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화역은 2001년 11월 3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철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으로, 경인선 완행 열차가 정차하며, 급행 열차는 통과한다. 주변에는 아파트 단지, 학교, 공원, 행정복지센터 등이 위치해 있으며, 경인고속도로 도화 나들목과 인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미추홀구의 전철역 - 주안역
주안역은 인천 남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보통역으로 시작해 1호선, 2호선 개통을 거치며 성장했고, 다양한 시설 접근성이 좋으며 2024년 역명 변경 예정이다. - 인천 미추홀구의 전철역 - 제물포역
제물포역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57년 숭의역으로 개업하여 195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1974년 전철망에 편입되었으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교상역사이고, 2016년부터 급행열차도 정차하며, 주변에는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와 대학가 상권, 미추홀구청, 인천의료원 등의 공공시설이 있다. - 경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경인선 - 구로역
구로역은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복잡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1974년 보통역으로 승격,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상업시설과 공공기관이 인접해 있다. - 2001년 개업한 철도역 - 이태원역
이태원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으로, 이태원동에 위치하며, 2001년 3월 9일에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를 가지고 있다. - 2001년 개업한 철도역 - 버티고개역
버티고개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에 있는 역으로, 2001년 개통되었으며, 인근의 버티고개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주변에 학교, 아파트, 시장 등이 위치해 있다.
| 도화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위치 정보 | |
| 기본 정보 | |
| 역 이름 | 도화역 |
| 한자 표기 | 道禾驛 |
| 로마자 표기 | Dohwa-yeok |
| 역 번호 | 157 |
| 주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숙골로24번길 9 (도화동 668) |
| 개업일 | 2001년 11월 30일 |
| 운영 정보 |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
| 역 등급 | 3급 |
| 관리역 | 인천역 |
| 승강장 |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
| 운전 | 1.0 km |
| 영업 거리 | 구로 기점 21.5 km |
| 이전 역 | 주안역 |
| 다음 역 | 제물포역 |
| 역사 정보 | |
| 역 구조 | 지상역 (교상역) |
| 개업 이벤트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
| 통계 | |
| 2012년 일일 승객 수 (1호선) | 6,749명 |
| 2018년 승차 인원 | 4,136명 |
| 2018년 승하차 인원 | 7,907명 |
| 기타 | |
![]() | |
![]() | |
2. 역사
(내용 없음)
2. 1. 개요
2001년 11월 3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철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청이 한국철도공사로 전환됨에 따라 소속이 변경되었다. 2009년 12월 1일에는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2. 2. 상세
3. 역 구조
지상역이며, 교상역사를 갖추고 있다.[1][2]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다.[3][4] 모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5] 출구는 총 4개가 있다.[6]
3. 1. 개요
도화역은 지상역이며, 교상역사를 갖추고 있다.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고,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총 4개가 있다.3. 2. 승강장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되어 있는 지상역이며, 교상역사 형태이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개가 있다.| 번선 | 노선 | 종별 | 행선 |
|---|---|---|---|
| 1 | -- 경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 | 부천·광운대역·소요산역 방면 |
| 2 | 급행 | 상행 급행열차 통과선 (평상시 폐쇄) | |
| 3 | 급행 | 하행 급행열차 통과선 (평상시 폐쇄) | |
| 4 | 완행 | 시흥시청역·인천 방면 |
3. 3. 배선도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이며, 교상역사를 갖추고 있다. 급행열차는 정차하지 않고 통과한다.| 번선 | 노선 | 종별 | 행선 |
|---|---|---|---|
| 1 | -- 경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 | 부천·광운대역·소요산역 방면 |
| 2 | 급행 | 상행 급행열차 통과선 (사용 안 함) | |
| 3 | 급행 | 하행 급행열차 통과선 (사용 안 함) | |
| 4 | 완행 | 제물포·인천 방면 |
4. 역 주변
(내용 없음)
4. 1. 개요
도화역 주변에는 동오아파트, 우남아파트, 동원아파트, 나산아파트, 동아아파트 등 주거 시설이 밀집해 있다. 또한 도화초등학교, 인천대화초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등의 교육기관과 청운대학교, 인하대학교와 같은 대학교가 인접해 있다. 인근 편의 시설 및 공공 시설로는 수봉공원, 도화오거리, 도화2·3동 행정복지센터 등이 있으며, 경인고속도로 도화 나들목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4. 2. 상세
역 주변에는 다양한 아파트 단지와 학교, 공원 등이 자리 잡고 있다.- 주거 시설: 동오아파트, 우남아파트, 동원아파트, 나산아파트, 동아아파트 등이 있다.
- 교육 시설: 인천도화초등학교, 인천대화초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인하대학교 등이 가깝다.
- 공공 시설 및 장소: 인근에 수봉공원, 도화오거리, 도화2·3동 행정복지센터가 위치한다.
- 교통 시설: 경인고속도로 도화 나들목이 인접해 있다.
5. 이용객 변동
(내용 없음)
5. 1. 개요
2001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1년 11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32일간의 통계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5]|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 1호선 | 승차 | 미개통 | 4,956 | 4,832 | 5,506 | 4,162 | 4,221 | 3,708 | 4,185 | 4,219 | 3,992 | [5] | ||
| 하차 | 2,603 | 3,901 | 4,723 | 3,641 | 3,662 | 4,221 | 3,728 | 3,783 | 3,681 |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 1호선 | 승차 | 3,660 | 3,564 | 3,540 | 3,729 | 3,829 | 3,873 | 3,864 | 4,051 | 4,136 | 4,257 | 3,096 | 3,518 | [5] |
| 하차 | 3,323 | 3,219 | 3,209 | 3,397 | 3,482 | 3,526 | 3,498 | 3,697 | 3,771 | 3,857 | 2,805 | 3,276 | ||
5. 2. 상세
2001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1년 11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3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일평균 인원이다.| 구분 |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각주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승차 | 미개통 | 4,956 | 4,832 | 5,506 | 4,162 | 4,221 | 3,708 | 4,185 | 4,219 | 3,992 | 3,660 | 3,564 | 3,540 | 3,729 | 3,829 | 3,873 | 3,864 | 4,051 | 4,136 | 4,257 | 3,096 | 3,518 | 3,789 | [4] |
| 하차 | 2,603 | 3,901 | 4,723 | 3,641 | 3,662 | 4,221 | 3,728 | 3,783 | 3,681 | 3,323 | 3,219 | 3,209 | 3,397 | 3,482 | 3,526 | 3,498 | 3,697 | 3,771 | 3,857 | 2,805 | 3,276 | 3,511 |
6. 인접한 역
완행
(연천 방면)
(인천 방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