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버티고개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버티고개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2000년 12월 15일 응암 ~ 상월곡 구간 개통 시 무정차 통과했다가, 2001년 3월 9일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역명은 인근의 버티고개에서 유래되었으며, 상대적으로 고지대에 위치하여 경사형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학교, 아파트, 시장 등이 위치해 있으며, 6호선의 승하차 인원은 감소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중구의 전철역 - 을지로입구역
    을지로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3년 개통하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롯데백화점 본점, 명동 거리 등이 인접해 있다.
  • 서울 중구의 전철역 - 명동역
    명동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의 지하역으로, 개통 이후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 명동 상권, 남대문시장 등과 연결되어 있으며, 2000년대 초반 최고점을 기록한 일평균 이용객 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2001년 개업한 철도역 - 이태원역
    이태원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으로, 이태원동에 위치하며, 2001년 3월 9일에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를 가지고 있다.
  • 2001년 개업한 철도역 - 약수역
    약수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과 6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3호선은 1985년, 6호선은 2001년에 개통되었으며, 주변에는 주택가, 상점, 학교, 행정시설 등이 위치한다.
버티고개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버티고개역 승강장
승강장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15길 43 (신당2동 432)
좌표# 좌표값은 출력하지 않음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노선서울 지하철 6호선
승강장2면 2선 (상대식)
선로2
개업일2001년 3월 9일
역 번호632
구조지하역
승객 정보
2017년 승차 인원2,487명
2017년 승하차 인원4,792명
노선 정보
기점응암역
영업 거리22.5 km
이전 역631 한강진역
이전 역 간 거리1.0 km
다음 역약수역 (서울특별) 633
다음 역 간 거리0.7 km
위치 정보

2. 역사

2. 1. 역명 유래

옛날 순라꾼들이 야경을 돌면서 "번도!"(番盜, 도둑)라고 외치면서 도둑을 쫓았으므로 번티(番峙)라고 하다가 나중에 버티로 변했고, 한자명으로 부어치(扶於峙) 또는 벌아령(伐兒嶺), 파제령(波堤嶺)이라고 불린 버티고개가 이 인근에 있는데서 역명이 붙여졌다.[6]

3. 역 구조

버티고개역은 상대적으로 고지대에 있어 깊이가 상당히 깊은 편이며, 서울 지하철 2호선 이대역수도권 전철 4호선 남태령역처럼 경사형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터널형 구조로, 초기에는 개방적인 느낌이었으나 스크린도어 설치 이후 선로 쪽에 지붕이 설치되었다.[1]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승강장 (2018년 11월 25일)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의 개방형 구조 승강장 (2007년 12월 3일)


승강장에서 개찰구로 나가려면 전철과 선로를 가로지르는 통로를 이용해야 하며, 이 통로에는 경사형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버티고개역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곡선 승강장인 관계로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넓으므로 승하차시 주의해야 한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상행한강진 방면 (응암 순환)
하행약수 방면 (신내 방면)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2001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1년 3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9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7] 6호선의 승하차 인원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7년 기준 하루 평균 4,792명(승차 2,487명, 하차 2,305명)이 이용한다.[7]

연도이용객 수 (명)
승차하차승하차
2000년미개통
2001년2,0832,0454,128
2002년2,2972,3044,601
2003년2,4032,4214,824
2004년2,4072,4064,814
2005년2,3942,3744,769
2006년2,4652,4544,919
2007년2,4762,4734,949
2008년2,5162,5035,020
2009년2,5372,5135,050
2010년2,5632,4985,062
2011년2,5872,5525,139
2012년2,5732,5675,140
2013년2,6222,5665,189
2014년2,6612,5655,226
2015년2,5842,4675,051
2016년2,5252,3884,913
2017년2,4872,3054,792


6. 특이 사항

2003년 12월에 발표된 가수 하은의 노래 '아프고 화나고 미안해' 뮤직비디오 촬영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버티고개역 https://terms.naver.[...] Doopedia 2020-11-03
[2] 웹사이트 버티고개역 https://terms.naver.[...] 서울지명사전 2020-11-03
[3] 뉴스 "버티고개 가서 앉을 놈"… 지하철 역이름 속 재밌는 역사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2014-10-08
[4] 뉴스 지하철 6호선 완전개통 연내 어려울 듯 https://www.yna.co.k[...] 2000-11-10
[5]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6] 웹인용 "버티고개 가서 앉을 놈"… 지하철 역이름 속 재밌는 역사 http://www.hani.co.k[...] 2020-11-03
[7]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