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계 나미비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계 나미비아인은 나미비아에 거주하는 독일계 혈통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한다. 19세기 독일 선교사들이 처음 나미비아에 정착했으며, 이후 상인, 관료, 정착민들이 유입되어 독일 식민 통치가 시작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배를 받으며 '탈독일화' 정책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독일계 인구와 남아프리카 정부의 관계가 개선되었다. 나미비아 독립 이후에도 독일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독일어는 소수 언어로서 공동체의 정체성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미비아-독일 관계 - 헤레로·나마 집단학살
헤레로·나마 집단학살은 1904년에서 1908년 사이 독일 제국이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에서 헤레로족과 나마족을 대상으로 자행한 집단 학살로, 20세기 초 제국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잔혹 행위이자 최초의 집단 학살 중 하나로 기록되며, 2021년 독일 정부는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나미비아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으나 배상 문제는 여전히 논란 중이다. - 나미비아의 민족 - 산족 (아프리카)
산족은 아프리카 남부의 수렵 채집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로, 자신들을 지칭하는 집단적인 단어는 없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 중 하나로 여겨지지만, 근대화 정책 등으로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변화하고 사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나미비아의 민족 - 코이코이인
코이코이인은 남아프리카의 유목 민족으로, 목축을 주업으로 하며 고유한 문화를 지니고, 유럽인과의 접촉 과정에서 식민 지배와 차별을 겪었으며, 현재는 문화 복원과 권리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독일계 나미비아인 | |
---|---|
일반 정보 | |
![]() | |
명칭 | 독일계 나미비아인 |
독일어 명칭 | Deutschnamibier (도이치나미비어) |
인구 통계 | |
전체 인구 | 약 30,000명 |
비고 | 백인 나미비아인의 약 1/3 |
주요 거주 지역 | 나미비아 중부 및 남부 |
언어 | |
사용 언어 | 독일어 아프리칸스어 영어 |
종교 | |
주요 종교 | 로마 가톨릭 루터교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백인 나미비아인 아프리카너 독일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2. 역사
나미비아에 처음 온 독일인은 런던 선교회와 라인 선교회를 통해 파견된 선교사들이었다. 1805년부터 알브레히트 형제와 여러 선교사들이 남서아프리카에 정착하여 문화 사업과 식민지화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상인, 독일 관료, 정착민, 노동자, 군인이 증가했고, 1884년 남서아프리카는 독일 식민지로 선포되었다. 뤼데리츠에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면서 독일인 이주가 정점에 달했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으로 독일은 식민지 주권을 잃고, 남서아프리카 통치는 국제 연맹을 거쳐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넘어갔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탈독일화' 정책을 펼쳐 독일계 주민 절반을 추방하고 농장을 몰수했으나, 1923년 런던 협정으로 남아있는 독일인들에게 영국 시민권을 부여하고 독일 이민과 독일어 사용을 장려했다. 3,200명의 독일인이 시민권을 얻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독일에 선전포고했고, 남서아프리카의 독일계 주민들은 가택 연금되거나 수용소에 억류되었다. 1942년에는 영국 시민권마저 박탈당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은 흑인 저항 운동을 강화시켰지만, 동시에 남아프리카 정부와 독일계 인구 간의 관계는 호전되어 독일에서의 이주가 다시 증가했다.
2. 1. 초기 독일인 정착 (19세기)
나미비아에 처음 온 독일인은 선교사였다. 이들은 처음에는 런던 선교회를 통해 파견되었고, 이후 라인 선교회를 통해서도 파견되었다. 18세기 말, 라인 선교회가 아직 남아프리카에 시설을 갖추지 못했기에 두 기관은 긴밀하게 협력했다. 1805년부터 알브레히트 형제와 다른 여러 선교사들이 남서아프리카에 정착했다. 그들은 문화 사업에 종사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식민지화의 기반을 마련했다.이후 상인들이 도착했고, 1883년 뤼데리츠만에 '틸리'호가 상륙한 후, 독일 관료, 정착민, 노동자, 군인의 수가 증가했다.[1] 1884년 남서아프리카가 공식적으로 독일 식민지로 선포되고 영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 독일에서 이주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했다.[1] 이러한 이주 흐름은 뤼데리츠에서 다이아몬드가 처음 발견되었을 때 정점에 달했다.[1]
2. 2. 독일 식민 통치와 제1차 세계 대전 (1884년 ~ 1919년)
나미비아에 처음 온 독일인은 선교사였다. 이들은 처음에는 런던 선교회를 통해, 이후에는 라인 선교회를 통해 파견되었다. 1805년부터 알브레히트 형제와 다른 여러 선교사들이 남서아프리카에 정착하여 문화 사업에 종사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식민지화의 기반을 마련했다.[1]
이후 상인들이 도착했고, 1883년 뤼데리츠만에 ''틸리''호가 상륙한 후, 독일 관료, 정착민, 노동자, 군인의 수가 증가했다. 1884년 남서아프리카가 공식적으로 독일 식민지로 선포되고 영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 독일에서 이주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했다. 이러한 이주 흐름은 뤼데리츠에서 다이아몬드가 처음 발견되었을 때 정점에 달했다.[1]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독일이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식민지에 대한 모든 주권을 잃으면서 이주는 정체되었다. 남서아프리카의 통치는 국제 연맹에 의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이전되었다. 이후 남서아프리카의 '남아프리카화' 과정에서 남아 있던 약 15,000명의 독일 거주자 중 절반이 추방되었고, 그들의 농장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람들에게 넘어갔다. 이러한 이른바 '탈독일화' 정책은 1923년 10월 23일 런던 협정 이후에야 변경되었는데, 이 협정에 따라 남아 있는 독일인들에게 영국 시민권이 부여되었다. 독일 이민뿐만 아니라 독일어의 확산 또한 명시적으로 장려되었다. 총 3,200명의 독일인이 시민권을 획득할 기회를 잡았다.[1]
2. 3. 남아프리카 연방 위임 통치 (1919년 ~ 1990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이 식민지에 대한 모든 주권을 잃으면서 남서아프리카의 통치는 국제 연맹에 의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이전되었다.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남아프리카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남아 있던 약 15,000명의 독일계 주민 중 절반을 추방하고, 그들의 농장을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람들에게 넘겼다. 이러한 '탈독일화' 정책은 1923년 10월 23일 런던 협정을 통해 변경되었는데, 이 협정에 따라 남아 있는 독일인들에게는 영국 시민권이 부여되었다. 독일 이민뿐만 아니라 독일어의 확산 또한 명시적으로 장려되었으며, 총 3,200명의 독일인이 시민권을 획득했다.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무렵,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영국과 동맹을 맺고 1939년 9월 6일 공식적으로 독일과 추축국에 전쟁을 선포했다. 1939년 남서아프리카에 있던 독일계는 가택 연금 또는 농장 연금에 처해졌고, 1940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이송되어 수용소에 억류되었으며, 1946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1942년부터는 1923년에 부여된 영국 시민권이 박탈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은 비판을 받았고, 남서아프리카를 포함한 흑인 저항 운동의 창설과 강화를 가져왔다. 이때 남아프리카 정부와 독일계 인구 간의 관계가 호전되었고, 독일에서의 이주 증가가 더 긍정적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3. 언어
나미비아의 유일한 공용어는 영어이지만, 약 3만 명의 독일계 나미비아인과 1만 5천 명의 흑인 나미비아인이 독일어 또는 나미비아 흑인 독일어를 사용한다.[1] 독일계 나미비아인들은 독일어 교육, 교회, 방송 시설 등을 통해 독일어 사용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독일에서 제작된 텔레비전, 음악, 책 등이 독일계 나미비아인 공동체에서 널리 소비된다. 종종 독일계 나미비아 청소년들은 독일의 대학이나 기술 학교에 진학하기도 한다. 빈트후크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아프리칸스어가 널리 사용되지만, 현재 영어는 정부, 공공 표지판, 제품 포장 등 많은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과는 달리, 독일계 나미비아인들은 더 큰 아프리칸스어 및 영어 사용 지역 사회에 흡수되지 않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독일계 나미비아인은 아프리칸스어와 영어에도 능통하다.
4. 공동체
오늘날 영어는 나미비아의 유일한 공용어이지만, 약 3만 명의 독일계 나미비아인(전체 인구의 약 2%)과 약 1만 5천 명의 흑인 나미비아인(나미비아 독립 후 동독에서 돌아온 사람들)은 여전히 독일어 또는 나미비아 흑인 독일어를 사용한다.[1] 많은 독일계 나미비아인들은 독일어를 사용하며 아프리칸스어가 아닌 나미비아 독일인으로 분류되기를 선호한다.
독일계 나미비아인들은 독일어 교육 학교, 교회, 방송 시설을 갖추며 독일어를 사용하는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독일에서 제작된 텔레비전, 음악, 책은 이 지역 사회에서 널리 인기가 있다. 독일계 나미비아 청소년들은 독일의 대학이나 기술 학교에 진학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지역과 빈트후크에서 아프리칸스어가 더 넓은 공용어이지만, 영어는 현재 정부, 공공 표지판, 제품 포장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유일한 언어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과는 달리, 독일계 나미비아인들은 더 큰 아프리칸스어 및 영어 사용 지역 사회에 흡수되지 않았다. 그러나 사실상 모든 독일계 나미비아인들은 아프리칸스어에 능숙하며, 영어를 알고 있거나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다.
현재 독일계 나미비아인의 대부분은 농부, 관리, 장인, 이른바 슈츠트루페(Schutztruppe, 보호군)의 친척, 그리고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이후 이주해 온 사람들의 후손들이다. 1980년경부터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독일인들의 별장 및 은퇴 주택 소유가 늘었다.[2] 오늘날 나미비아의 많은 독일인들은 중소기업가이다.[3]
많은 독일어 사용자들이 수도 빈트후크(Windhukde)와 스바코프문트, 뤼데리츠, 오치와롱고와 같은 소도시에 살고 있으며, 이곳에서는 독일 건축 양식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많은 독일계 나미비아인들은 사업, 농업, 관광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거나 정부 관리로 활동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독립 후 빈트후크 시장 중 첫 번째 시장이었던 비요른 폰 핀켄슈타인은 독일계 나미비아인이다. 독일계 나미비아 공동체의 이익은 아프리카 유일의 독일어 일간지인 디 알게마이네 차이퉁을 통해 자주 표명된다. 괴테 인스티튜트는 빈트후크에서 독일 공동체를 위해 로비를 펼치고 있다.[3] 나미비아에서 독일 식민 지배의 유산은 나미비아에서 가장 큰 종교 교파인 루터교회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5. 인구 통계
오늘날 영어는 나미비아의 유일한 공용어이지만, 약 30,000명의 독일계 나미비아인(전체 인구의 약 2%)과 15,000명 가량의 흑인 나미비아인(나미비아 독립 후 동독에서 돌아온 사람들)이 여전히 독일어 또는 나미비아 흑인 독일어를 사용한다.[1] 그러나 독일어를 사용하는 나미비아인보다 독일계 나미비아인의 숫자는 불확실하다. 많은 독일계 나미비아인들은 여전히 독일어를 사용하며 아프리카너가 아닌 나미비아 독일인으로 분류되기를 선호한다.
독일계 나미비아인의 인구 비율은 최근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낮은 출산율과 다른 나미비아 민족 집단이 더 높은 출산율과 더 큰 가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4]
연도 | 독일어를 가정 언어로 사용하는 가구 비율 | 독일어를 가정 언어로 사용하는 가구 수 |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하는 가구 비율 |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하는 가구 수 | 영어를 사용하는 가구 비율 | 영어를 사용하는 가구 수 |
---|---|---|---|---|---|---|
2001년 | 1.1% | 3,654 | 11.4% | 39,481 | 1.9% | 6,522 |
2011년 | 0.9% | 4,359 | 10.4% | 48,238 | 3.4% | 15,912 |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독일어는 도시 지역 나미비아인의 1.7%에 비해 농촌 나미비아인의 0.3%만이 사용한다. 독일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역은 에롱고 (2.8%), 호마스 (2.6%), 오트조존주파 (1.4%)이다.[6]
6. 주요 인물
이름 | 분야 | 설명 |
---|---|---|
디터 아셴보른(Dieter Aschenborn) | 화가 | 1915년 출생, 2002년 사망 |
울리 아셴보른(Uli Aschenborn) | 동물 화가 | 194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생, 나미비아에서 활동 |
크리스 바덴호르스트(Chris Badenhorst) | 럭비 유니온 선수 | 1965년 남아프리카 서부 출생, 전 스프링복 선수 |
베아테 바움가르트너(Beate Baumgartner) | 가수 | 1983년 나미비아 출생, 오스트리아에서 활동 |
모니카 달(Monica Dahl) | 수영 선수 | 1975년 출생 |
클라우스 디어크스(Klaus Dierks) | 정치인 | 1936년 출생, 2005년 사망, 정부 장관 역임 |
틸 드로비슈(Till Drobisch) | 도로 자전거 경주 선수 | 1993년 출생 |
케르스틴 그레스만(Kerstin Gressmann) | 테니스 선수 | 1994년 출생 |
오토 헤리겔(Otto Herrigel) | 변호사, 사업가, 정치인 | 1937년 출생, 2013년 사망 |
에릭 호프만(Erik Hoffmann) | 도로 자전거 경주 선수 | 1981년 출생 |
아돌프 옌취(Adolph Jentsch) | 예술가 | 1888년 출생, 1977년 사망, 남아프리카 서부에서 활동 |
프리드리히 빌헬름 케겔(Friedrich Wilhelm Kegel) | 사업가 | 1948년 사망, 남아프리카 서부에서 활동 |
인게보르크 쾨르너(Ingeborg Körner) | 배우 | 1929년 남아프리카 서부 출생, 독일에서 활동 |
리하르트 쿤츠만(Richard Kunzmann) | 소설가 | 1976년 출생 |
브래들리 랑겐호벤(Bradley Langenhoven) | 럭비 유니온 선수 | 1983년 출생 |
외르크 린데마이어(Jörg Lindemeier) | 수영 선수 | 1968년 출생 |
안톤 루보프스키(Anton Lubowski) | 반 아파르트헤이트 활동가 | 1952년 출생, 1989년 사망, 남아프리카 서부에서 활동 |
헤닝 멜버(Henning Melber) | 정치 활동가 | 1950년 출생 |
올리버 리서(Oliver Risser) | 축구 선수 | 1980년 출생 |
빌코 리서(Wilko Risser) | 축구 선수 | 1982년 출생, 나미비아-독일 |
프리트헬름 작(Friedhelm Sack) | 사격 선수 | 1956년 출생 |
볼프강 쉔크(Wolfgang Schenck) | 제2차 세계 대전 에이스 전투기 조종사 | 1913년 출생, 2010년 사망, 남아프리카 서부 출생, 독일에서 활동 |
칼레 슐레트바인(Calle Schlettwein) | 정치인 | 1954년 출생, 현 농업, 수자원 및 토지 개혁부 장관 |
버나드 숄츠(Bernard Scholtz) | 크리켓 선수 | 1990년 출생 |
니콜라스 숄츠(Nicolaas Scholtz) | 크리켓 선수 | 1986년 출생 |
필립 자이들러(Phillip Seidler) | 수영 선수 | 1998년 출생 |
EES(에릭 셀, Eric Sell) | 래퍼 | 1983년 출생 |
한스 에릭 스타비(Hans Erik Staby) | 정치인 겸 건축가 | 1935년 출생, 2009년 사망 |
만프레드 스타르케(Manfred Starke) | 축구 선수 | 1991년 출생 |
산드라 스타르케(Sandra Starke) | 축구 선수 | 1993년 출생, 나미비아 출생, 독일에서 활동 |
게르하르트 횔테마이어(Gerhard Tötemeyer) | 교수, 전 정치인 | 1935년 출생 |
라이마르 폰 하세(Raimar von Hase) | 농부, 나미비아 농업 연합 지도자 | 1948년 출생 |
귄터 폰 훈델스하우젠(Günther von Hundelshausen) | 축구 선수 | 1980년 출생 |
헬무트 폰 라이프치히(Hellmut von Leipzig) | 철십자 기사 훈장 수훈자 | 1921년 출생, 2016년 사망, 나미비아-독일,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
아노에슈카 폰 메크(Anoeschka von Meck) | 아프리칸스어 작가 | 1967년 출생 |
안톤 폰 비터스하임(Anton von Wietersheim) | 정치인 | 1951년 출생 |
7. 교육
빈트후크 독일 고등학교는 나미비아의 수도 빈트후크에 있는 독일 국제 학교이다. 독일계 나미비아 청소년들은 독일의 대학이나 기술 학교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WWW.omulaule.de
http://www.omulaule.[...]
[2]
논문
German Settlement Patterns in Namibia
1985
[3]
뉴스
Namibian-Germans find their voice
https://www.namibian[...]
2019-08-21
[4]
웹사이트
Namibia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2020-05-25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npc.gov.n[...]
2011-08-08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nsa.org.n[...]
2013-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