불리는 원형 탑 요새 주변에 건설되었다. 이 탑들은 성벽으로 강화되었고, 부족 간 경계는 더 작은 누라게 감시탑으로 지켜졌다. 약 7,000개의 누라게가 사르데냐 지형에 분포되어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우 복잡하고 거대하게 발전했다.(예: ''산투 안티네 누라게(Nuraghe Santu Antine)'', ''수 누락시(Su Nuraxi)'', ''아루비우 누라게(Nuraghe Arrubiu)'') 누라기 시대에는 신성한 우물, 거인의 무덤(Giants' grave), 종교 건물들의 집합체(예: 비티(Bitti) 근처의 ''수 로만체수(Su Romanzesu)'') 등 다양한 건물들이 존재했다. 당시 사르데냐는 여러 무역로의 중심지였으며, 구리(copper)와 납과 같은 원자재의 중요한 공급처였다. 누라기 사람들은 해양 민족(Sea Peoples)의 셰르덴(Sherden)과 동일시되기도 한다.[44][35] 누라기 문명은 탈라이오틱 문화(Talaiotic culture), 토레안 문명(Torrean civilization)과 관련이 있었으며, 키프로스(Cyprus), 크레타(Crete), 그리스 본토(Mainland Greece) 등과의 무역 증거가 발견된다.
기원전 9세기경, 페니키아인들은 카랄리스, 노라, 비티아, 술치, 타로스 등지에 기항지를 건설했다.[45] 기원전 6세기, 카르타고인들은 사르데냐를 병합하려 했으나, 말쿠스의 침략은 실패했다. 그러나 기원전 510년부터 섬의 남부와 서중부는 카르타고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46]
기원전 238년, 제1차 포에니 전쟁 후 로마인들은 카르타고로부터 코르시카와 사르데냐를 합병하여 코르시카와 사르데냐 속주를 만들었다. 로마인들은 투리스 리비소니스와 페로니아와 같은 로마 식민지를 건설하고 로마 이민자들을 거주하게 했다. 로마의 군사 점령은 누라기 문명을 종식시켰고, 사르데냐에서 로마의 지배는 694년 동안 지속되었다.[47]
1979년에는 15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인류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갈루라에서 사르데냐 북부에 거주한 최초의 인류는 토스카나에서, 섬 중앙부에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온 사람들로 추정된다. 약 8000년 전에는 농경인에 의해 수렵에서 농경 문화로의 이행이 이루어졌다. 석기 시대에는 흑요석 채굴과 석기·화살촉 제작의 중심지인 몬테 아르치(Monte Arci)가 중요했다.
선사 시대 사르데냐는 누라게가 특징이며, 수 누라지 디 바루미니가 가장 유명하다. 이 시대 사르데냐인들은 미케네 문명과 접촉하고 있었다. 샤르다나(Shardana)와 사르데냐의 연관성은 증명되지 않았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사르데냐를 Hyknousa라고 불렀고, 노라 유적의 비석에는 페니키아인들이 이 섬을 Sharden이라고 불렀다는 증거가 있다.
기원전 8세기부터, 페니키아인들이 타로스(Tharros), 비티아(Bithia), 술치스(Sulcis), 노라(Nora), 카랄리스(Karalis, 현재의 칼리아리) 등에 도시와 요새를 건설했다. 사르데냐는 서지중해의 중심으로서 특별한 지위를 차지했다. 기원전 238년, 로마인들이 섬을 점령했고, 사르데냐는 시칠리아와 함께 로마의 곡창 지대 중 하나였다. 페니키아-카르타고 문화는 로마인의 지배하에서도 기원후 수세기 동안 남아 있었다.
4. 2. 중세
반달족은 456년에 사르데냐를 정복했다. 반달족의 지배는 78년 동안 지속되었는데, 534년 '포에데라티' 장교 중 한 명인 키릴이 이끄는 400명의 동로마군이 섬을 탈환하면서 끝났다.[48] 반달족 정부는 기존 로마 제국의 구조를 유지했으며, 사르데냐 총독은 여전히 '프라이세스'로 불렸고, 제국 절차를 통해 군사, 사법, 민정 기능을 계속 관리했다.[48] 서고트족 귀족 출신인 고다스는 사르데냐의 마지막 반달족 총독으로, 530년 카르타고에서 쿠데타로 왕 힐데릭이 겔리메르에게 쫓겨나자, 섬의 독립을 선포하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와 협상을 시작했다.[48] 533년, 겔리메르는 고다스를 진압하기 위해 군대와 해군 대부분을 사르데냐로 보냈지만, 벨리사리우스가 이끄는 유스티니아누스의 군대가 카르타고에 도착하면서 반달 왕국은 멸망했고, 사르데냐는 로마의 지배하에 돌아왔다.[48]533년, 사르데냐는 반달족이 벨리사리우스가 이끄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군대에 패배하면서 동로마 제국의 통치하에 돌아왔다.[49] 사르데냐는 551년 오스트로고트족의 짧은 침략 기간을 제외하고 다음 300년 동안 비잔티움의 지배를 받았다.[49] 비잔티움 지배하에서 섬은 ''mereíai'' (μερείαι)로 불리는 지역으로 나뉘었고, 카랄리스(Caralis)에 거주하는 판사가 통치했으며, ''두크스''(dux)의 지휘하에 ''포룸 트라야누스''(Forum Traiani, 현재 포르돈지아누스(Fordongianus))에 군대가 주둔했다.[54] 이 기간 동안 기독교가 섬에 뿌리내렸고, 이교를 대체했다.[50][51] 카이사레아의 바실과 같은 수도승들의 추종자들이 사르데냐에 정착했다.[50][51] 바르바지아(Barbagia) 지역은 대부분 이교도였고, 호스피토(Hospito)를 왕으로 하는 독립 영토를 재건했다.[50][51]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는 호스피토에게 편지를 써서 그를 "바르바리키노룸(Barbariciniorum)의 두크스(Dux)"라고 칭하며, 그의 백성을 개종하도록 촉구했다.[52][53]
|thumb|실라누스에 있는 산타 사비나 비잔틴 교회와 누라게]]
사르데냐에서 비잔티움 지배가 끝난 시기와 상황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적어도 650년경까지 중앙 통제가 유지되었지만, 그레고리우스(Gregory) 총독의 반란과 마그레브의 이슬람 정복 이후 지역 사절들이 권한을 부여받았다.[54] 697년 카르타고가 아랍인에게 함락된 후 아프리카 총독령의 고위 비잔티움 행정부가 카랄리스로 후퇴했다는 증거가 있다.[54] 아프리카에서 제국의 통제력 상실은 섬에 대한 아랍인의 습격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지방의 군사적 자급자족을 증가시켰다.[55]
827년부터 902년까지의 시칠리아의 이슬람 정복 중 그리고 그 이후로 중앙 정부와의 소통은 어려워졌다. 864년 초 교황 니콜라스 1세의 편지에는 "사르데냐 판사들"이 언급되어 있으며,[54] 교황 요한 8세(재위 872~882)의 편지에서는 그들을 ''프린키페스''("왕자들")라고 부른다. 952년에 완성된 ''帝國統治論(De Administrando Imperio)'' 시대가 되자 비잔티움 당국은 더 이상 사르데냐를 제국령으로 목록에 포함하지 않았는데, 이는 그들이 사르데냐를 상실했다고 간주했음을 시사한다.[54]
라콘-구날레(Lacon-Gunale)이라는 지역 귀족 가문이 아르콘의 권력을 차지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여전히 비잔티움의 봉신으로 자신을 확인했지만, 사실상 독립적이었다.[64][65][66] 이 통치자들은 살루시오스()와 프로토스파타리오스 투르코투리오스() 두 명뿐이다.[64][65][66] 그들은 10세기와 11세기 사이에 통치했을 것이다. 이들은 고대 봉신 조약[67]과 이데올로기적 관점에서 비잔티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는데, 비잔티움 그리스어를 사용하고 비잔티움에서 영감을 받은 예술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thumb|포르토 토레스(Porto Torres)에 있는 중세 산 가비노 대성당(Basilica of San Gavino)]
|thumb|코드롱지아노스(Codrongianos)에 있는 사카르지아 대성당(Basilica di Saccargia)에 있는 12세기 프레스코화]]
11세기 초 무자히드 알아미리(Mujahid al-Amiri) 알-삭라비(al-Ṣaqlabī)가 이베리아 반도를 근거지로 데니아 타이파(Taifa of Dénia)와 발레아레스 제도의 지배자였는데, 그가 섬을 정복하려고 시도했다.[68] 기독교인들이 승리했지만, 그 후 이전의 사르데냐 왕국은 붕괴되었고 이후 네 개의 더 작은 국가로 나뉘었다: 칼리아리(Calari), 아르보레아(Arbaree), 갈루라, 그리고 토레스 또는 로구도로.
10세기까지 소위 "판사들"( / )이 사르데냐의 자치 통치자로 등장했다.[70] 라는 칭호는 사르데냐어 judikesc가 되었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왕 또는 주권자를 의미하며, ''판사령''()은 '국가'를 의미하게 되었다.[70]
초기 중세 사르데냐의 정치 제도는 게르만족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은 수천 년 된 로마 제국 구조에서 발전했다. 판사령은 세습 영지였지만, 개인의 칭호나 명예가 국가와 별개라는 오래된 비잔티움 제국 개념은 여전히 남아 있었기 때문에, 판사령은 군주의 사유 재산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제국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질서도 왕국 의회(Crown of the Realm)이라고 불리는 전국 회의와 함께 "반민주적" 형태를 유지했다. 각 판사령은 자체 방어를 담당하고, 자체 법률과 행정을 유지했으며, 자체 외교 및 무역 문제를 처리했다.[71]
네 개의 판사령의 역사는 제노바와 피사라는 두 이탈리아 해양 세력 사이의 영향력 다툼과, 후에 아라곤 왕국의 야망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thumb|left|사르데냐 판사령들]]
칼리아리 판사령(Giudicato of Cagliari)은 제노바 공화국과 동맹을 맺었다. 1258년 수도 산타 이지아(Santa Igia)가 사르데냐와 피사 연합군에 의해 함락되고 파괴되면서 멸망했다. 그 후 그 지역은 피사 공화국, 이탈리아의 델라 게라르데스카 가문(Della Gherardesca family)과 사르데냐의 아르보레아와 갈루라 판사령 사이에 나뉘었다.[72] 피사는 1216-1217년 피사 상인들이 산타 이지아 동쪽에 세운 칼리아리 성(Castel di Cagliari)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다.[72] 남서쪽에는 백작 우골리노 델라 게라르데스카(Ugolino della Gherardesca)가 ''빌라 디 키에사''(Villa di Chiesa, 현재 이글레시아스) 마을의 탄생을 촉진했다.[72]
로구도로 판사령(Giudicato of Logudoro)(토레스(Torres)라고도 함) 또한 제노바 공화국과 동맹을 맺었고, 1259년에 멸망했다. 그 지역은 도리아 가문과 제노바의 말라스피나 가문과 아르보레아 판사령(Giudicato of Arborea)의 바스-세라(Bas-Serra) 가문 사이에 분할되었고, 사사리(Sassari)시는 소규모 공화국이 되었는데, 처음에는 피사와 그 후에는 제노바와 연맹을 맺었다.[72]
갈루라 판사령(Giudicato of Gallura)는 1288년 마지막 판사 니노 비스콘티(단테 알리기에리의 친구)가 피사인들에게 쫓겨나면서 멸망했다.[72]
아르보레아 판사령(Giudicato of Arborea)는 다른 왕국들에 비해 가장 오래 지속되었다. 그 후의 역사는 섬을 하나의 사르데냐 국가( '사르데냐 공화국' 사르데냐어, 또는 '사르데냐 국가' 카탈루냐어)로 통일하려는 시도와 얽혀 있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사르데냐는 456년 반달인에게 점령당했다가 동로마 제국에 의해 재정복되었다. 711년부터 사라센인들이 해안 도시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9세기에는 타르수스가 버려지고 오리스타노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아랍인에 대항하기 위해 피사와 제노바의 지원이 요청되었다.
1063년부터 유디카티(Giudicati)라는 제도가 형성되었다. 중세 후기 주목할 만한 인물은 아르보레아 왕국의 왕비 엘레오노라 다르보레아(Eleonora d'Arborea)이다. 그녀는 1395년에 발효된 진보적인 민법전 카르타 데 로그(Carta de Logu)를 통해 법제 정비에 힘썼다.
같은 시대, 아라곤-카탈루냐 왕국의 영향력이 커졌고, 이는 아라곤에 의한 사르데냐 점령까지 이어졌다. 아라곤의 탑이라고 불리는 감시탑이 해안 전역에 걸쳐 세워져 아랍인의 침입을 막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감시탑 중 일부는 전략적 요충지에 있던 페니키아 도시의 돌을 사용하여 건설되었다. 당시 스페인의 영향력이 강했던 것은 오늘날에도 알게로 주변에서 카탈루냐어 방언이 사용되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다.
4. 3. 근세
1297년, 보니파시오 8세는 시칠리아 만종의 전쟁을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모투 프로프리오''로 사르데냐와 코르시카 왕국을 설립했다. 교황은 앙주 가문과 아라곤 사이의 분쟁을 해결하고자 아라곤의 하메 2세에게 이 왕국을 제공하며, 시칠리아를 대가로 사르데냐 정복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1324년, 아르보레아 왕국과 동맹을 맺은 아라곤 군대는 알폰소 왕세자의 지휘 하에 군사 원정을 통해 칼리아리와 갈루라의 피사 영토, 사사리 동맹 도시를 점령하고 "사르데냐와 코르시카 왕국"으로 명명했다. 이 왕국은 16세기 스페인 국왕 시대까지 아라곤 왕관의 지배하에 있다가 우트레히트 조약으로 멸망할때까지 존속하였다.
아르보레아 판사령은 ''카르타 데 로구''('토지의 헌장')에 왕국의 법전을 공포했다. 아르보레아의 마리아누스 4세가 처음 편찬하고 아르보레아의 엘레오노라가 개정한 이 법전은 사르데냐어로 작성되었으며, 여성의 결혼 거부권과 재산 소유권 등 광범위한 시민의 권리를 규정하여 14세기 사르데냐를 유럽에서 가장 발전된 사회 중 하나로 만들었다.[73]
1353년, 아라곤의 페드로 4세는 사르데냐와 코르시카 왕국에 의회를 부여했지만, 권한은 제한적이었다. 아라곤 왕국은 사르데냐에 봉건 제도를 도입했다. 그러나 아르보레아 판사령은 봉건 제도를 채택하지 않고 ''코로나 데 로구''('왕국의 왕관') 의회를 유지했다.
1353년부터 1409년까지 아르보레아 판사들은 아라곤 왕관과의 동맹을 깨고 사르데냐-아라곤 전쟁을 일으켜 칼리아리와 알게로를 제외한 사르데냐 전역을 점령했다. 1409년, 시칠리아의 마르티노 1세는 산루리 전투에서 사르데냐인을 패배시켰다. 아르보레아 판사령은 1420년 마지막 왕이 권리를 매각하면서 사라졌다.
1469년,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와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의 결혼으로 "사르데냐 왕국"은 스페인의 샤를 1세에게 상속되었으며, 왕국의 상징은 네 명의 무어인이었다. 샤를 1세의 후계자들은 바르바리 해적의 침략으로부터 사르데냐 해안을 방어하기 위해 해안 감시탑 시스템을 구축했다.
사르데냐 왕국은 1323년부터 1708년까지 약 400년 동안 아라곤-스페인의 지배를 받으며 스페인의 전통, 관습, 언어 표현을 수용했다. 알게로(알게르)에서는 카탈루냐어가 여전히 사용된다. 16세기 후반과 1680년에는 끔찍한 기근으로 많은 사람이 사망하고 마을이 황폐화되었다는 기록이 있다.[74]
1708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결과로 사르데냐 왕국의 통치권은 오스트리아로 넘어갔다. 우트레히트 조약으로 사르데냐는 오스트리아에 할양되었지만, 1717년 스페인이 사르데냐를 재점령했다.
1718년 런던 조약으로 사르데냐는 사보이아 가문에게 넘어갔고, 1760년 섬에 이탈리아어를 도입하여 이탈리아화 과정을 시작했다.[75][76][77]
1793년, 사르데냐인들은 프랑스 혁명 전쟁 중 프랑스의 ''사르데냐 원정''을 물리쳤다. 도메니코 밀레리레는 마달레나 제도 근처에서 프랑스 함대를 격파하여 이탈리아군 최초의 무공 훈장을 받았다.[78] 같은 달 사르데냐인들은 쿠아르투 산텔레나 해변에서 프랑스의 상륙 시도를 저지했다. 귀족과 성직자 대표들의 요청이 거절되자 1794년 칼리아리에서 봉기가 일어나 반란("사르데냐 베스퍼", 오늘날 ''sa die de sa Sardigna''로 기념)이 촉발되었다.
|thumb|left|G.M. Angioy의 사사리 입성]]
1795년 사사리 반란군이 도시를 점령했고, 1796년 조반니 마리아 안지오이가 부총독 대리(알테르노스)로 임명되었다. 안지오이는 봉건제 종식과 독립 공화국 선포를 요구했지만, 왕당파에 패배 후 파리로 도망쳤다.[79][80]
1798년, 튀니지인들이 사르데냐 근처 섬을 공격하여 900명 이상의 주민을 노예로 끌고 갔다.[81] 1815년 산탄티오코에 대한 마지막 무슬림 공격이 있었다.[82]
1799년, 나폴레옹 전쟁으로 사보이아 왕가는 토리노를 떠나 칼리아리에 피신했다. 1847년, 사르데냐 의회는 연합에 합의하여 토리노에 단일 의회, 사법부, 정부를 구성했지만, 이는 섬의 주변부 상황을 악화시켰다.[83]
|thumb|1880년대 사르데냐인들이 입는 전통 민족 의상]]
1820년, 사보이아인들은 토지 울타리법(''Editto delle Chiudende'')을 시행하여 토지의 공동 소유권을 사유 재산으로 전환하려 했으나, 이는 지주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여 많은 남용을 초래했다.[85] 1868년 누오레세 ('사르데냐어로 "이미 알려진 것"') 폭동과 같은 지역 반란이 일어났지만, 모두 진압되었다.[86][87] 그러나 공유지는 완전히 폐지되지 않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이 존재한다.[88]
스페인왕위계승전쟁 이후 사르데냐는 오스트리아로 넘어갔으나, 1717년 스페인이 다시 침공했다. 사국동맹전쟁 후 1720년 사보이아 가문이 시칠리아 섬과 교환하여 사르데냐를 소유하게 되었고, 이후 1861년까지 피에몬테와 함께 사르데냐 왕국을 형성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3년 프랑스 공화국군이 사르데냐 섬을 침공했지만 격퇴되었다.
19세기 초 카를로 펠리체 통치 아래 섬의 대동맥이 건설되었고, 1883년에는 칼리아리에서 사사리까지 철도가 개통되었다. 1861년 사르데냐 왕국은 이탈리아 통일을 달성하고 국호를 "이탈리아 왕국"으로 변경했다.
무솔리니 정권 하에서는 늪지대가 간척되고 카르보니아가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관광업이 성행했지만, 높은 운송비로 인해 고용 창출 정책은 잘 되지 않고 있다.
4. 4. 현대
1708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결과로 사르데냐 왕국의 통치권은 오스트리아의 손으로 넘어갔다.[75] 우트레히트 조약은 사르데냐를 오스트리아에 할양했지만, 1717년 스페인의 필리페 5세의 장관인 추기경 율리오 알베로니는 사르데냐를 재점령했다.1718년 런던 조약으로 사르데냐는 사보이아 가문에게 넘어갔다. 이 알프스 왕조는 1760년 섬에 이탈리아어를 도입하여 섬 주민들 사이에서 이탈리아화 과정을 시작했다.[76][77]
프랑스 혁명 전쟁 중인 1793년, 사르데냐인들은 프랑스의 ''사르데냐 원정''을 물리쳤다.[78] 1793년 2월 23일, 도메니코 밀레리레는 마달레나 제도 근처에서 프랑스 공화국의 함대를 격파했다.[78] 같은 달, 사르데냐인들은 쿠아르투 산텔레나 해변에서 프랑스의 상륙 시도를 저지했다. 사르데냐의 빅토르 아마데우스 3세 국왕에게 다섯 가지 요청을 했지만 모두 거절당했다. 이러한 불만으로 인해 1794년 4월 28일 칼리아리에서 봉기가 일어나면서 두 명의 사보이아 관리가 사망했고, 이는 4월 28일부터 섬 전체에서 반란 ( "사르데냐 베스퍼"라고 불림)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오늘날 ''sa die de sa Sardigna''로 기념됨)
1795년 12월 28일, 사사리 반란군이 도시를 점령했다. 1796년 2월 13일, 총독 필리포 비발다는 사르데냐 판사 조반니 마리아 안지오이에게 알테르노스의 직책을 맡겼다. 안지오이는 칼리아리에서 사사리로 이동했고, 여정 중 거의 모든 마을이 봉기에 가담하여 봉건제 종식과 섬의 독립 공화국 선포를 요구했다.[79][80] 그러나 왕당파 세력에 수적으로 열세가 되자 파리로 도망쳐 프랑스의 섬 합병을 요청했다.
1798년, 튀니지인들에게 공격을 받아 900명이 넘는 주민들이 노예로 끌려갔다.[81] 섬에 대한 마지막 무슬림 공격은 1815년 10월 16일 산탄티오코에서 있었다.[82]
1799년, 나폴레옹 전쟁의 결과로 사보이아 왕가는 토리노를 떠나 15년 동안 칼리아리에 피신했다. 1847년, 사르데냐 의회 (''Stamenti'')는 연합하기로 합의하여 토리노에 단일 의회, 단일 사법부 및 단일 정부를 구성했다.
1820년, 사보이아인들은 섬에 토지 울타리법 (''Editto delle Chiudende'')을 시행했다.[85] 이것은 개혁이 빈곤한 사르데냐 농부와 목동들을 배제하면서 지주들에게 유리하게 되면서 많은 남용을 초래했고, 공동의 권리가 폐지되고 그들의 토지가 매각되는 것을 목격했다. 1868년 누오레세 ('사르데냐어로 "이미 알려진 것"') 폭동과 같은 많은 지역 반란이 있었다.[86][87] 그러나 공유지 (''ademprivios''라고 함)는 완전히 폐지되지 않았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수가 존재한다 (1956년에 500,000헥타르의 공유지가 집계되었으며, 그 중 345,000헥타르가 삼림으로 구성됨).[88]
1848년 완전 통합으로 사르데냐 왕국의 사보이아 왕가가 이끄는 여러 주의 연합은 단일 입헌 국가가 되었고, 이후 13년간 이어진 이탈리아 독립 전쟁을 통해 이탈리아 통일을 추진하였다. 1861년, 사르데냐 왕국의 의회는 법으로 왕국의 이름과 국왕의 칭호를 이탈리아 왕국과 이탈리아 국왕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시기에 본토에 철도 침목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목재와 같은 원자재를 피에몬테 지역에 공급하기 위해 대부분의 사르데냐 숲이 벌채되었다. 모든 여행객들이 칭찬했던 주요 천연림은 실제로 원래 면적의 5분의 1 수준인 10만 헥타르가 조금 넘는 규모로 줄어들었다.[89] 1850년 이후 사르데냐의 세금은 두 배 이상 증가하여 이탈리아-프랑스 관세 전쟁으로 인해 섬 주민들이 이미 겪고 있던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을 더욱 악화시켰다. 1885년부터 1897년 사이에 사르데냐인들은 조세 회피로 인해 이탈리아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토지를 몰수당했다.[90]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브리가타 사사리의 사르데냐 병사들은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이 여단은 사르데냐인들만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이탈리아 최초이자 유일한 지역 군사 부대였다. 이 여단은 큰 손실을 입었지만, 무공 훈장 4개를 받았다. 사르데냐는 이탈리아 다른 지역보다 전선에서 더 많은 젊은이들을 잃었는데, 병사 1000명당 사망자 수가 이탈리아 평균 100명에 비해 138명에 달했다.
파시스트 시대에는 자급자족 정책의 시행으로 섬 주변의 여러 늪지대가 간척되고 농업 공동체가 설립되었다. 주요 공동체로는 오리스타노 지역의 아르보레아(무솔리니아 마을)와 알게로 시 인근 누라 지역의 페르틸리아가 있다. 또한 이 시대(1938년)에 설립된 카르보니아 도시는 석탄 채굴의 중심지가 되어 섬의 다른 지역과 이탈리아 본토에서 수천 명의 노동자를 유치했다. 사르데냐 작가 그라치아 델레다는 192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사르데냐는 중요한 공군 및 해군 기지였으며, 특히 칼리아리 시가 연합군의 집중적인 폭격을 받았다. 독일군은 카시빌레 휴전협정 후 며칠 후인 1943년 9월 8일에 사르데냐 섬을 떠나 제90 기갑척탄병 사단 사령관 카를 한스 룽거르하우젠 장군 간의 양자 협정에 따라 전투 없이 코르시카로 철수했다.[91]
1946년 국민투표를 통해 이탈리아는 공화국이 되었으며, 사르데냐는 1948년부터 특별 자치 규정에 따라 운영되었다. 1951년까지 말라리아 방지 지역 당국(ERLAAS)과 록펠러 재단(Rockefeller Foundation)의 지원을 통해 말라리아가 성공적으로 박멸되었고, 이는 사르데냐 관광 붐의 시작을 촉진시켰다.[92] 관광업의 증가와 함께 석탄의 중요성은 감소했지만, 사르데냐는 이탈리아 경제 기적(Italian economic miracle)을 따라갔다.
1960년대 초, '리나시타 계획'(Piani di Rinascita, 재생 계획)이라고 불리는 산업화 노력이 시작되어 섬에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다. 여기에는 새로운 댐과 도로 건설, 산림 조성, 간척지 농업 지역 조성, 대규모 산업 단지(주로 정유소 및 관련 석유화학 공장) 건설 등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1973년 석유 위기(1973 oil crisis)는 석유화학 산업에 종사하는 수천 명의 노동자들의 고용 종식을 초래하여, 이미 1950년대와 1960년대부터 존재하던 이민 현상을 악화시켰다.
사르데냐는 같은 시기에 데치모만누 공군기지(Decimomannu Air Base)와 살토 디 키라(Salto di Quirra)(유럽 최대 규모의 군사 과학 기지)와 같은 군사 기지 건설에 직면했다.[93][94] 현재에도 이탈리아와 나토(NATO) 군사 시설의 약 60%가 사르데냐에 위치해 있는데, 사르데냐의 면적은 이탈리아 전체 면적의 10분의 1도 안 되고 인구는 2.5%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96] 게다가 이 시설들은 실험용 무기 시험에 사용되는 3만 5천 헥타르가 넘는 면적을 차지하며,[97][98] 이탈리아 군사 폭발물의 80%가 이곳에서 사용된다.[99]
사르데냐 민족주의(Sardinian nationalism)와 지역 항의 운동이 1970년대에 강해졌으며, 여러 명의 사르데냐 산적(Sardinian banditry)(Anonima Sarda)들이 1990년대에 끝난 장기간의 납치 사건을 시작했다.[100] 이는 분리주의와 공산주의 사상을 결합한 여러 급진주의 단체들을 탄생시켰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바르바지아 로사'(Barbagia Rossa)와 사르데냐 무장 운동(Sardinian Armed Movement)이다.[101] 이들은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여러 차례 폭탄 테러와 테러 행위를 저질렀다.[102][103][104] 1987년부터 1988년까지 단 2년 만에 224건의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105]
1983년 사르데냐 행동당(Partidu Sardu – Partito Sardo d'Azione)의 저명한 분리주의 활동가가 지역 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1980년대에는 이탈리아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하는 다른 여러 운동들이 생겨났다. 1990년대에는 그중 일부가 정당이 되었지만, 다소 산발적인 모습을 보였다. 사르데냐어, 사사레세어, 갈루레세어, 알게레세 방언, 타바르키노어를 포함한 섬의 언어들은 이탈리아어와 함께 1999년에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프로디 2차 내각(Prodi II Cabinet)은 2009년 7월 라 마달레나(La Maddalena) 섬에서 G8 정상회담을 개최할 계획이었지만, 2009년 4월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는 이탈리아 의회를 소집하거나 사르데냐 주지사와 상의하지 않고, 공사가 거의 완료된 상태에서 정상회담 장소를 라퀼라로 변경하여 강력한 항의를 불러일으켰다.
오늘날 사르데냐는 관광 및 제3차 산업에 중점을 둔 다각화된 경제를 가진 유럽 연합(EU) 지역으로 발전하고 있다. 지난 20년간의 경제적 노력은 특히 저가 항공 여행(Low-cost carrier)과 고급 정보 기술 분야에서 섬의 고립이라는 불리한 점을 줄였다. 예를 들어, 사르데냐 고등 연구 개발 센터(CRS4)는 1991년 유럽에서 두 번째, 이탈리아에서는 첫 번째 웹사이트[106]와 1995년 웹메일을 개발했다. CRS4는 1994년 비디오온라인(Videonline), 1998년 티스칼리(Tiscali), 1999년 안달라 UMTS(3 Italy)와 같은 섬에 기반을 둔 여러 통신 회사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번창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5. 행정 구역
사르데냐는 아오스타 계곡,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쥐드티롤,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시칠리아와 함께 이탈리아 자치 지역 5곳 중 하나이다. 사르데냐의 특별 지위는 헌법법에 명시되어 있으며, 지역에 제한적인 자치권을 부여하여 지방 행정 기능을 수행하고 엄격하게 정의된 여러 분야에서 자체 법률을 제정할 권리를 포함한다.
지역 행정부는 지방 의회(입법부), 지방 정부(행정부), 주지사(행정부 수반)의 세 기관으로 구성된다.
2016년부터 사르데냐는 4개의 도(누오로, 오리스타노, 사사리, 남사르데냐)와 광역시인 칼리아리로 나뉜다.
도(프로빈차) | 면적 (km2) | 인구 | 밀도 (명/km2) |
---|---|---|---|
칼리아리 광역시 | 1,248 | 431,568 | 345.8 |
누오로도 | 5,786 | 213,206 | 36.8 |
오리스타노도 | 3,034 | 160,864 | 53.0 |
사사리도 | 7,692 | 494,388 | 64.2 |
남사르데냐도 | 6,339 | 358,229 | 56.5 |
20세기 말에는 칼리아리현(Cagliari), 사사리현(Sassari), 누오로현(Nuoro), 오리스타노현(Oristano)의 4개 현이 있었지만, 2005년에 현의 분할이 이루어져 올비아-템피오현(Olbia-Tempio), 올리아스트라현(Ogliastra), 카르보니아-이글레시아스현(Carbonia-Iglesias), 메디오캄피다노현(Medio Campidano)이 신설되었다.
2016년 9월 현재, 현(県)급 행정 구역의 통폐합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2016년 2월 새로운 행정 구역이 설치되었지만, 지방 자치 상으로는 과도기이다. 새로운 제도에서는 사르데냐 주의 현급 행정 구역은 5개(광역시 1개, 현 4개)가 되며, 2005년에 신설된 현들은 모두 폐지되었다. 또한, 칼리아리현은 칼리아리 시 주변이 광역시(Città metropolitana)로 재편되고, 나머지는 신설된 남사르데냐 현의 일부가 되었다.
6. 경제
로마 남쪽에 위치한 이탈리아 지역 중 사르데냐의 경제는 가장 좋은 상태다. 가장 큰 경제 발전은 칼리아리와 사사리 주에서 일어났는데, 이곳은 상당한 기업 활동이 특징이다. 유로스타트에 따르면, 2014년 명목 국내총생산(GDP)는 33,356백만 유로였고, 구매력평가 기준으로는 33,085백만 유로였다. 이는 1인당 GDP 19,900유로를 의미하며, EU 평균의 72%에 해당한다. 사르데냐의 1인당 소득은 이탈리아 남부 지역 중 가장 높다. 인구가 많은 주도의 1인당 소득은 더 높다. 칼리아리의 1인당 소득은 27,545유로, 사사리는 24,006유로, 오리스타노는 23,887유로, 누오로는 23,316유로, 올비아는 20,827유로이다.[130] 사르데냐는 이탈리아에서 14번째로 생산성이 높은 지역이며, 1인당 GRP 기준으로는 16번째이다.[131]
그러나 사르데냐 경제는 상품 및 전력 운송 비용이 높다는 제약을 받고 있다. 이는 이탈리아 본토 지역의 두 배, EU 평균의 세 배에 달한다. 사르데냐는 전력 잉여를 생산하는 유일한 이탈리아 지역이며, 코르시카와 이탈리아 본토로 전력을 수출한다. 2009년에는 새로운 해저 전력 케이블 사페이가 가동을 시작했다. 이 케이블은 사르데냐의 피우메 산토 발전소를 이탈리아 반도의 라티나에 있는 변환소에 연결한다. 사코이는 1965년부터 코르시카를 경유하여 사르데냐를 이탈리아에 연결하는 또 다른 해저 전력 케이블이다.
소규모 액화천연가스 터미널과 404km의 가스 파이프라인이 건설 중이었으며 2018년에 가동을 시작했다. 이를 통해 섬의 현재 높은 전력 비용이 감소될 것이다.[132][133] 2021년 현재 사르데냐에는 2기가와트(GW)의 화력발전소, 풍력 및 태양열 발전소 각각 1GW, 그리고 450MW 이상의 수력발전이 있다.[134]
사르데냐에는 세 개의 주요 은행이 본사를 두고 있다. 그러나 사르데냐 은행과 사사리 은행은 모두 원래 사사리 출신이다.
사르데냐는 섬 전체가 관세, 부가가치세(VAT) 및 연료에 대한 소비세가 면제되기 때문에 조세 회피처가 될 가능성이 있다. 2013년 2월부터 포르토스쿠소 마을은 최초의 자유무역지대로 지정되었다.[135][136][137][138][139] 2013년 10월 지역 의회가 수정한 사르데냐 헌장 제12조에 따르면, "사르데냐 자치 지역의 영토는 관세선 밖에 위치하며 주변 바다로 둘러싸인 자유무역지대를 구성한다. 접근 지점은 항구와 공항이다. 사르데냐 자유무역지대는 리비뇨, 캄피오네 디탈리아, 고리치아, 사보냐 디 이손조, 아오스타 계곡 지역에서도 시행되는 유럽 연합과 이탈리아의 법률에 의해 규제된다."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
---|---|---|---|---|---|---|---|---|
국내총생산 명목 (백만 유로) | 25,958.1 | 27,547.6 | 28,151.6 | 29,487.3 | 30,595.5 | 31,421.3 | 32,579.0 | 33,823.2 |
1인당 GDP 명목 (유로) | 15,861.0 | 16,871.4 | 17,226.5 | 17,975.7 | 18,581.0 | 19,009.8 | 19,654.3 | 20,444.1 |
이탈리아의 일부인 사르데냐(Sardegna)의 현재 통화는 유로이다.
광업은 과거 파시즘 시대에 카르보니아(Carbonia)가 탄광 도시로 개발되어 번영했으며, 오늘날에도 섬 내부에서 금과 은 광산이 운영되고 있다.
현재는 코스타 스메랄다(Costa Smeralda)를 대표로 하는 관광업, 공업, 상업, 서비스업, IT 산업이 사르데냐의 중심적인 산업이 되고 있다. 유럽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로서 최고 기업인 티스칼리(Tiscali)는 1998년에 전 주지사 레나토 솔(Renato Soru)이 칼리아리(Cagliari)에서 설립했다. 또한 와인과 향토 요리가 유명해지면서 섬의 수입원으로 성장하고 있다.
6. 1. 산업
사르데냐 지역의 고용 분포 비율은 1차 산업(어업, 농업, 축산업) 8.7%, 2차 산업(산업, 기계, 제조업) 23.5%, 3차 산업(관광, 서비스, 금융) 67.8%이다.[146] 2011년 사르데냐 경제의 부문별 현황을 보면 농업, 축산업, 어업은 3%, 산업은 9.4%, 건설업은 5.7%를 차지하고, 상업, 호텔 및 레스토랑, 운송, 서비스 및 (원격)통신은 25.4%, 금융업 및 부동산은 26.7%, 기타 서비스 관련 경제 활동은 29.7%를 차지한다.[146]
경제 활동 | GDP (백만 €) | 부문별 비율 |
---|---|---|
농업, 축산업, 어업 | 908 | 3% |
산업 | 2,828 | 9.4% |
건설업 | 1,722 | 5.7% |
상업, 호텔 및 레스토랑, 운송, 서비스 및 (원격)통신 | 7,597 | 25.4% |
금융업 및 부동산 | 8,011 | 26.7% |
서비스 관련 기타 경제 활동 | 8,896 | 29.7% |
총 부가가치 | 29,962 | 100% |
사르데냐 GDP | 33,638 |
사르데냐 섬에는 약 400만 마리의 양이 서식하는데,[147] 이는 이탈리아 전체 양의 거의 절반에 달하는 수이며, 세계에서 양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사르데냐는 수천 년 동안 양 사육을 전문으로 해왔으며, 염소와 소 사육도 이루어졌다. 신석기 시대부터 철기 시대까지 농업 생산성이 낮았던 사르데냐 초기 원시 역사 시대와 기념비적인 문명의 경제적 기반은 양 사육과 가축 소유였다.
농업은 캄피다노 평원과 같은 밀 재배에 적합한 지역에서 섬의 경제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사르데냐 토양은 물이 부족하거나 염분이 많은 지하수대를 가지고 있어 물 부족은 이 분야의 현대화를 위한 최초의 문제였으며, 오늘날 거의 20억 입방미터의 물을 담고 있는 거대한 댐 시스템의 건설이 이루어졌다.[148] 사르데냐 농업은 현재 치즈, 와인, 올리브 오일, 아티초크, 토마토와 같은 특정 상품과 관련되어 있으며,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 간척 사업은 작물 재배 면적을 확대하고, 올리브와 포도 외에 야채와 과일과 같은 다른 작물을 도입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캄피다노 평원에서는 귀리, 보리 및 듀럼이 생산되며,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생산지 중 하나이다. 야채 중에서는 아티초크 외에도 오렌지 생산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유럽 연합의 설탕 부문 개혁 이전에는 사탕무 재배도 이루어졌다.
숲에는 자생하는 코르크참나무가 있으며, 사르데냐는 이탈리아 코르크의 약 80%를 생산한다. 갈루라 지역 북부, 칼랑지아누스와 템피오 파우사니아 주변의 코르크 산업 지역에는 130개의 회사가 있다. 사르데냐에서는 매년 20만 퀸털(2만 톤)의 코르크가 채취되며, 최종 제품의 40%가 수출된다.
신선 식품으로는 아티초크 외에도 토마토(카모니 토마토 포함)와 감귤류 과일 생산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사르데냐는 이탈리아에서 쌀 생산량 5위 지역이며, 주요 논은 아르보레아 평원에 위치해 있다.[149]
사르데냐는 다양한 치즈를 생산하는데, 이탈리아에서 생산되는 양젖의 절반이 사르데냐에서 생산되며, 대부분 목동 협동조합과 소규모 산업에서 가공된다.[150] 사르데냐는 또한 섬의 원산지가 아닌 페코리노 로마노 치즈의 대부분을 생산한다. 사르데냐는 아라곤 지배 시대부터 수세기 동안 이어져 온 말 사육 전통을 자랑하며,[151] 오늘날 사르데냐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많은 말 사육장을 보유하고 있다.[152]
어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포르토스쿠소의 참치는 주로 일본으로 수출된다.
한때 번영했던 광업은 석탄(곤네사(Gonnesa) 마을 누락시 피구스(Nuraxi Figus)),[153] 안티몬(빌라살토(Villasalto)), 금(푸르테이(Furtei)), 보크사이트(올메도), 납과 아연(이글레시엔테(Iglesiente), 누라(Nurra))에 국한되어 있다. 화강암 채석은 섬 북부에서 가장 번성하는 산업 중 하나이다. 갈루라(Gallura) 화강암 지역은 60개의 채석장에서 일하는 260개의 회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곳에서 이탈리아 화강암의 75%가 채굴된다.
주요 산업은 화학 (포르토토레스(Porto Torres), 칼리아리(Cagliari), 빌라시드로(Villacidro), 오타나(Ottana)), 석유화학 (포르토토레스(Porto Torres), 사로크(Sarroch)), 금속 가공 (포르토스쿠소(Portoscuso), 포르토베스메(Portovesme), 빌라시드로(Villacidro)), 시멘트 (칼리아리(Cagliari)), 제약 (사사리(Sassari)), 조선 (아르바탁스(Arbatax), 올비아(Olbia), 포르토토레스(Porto Torres)), 유정 건설 (아르바탁스(Arbatax)), 철도 산업 (빌라시드로(Villacidro)),[154][155] 도무스노바스(Domusnovas)의 무기 산업[156][157] 및 식품 (빌라소르(Villasor)과 오리스타노(Oristano)의 설탕 정제소, 아르보레아(Arborea), 마코메르(Macomer) 및 티에시(Thiesi)의 유제품, 올비아(Olbia)의 수산 가공 공장)이다.
사르데냐에는 항공우주 산업 및 연구에 중점을 둔 기업, 연구 센터 및 대학 컨소시엄인 DASS (''Distretto Aerospaziale della Sardegna'')가 있다.[158][159][160] 빌라푸추(Villaputzu)에 있는 항공우주 제조업체 비트로시셋(Vitrociset)은 스텔스 다목적 전투기 록히드 마틴 F-35 라이트닝 II(Lockheed Martin F-35 Lightning II) 생산에 참여하고 있다.[161][162]
포르토토레스(Porto Torres)와 같이 주요 산업 현장에서 전통적인 화석 연료 관련 산업에서 유지 종자를 이용한 식물성 기름으로부터 바이오 플라스틱까지 통합 생산 체인으로의 전환을 개발하는 7개의 연구 센터가 있는 산업 전환 계획이 진행 중이다.[163][164]
사르데냐는 압축 공기를 동력으로 하는 혁신적인 자동차인 AIRPod의 산업 생산에 참여하고 있으며, 첫 공장은 볼로타나(Bolotana)에 건설되고 있다.[165][166][167][168]
공예 산업에는 양탄자, 보석류, 직물, 레이스, 바구니 만들기 및 산호가 포함된다.
사르데냐 경제는 현재 상업, 서비스업, 정보 기술, 공공 행정, 특히 관광(주로 해변 관광)이 섬의 주요 산업을 차지하고 있다. 2008년에는 2,363,496명이 도착하여(2007년 대비 1.4% 증가) 같은 해 섬의 공항은 11,896,674명의 승객을 기록했다(2007년 대비 1.24% 증가).[169]
사르데냐는 고립된 섬이라는 위치 때문에 인터넷 시대 초창기부터 디지털 기술 개발에 경제의 일부를 집중했다. 이탈리아 최초의 웹사이트, 최초의 웹메일 시스템 중 하나, 그리고 최초이자 가장 큰 인터넷 제공업체 중 하나(Video On Line)는 CRS4에 의해 개발되었다.[170][171] 최초의 유럽 온라인 신문은 L'Unione Sarda에 의해 개발되었고,[172][173] 이탈리아 최초의 UMTS 회사도 이 섬에 설립되었다. 현재 사르데냐는 롬바르디아 다음으로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스타트업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이탈리아 벤처캐피탈의 20%를 소유).[174][175]
사르데냐에는 아름답고 작은 마을이 많으며, 그중 9개 마을은 가장 아름다운 이탈리아 마을/I Borghi più belli d'Italiait[176]에 선정되었다.
현재 통화는 유로이다.
과거 파시즘 시대에 카르보니아(Carbonia)가 탄광 도시로 개발되어 번영했으며, 오늘날에도 섬 내부에서 금과 은 광산이 운영되고 있다.
현재는 코스타 스메랄다(Costa Smeralda)를 대표로 하는 관광업, 공업, 상업, 서비스업, IT 산업이 사르데냐의 중심적인 산업이 되고 있다. 유럽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로서 최고 기업인 티스칼리(Tiscali)는 1998년에 전 주지사 레나토 솔(Renato Soru)이 칼리아리(Cagliari)에서 설립했다. 또한 와인과 향토 요리가 유명해지면서 섬의 수입원으로 성장하고 있다.
6. 2. 관광 산업
사르데냐 경제는 상업, 서비스업, 정보 기술, 공공 행정, 특히 관광(주로 해변 관광)이 발달한 제3차 산업(고용의 67.8%)에 집중되어 있다.[169] 2008년에는 2,363,496명이 사르데냐를 방문했으며, 같은 해 섬의 공항은 11,896,674명의 승객을 기록했다.[169]
사르데냐는 고립된 섬이라는 위치 때문에 인터넷 시대 초창기부터 디지털 기술 개발에 경제의 일부를 집중했다. CRS4는 이탈리아 최초의 웹사이트, 최초의 웹메일 시스템 중 하나, 그리고 최초이자 가장 큰 인터넷 제공업체 중 하나(Video On Line)를 개발했다.[170][171] 최초의 유럽 온라인 신문은 L'Unione Sarda에 의해 개발되었고,[172][173] 이탈리아 최초의 UMTS 회사도 이 섬에 설립되었다. 현재 사르데냐는 롬바르디아 다음으로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스타트업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174][175]
사르데냐에는 아름다운 해변뿐 아니라 많은 문화유산도 관광 자원이 되고 있다. 또한 코스타 스메랄다(Costa Smeralda) 휴양지와 젠나르젠투(Gennargentu) 산맥 등 많은 관광지가 있다.
7. 사회
7. 1. 인구
사르데냐는 km2당 69명의 인구밀도를 보이며, 이는 전국 평균의 3분의 1보다 약간 많은 수치로 이탈리아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적은 지역이다. 19세기 초까지 이어진 바르바리 해적의 침략과 중세 시대의 반복적인 사라센 침략, 그리고 20세기에 들어서야 매립된 해안 평야의 습지 특성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대부분의 도시 정착은 해안선을 따라서가 아니라 섬의 중심부를 향해서 이루어졌다. 현대에 들어 해변 관광이 확장되면서 주요 도시 중심지는 모두 해안 근처에 위치하게 되었고, 섬의 내륙 지역은 매우 인구 밀도가 낮다.사르데냐는 합계출산율이 여성 1명당 1.087명으로 이탈리아에서 가장 낮고, 출산율 또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189][190] 2009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8.7%였으며, 농촌 인구 감소는 심각한 문제로 여겨진다. 1991년부터 2001년 사이에 사르데냐 마을의 71.4%가 인구 감소를 경험했으며, 그중 30개 이상의 마을이 유령 도시가 될 위험에 처해 있다.[191]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경우, 사르데냐는 2080년까지 아이슬란드 다음으로 유럽에서 인구 밀도가 두 번째로 낮은 섬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192][19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 본토뿐만 아니라 동유럽(특히 루마니아),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로부터의 상당한 이민 유입으로 인해 전체 인구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평균 수명은 82세를 약간 넘으며(여성 85세, 남성 79.7세[194]), 사르데냐는 일본의 오키나와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높은 백세인 비율(10만 명당 22명)을 기록하는 블루존 지역이다.
2023년 기준, 사르데냐에는 50,211명의 외국인 거주자가 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3.2%를 차지한다.[195] 주요 외국인 국적은 루마니아(11,313명), 세네갈(4,289명), 모로코(3,982명), 중국(3,253명), 우크라이나(2,885명) 순이다.[195]

사르데냐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는 카리아리(Cagliari)와 사사리(Sassari)이다. 카리아리 광역시(Metropolitan City of Cagliari)는 약 431,302명의 주민이 거주하며, 이는 섬 전체 인구의 약 1/4에 해당한다. 유로스타트(Eurostat)는 사르데냐에 두 개의 기능적 도시 지역(Functional Urban Area)을 확인했는데,[196] 카리아리는 477,000명, 사사리는 222,000명의 주민이 거주한다.
1485년부터 2021년까지의 사르데냐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인구 |
---|---|
1485 | 157,578 |
1603 | 266,676 |
1678 | 299,356 |
1688 | 229,532 |
1698 | 259,157 |
1728 | 311,902 |
1751 | 360,805 |
1771 | 360,785 |
1776 | 422,647 |
1781 | 431,897 |
1821 | 461,931 |
1824 | 469,831 |
1838 | 525,485 |
1844 | 544,253 |
1848 | 554,717 |
1857 | 573,243 |
1861 | 609,000 |
1871 | 636,000 |
1881 | 680,000 |
1901 | 796,000 |
1911 | 868,000 |
1921 | 885,000 |
1931 | 984,000 |
1936 | 1,034,000 |
1951 | 1,276,023 |
1961 | 1,419,362 |
1971 | 1,473,800 |
1981 | 1,594,175 |
1991 | 1,648,248 |
2001 | 1,631,880 |
2011 | 1,639,362 |
2021 | 1,587,413 |
출처: ISTAT, – D.Angioni-S.Loi-G.Puggioni, La popolazione dei comuni sardi dal 1688 al 1991, CUEC, Cagliari, 1997 – F. Corridore, Storia documentata della popolazione di Sardegna, Carlo Clausen, Torino, 1902
7. 2. 언어
이탈리아어가 표준어로 사용되지만, 사르데냐어도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다.[218] 사르데냐어는 로망스어 어족의 독립된 가지로, 남부 로망스어로 분류되며, 이탈리아어 방언이 아니라 별개의 언어이다.[219] 라틴어의 뿌리에 더 가깝다.[220] 1997년 이래 지역 및 이탈리아 법에 의해 이탈리아의 12개 역사적 언어 소수 민족 중 하나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221][222] 이 언어는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그리고 최근에는 이탈리아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한때 사용되었던 고사르데냐어는 고대 유적에 많은 특징을 제공한다.
2006년 지역 행정부는 공식 문서에서 Limba Sarda Comuna라 불리는 단일 표준화된 문자 시스템의 사용을 승인했다.[223] 하지만, 문학 언어로서 사르데냐어는 공통적으로 인정되는 표준 철자법의 부족과 이 문제에 대한 논란이 되는 제안된 해결책에 대한 격렬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중요성을 얻고 있다.[224] 사실상 이 언어의 두 가지 주요 철자법은 캄피다네세어(''sardu campidanesu'')와 로그도레세어(''sardu logudoresu'')이다. 사르데냐어는 다른 로망스어와는 상당히 다르며 형태론, 통사론, 어휘 측면에서 동질적이지만, 북부와 남부 방언 간의 음운론 측면에서 다양성을 보여준다.
사사레세어(''sassaresu'')와 갈루레세어(''gadduresu'')는 코르소-사르데냐어로 분류되며, 따라서 사르데냐어가 아닌 이탈로-달마티아어파에 속하며 북부에서 사용된다.
사르데냐에는 몇몇 언어섬이 있다. 알게로에서는 카탈루냐어의 알게로 방언이 사용되며, 산 피에트로 섬과 산탄티오코 섬에서는 리구리아어의 변종인 타바르키노(''tabarchin'')가 사용된다. 아르보레아와 페르틸리아에서는 점점 더 적은 사람들이 베네토어, 프리울리어, 이스트리아어를 사용하는데, 이 마을들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이탈리아 북동부 출신의 본토 식민지 개척자들과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이스트리아와 달마티아 출신의 가족들이 이주해왔기 때문이다.
18세기 후반부터 시행된 이탈리아 동화 정책[225]과 이탈리아 문화에 대한 지속적인 흡수로 인해, 한때 널리 사용되던 토착어는 이탈리아어에 밀려 점점 설 자리를 잃었고, 지속적인 언어 변화 과정은 멸종 위기로 이어졌다.[226] ISTAT이 2006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227] 사르데냐 인구의 52.5%가 가족 환경에서 이탈리아어만 사용하고, 29.3%가 이탈리아어와 사르데냐어를 번갈아 사용하며, 16.6%만이 사르데냐어 또는 기타 비이탈리아어를 사용한다. 가족과 친구의 범위를 벗어나면 마지막 옵션은 5.2%로 떨어진다. 이탈리아화는 사르데냐어의 급격한 감소를 초래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다수의 방언인 이탈리아어의 새로운 비표준 변종인 사르데냐 지역 이탈리아어를 만들어냈다.
최근 외국인 출생 인구의 증가에 따라, 특히 루마니아어, 아랍어, 월로프어, 중국어와 같은 다른 언어의 존재 또한 일부 도시 지역에서 확장되고 있다.
2006년 이탈리아 국립통계연구소(ISTAT) 통계에 따르면,[246] 6세 이상 주민의 가정 내 대화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가정 내 대화에서 사용하는 언어 | 전국 | 주 |
---|---|---|
이탈리아어만, 또는 주로 이탈리아어 | 45.5% | 52.5% |
방언만, 또는 주로 방언 | 16.0% | 1.9% |
이탈리아어와 방언 모두 | 32.5% | 29.3% |
기타 언어 | 5.1% | 14.7% |
7. 3. 교육
2001년 ISTAT 인구조사에 따르면, 사르데냐섬 65세 미만 인구의 읽고 쓰기 능력(문해율)은 99.5%이다. 65세 이상 인구를 포함한 전체 문해율은 98.2%이다.[125][126] 65세 미만 남성의 문맹률은 0.24%, 여성은 0.25%이다.[125]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졸업하는 여성의 수는 남성보다 매년 약 10~20% 더 많다.[126][127] 사르데냐섬은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중퇴율을 기록하고 있다.[128]
사르데냐섬에는 사사리 대학교와 카글리아리 대학교 두 곳의 국립 대학교가 있다. 이 대학교들은 16세기와 17세기에 설립되었다. 2007~2008년 대학 등록 학생 수는 48,979명이었다.[129]
8. 문화
이탈리아어가 표준어로 사용되지만, 사르데냐어가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사르데냐는 이탈리아에서 유일하게 그 특별 자치 규정에 주민을 가리키는 ''popolo''(독립된 민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자치주이다. 사르데냐와 달리 일반 자치주인 베네토주도 이러한 공식을 사용하지만, 사르데냐 자치 규정은 헌법에 따라 채택된다. 두 경우 모두 이러한 용어는 사르데냐인과 국가의 다른 시민 간에 어떠한 법적 차이도 의미하지 않는다.
사르데냐 주는 주 법률에서 주민을 "popolo"(고유한 민족 집단)이라는 용어로 지칭하는 두 주 중 하나이다. 다른 한 주인 베네토 주( 베네토어 사용자가 많은)의 규정은 국법에 근거하지 않지만, 특별자치주인 사르데냐 주의 규정은 국법에 근거한다. 다만, 어떤 경우에도 다른 이탈리아 국민(시민)과의 권리 차이를 가져오는 법적 의미는 없다고 여겨진다.
==== 건축 ====
사르데냐의 선사 시대 건축물로는 도무스 데 야나스(지하 무덤), 거인의 무덤, 거석 원형 유적, 메니르, 돌멘, 누라기 성수 등 수많은 증거가 있다.[208] 특히 누라게는 사르데냐의 선사 시대 풍경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소로, 단순한 것부터 복잡한 것까지 다양한 유형의 청동기 시대 건축물 수천 개의 잔해가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209] 해안에는 페니키아인과 푸니인이 새로운 도시 형태를 도입하면서 남긴 흔적이 많다. 올리아스트로 근교의 타르수스, 칼리아리 남쪽 교외 푸올라에 있는 노라 등이 페니키아·로마 시대의 도시 유적이다.
로마인들은 여러 도시를 재구축하고 새로운 중심지를 건설했으며, 포르토 토레스의 레 바르바로 궁전이나 칼리아리의 로마 원형극장과 같은 많은 기반 시설을 건설하여 섬 전체에 새로운 행정 구조를 부여했다. 초기 기독교와 비잔틴 시대의 증거도 해안과 내륙 전역에 남아 있다.
사르데냐 중세 왕국 시대에는 로마네스크 건축이 특별한 발전을 이루었다. 1063년부터 사르데냐의 판사(Judikes)들은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여러 지역 출신 수도승들이 섬에 들어오도록 했다. 이러한 상황은 피사, 롬바르디아, 프로방스, 무슬림 스페인 출신 노동자들의 유입을 가져왔고, 이러한 경험들이 융합된 전례 없는 예술적 표현 양식이 나타났다. 로마네스크 건축 형식 발전의 초석은 포르토 토레스의 산 가비노 바실리카였다.[210] 가장 중요한 예로는 산탄티오코 디 비사르시오(오지에리) 대성당, 보루타의 산 피에트로 디 소레스, 산 니콜라 디 오타나, 아르다라의 산타 마리아 델 레뇨 궁정 예배당, 산타 지우스타 대성당, 노스트라 시뇨라 디 테르구, 코드롱냐노스의 사카르지아 바실리카, 산타 마리아 디 우타, 13세기의 산타 마리아 디 몬세라토(트라탈리아스) 대성당과 산 판탈레오(돌리아노바) 대성당이 있다. 군사 건축물로는 이 기간 동안 영토 방어를 위해 많은 사르데냐 성이 건설되었다. 14세기 초에는 조반니 카풀라가 설계한 칼리아리의 요새와 탑이 건설되었다.
1324년 아라곤인들이 도착한 후, 그들은 칼리아리에 첫 번째 건설 사업을 집중했다. 사르데냐에서 가장 오래된 카탈루냐 고딕 양식의 교회는 보나리아 성모 성당이다.[211] 같은 해 칼리아리에서는 대성당 안에 아라곤 예배당이 건설되었다. 15세기 전반기에 교회와 수도원을 포함하는 산 도메니코 단지가 건설되었는데, 이는 진정한 고딕 양식의 보석이었지만 1943년 공습으로 거의 완전히 파괴되어 현재는 회랑만 남아 있다. 다른 작품으로는 산 프란체스코 디 스타파체 교회(회랑의 일부만 남아 있음), 산트울랄리아 교회, 산 자코모 교회가 있다. 알게로에서는 15세기 후반에 산 프란체스코 교회 건설이 시작되었고, 16세기에는 알게로 대성당 건설이 시작되었다.
르네상스 건축은 그리 많이 나타나지 않지만, 사사리의 산 니콜라 대성당(후기 고딕 양식이지만 강한 르네상스 영향을 받음), 칼리아리의 산타고스티노 교회(팔레아로 프라티노 설계), 사사리의 산타 카테리나 교회(비뇨라의 제자 베르나르도니 설계)와 같은 주목할 만한 예가 있다.
반면 바로크 건축은 널리 확산되었고,[212] 칼리아리의 산타나 콜레지아타, 사사리의 산 니콜라 대성당 정면, 칼리아리의 산 미켈레 교회, 그리고 17세기와 18세기 사이에 재건 또는 개조된 칼리아리, 알레스, 오리스타노 대성당 등 흥미로운 예들이 있다.
19세기부터 신고전주의 양식의 새로운 건축 형태가 섬 전역에 퍼졌다. 이 건축 및 도시 계획 단계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는 칼리아리 출신 건축가 가에타노 치마이다.[213] 치마의 작품과 함께 주목할 만한 것은 주세페 코미노티(사사리의 궁전과 시민 극장)와 안토니오 카노(사사리의 산타 마리아 디 베틀렘 돔과 누오로의 산타 마리아 델라 네베 대성당)의 작품이다. 19세기 후반 사사리에는 섬에서 가장 초기의 부흥 양식 건축물 중 하나인 네오 고딕 양식의 지오르다노 궁전(1878년)이 건설되었다.[214]
부흥 양식과 아르누보 양식이 결합된 절충주의 양식의 흥미로운 건축물로는 20세기 초에 완공된 칼리아리 시청이 있다. 파시즘의 등장은 20년대와 30년대에 사르데냐의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214] 그 시대의 흥미로운 성과로는 페르틸리아, 아르보레아의 새로운 중심지와 합리주의 건축의 가장 큰 예 중 하나인 카르보니아 도시가 있다.
사르데냐섬에는 세계유산이 하나 있다. 메디오캄피다노주 바루미니에 있는 수 누라지로, 이 유적은 선사 시대의 석조 건축물인 누라게를 대표하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이러한 문화유산들은 관광 자원이 되고 있다.
==== 예술 ====
다수의 유물은 누라기 이전 시대 사람들의 예술적 표현을 증명하는데, 대표적으로 대지모신상과 기하학적 무늬가 새겨진 토기 등이 있다. 누라기 문명은 수백 개의 청동 소상과 몬테 프라마 거인상을 만들어냈다.[215]
누라기 인구와 지중해 전역에서 온 상인들의 결합은 정교한 금 제품, 반지, 귀걸이 및 보석류, 서원비와 벽 장식의 생산으로 이어졌다. 로마인들은 모자이크를 도입하고, 귀족들의 부유한 빌라를 조각과 그림으로 장식했다.[216]
중세 시대, 유디카토 시대 동안 교회 건축은 주두, 석관, 프레스코화, 대리석 제단으로 풍성해졌고, 나중에는 제단화, 카스텔사르도 화가, 피에트로 카바로, 안드레아 루소, 그리고 오지에리 화가라고 불리는 화가 집단의 그림으로 더욱 아름다워졌다.
19세기와 20세기 초, 사르데냐를 방문한 많은 여행자들은 오염되지 않고 시간이 멈춘 섬이라는 신화를 만들었는데, 주세페 비아시, 프란체스코 치우사, 필리포 피가리, 마리오 델리탈라, 스타니스 데시와 같은 사르데냐 예술가들은 이러한 신화를 찬양했다. 그들의 작품은 외부에서 압박하는 근대성에 아직 동화되지 않은 농업-목축 세계의 고유한 가치를 강조했다. 20세기 후반의 다른 중요한 사르데냐 예술가로는 코스탄티노 니볼라, 마리아 라이, 알비노 만카, 피누치오 시올라가 있다.
==== 문학 ====
사르데냐어로 쓰인 최초의 문학 작품은 15세기 후반 사사리(Sassari)의 대주교 안토니오 카노(Antonio Cano)가 성 포르토 토레스(Porto Torres) 순교자들에게 영감을 받아 쓴 시이다. 16세기에는 안토니오 로 프라소(Antonio Lo Frasso)의 ''Los diez libros de Fortuna de Amor''가 미겔 데 세르반테스(Miguel de Cervantes)의 돈키호테에 언급되기도 하였는데, 이 작품은 주로 스페인어로 쓰였지만, 카탈루냐어와 사르데냐어로 쓰인 부분도 있었다.[228] 당시 다국어 사용은 섬 주민들의 특징이었으며, 시기스몬도 아르케르(Sigismondo Arquer), 조반니 프란체스코 파라(Giovanni Francesco Fara) 및 피에트로 델리탈라(Pietro Delitala)가 대표적이다. 제로라모 아라올라(Gerolamo Araolla)는 사르데냐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세 가지 언어로 글을 썼다.[228] 17세기에는 호세 델리탈라 이 카스텔비(José Delitala y Castelvì), 호세프 자트릴라스 비코(Joseph Zatrillas Vico) 시인과 프란체스코 안젤로 데 비코(Francesco Angelo de Vico), 살바토레 비달(Salvatore Vidal) 작가의 스페인어 작품에서 이베리아 세계와의 완전한 통합이 확인된다.
1720년 사르데냐 왕국이 사보이아 왕가로 넘어가면서 이탈리아어가 공용어가 되었다. 19세기에는 조반니 스파노(Giovanni Spano)가 최초의 고고학 발굴을 수행했고, 주세페 만노(Giuseppe Manno)는 섬의 최초의 일반 역사를 기록했으며, 파스쿠알레 톨라(Pasquale Tola)는 과거의 중요한 문서를 출판하고 저명한 사르데냐인들의 전기를 썼다. 알베르토 라 마르모라(Alberto La Marmora)는 섬 전역을 연구하고 ''사르데냐 여행(Voyage en Sardaigne)''이라는 4부작을 집필했다.
20세기 초, 현재까지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유일한 이탈리아 여성인 그라치아 데레다(Grazia Deledda), 엔리코 코스타(Enrico Costa)와 시인 세바스티아노 사타(Sebastiano Satta)가 사르데냐 사회를 묘사했다. 이 시기에는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와 에밀리오 루수(Emilio Lussu)와 같이 정치적인 인물들의 문학적 산출도 주목할 만하다. 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주세페 데시(Giuseppe Dessì)가 ''파에세 돔브레(Paese d'ombre)''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가비노 레다(Gavino Ledda)의 자전적 소설 ''파드레 파드로네(Padre Padrone)''와 살바토레 사타(Salvatore Satta)의 ''일 지오르노 델 주디치(Il Giorno del Giudici)''가 널리 알려졌으며, 세르지오 아체니(Sergio Atzeni)를 비롯한 여러 작가들이 활동하고 있다.[228]
==== 음악 ====
사르데냐는 칸투 아 테노레로 알려진 오래된 성악 폴리포니 형태의 고향이다.[229] 2005년 유네스코는 ''칸투 아 테노레''를 무형 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229] 프랭크 자파, 오넷 콜먼, 피터 가브리엘을 포함한 여러 유명 음악가들이 이에 매료되었다.[229] 피터 가브리엘은 중앙 산악 지역의 비티 마을을 방문하여 그의 리얼 월드 레이블에 비티 테노레 CD를 녹음했다.[229] 코르시카어 ''파지엘라''와 유사하고 종교적인 성격을 띤 ''칸투 아 쿤코르두''로 알려진 다성 음악 스타일도 사르데냐에서 발견된다.[229]
또 다른 독특한 악기는 라우네다스이다.[229] 세 개의 갈대관(그중 두 개는 밀랍으로 접착)이 독특한 화성을 만들어내는데, 이티리의 청동 소상에서 볼 수 있듯이 기원전 2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229]
''칸투 아 키테라''(기타 노래) 전통은 예술가들이 서로 경쟁했던 마을 광장에서 시작되었다.[229] 이 장르에서 가장 유명한 가수는 마리아 카르타와 엘레나 레다이다.[229]
사르데냐 문화는 활기차게 살아 있으며, 젊은이들은 자신의 음악과 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229] 2004년, BBC 진행자 앤디 커쇼는 사르데냐 음악 전문가 파블로 파르바와 함께 섬을 여행하며 많은 예술가들을 인터뷰했다.[229] 사르데냐는 안토넬로 살리스, 마르첼로 멜리스, 파올로 프레수와 같은 주목할 만한 재즈 음악가들을 배출했다.[229]
섬의 주요 오페라 하우스는 칼리아리의 테아트로 리리코와 사사리의 테아트로 코무날레이다.[229]
==== 요리 ====
육류, 유제품, 곡물 및 채소는 전통적인 사르데냐 음식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바닷가재(''aligusta''), 새우류(''scampi''), 보타르가(''butàriga''), 오징어, 참치와 같은 해산물도 사용된다.[230] 젖먹이 돼지(''porcheddu'')와 멧돼지(''sirbone'')는 꼬치에 구우거나 콩과 채소를 넣고 빵으로 걸쭉하게 만든 스튜에 삶는다. 박하와 머틀과 같은 허브를 사용한다.[230] 많은 사르데냐 빵은 건조하게 만들어져 습기가 많은 빵보다 오래 보관된다.[230] ''civraxiu'', ''coccoi pintau''(매우 장식적인 빵), 그리고 밀가루와 물만으로 만든 ''pistoccu''를 포함한 빵도 구워 먹는다.[230]
사르데냐 요리는 이탈리아 요리 외에도 아랍 및 북아프리카 요리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2010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지중해 식문화"의 일부를 구성한다.
전통 치즈에는 페코리노 사르도, 페코리노 로마노, 카시졸루, 리코타, 그리고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명한 카수 마르추가 있다.[230] 가장 유명한 음식 중 하나는 얇고 바삭한 것으로 유명한 사르데냐의 납작한 빵인 ''파네 카라사우''이다.[231] 원래 이 빵을 만드는 것은 세 명의 여성이 작업해야 하는 힘든 과정이었다.[232]
알코올 음료에는 칸노나우, 말바지아, 베르나치아, 베르멘티노와 같은 많은 토착 와인과 아바르덴테, 필루 페루, 미르토와 같은 다양한 리큐르가 포함된다. 맥주는 가장 많이 마시는 알코올 음료이며, 사르데냐는 이탈리아에서 1인당 맥주 소비량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전국 평균의 두 배).[233] 비라 이크누사는 사르데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맥주이다.
8. 1. 건축
사르데냐의 선사 시대 건축물로는 도무스 데 야나스(지하 무덤), 거인의 무덤, 거석 원형 유적, 메니르, 돌멘, 누라기 성수 등 수많은 증거가 있다.[208] 특히 누라게는 사르데냐의 선사 시대 풍경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소로, 단순한 것부터 복잡한 것까지 다양한 유형의 청동기 시대 건축물 수천 개의 잔해가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209] 해안에는 페니키아인과 푸니인이 새로운 도시 형태를 도입하면서 남긴 흔적이 많다. 올리아스트로 근교의 타르수스, 칼리아리 남쪽 교외 푸올라에 있는 노라 등이 페니키아·로마 시대의 도시 유적이다.로마인들은 여러 도시를 재구축하고 새로운 중심지를 건설했으며, 포르토 토레스의 레 바르바로 궁전이나 칼리아리의 로마 원형극장과 같은 많은 기반 시설을 건설하여 섬 전체에 새로운 행정 구조를 부여했다. 초기 기독교와 비잔틴 시대의 증거도 해안과 내륙 전역에 남아 있다.
사르데냐 중세 왕국 시대에는 로마네스크 건축이 특별한 발전을 이루었다. 1063년부터 사르데냐의 판사(Judikes)들은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여러 지역 출신 수도승들이 섬에 들어오도록 했다. 이러한 상황은 피사, 롬바르디아, 프로방스, 무슬림 스페인 출신 노동자들의 유입을 가져왔고, 이러한 경험들이 융합된 전례 없는 예술적 표현 양식이 나타났다. 로마네스크 건축 형식 발전의 초석은 포르토 토레스의 산 가비노 바실리카였다.[210] 가장 중요한 예로는 산탄티오코 디 비사르시오(오지에리) 대성당, 보루타의 산 피에트로 디 소레스, 산 니콜라 디 오타나, 아르다라의 산타 마리아 델 레뇨 궁정 예배당, 산타 지우스타 대성당, 노스트라 시뇨라 디 테르구, 코드롱냐노스의 사카르지아 바실리카, 산타 마리아 디 우타, 13세기의 산타 마리아 디 몬세라토(트라탈리아스) 대성당과 산 판탈레오(돌리아노바) 대성당이 있다. 군사 건축물로는 이 기간 동안 영토 방어를 위해 많은 사르데냐 성이 건설되었다. 14세기 초에는 조반니 카풀라가 설계한 칼리아리의 요새와 탑이 건설되었다.
1324년 아라곤인들이 도착한 후, 그들은 칼리아리에 첫 번째 건설 사업을 집중했다. 사르데냐에서 가장 오래된 카탈루냐 고딕 양식의 교회는 보나리아 성모 성당이다.[211] 같은 해 칼리아리에서는 대성당 안에 아라곤 예배당이 건설되었다. 15세기 전반기에 교회와 수도원을 포함하는 산 도메니코 단지가 건설되었는데, 이는 진정한 고딕 양식의 보석이었지만 1943년 공습으로 거의 완전히 파괴되어 현재는 회랑만 남아 있다. 다른 작품으로는 산 프란체스코 디 스타파체 교회(회랑의 일부만 남아 있음), 산트울랄리아 교회, 산 자코모 교회가 있다. 알게로에서는 15세기 후반에 산 프란체스코 교회 건설이 시작되었고, 16세기에는 알게로 대성당 건설이 시작되었다.
르네상스 건축은 그리 많이 나타나지 않지만, 사사리의 산 니콜라 대성당(후기 고딕 양식이지만 강한 르네상스 영향을 받음), 칼리아리의 산타고스티노 교회(팔레아로 프라티노 설계), 사사리의 산타 카테리나 교회(비뇨라의 제자 베르나르도니 설계)와 같은 주목할 만한 예가 있다.
반면 바로크 건축은 널리 확산되었고,[212] 칼리아리의 산타나 콜레지아타, 사사리의 산 니콜라 대성당 정면, 칼리아리의 산 미켈레 교회, 그리고 17세기와 18세기 사이에 재건 또는 개조된 칼리아리, 알레스, 오리스타노 대성당 등 흥미로운 예들이 있다.
19세기부터 신고전주의 양식의 새로운 건축 형태가 섬 전역에 퍼졌다. 이 건축 및 도시 계획 단계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는 칼리아리 출신 건축가 가에타노 치마이다.[213] 치마의 작품과 함께 주목할 만한 것은 주세페 코미노티(사사리의 궁전과 시민 극장)와 안토니오 카노(사사리의 산타 마리아 디 베틀렘 돔과 누오로의 산타 마리아 델라 네베 대성당)의 작품이다. 19세기 후반 사사리에는 섬에서 가장 초기의 부흥 양식 건축물 중 하나인 네오 고딕 양식의 지오르다노 궁전(1878년)이 건설되었다.[214]
부흥 양식과 아르누보 양식이 결합된 절충주의 양식의 흥미로운 건축물로는 20세기 초에 완공된 칼리아리 시청이 있다. 파시즘의 등장은 20년대와 30년대에 사르데냐의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214] 그 시대의 흥미로운 성과로는 페르틸리아, 아르보레아의 새로운 중심지와 합리주의 건축의 가장 큰 예 중 하나인 카르보니아 도시가 있다.
사르데냐섬에는 세계유산이 하나 있다. 메디오캄피다노주 바루미니에 있는 수 누라지로, 이 유적은 선사 시대의 석조 건축물인 누라게를 대표하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이러한 문화유산들은 관광 자원이 되고 있다.
8. 2. 예술
다수의 유물은 누라기 이전 시대 사람들의 예술적 표현을 증명하는데, 대표적으로 대지모신상과 기하학적 무늬가 새겨진 토기 등이 있다. 누라기 문명은 수백 개의 청동 소상과 몬테 프라마 거인상을 만들어냈다.[215]누라기 인구와 지중해 전역에서 온 상인들의 결합은 정교한 금 제품, 반지, 귀걸이 및 보석류, 서원비와 벽 장식의 생산으로 이어졌다. 로마인들은 모자이크를 도입하고, 귀족들의 부유한 빌라를 조각과 그림으로 장식했다.[216]
중세 시대, 유디카토 시대 동안 교회 건축은 주두, 석관, 프레스코화, 대리석 제단으로 풍성해졌고, 나중에는 제단화, 카스텔사르도 화가, 피에트로 카바로, 안드레아 루소, 그리고 오지에리 화가라고 불리는 화가 집단의 그림으로 더욱 아름다워졌다.
19세기와 20세기 초, 사르데냐를 방문한 많은 여행자들은 오염되지 않고 시간이 멈춘 섬이라는 신화를 만들었는데, 주세페 비아시, 프란체스코 치우사, 필리포 피가리, 마리오 델리탈라, 스타니스 데시와 같은 사르데냐 예술가들은 이러한 신화를 찬양했다. 그들의 작품은 외부에서 압박하는 근대성에 아직 동화되지 않은 농업-목축 세계의 고유한 가치를 강조했다. 20세기 후반의 다른 중요한 사르데냐 예술가로는 코스탄티노 니볼라, 마리아 라이, 알비노 만카, 피누치오 시올라가 있다.
8. 3. 문학
사르데냐어로 쓰인 최초의 문학 작품은 15세기 후반 사사리(Sassari)의 대주교 안토니오 카노(Antonio Cano)가 성 포르토 토레스(Porto Torres) 순교자들에게 영감을 받아 쓴 시이다. 16세기에는 안토니오 로 프라소(Antonio Lo Frasso)의 ''Los diez libros de Fortuna de Amor''가 미겔 데 세르반테스(Miguel de Cervantes)의 돈키호테에 언급되기도 하였는데, 이 작품은 주로 스페인어로 쓰였지만, 카탈루냐어와 사르데냐어로 쓰인 부분도 있었다.[228] 당시 다국어 사용은 섬 주민들의 특징이었으며, 시기스몬도 아르케르(Sigismondo Arquer), 조반니 프란체스코 파라(Giovanni Francesco Fara) 및 피에트로 델리탈라(Pietro Delitala)가 대표적이다. 제로라모 아라올라(Gerolamo Araolla)는 사르데냐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세 가지 언어로 글을 썼다.[228] 17세기에는 호세 델리탈라 이 카스텔비(José Delitala y Castelvì), 호세프 자트릴라스 비코(Joseph Zatrillas Vico) 시인과 프란체스코 안젤로 데 비코(Francesco Angelo de Vico), 살바토레 비달(Salvatore Vidal) 작가의 스페인어 작품에서 이베리아 세계와의 완전한 통합이 확인된다.
1720년 사르데냐 왕국이 사보이아 왕가로 넘어가면서 이탈리아어가 공용어가 되었다. 19세기에는 조반니 스파노(Giovanni Spano)가 최초의 고고학 발굴을 수행했고, 주세페 만노(Giuseppe Manno)는 섬의 최초의 일반 역사를 기록했으며, 파스쿠알레 톨라(Pasquale Tola)는 과거의 중요한 문서를 출판하고 저명한 사르데냐인들의 전기를 썼다. 알베르토 라 마르모라(Alberto La Marmora)는 섬 전역을 연구하고 ''사르데냐 여행(Voyage en Sardaigne)''이라는 4부작을 집필했다.
20세기 초, 현재까지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유일한 이탈리아 여성인 그라치아 데레다(Grazia Deledda), 엔리코 코스타(Enrico Costa)와 시인 세바스티아노 사타(Sebastiano Satta)가 사르데냐 사회를 묘사했다. 이 시기에는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와 에밀리오 루수(Emilio Lussu)와 같이 정치적인 인물들의 문학적 산출도 주목할 만하다. 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주세페 데시(Giuseppe Dessì)가 ''파에세 돔브레(Paese d'ombre)''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가비노 레다(Gavino Ledda)의 자전적 소설 ''파드레 파드로네(Padre Padrone)''와 살바토레 사타(Salvatore Satta)의 ''일 지오르노 델 주디치(Il Giorno del Giudici)''가 널리 알려졌으며, 세르지오 아체니(Sergio Atzeni)를 비롯한 여러 작가들이 활동하고 있다.[228]
8. 4. 음악
사르데냐는 칸투 아 테노레로 알려진 오래된 성악 폴리포니 형태의 고향이다.[229] 2005년 유네스코는 ''칸투 아 테노레''를 무형 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229] 프랭크 자파, 오넷 콜먼, 피터 가브리엘을 포함한 여러 유명 음악가들이 이에 매료되었다.[229] 피터 가브리엘은 중앙 산악 지역의 비티 마을을 방문하여 그의 리얼 월드 레이블에 비티 테노레 CD를 녹음했다.[229] 코르시카어 ''파지엘라''와 유사하고 종교적인 성격을 띤 ''칸투 아 쿤코르두''로 알려진 다성 음악 스타일도 사르데냐에서 발견된다.[229]또 다른 독특한 악기는 라우네다스이다.[229] 세 개의 갈대관(그중 두 개는 밀랍으로 접착)이 독특한 화성을 만들어내는데, 이티리의 청동 소상에서 볼 수 있듯이 기원전 2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229]
''칸투 아 키테라''(기타 노래) 전통은 예술가들이 서로 경쟁했던 마을 광장에서 시작되었다.[229] 이 장르에서 가장 유명한 가수는 마리아 카르타와 엘레나 레다이다.[229]
사르데냐 문화는 활기차게 살아 있으며, 젊은이들은 자신의 음악과 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229] 2004년, BBC 진행자 앤디 커쇼는 사르데냐 음악 전문가 파블로 파르바와 함께 섬을 여행하며 많은 예술가들을 인터뷰했다.[229] 사르데냐는 안토넬로 살리스, 마르첼로 멜리스, 파올로 프레수와 같은 주목할 만한 재즈 음악가들을 배출했다.[229]
섬의 주요 오페라 하우스는 칼리아리의 테아트로 리리코와 사사리의 테아트로 코무날레이다.[229]
8. 5. 요리
육류, 유제품, 곡물 및 채소는 전통적인 사르데냐 음식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바닷가재(''aligusta''), 새우류(''scampi''), 보타르가(''butàriga''), 오징어, 참치와 같은 해산물도 사용된다.[230] 젖먹이 돼지(''porcheddu'')와 멧돼지(''sirbone'')는 꼬치에 구우거나 콩과 채소를 넣고 빵으로 걸쭉하게 만든 스튜에 삶는다. 박하와 머틀과 같은 허브를 사용한다.[230] 많은 사르데냐 빵은 건조하게 만들어져 습기가 많은 빵보다 오래 보관된다.[230] ''civraxiu'', ''coccoi pintau''(매우 장식적인 빵), 그리고 밀가루와 물만으로 만든 ''pistoccu''를 포함한 빵도 구워 먹는다.[230]사르데냐 요리는 이탈리아 요리 외에도 아랍 및 북아프리카 요리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2010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지중해 식문화"의 일부를 구성한다.
전통 치즈에는 페코리노 사르도, 페코리노 로마노, 카시졸루, 리코타, 그리고 살아있는 곤충 유충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명한 카수 마르추가 있다.[230] 가장 유명한 음식 중 하나는 얇고 바삭한 것으로 유명한 사르데냐의 납작한 빵인 ''파네 카라사우''이다.[231] 원래 이 빵을 만드는 것은 세 명의 여성이 작업해야 하는 힘든 과정이었다.[232]
알코올 음료에는 칸노나우, 말바지아, 베르나치아, 베르멘티노와 같은 많은 토착 와인과 아바르덴테, 필루 페루, 미르토와 같은 다양한 리큐르가 포함된다. 맥주는 가장 많이 마시는 알코올 음료이며, 사르데냐는 이탈리아에서 1인당 맥주 소비량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전국 평균의 두 배).[233] 비라 이크누사는 사르데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맥주이다.
9. 스포츠
칼리아리(Cagliari)는 1920년에 창단되어 이탈리아 1부 리그인 세리에 A(Serie A)에서 활동하는 칼리아리 칼초(Cagliari Calcio)의 연고지이다.[234][235][236] 1969-70 세리에 A(1969–70 Serie A) 시즌 이탈리아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이탈리아 남부 클럽으로서는 최초로 이러한 성과를 달성했다. 현재 홈 경기는 우니폴 도무스(Unipol Domus)에서 치른다. 섬의 다른 주요 팀으로는 올비아(Olbia)의 올비아 칼초와 사사리(Sassari)의 토레스 칼초(Torres Calcio)가 있다. 이 두 팀은 일반적으로 국내 하위 리그에서 활동한다. 그러나 후자의 여자 축구(Women's association football)팀인 토레스 페미닐레는 국내 챔피언 자리에 7번이나 올랐다. 사르데냐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외부의 모든 협회를 위한 축구 연맹인 CONIFA에도 가입했다.
사사리는 이탈리아 프로 농구 최상위 리그인 레가 바스켓 세리에 A에서 활동하는 사르데냐 유일의 프로 농구 클럽인 디나모 바스켓 사사리의 연고지이다.[237] 1960년에 창단되었으며, 사르데냐 은행과의 장기적인 후원 계약으로 디나모 반코 디 사르데냐(Dinamo Banco di Sardegna)로도 알려져 있다. 2010년 레가 A 승격 이후 사사리와 사르데냐 전역의 팬들의 지지를 받으며, 홈 경기는 매 경기 만원 사례를 기록하고 있다. 디나모 사사리는 2015년 코파 이탈리아, 슈퍼코파, 그리고 이탈리아 농구 챔피언십을 우승하며 이탈리아 농구에서 최고의 영예를 안았다.
사르데냐섬의 사사리주에는 모레스 모터 레이싱 서킷이 있는데, 이곳은 이탈리아 자동차 스포츠 연맹(CSAI)과 이탈리아 모터사이클 연맹(IMF)이 승인한 사르데냐 유일의 FIA 공인 서킷이다. 칼리아리에서는 2002년과 2003년에 산텔리아 경기장 주변 2.414km의 도심 서킷에서 포뮬러 3000 경주가 개최되었다. 2003년에는 르노 F1의 자르노 트룰리와 전 페라리 드라이버 장 알레지가 화려한 시범 주행을 선보였다. 그랑프리에서는 BMW-F1 드라이버 로베르트 쿠비차가 F3 차량으로 참가했고, BMW WTCC의 아우구스토 파르푸스, GP2의 파이루즈 파우지와 비탈리 페트로프도 참가했다. 2004년부터 사르데냐에서는 FIA 월드 랠리 챔피언십 일정에 포함된 랠리 대회인 이탈리아 사르데냐 랠리가 개최되고 있다.
사르데냐 섬은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 활동으로 유명하다. 카프레라 섬에는 1967년에 설립된 지중해 최대 규모의 요트 학교 중 하나로 여겨지는 ''Centro Velico Caprera''가 있다. 포르토 체르보에 위치하고 1967년에 설립된 요트 클럽 코스타 스메랄다(Yacht Club Costa Smeralda)는 섬의 주요 요트 클럽이다. 매년 섬에서는 슈퍼요트 레가타, 맥시 요트 롤렉스컵(Rolex Cup)이 개최된다. 루이비통 트로피의 일부는 2010년 마달레나 제도(Maddalena archipelago)에서 개최되었다. ''Vento di Sardegna''(사르데냐의 바람)는 사르데냐 자치주가 후원한 요트였다. 선장 안드레아 무라(Andrea Mura)는 2013년 단독 무선 대서양 레이스(Single-Handed Trans-Atlantic Race)에서 우승했다. 팔라우 북쪽의 포르토 폴로(Porto Pollo)는 윈드서핑과 카이트서핑으로 유명한 만이다. 칼리아리(Cagliari)에서는 RC44 챔피언십, 파르 40(Farr 40) 세계 선수권 대회, 아우디 메드컵(Audi MedCup) 및 카이트 챔피언십과 같은 국제 레가타가 정기적으로 개최된다.[238]
제나르젠투 산맥에는 4개의 스키 리조트가 있다.[240] ''시스트룸파''(S'Istrumpa)는 사르데냐식 레슬링으로 알려진 사르데냐의 전통 스포츠이며, 이탈리아 국가 올림픽 위원회(C.O.N.I.)와 국제 켈트 레슬링 연맹(I.F.C.W.)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다.[241] 사르데냐는 오랜 역사의 승마 전통을 자랑하며, 이탈리아 지역 중에서 가장 많은 승마 인구(인구의 29%)를 보유하고 있다.[242] 또한 훌륭한 다트 전통을 자랑하는데, 많은 사람들은 이것이 15세기 후반 이탈리아의 사사리(Sassari) 지역에서 유래했다고 믿는다.
10. 교통
사르데냐에는 3개의 국제공항과 2개의 지방공항이 있다.[187] 에어 이탈리아(구 메리디아나)의 본사는 올비아에 있었다.[187]
알게로-페르틸리아 공항, 올비아-코스타 스메랄다 공항, 칼리아리-엘마스 공항 등 3개의 국제공항은 이탈리아 주요 도시와 영국, 프랑스, 스페인, 독일 등 유럽의 여러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187] 오리스타노-페노수 공항과 토르톨리-아르바탁스 공항 등 2개의 지역 공항도 있다.[187] 사르데냐 공항 간 국내선 연결편은 칼리아리-올비아 노선의 하루 1회 운항으로 제한적이다.[187] 사르데냐 주민들은 로마와 밀라노행 항공권 할인 혜택을 받고 있으며, 여러 저가 항공사들이 운항하고 있다.[187]
사르데냐 섬을 운항하는 페리 회사는 티레니아 디 나비가치오네, 모비 라인스, 코르시카 페리스-사르데냐 페리스, 그란디 나비 벨로치, 그리말디 라인스, 코르시카 리네아 등이며,[187] 이들은 사르데냐의 항구 도시인 포르토 토레스, 올비아, 골포 아란치, 아르바탁스, 산타 테레사 갈루라, 칼리아리를 이탈리아의 치비타베키아, 제노바, 리보르노, 나폴리, 팔레르모, 트라파니, 피옴비노, 프랑스의 마르세유, 툴롱, 보니파시오(코르스뒤쉬드) 프로프리아노, 아작시오, 그리고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와 연결한다.[187]
카론테 & 투리스트와 델코마르는 사르데냐 본섬과 라 마달레나 섬과 산 피에트로 섬을 연결한다.[187] 사르데냐 해안에는 약 40개의 관광 항구가 있다.[187]
사르디니아는 이탈리아에서 유일하게 고속도로(아우토스트라다)가 없는 지역이지만,[187] 주요 도시와 주요 공항 및 항구를 연결하는 '슈퍼스트라데'(superstrade, '슈퍼 도로')라 불리는 유료 도로가 아닌, 왕복 2차선 도로 시스템을 갖춘 도로망이 잘 발달되어 있다.[187] 제한 속도는 시속 90km/h 또는 110km/h이다.[187] 주요 도로는 섬의 남쪽과 북쪽을 연결하고, 포르토 토레스와 칼리아리의 가장 역사적인 지역을 통과하는 SS131 "카를로 펠리체"이며, 유럽 도로 E25의 일부이다.[187] SS 131 d.c.n은 내륙 누오로 지역을 가로질러 오리스타노와 올비아를 연결한다.[187] 다른 고용량 교통을 위한 도로는 사사리와 알게로, 사사리와 템피오 파우사니아, 사사리 – 올비아, 칼리아리 – 토르톨리, 칼리아리 – 이글레시아스, 누오로 – 란우세이를 연결한다.[187]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은 모든 교차로를 제거하여 주요 노선을 고속도로 표준으로 전환하는 것이다.[187] 내륙과 산악 지역의 2차 도로는 일반적으로 좁고 많은 헤어핀 커브가 있어 제한 속도가 매우 낮다.[187]
대중교통 버스는 매일 적어도 한 번은 모든 도시와 마을에 도착한다.[187] 그러나 인구 밀도가 낮기 때문에 가장 작은 지역은 자동차로만 접근할 수 있다.[187] 사르디니아 지역 버스 운송 기관은 Azienda Regionale Sarda Trasporti(ARST)이다.[187] 도시 버스 네트워크는 주요 도시(칼리아리, 이글레시아스, 오리스타노, 알게로, 사사리, 누오로, 카르보니아, 올비아)를 운행한다.[187]
사르디니아에는 1,295,462대의 차량이 운행되고 있으며, 이는 인구 1,000명당 613대에 해당한다.[187]
사르데냐 철도 시스템은 19세기부터 웨일스의 엔지니어인 벤자민 피어시에 의해 개발되었다.[187]
현재 두 개의 다른 철도 운영업체가 있다.[187]
- 트렌이탈리아: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와 주요 항구를 연결한다.[187] 이 네트워크는 섬에서 가장 현대적인 네트워크이며, 주로 ''알스톰 미누에토''와 같은 디젤 기관차와 2015년부터 사르데냐 철도 네트워크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더 빠른 경사면 열차 CAF ATR365 및 ATR 465를 운행한다.[188]
- ARST: 열차는 협궤 선로를 운행하며, 노선의 굴곡 때문에 일반적으로 느리다.[187] 다만, 사사리와 카리아리의 대도시 지역에서 운행되는 전철화된 트램트레인은 예외이다.[187]
''트레니노 베르데''(''작은 녹색 기차'')는 ARST가 운영하는 철도 관광 서비스이다.[187] 빈티지 레일카와 증기 기관차는 섬의 가장 야생 지역을 통과한다.[187] 이를 통해 여행객들은 주요 도로에서는 볼 수 없는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187]
11. 한국과의 관계 (더불어민주당 관점)
참조
[1]
웹사이트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demo.istat.it[...]
2022-06-00
[2]
웹사이트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demo.istat.it[...]
2019-07-26
[3]
웹사이트
Population on 1 January by age, sex and NUTS 2 region
https://ec.europa.eu[...]
[4]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23-03-05
[5]
웹사이트
erasmus-plus.ec.europa.eu
https://erasmus-plus[...]
[6]
웹사이트
Statuto -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https://www.regione.[...]
[7]
간행물
Delibera della Giunta regionale del 26 giugno 2012
http://www.regione.s[...]
[8]
웹사이트
Norme in materia di tutel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storiche
http://www.parlament[...]
Italian Parliament
[9]
웹사이트
Legge Regionale 15 ottobre 1997, n. 26 -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http://www.regione.s[...]
2013-09-30
[10]
웹사이트
Legge Regionale 3 Luglio 2018, n. 22
http://www.regione.s[...]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 Regione Autònoma de Sardigna
2021-09-14
[11]
서적
Montagne di Sardegna
[12]
웹사이트
Altro che Seychelles: le 5 spiagge caraibiche d'Italia
https://www.thewisem[...]
2024-05-08
[13]
서적
Sardegna, quasi un continente
Cagliari
[14]
웹사이트
Sardegna quasi un continente
http://www.sardegnad[...]
2018-09-25
[15]
웹사이트
Archeologia Nuragica: Sul nome Sardigna
http://archeologianu[...]
2010-08-09
[16]
서적
Platonis dialogi, scholia in Timaeum
Lipsia
[17]
서적
La Lingua dei Sardi Nuragici e degli Etruschi
Sassari
[18]
웹사이트
sardi in "Dizionario di Storia"
http://www.treccani.[...]
[19]
웹사이트
SARDI in "Enciclopedia Italiana"
http://www.treccani.[...]
[20]
웹사이트
ARCHIVIO. Nuovo studio dell'archeologo Ugas: "È certo, i nuragici erano gli Shardana"
https://www.sardinia[...]
2017-02-03
[21]
웹사이트
SP INTERVISTA>GIOVANNI UGAS: SHARDANA
http://www.sardiniap[...]
2010-06-17
[22]
웹사이트
La certezza degli accademici egiziani: "Gli shardana erano i nuragici sardi"
https://www.sardinia[...]
SardiniaPost
2019-01-25
[23]
웹사이트
Personaggi - Sardo
http://www.aristeo.o[...]
2016-08-16
[24]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https://www.perseus.[...]
[25]
서적
Σανδαλιῶτις; ἡ Σαρδὼ πάλαι.
[26]
논문
Unveiling the Enigmatic Origins of Sardinian Toponyms
2022
[27]
백과사전
Balearic Sea
http://www.eoearth.o[...]
National Council for Science and the Environment
[28]
논문
Review of the Ediacaran-Lower Ordovician (pre-Sardic) stratigraphic framework of the Eastern Pyrenees, southwestern Europe
https://www.research[...]
[29]
논문
Bioclimate map of Sardinia (Italy)
https://figshare.com[...]
2015-10-23
[30]
웹사이트
Cyclone Cleopatra Submerges Parts of Sardinia
http://www.earthweek[...]
[31]
웹사이트
Località più secche
http://www.sardegna-[...]
[32]
웹사이트
Il clima della Sardegna
http://www.paradisol[...]
[33]
웹사이트
Tabelle climatiche 1971–2000 della stazione meteorologica di Cagliari-Elmas
http://clima.meteoam[...]
Servizio Meteorologico dell'Aeronautica Militare
[3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Cagliari, Italy
http://www.weather.g[...]
Hong Kong Observatory
[35]
서적
Cagliari, Edizioni Della Torre
[36]
논문
When Did the Nuragic Period in Sardinia End
[37]
서적
La storia di Sardegna, I, Evo Antico Sardo : Dalla Sardegna Medio-Nuragica (100 a.C. c.) alla Sardegna Bizantina (900 d.C. c.)
[38]
서적
Epistula ad Hospitonem
[39]
논문
The late Pleistocene to Holocene palaeogeographic evolution of the Porto Conte area: Clu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human colonization of Sardinia and faunal dynamics during the last 30 ka
https://linkinghub.e[...]
2017-05-00
[40]
논문
Your path led through the sea … The emergence of Neolithic in Sardinia and Corsica
https://linkinghub.e[...]
2018-03-00
[41]
논문
Genetic history from the Middle Neolithic to present on the Mediterranean island of Sardinia
2020-02-24
[42]
서적
L'alba dei Nuraghi
[43]
간행물
Nuraghes and nuraxis
[44]
웹사이트
SP INTERVISTA>GIOVANNI UGAS: SHARDANA
http://www.sardiniap[...]
2010-06-17
[45]
서적
De Bello Gildonico
[46]
서적
La Sardegna romana
Chiarella
[47]
웹사이트
Sardinia - Province of the Roman Empire
http://www.unrv.com/[...]
2017-07-18
[48]
서적
The Vandal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9]
웹사이트
This domain was registered by Youdot.io
http://www.provincia[...]
[50]
웹사이트
Sardinia - History of Sardinia
http://www.sardegna.[...]
2017-07-18
[51]
서적
Toponomastica barbaricina. Microtoponomastica dei comuni di Fonni, Gavoi, Lodine, Mamoiada, Oliena, Ollolai, Olzai, Orgósolo, Ovodda
Insula Edizioni
[52]
서적
Epistolae, Liber Quartus, Epistola XXIII: "Ad Hospitonem ducem barbaricinorum
[53]
서적
Sardinia and the Sardes
R. Bentley and Son
[54]
서적
Medieval European Coin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논문
Byzantine Sardinia between West and East: Features of a Regional Culture
2004-12-16
[56]
서적
A Companion to Byzantine Italy
https://books.google[...]
Brill
[57]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58]
서적
The Making of Medieval Sardinia
https://books.google[...]
Brill
[59]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60]
서적
Siculo Arab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61]
서적
Malta, Mediterranean Bridg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62]
서적
A Political Chronology of Afric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63]
서적
A Companion to Sardinian History, 500–1500
https://books.google[...]
Brill
[64]
서적
Scultura mediobizantina in Sardegna
Poliedro
[65]
서적
Annales
MGH, Scriptores, Hannoverae
[66]
서적
Crónica del califa 'Abd ar-Rahmân III an-Nâsir entre los años 912–942,(al-Muqtabis V)
Madrid
942-08-24
[67]
서적
Constantini Porphyrogeniti Imperatoris De Ceremoniis Aulae Byzantinae libri duo graece et latini e recensione Io. Iac. Reiskii cum eiusdem commentariis integris. Corpus Scriptorum Historiae Byzantinae 1
Weber
[68]
논문
Mochéid, conquistador de Cerdeña, in Centenario della nascita di Michele Amari. Scritti di filologia e storia araba; geografia, storia, diritto della Sicilia medioevale; studi bizantini e giudaici relativi all'Italia meridionale nel medio evo; documenti sulle relazioni fra gli Stati italiani e il Levante
Palermo
[69]
서적
Annales pisani
MGH, Scriptores, 19, Hannoverae
1017-00-00
[70]
서적
Almanacco scolastico della Sardegna
[71]
서적
La carta de logu d'Arborea nella storia del diritto medievale e moderno
Laterza
[72]
웹사이트
Sardegna Cultura - Lingua sarda - Letteratura - Dalle origini al '700
https://web.archive.[...]
2016-10-17
[73]
웹사이트
Sardinia, Italy, Drive – National Geographic Traveler
https://web.archive.[...]
Traveler.nationalgeographic.com
2010-04-23
[74]
서적
Archaeology and history in Sardinia from the Stone Age to the Middle Ages: shepherds, sailors & conquerors
UPenn Museum of Archaeology
[75]
서적
The phonology of Campidanian Sardinian : a unitary account of a self-organizing structure
Holland Academic Graphics
[76]
서적
S'italianu in Sardìnnia
Iskra
[77]
웹사이트
La limba proibita nella Sardegna del '700
https://www.meilogun[...]
2013-07-11
[78]
웹사이트
La Maddalena, February 1793
http://www.napoleon-[...]
[79]
서적
Sardinia
[80]
서적
Idee di Sardegna
Carocci Editore
[81]
서적
Christian Slaves, Muslim Masters: White Slavery in the Mediterranean, the Barbary Coast and Italy, 1500–1800
https://books.google[...]
[82]
뉴스
Nel 1815 difese l'isola dagli assalti barbareschi Sant'Antioco, una targa in ricordo dell'eroe Efisio Melis Alagna
https://web.archive.[...]
2013-11-29
[83]
서적
La Sardegna e i sardi nel tempo
Arkadia
[84]
웹사이트
29 novembre 1847: la Fusione perfetta, una data infausta per i Sardi e la Sardegna su Truncare sas cadenas
http://blog.libero.i[...]
2014-05-07
[85]
웹사이트
Editto delle chiudende 1820: una pagina di conflittualità nella storia sarda. | SardegnaForeste
https://www.sardegna[...]
[86]
웹사이트
A su connottu: la ribellione del 1868 – Contus Antigus
http://www.contusu.i[...]
2014-05-07
[87]
웹사이트
Su Connottu, la rivolta nuorese contro i Savoia – I love Sardinia
http://love.sardegne[...]
2005-11-14
[88]
웹사이트
Storia delle foreste demaniali
https://web.archive.[...]
Sardegna Foreste
2021-06-26
[89]
서적
Colpi di scure e sensi di colpa. Storia del disboscamento della Sardegna dalle origini a oggi
Carlo Delfino editore
[90]
서적
The Regions of Italy. A Reference Guide to History and Culture
Greenwood Press
[91]
서적
L'armistizio del settembre 1943 in Sardegna
Rispoli
[92]
서적
Lonely Planet Sardinia
Lonely Planet Publications
[93]
논문
Military pollution in no war zone: The military representation in the local media
https://iris.unica.i[...]
2017-04-04
[94]
웹사이트
Dark truth behind Sardinia's sun tans
http://www.news.com.[...]
2015-11-06
[95]
웹사이트
Sardinia: Militarization, Contamination and Cancer in Paradise
https://web.archive.[...]
[96]
웹사이트
BC-US—Stock Prices, US
https://web.archive.[...]
2014-10-08
[97]
웹사이트
Ambiente e territorio
http://www.regione.s[...]
[98]
웹사이트
Sardinia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Document to be presented to the European Left University, Berlin 2014
http://www.enricolob[...]
[99]
웹사이트
Silenzio di piombo: le basi militari in Sardegna e quelle morti senza risposte
http://espresso.repu[...]
2016-03-01
[100]
서적
Aggression in Global Perspective
[101]
서적
Sardegna Criminale
Newton Compton
[102]
웹사이트
Sardinia, a political laboratory
https://web.archive.[...]
GNOSIS, Italian Intelligence Magazine
2011-12-09
[103]
서적
The Dynamics of Subversion and Violence in Contemporary Italy
Hoover Institution Press
[104]
서적
Il codice barbaricino
Davide Zedda Editore
[105]
서적
Il codice barbaricino
Davide Zedda Editore
[106]
웹사이트
Archivio Corriere della Sera
http://archiviostori[...]
[107]
웹사이트
Sardegna prima per superficie forestale e assorbimento di Co2
http://www.sardegnaa[...]
2007-05-00
[108]
웹사이트
Sardegna in cifre 2012
http://www.unionesar[...]
2013-08-21
[109]
웹사이트
Incendi, bollettino Forestale: "Sardegna tra le regioni italiane più colpite"
https://www.sardinia[...]
2016-08-15
[110]
웹사이트
Sardinia: A natural lab for renewable energy
http://www.sardegnar[...]
Sardegna Ricerche
2010-04-23
[111]
웹사이트
L'energia del vento
https://web.archive.[...]
Aper GrandEolico
2021-06-26
[112]
논문
Ancient introductions of mammals in the Mediterranean Basin and their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2006-01-00
[113]
저널
The Endemic Vascular Flora of Sardinia: A Dynamic Checklist with an Overview of Biogeography and Conservation Status
2022-02-23
[114]
웹사이트
Sardinian Insects
https://www.neperos.[...]
2017-03-05
[115]
간행물
Catalogue of the spiders (Arachnida Araneae) of Sardinia
2013-00-00
[116]
저널
How correct is any chronological ordering of the Quaternary Sardinian mammalian assemblages?
https://linkinghub.e[...]
2014-04-00
[117]
저널
Radiocarbon and U-series dating of the endemic deer Praemegaceros cazioti (Depéret) from "Grotta Juntu", Sardinia
2007-05-00
[118]
저널
Asynchronous ecological upheavals on the Western Mediterranean islands: New insights on the extinction of their autochthonous small mammals
http://journals.sage[...]
2022-03-00
[119]
간행물
Mesolithic environment and animal exploitation on Cyprus and Sardinia/Corsica
IVA (Paris)
2000-00-00
[120]
웹사이트
Eleonora's falcon
http://www.cretanbea[...]
2012-07-20
[121]
웹사이트
Gruppo Mela
http://issuu.com/fot[...]
Issuu.com
2010-04-08
[122]
웹사이트
Alberghieturismo.it
http://www.alberghie[...]
Alberghieturismo.it
[123]
웹사이트
Parks – What's on offer – Sardinia Tourism
https://web.archive.[...]
Sardegnaturismo.it
2010-04-23
[124]
웹사이트
Parco Geominerario Storico e Ambientale della Sardegna
https://web.archive.[...]
[125]
웹사이트
Analfabetismo Italia – Censimento 2001
http://www.edscuola.[...]
[126]
웹사이트
Sardegna Statistiche - Home page
http://www.sardegnas[...]
[127]
웹사이트
Sardegna Statistiche – Statistiche – Consulta le statistiche – Argomenti
http://www.sardegnas[...]
[128]
웹사이트
Bambini, ecco quanto pesa la povertà educativa sull'infanzia in Italia
http://www.repubblic[...]
[129]
웹사이트
Sardegna Statistiche – Statistiche – Consulta le statistiche – Argomenti
http://www.sardegnas[...]
[130]
웹사이트
Cagliari, cresce il reddito pro capite E' al 13° posto nella classifica nazionale – Cronache dalla Sardegna – L'Unione Sarda.it
http://www.unionesar[...]
[131]
웹사이트
GDP per capita in EU regions: Regional GDP per capita ranged from 30% to 263% of the EU average in 2018
https://ec.europa.eu[...]
Eurostat
2020-03-05
[132]
웹사이트
La Sardegna prepara il suo primo deposito di Gnl
http://www.ilsole24o[...]
[133]
웹사이트
Dal 2018 via all'erogazione del metano in Sardegna. Stoccaggio in 38 bacini
https://www.sardinia[...]
2016-08-11
[134]
웹사이트
Sardinia will become a net-zero island as soon as 2030 and this is how: Enel boss
https://www.recharge[...]
2021-07-21
[135]
웹사이트
Sardegna: zona franca, al via i gruppi lavoro in Regione – – Libero Quotidiano
http://www.liberoquo[...]
Liberoquotidiano.it
2013-02-18
[136]
웹사이트
Sardegna diventerà zona franca: addio all'Iva?
http://news.supermon[...]
News.supermoney.eu
2013-02-26
[137]
웹사이트
Sardegna zona franca?
https://web.archive.[...]
Dgmag.it
2013-02-25
[138]
웹사이트
Sardegna punta a zona franca integrale – Sardegna
http://www.ansa.it/w[...]
ANSA.it
[139]
웹사이트
Sardegna: eliminata l'iva, diventa zona franca
http://www.worky.biz[...]
Worky.biz
2013-02-21
[140]
웹사이트
Crollo del lavoro in Sardegna Il tasso di disoccupazione è al 14,6% – Cronache dalla Sardegna – L'Unione Sarda.it
http://www.unionesar[...]
[141]
웹사이트
Istat, disoccupazione cala del 3,4% - Sardegna
http://www.ansa.it/s[...]
2018-12-13
[142]
웹사이트
Disoccupazione cala a livelli pre-crisi: tasso femminile sotto media nazionale
https://www.sardinia[...]
2018-12-13
[143]
웹사이트
Lavoro: Sardegna, 25 mila occupati in piu'; disoccupazione all'11%
http://www.regioni.i[...]
2018-12-13
[144]
웹사이트
Disoccupati in calo nell'Isola: "24mila posti di lavoro in più" VIDEO
https://www.unionesa[...]
2018-12-13
[145]
웹사이트
Sardegna, disoccupazione cala all'11,2%. Pigliaru rivendica risultati: "Tornati a livelli pre-crisi"
https://www.cagliari[...]
2018-12-13
[146]
웹사이트
Banca d'Italia – Valore aggiunto e PIL per settore di attività economiche
https://web.archive.[...]
Banca d'Italia
2013-10-16
[147]
웹사이트
Statistiche Istat
http://dati-censimen[...]
[148]
웹사이트
Situazione degli invasi -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http://www.regione.s[...]
[149]
간행물
Tavola C02 – Superficie (ettari) e produzione (quintali): riso, mais, sorgo, altri cereali
http://agri.istat.it[...]
Istat
2011
[150]
간행물
L'arte casearia in Anglona tra storia e attualità
www.sardegnaagricolt[...]
ERSAT
[151]
간행물
Razze equine
Regione Sardegna
[152]
웹사이트
Turin Marathon presenta Horse Country, il resort che è stato il premio principale della Kappa Marathon 2013
http://www.lastampa.[...]
2013-07-23
[153]
웹사이트
Home
http://www.carbosulc[...]
Carbosulcis
2021-06-26
[154]
웹사이트
Riapre la ex Keller di Villacidro: la produzione riprenderà entro il 2013
http://www.sardiniap[...]
2013-09-04
[155]
웹사이트
La Keller Elettromeccanica ha riaperto i battenti
http://www.villacidr[...]
2013-09-04
[156]
웹사이트
Rheinmetall Defence - RWM Italia
https://www.rheinmet[...]
[157]
웹사이트
Armi, export in crescita in Sardegna. L'Isola terra promessa dell'industria bellica?
http://www.sardiniap[...]
2016-04-06
[158]
웹사이트
Nasce Distretto aerospaziale Sardegna. Cappellacci "Opportunità unica per attrarre investimenti" -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http://www.regione.s[...]
[159]
웹사이트
Nasce ufficialmente il Distretto aerospaziale sardo
http://www.sardegnar[...]
[160]
뉴스
L'ultimo sogno è aerospaziale
http://lanuovasardeg[...]
2013-03-04
[161]
웹사이트
Vitrociset and LM signed a MoA to start production of the 54 Carts under the F-35 JSF aircraft programme
http://www.avionews.[...]
2014-02-14
[162]
웹사이트
CARTs – Vitrociset
http://www.vitrocise[...]
2022-06
[163]
웹사이트
matrica: green chemicals
http://www.eni.com/i[...]
[164]
웹사이트
6452-BARCLAY6452-BARCLAYICIS Login
https://id.icis.com/[...]
[165]
웹사이트
Airpod, la prima auto ad aria compressa, trova casa in Sardegna.
http://www.tuttogree[...]
2013-10-27
[166]
웹사이트
AirPod, a Bolotana la prima fabbrica dell'auto ad aria compressa – VIDEO
http://www.cagliarip[...]
[167]
웹사이트
Airpod, a Bolotana la prima auto ad aria compressa made in Sardegna
http://www.sardegnao[...]
[168]
웹사이트
Air-Pod auto ad aria compressa, verso produzione in Sardegna - Industria e Mercato - Motori - ANSA.it
https://www.ansa.it/[...]
2013-09-20
[169]
웹사이트
Il turismo in Sardegna è cresciuto anche nel 2008 –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http://www.regione.s[...]
Regione.sardegna.it
[170]
뉴스
Pietro Zanarini and the first Italian website
http://www.repubblic[...]
2016-04-29
[171]
뉴스그룹
WebMail – Source code release
1995-03-30
[172]
서적
Sbatti il Web in prima pagina: dati e opinioni
https://books.google[...]
FrancoAngeli
[173]
웹사이트
Next, quando vent'anni fa a Cagliari si "inventarono" il web
https://luna.blogaut[...]
[174]
웹사이트
Perché la Sardegna è la seconda regione per investimenti in startup (e perché c'entra il mare)
https://startupitali[...]
2016-07-15
[175]
웹사이트
Startup: in Sardegna 143 aziende innovative, tra software e informazione. Ma l'Italia è fanalino di coda
http://www.unionesar[...]
2016-05-04
[176]
웹사이트
Sardegna
https://borghipiubel[...]
2017-01-10
[177]
웹사이트
Borghi più belli d'Italia. Le 14 novità 2023, dal Trentino alla Calabria
https://www.repubbli[...]
2023-01-16
[178]
웹사이트
I Borghi più belli d'Italia, la guida online ai piccoli centri dell'Italia nascosta
http://borghipiubell[...]
2018-05-03
[179]
웹사이트
L'Isola al centro del Mediterraneo per le telecomunicazioni satellitari
https://web.archive.[...]
2022-03-24
[180]
웹사이트
Less is More
https://zanarini.wor[...]
[181]
웹사이트
Il peso di Internet sull'economia italiana
https://web.archive.[...]
2011-04-13
[182]
웹사이트
In Sardegna l'Adsl più veloce d'Italia. Ma in Italia solo lo 0,1% delle linee è sopra i 30 mega
https://web.archive.[...]
2013
[183]
웹사이트
Sardi primi Italia rete mobile veloce -
https://www.ansa.it/[...]
2017-08-31
[184]
웹사이트
A Pula la ricerca parla (anche) cinese: inaugurato il centro Huawei/Crs4
https://www.sardinia[...]
2016-12-20
[185]
웹사이트
Digitale Terrestre Parte in Sardegna lo switch-off
http://www.nonsoloci[...]
NonSoloCinema
2008-10-15
[186]
웹사이트
Tariffe trasporto aereo
https://www.sardegna[...]
2023-12-07
[187]
웹사이트
Statistiche numero auto, moto e veicoli commerciali in Italia
http://www.comuni-it[...]
[188]
웹사이트
Regional Train Sardinia
http://www.caf.es/en[...]
[189]
웹사이트
Numero medio di figli per donna per regione 2002–2005
http://demo.istat.it[...]
[190]
웹사이트
Tassi generici di natalità, mortalità e nuzialità per regione 2002–2005
http://demo.istat.it[...]
[191]
웹사이트
La Sardegna che rischia l'estinzione Ecco i trenta paesi "fantasma" – Cronache dalla Sardegna – L'Unione Sarda.it
http://www.unionesar[...]
2014-01-21
[192]
웹사이트
Spopolamento, nel 2080 la Sardegna avrà solo un milione di abitanti
https://www.lanuovas[...]
La Nuova Sardegna
[193]
웹사이트
Nel 2066 isola spopolata come nel dopoguerra
https://web.archive.[...]
La Nuova Sardegna
2019-11-16
[194]
간행물
ISTAT – INDICATORI DEMOGRAFICIStime perl'anno 2015
[195]
웹사이트
Cittadini stranieri 2023 - Sardegna
https://www.tuttital[...]
2024-05-08
[196]
웹사이트
Population on 1 January by age groups and sex - functional urban areas
http://appsso.eurost[...]
Eurostat
2021-06-26
[197]
웹사이트
January 2016
https://web.archive.[...]
2021-06-26
[198]
웹사이트
Cagliari metropolitan area
[199]
웹사이트
Legge regionale approvata il 27 gennaio 2016
https://web.archive.[...]
Consiglio regionale della Sardegna
2017-10-15
[200]
웹사이트
Sardinians protest island's "military occupation"
https://www.national[...]
Nationalia
[201]
논문
“‘A Foras, Out’: Youth Antimilitarism Engagement in Sardinia
www.jstor.org/stable[...]
JSTOR
2021-02-09
[202]
웹사이트
Cosa sono le servitù -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https://web.archive.[...]
2016-11-24
[203]
웹사이트
Sardegna, il lato oscuro di un paradiso: è l'isola più militarizzata d'Europa
http://www.today.it/[...]
2014-05-04
[204]
서적
Una ferita italiana. I veleni e i segreti delle basi NATO in Sardegna: l'inquinamento radioattivo e l'omertà delle istituzioni
Ponte alle Grazie
[205]
웹사이트
Secret Sardinia
https://web.archive.[...]
Al Jazeera
2020-02-06
[206]
뉴스
Italian military officials' trial ignites suspicions of links between weapon testing and birth defects in Sardinia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9-01-29
[207]
방송
Secret Sardinia
https://www.abc.net.[...]
2019-01-29
[208]
웹사이트
Architettura
https://web.archive.[...]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2014-10-17
[209]
웹사이트
Una civiltà architettonica di alto livello
https://web.archive.[...]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2014-10-17
[210]
서적
Architettura romanica dalla metà del Mille al primo '300
https://web.archive.[...]
Ilisso
2018-03-18
[211]
웹사이트
Cagliari, Santuario della Madonna di Bonaria
https://web.archive.[...]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2014-10-17
[212]
웹사이트
Barocchi
http://www.sardegnac[...]
Regione Sardegna
2011-03-01
[213]
웹사이트
Gaetano Cima
https://web.archive.[...]
Regione Sardegna
2011-03-01
[214]
웹사이트
Le città di fondazione fascista
https://web.archive.[...]
Regione Sardegna
2011-03-01
[215]
웹사이트
Arte
https://web.archive.[...]
Regione Sardegna
2014-09-29
[216]
웹사이트
Arte romana
https://web.archive.[...]
Regione Sardegna
2014-09-29
[217]
간행물
UNESCO
2008
[218]
웹사이트
Le Lingue dei Sardi: Una ricerca sociolinguistica
https://www.regione.[...]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2007-01
[219]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Sardinian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2013-03-28
[220]
서적
Story of Language
https://archive.org/[...]
Lippincott
[221]
법률
Legge Regionale n. 26
1997-10-15
[222]
웹사이트
Legge 482
http://www.parlament[...]
[223]
웹사이트
Limba Sarda Comuna: Norme linguistiche di riferimento a carattere sperimentale per la lingua scritta dell'Amministrazione regionale
http://www.regione.s[...]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2021-06-26
[224]
서적
Bilingualism and Linguistic Conflict in Romanc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3-06-15
[225]
서적
S'italianu in Sardìnnia candu, cumenti e poita d'ant impostu : 1720-1848; poderi e lìngua in Sardìnnia in edadi spanniola
Iskra
[226]
뉴스
Per salvare i segni dell'identità – di Paolo Coretti
La Nuova Sardegna
2010-11-04
[227]
웹사이트
La lingua italiana, i dialetti e le lingue straniere. Istat, 2006
https://web.archive.[...]
2016-03-21
[228]
웹사이트
Letteratura
http://www.sardegnac[...]
2022-11-08
[229]
웹사이트
BBC Radio 3 - Andy Kershaw, Corsica and Sardinia
https://www.bbc.co.u[...]
[230]
서적
[231]
웹사이트
No Reservations- Sardinia
https://www.youtube.[...]
2009-09-14
[232]
웹사이트
Flavors of Sardinia: Roasted Cheese, Bitter Honey
http://www.theprimal[...]
2012-05-17
[233]
뉴스
Birra, la bionda che fa girare la testa ai sardi: consumo record nell'isola – Regione – la Nuova Sardegna
http://lanuovasardeg[...]
2015-07-28
[234]
웹사이트
Sardinia joins CONIFA – with aims to build the Sardinian national football team
https://web.archive.[...]
[235]
웹사이트
Una Nazionale della Sardegna? L'Ok della Conifa
https://sport.sky.it[...]
2018-10-10
[236]
웹사이트
Nasce la Nazionale sarda: la federazione isolana è stata accolta dal Conifa
https://www.unionesa[...]
2018-10-10
[237]
뉴스
Dinamo Sassari nella storia: campione d'Italia e Triplete!
http://sport.sky.it/[...]
Sky Sport
2015-06-26
[238]
웹사이트
Kite Foil World Championship 2017 in Cagliari, Sardinia
https://www.kitegene[...]
2017-10-09
[239]
웹사이트
Luna Rossa Prada Pirelli Team
https://www.lunaross[...]
[240]
웹사이트
Bruncu Spina – Neve e Sci in Sardegna
https://web.archive.[...]
[241]
웹사이트
International Federation of Celtic wrestling
http://celtic-wrestl[...]
Celtic-wrestling.tripod.com
2010-04-23
[242]
웹사이트
Ricerca Ispo conferma che la Sardegna è la regione più equestre d' Italia
https://web.archive.[...]
[243]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 (Kmq) - Sardegna (dettaglio provinci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2-11-04
[244]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n 1st January 2011 by sex and marital status
http://demo.istat.it[...]
2012-11-04
[245]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09
[246]
웹사이트
La lingua italiana, i dialetti e le lingue stranieri
http://www.istat.it/[...]
2012-11-03
[247]
웹사이트
自撮りでけんか、水浴びも 伊「トレビの泉」の悩み
https://www.cnn.co.j[...]
CNN
2018-08-31
[248]
웹사이트
Tabelle climatiche 1971–2000 della stazione meteorologica di Cagliari-Elmas
http://clima.meteoam[...]
Servizio Meteorologico dell'Aeronautica Militare
[249]
웹사이트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Cagliari, Italy
http://www.weather.g[...]
Hong Kong Observa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