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트후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트후크는 나미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아프리칸스어 '바람의 구석'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1840년 욘커 아프리카너가 정착촌을 건설한 이래 독일 식민지 시대, 남아프리카 공화국 통치 시대를 거쳐 1990년 나미비아 독립 이후 수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는 코마스 지역의 주도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나미비아 국립미술관, 국립극장, 박물관 등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미비아의 도시 - 룬두
룬두는 나미비아 북동부 오카방고 강 남쪽에 위치한 도시로, 1936년 지방 총독 소재지가 되었고, 현재는 카방고 지역의 다국어 도시이며, 룬두 사도 대목구의 주교좌이자 군사 기지가 위치해 있다. - 나미비아의 도시 - 월비스베이
나미비아 서부 해안의 월비스베이는 역사적으로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고 어업과 물류업이 발달했으며 해양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항구 도시이다. - 아프리카에 위치한 수도 - 음바바네
음바바네는 엠짐바 산맥에 위치하며 관광과 사탕수수 수출에 의존하는 에스와티니의 수도이다. - 아프리카에 위치한 수도 - 튀니스
튀니지는 튀니지의 수도이자 북아프리카 주요 도시로서, 고대 카르타고 위성 도시에서 로마 시대 농업 중심지를 거쳐 아랍 왕조들의 지배와 프랑스 보호령 시기를 지나 튀니지 독립 후 수도가 되었으며, 현재는 경제, 문화, 정치 중심지로서 역사 유적과 현대 도시 시설이 공존한다.
빈트후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공식 명칭 | 빈트후크 |
현지 이름 | |
국가 | 나미비아 |
행정 구역 | 호마스 주 |
정부 형태 | 시장-의회 정부 |
시장 | 퀸 카마티 (SWAPO) |
부시장 | 조셉 우아핑게네 (NUDO) |
첫 정착 | 1840년 |
재건립 | 1890년 10월 18일 |
면적 | 5,133 제곱킬로미터 |
고도 | 1,655 미터 |
시간대 | 중앙아프리카 시간 |
UTC 오프셋 | +02:00 |
우편 번호 | 10005 |
지역 번호 | 061 |
기후 | BSh |
공식 웹사이트 | www.windhoekcc.org.na |
인구 | |
총 인구 (2023년) | 486,169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법 | 빈트후크 (Windhoek) |
문화어 표기 | 윈드후크 |
2. 역사
빈트후크라는 도시 이름은 아프리칸스어로 '바람'(wind)과 '구석'(hoek)을 합쳐 만들었다는 설과 존커 아프리카너 선장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툴바흐(Tulbagh)의 빈터호크(Winterhoek) 산맥 이름을 따서 지었다는 설이 있다. 1844년 8월 12일 존커 아프리카너가 조셉 틴달에게 보낸 편지에 "빈트후크"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한다.[3]
1840년 욘커 아프리카너(Jonker Afrikaner)는 빈트후크에 오람 정착촌을 세웠다.[4] 그는 현재 클라인 빈트후크(Klein Windhoek) 근처 온천에 500명 수용 규모의 돌 교회를 지었는데, 학교로도 쓰였다.[5] 1842년 말 라이니시 선교회(Rhenish Missionary Society)의 칼 휴고 한(Carl Hugo Hahn)과 프란츠 하인리히 클라인슈미트(Franz Heinrich Kleinschmidt)가 선교 활동을 시작했지만, 2년 뒤 감리교 웨슬리안(Wesleyans)인 리처드 해디(Richard Haddy)와 조셉 틴달(Joseph Tindall)에게 쫓겨났다.[6][7] 정원이 조성되며 번영했지만, 나마족(Nama people)과 헤레로족(Herero people) 간의 전쟁으로 정착촌은 파괴되었다.[8]
1884년, 뤼데리츠부흐트 상인들의 요청으로 현재 나미비아 지역에 독일 보호령이 선포되었다. 1890년 독일 식민지 경계가 확정되고, 쿠르트 폰 프랑수아(Curt von François) 소령이 이끄는 ''Schutztruppe''가 파병되어 질서를 유지했다.[9] 폰 프랑수아는 나마족과 헤레로족 사이 완충 지대인 빈트후크에 주둔지를 설치했다.[10] 1890년 10월 18일 폰 프랑수아가 요새 기초석을 놓으며 식민지 시대 빈트후크가 시작되었고, 이 요새는 현재 알테 페스테(구 요새)로 알려져 있다.[11][12] 1907년 이후, 농촌 원주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오면서 개발이 가속화되었고, 독일과 남아프리카에서 온 유럽인 정착민도 늘어났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5년 남서아프리카와 빈트후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함락되었다.[13] 1920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이 지역은 국제 연맹 C급 위임통치 지역이 되어 다시 남아프리카 공화국 통치를 받았다.[1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규모 공공 사업이 진행되었고, 1958년 세계 최초로 재이용 가능 식수 처리 시설을 도입했다.[16] 1965년 10월 18일 빈트후크는 공식 도시 특권을, 1966년 10월 1일에는 문장을 부여받았다.[17][18]
1971년, 빈트후크에서 나미비아 일반 계약 근로자 파업이 시작되었다.[19] 1976년 당시 인구는 약 6만 5천 명이었고, 독일어 신문이 발행되는 등 독일 식민지 시대 영향이 남아 있었다.[69]
1990년 나미비아 독립 후, 빈트후크는 수도이자 코마스 지역(Khomas Region) 주도로 남았고, 독립과 전쟁 종식 이후 도시 성장과 발전은 가속화되었다.
2. 1. 도시 이름의 유래와 초기 정착
빈트후크라는 도시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이름이 아프리칸스어로 '바람'을 뜻하는 ''wind''와 '구석'을 뜻하는 ''hoek''에서 유래했다고 믿는다. 또 다른 설에 따르면, 존커 아프리카너 선장이 자신의 조상들이 살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 툴바흐(Tulbagh)의 빈터호크(Winterhoek) 산맥을 따라 빈트후크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빈트후크"라는 이름이 처음 언급된 것은 1844년 8월 12일자 존커 아프리카너가 조셉 틴달에게 보낸 편지에서였다.[3]1840년, 욘커 아프리카너(Jonker Afrikaner)는 빈트후크에 오람 정착촌을 세웠다.[4] 그와 그의 추종자들은 현재 클라인 빈트후크(Klein Windhoek) 교외에 위치한 주요 온천 근처에 머물렀다.[5] 그는 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돌로 된 교회를 지었는데, 이곳은 학교로도 사용되었다. 라이니시 선교회(Rhenish Missionary Society)의 두 선교사인 칼 휴고 한(Carl Hugo Hahn)과 프란츠 하인리히 클라인슈미트(Franz Heinrich Kleinschmidt)는 1842년 말부터 그곳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2년 후 그들은 두 명의 감리교 웨슬리안(Wesleyans)인 리처드 해디(Richard Haddy)와 조셉 틴달(Joseph Tindall)에 의해 쫓겨났다.[6][7] 정원이 조성되었고 한동안 빈트후크는 번영했다. 나마족(Nama people)과 헤레로족(Herero people) 부족 간의 일련의 전쟁으로 결국 정착촌은 파괴되었다. 오랜 시간이 흐른 후, 한(Hahn)은 1873년 빈트후크를 다시 방문했지만 마을의 과거 번영은 전혀 남아있지 않은 것을 보고 실망했다. 1885년 6월, 한 스위스 식물학자는 방치된 과수원에서 자칼과 굶주린 기니아 조류만 발견했다.[8]
2. 2. 독일 식민지 시대 (1884년 ~ 1915년)
뤼데리츠부흐트 상인들의 요청으로 1884년 현재 나미비아인 독일 남서아프리카(''Deutsch-Südwestafrika'')에 대한 독일의 보호령이 선포되었다. 독일 식민지의 경계는 1890년에 결정되었고, 독일은 쿠르트 폰 프랑수아(Curt von François) 소령이 이끄는 ''Schutztruppe''를 파병하여 질서를 유지하였다.[9] 폰 프랑수아는 나마족과 헤레로족 사이의 완충지역으로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인 빈트후크에 주둔지를 설치하였다.[10] 12개의 샘에서 나오는 풍부한 지하수는 농작물과 곡물 재배에 이용되었다.식민지 시대 빈트후크는 1890년 10월 18일 폰 프랑수아가 요새의 기초석을 놓으면서 설립되었는데, 이 요새는 현재 알테 페스테(구 요새)로 알려져 있다.[11][12] 1907년 이후, 농촌 지역의 원주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주하면서 개발이 가속화되었다. 독일과 남아프리카에서 더 많은 유럽인 정착민들이 도착했다. 카이저 거리(현재 독립 애비뉴)와 도시를 굽어보는 우뚝 솟은 산등성이를 따라 상업 시설들이 들어섰다. 이때 빈트후크의 세 성, 하이니츠부르크, 산더부르크, 슈베린스부르크가 건설되었다.
2. 3. 남아프리카 공화국 통치 시대 (1915년 ~ 1990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독일 식민지 시대는 종식되었지만, 남서아프리카와 그 수도인 빈트후크는 이미 1915년에 함락되었다.[13]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이 도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군정의 통치를 받았으며, 더 이상의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4] 1920년, 베르사유 조약 이후 이 지역은 국제 연맹의 C급 위임통치 지역으로 지정되었고, 다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통치를 받았다.[15]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지역 경제를 개선하기 위한 자본이 더 많이 유입되었다. 1955년 이후, 새로운 학교와 병원 건설, 도시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1928년 카이저 거리에서 시작된 프로젝트), 그리고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한 댐과 파이프라인 건설 등 대규모 공공 사업이 진행되었다.[8] 이 도시는 1958년 세계 최초로 재이용 가능한 식수 처리 시설을 도입하여 재활용된 하수를 직접 도시의 상수도에 공급했다.[16] 1966년 10월 1일, 당시 남서아프리카 행정관은 빈트후크에 문장을 부여했고, 이는 1970년 10월 2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문장국에 등록되었다. 처음에는 양식화된 알로에가 주요 상징이었지만, 1972년 9월 15일 자연 알로에 (''Aloe littoralis'')로 변경되었다. 문장은 "섬 위에 세 송이의 꽃이 달린 빈트후크 알로에. 문장: 성벽형 왕관 Or. 모토: SUUM CUIQUE (''각자에게 마땅한 것을'')"으로 묘사된다.[17]
빈트후크는 프랑수아에 의한 두 번째 도시 건설 75주년을 맞이하여 1965년 10월 18일 공식적으로 도시 특권을 부여받았다.[18]
1971년, 나미비아 일반 계약 근로자 파업이 계약 노동 제도 폐지,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나미비아 독립 촉진을 목표로 빈트후크에서 시작되었다.[19] 1976년, 아직 SWAPO의 영향이 미치지 않던 당시 인구는 약 6만 5천 명이었다. 시내에서는 독일어 신문이 발행되었고, 독일 요리 식당이 많이 보이는 등 건물 외에도 식민지 시대의 영향이 남아 있었다.[69]
2. 4. 나미비아 독립 이후 (1990년 ~ 현재)
1990년 나미비아 독립 이후 빈트후크는 수도이자 중부 코마스 지역(Khomas Region)의 주도로 남아있다. 독립과 전쟁 종식 이후 도시는 가속화된 성장과 발전을 이루었다.1976년, SWAPO의 영향이 미치지 않던 당시 인구는 약 6만 5천 명이었다. 시내에서는 독일어 신문이 발행되었고, 독일 요리 식당이 많이 보이는 등 건물 외에도 식민지 시대의 영향이 남아 있었다.[69]
3. 지리
빈트후크는 나미비아의 거의 중앙부, 해발 1655m 고지에 위치한다. 1885년 독일 제국군이 이 지역을 점령하고, 1892년부터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의 수도가 되었다. 나미비아의 상업과 공업 중심지이며, 시가지는 작고 주변은 사막에 둘러싸여 강수량이 적다. 교회, 도서관, 미술관 등이 정비되어 있으며, 중세 독일풍 건물이 현존하여 깨끗하고 아름다운 도시 경관을 이루고 있다.
도시 이름 "빈트후크(Windhoek)"는 아프리칸스어로 "바람의 모퉁이"(Wind Hoek)를 의미한다.[68]
3. 1. 위치 및 지형
평균 해발 1657m의 고지대에 위치한 고원 도시이다. 북부를 제외하고는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단일 행정구역의 도시 면적에서는 톈진, 이스탄불에 이어 세계 3위의 넓이를 자랑한다.[70]3. 2. 기후
빈트후크는 연간 300일 이상 맑은 날씨를 보인다.[33] 연평균 기온이 18°C를 넘기 때문에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고온의 반건조 기후(`BSh`)에 속한다. 고도의 영향으로 연중 온화한 기온을 유지하며, 연평균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의 차이는 13.4°C이다. 가장 추운 달은 7월로 평균 기온이 13.1°C이고, 가장 더운 달은 12월로 평균 기온이 23.5°C이다.[34] 칼라하리 사막 근처에 위치해 있어 연간 3,605시간의 일조량을 기록한다. 강수량은 여름철에 많고 겨울철에는 적다. 연평균 강수량은 367.4mm이며, 2018/19년 우기에는 106.7mm, 1929/30년에는 97mm로 최저치를 기록했다.[34]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스텝 기후(BSh)에 속하는 반건조 기후로, 최고 기온은 6월과 7월이 20°C, 9월부터 4월까지는 25°C~30°C이다. 강수량은 6월~8월은 0mm이고, 1월~3월은 월간 70mm를 넘는다. 연간 강수량은 360mm로 매우 적다. 해발 1700m에 위치하기 때문에 연중 온화한 기후이며, 특히 여름에도 아침저녁으로는 시원하다.[68]
다음은 빈트후크의 기후를 나타낸 표이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36°C | 35.8°C | 34.9°C | 31.3°C | 31.8°C | 26.1°C | 25.7°C | 30°C | 33.2°C | 35°C | 36.5°C | 36.6°C | - |
평균 최고 기온 (°C) | 30°C | 28.6°C | 27.2°C | 25.6°C | 22.7°C | 20.2°C | 20.5°C | 23.4°C | 26.5°C | 29.1°C | 29.6°C | 30.7°C | 26.2°C |
평균 기온 (°C) | 23.3°C | 22.1°C | 21°C | 18.9°C | 15.8°C | 13.2°C | 13.1°C | 15.8°C | 19.3°C | 21.7°C | 22.5°C | 23.5°C | 19.2°C |
평균 최저 기온 (°C) | 17.2°C | 16.5°C | 15.4°C | 12.8°C | 9.2°C | 6.7°C | 6.3°C | 8.6°C | 11.9°C | 14.6°C | 15.6°C | 16.9°C | 12.6°C |
최저 기온 기록 (°C) | 7.5°C | 6.8°C | 3.7°C | 2.4°C | -1.6°C | -2.8°C | -2.6°C | -3.9°C | -1.1°C | 1.6°C | 0.4°C | 3.3°C | - |
강수량 (mm) | 78.1 | 80.3 | 78.7 | 37.7 | 6.6 | 1.2 | 0.7 | 0.9 | 2.8 | 11.8 | 26.9 | 41.7 | - |
강수 일수 (≥ 0.1mm) | 11.1 | 10.7 | 10.5 | 5.5 | 1.9 | 0.7 | 0.5 | 0.3 | 0.9 | 2.8 | 5.3 | 7.5 | - |
상대 습도 (%) | 42 | 56 | 51 | 44 | 37 | 32 | 27 | 19 | 17 | 22 | 30 | 34 | - |
월간 일조 시간 | 288 | 254 | 282 | 273 | 310 | 309 | 326 | 341 | 321 | 319 | 297 | 285 | - |
출처: 독일 기상청[74],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일조 시간)[75]
3. 3. 도시 구획
빈트후크는 재정적 제약 외에도 지리적 위치 때문에 도시 지역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빈트후크는 남쪽, 동쪽, 서쪽 방향으로 암석이 많은 아우아스 산맥에 둘러싸여 있어 토지 개발 비용이 많이 든다. 남쪽은 지하 대수층(aquifers)이 존재하기 때문에 산업 개발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도시 북쪽의 광대한 브라크워터(Brakwater) 지역만이 빈트후크 확장에 적합한 곳이다.[28]빈트후크 시의회는 도시 경계를 획기적으로 확장하여 도시 지역이 5133.4km2를 차지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빈트후크는 인구 밀도가 1km²당 63명에 불과하지만, 톈진(Tianjin)과 이스탄불(Istanbul)에 이어 면적 기준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가 될 것이다.[29]
빈트후크는 다음과 같은 교외 지역과 타운십으로 나뉜다.[30]
빈트후크의 많은 타운십 주민들은 판잣집에서 생활한다. 2020년 기준으로 이 도시에는 총 41,900개의 비공식 주택이 있으며, 약 100,00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32]
4. 인구
1971년에는 빈트후크에 약 2만 6천 명의 백인이 거주하여 2만 4천 명의 흑인 인구보다 많았다. 당시 백인 주민 약 3분의 1, 최소 9,000명은 독일어를 사용했다.[37]
2010년 기준 빈트후크의 인구는 32만 5,858명(흑인 65%, 기타 18%, 백인 17%)을 넘었으며, 연간 4%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연간 약 10%의 더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비공식 정착촌 때문이기도 하다.[28] 2012년 기준 인구는 32만 2500명이며, 그중 67%가 흑인, 16%가 백인이다. 주민 대다수는 반투족이지만, 전체 인구의 약 6%를 차지하는 독일계 주민도 있다. 2020년 현재 빈트후크의 인구는 43만 1천 명이다.[38]
언어는 정부 기관 등 공식적인 자리, 표지판, 비즈니스, 문서 등에서는 공용어인 영어만 사용되지만, 실제 사람들의 일상 대화에서는 아프리칸스어가 공통어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71] 1995년 통계에 따르면, 시민의 25%는 가정에서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한다. 또한, 독일어도 널리 통용된다.
연도 | 1981년 | 1991년 | 2001년 | 2011년 | 2016년 | 2020년 | 2023년 |
---|---|---|---|---|---|---|---|
인구 | 96,057 | 147,056 | 233,529 | 325,858 | 395,000 | 431,000 | 486,169 |
5. 정치
빈트후크는 코마스 지역에서 유일하게 자치권을 가진 정착지이다. 15석의 의석을 가진 다당제 시의회에 의해 통치된다.[40] 시의회는 매달 회의를 열며, 결정은 집단적으로 이루어진다.
2015년 지방 자치 선거에서 나미브야 집권인민기구(SWAPO)는 37,533표를 얻어 12석을 차지했다. 인민민주운동(PDM)(전 DTA)은 4,171표, 국가통합민주기구(NUDO)는 1,453표, 민주주의와 진보를 위한 집회(RDP)는 1,422표를 얻어 각각 1석을 획득했다.[41]
2020년 지방 자치 선거에서도 SWAPO는 승리했지만, 시의회에 대한 과반수 지배력은 상실했다. SWAPO는 20,250표를 얻어 5석을 차지했고, 2020년 8월에 결성된 야당인 변화를 위한 독립 애국자들(IPC)은 14,028표로 4석을 차지했다. 적극적 재배치(Affirmative Repositioning) 운동 지역 지부(8,501표)와 2018년에 새로 등록된 나미비아 무토지민 운동(LPM)(7,365표)은 각각 2석을 얻었다. PDM(5,411표)과 NUDO(1,455표)는 각각 1석을 얻었다.[42]
6. 경제
빈트후크는 나미비아의 행정, 상업, 산업 중심지이다. 1992/93년 연구에 따르면, 빈트후크는 나미비아 비농업 부문 고용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고 있으며, 공공시설 부문 고용의 96%, 운송 및 통신 부문 고용의 94%, 금융 및 사업 서비스 부문 고용의 82%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20] 빈트후크는 상대적인 규모[21] 때문에 다른 많은 수도들보다 나미비아의 사회, 경제, 문화 중심지이다. 나미비아대학교가 이 도시에 있으며, 나미비아 유일의 극장을 포함한 거의 모든 국가 기업, 모든 부처 본부, 그리고 모든 주요 언론 및 금융 기관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22] 빈트후크시의 정부 예산은 다른 모든 나미비아 지방 당국의 예산을 합친 것과 거의 맞먹는다.[23] 나미비아의 미국 달러 백만장자 3,300명 중 1,400명이 빈트후크에 거주하고 있다.[24]
7. 교통
빈트후크는 도로, 철도, 항공 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레호보트, 고바비스, 오카항자에서 빈트후크로 이어지는 주요 3개의 진입로는 포장되어 있으며, 50년 동안 예상되는 최대 규모의 홍수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포장 도로는 시속 120km/h의 교통량을 처리할 수 있으며 20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1928년, 현재 독립대로인 카이저슈트라세가 빈트후크 최초의 포장 도로였다. 10년 후, 현재 삼 누조마 드라이브인 고바비스 도로도 포장되었다. 오늘날 나미비아의 총 도로망 약 40000km 중 약 5000km가 포장되어 있다.
2014년, 도로청은 빈트후크-오카항자 도로를 왕복 2차선 도로로 개선할 계획을 세웠다. 약 10억나미비아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2021년에 완료될 예정이었다. 이후 빈트후크와 호세아 쿠타코 국제공항을 잇는 도로 또한 왕복 2차선으로 개선할 계획을 세웠다. 이는 2022년에 완료될 예정이었다.[26]
빈트후크는 철도로 오카한자(북쪽), 레호보트(남쪽), 고바비스(동쪽)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트랜스나미브 철도를 통해 빈트후크역에서 국내 도시뿐 아니라 남아프리카 공화국과도 연결되어 있다.
빈트후크는 두 개의 공항을 이용할 수 있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도심에서 남쪽으로 7km 떨어진 소형 항공기용 에로스 공항이고, 다른 하나는 도심에서 동쪽으로 42km 떨어진 호세아 쿠타코 국제공항이다. 많은 외국 항공사들이 빈트후크를 오가는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또한, 에어 차터와 헬리콥터 및 고정익 항공기 임대 서비스도 이용 가능하다.
호세아 쿠타코 국제공항은 연간 80만 명 이상의 승객을 처리한다. 활주로 용량에 제한이 없는 활주로 하나를 보유하고 있다.
에로스 공항은 이착륙 횟수 기준으로 나미비아에서 가장 바쁜 공항이다.[27] 이 도시 공항은 하루 약 150~200회의 항공기 운항을 처리하며, 연간 약 5만 회에 달한다.
7. 1. 도로
레호보트, 고바비스, 오카항자에서 빈트후크로 이어지는 주요 3개의 진입로는 포장되어 있으며, 50년 동안 예상되는 최대 규모의 홍수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포장 도로는 시속 120km/h의 교통량을 처리할 수 있으며 20년 동안 사용할 수 있다.1928년, 현재 독립대로인 카이저슈트라세가 빈트후크 최초의 포장 도로였다. 10년 후, 현재 삼 누조마 드라이브인 고바비스 도로도 포장되었다. 오늘날 나미비아의 총 도로망 약 40000km 중 약 5000km가 포장되어 있다.
2014년, 도로청은 빈트후크-오카항자 도로를 왕복 2차선 도로로 개선할 계획을 세웠다. 약 10억나미비아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2021년에 완료될 예정이었다. 이후 빈트후크와 호세아 쿠타코 국제공항을 잇는 도로 또한 왕복 2차선으로 개선할 계획을 세웠다. 이는 2022년에 완료될 예정이었다.[26]
- B1번 국도 (나미비아) - 나미비아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간선도로이다.
- B6번 국도 (나미비아) - 빈트후크 시내에서 동쪽 고바비스 방면으로 이어지는 간선도로이다.
- 인디펜던스 애비뉴 - 시내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중심가 도로이다.
7. 2. 철도
빈트후크는 철도로 오카한자(북쪽), 레호보트(남쪽), 고바비스(동쪽)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트랜스나미브 철도를 통해 빈트후크역에서 오카한자, 고바비스 등 국내 도시뿐 아니라 남아프리카 공화국과도 연결되어 있다.
7. 3. 항공
빈트후크는 두 개의 공항을 이용할 수 있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도심에서 남쪽으로 7km 떨어진 소형 항공기용 에로스 공항이고, 다른 하나는 도심에서 동쪽으로 42km 떨어진 호세아 쿠타코 국제공항이다. 많은 외국 항공사들이 빈트후크를 오가는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또한, 에어 차터와 헬리콥터 및 고정익 항공기 임대 서비스도 이용 가능하다.호세아 쿠타코 국제공항은 연간 80만 명 이상의 승객을 처리한다. 활주로 용량에 제한이 없는 활주로 하나를 보유하고 있다. 다른 국제공항은 월비스베이에 있으며, 국내 공항으로는 뤼데리츠, 오란예문드, 온당와가 있다.
에로스 공항은 이착륙 횟수 기준으로 나미비아에서 가장 바쁜 공항이다.[27] 이 도시 공항은 하루 약 150~200회의 항공기 운항을 처리하며, 연간 약 5만 회에 달한다. 2004년에는 141,605명의 승객을 처리했으며, 대부분이 경항공기 이용객이었다. 활주로 길이, 소음, 공역 혼잡과 같은 제한으로 인해 에로스 공항이 더 큰 공항으로 발전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나미비아의 대부분의 전세기 운영업체들은 에로스 공항을 기지로 삼고 있다.
8. 문화
빈트후크는 나미비아의 예술 수도로 알려져 있다. 나미비아 국립미술관, 나미비아 국립극장, 나미비아 국립박물관이 모두 이곳에 있다. 국립박물관은 알테 페스테(역사적)와 오웰라 박물관(과학) 두 곳이 있다.[47] 알테 페스테는 마차와 가정 용품 등 다양한 식민지 시대 유물을 전시하고 있으며, 오웰라 박물관은 광물, 화석, 운석을 전시하고 전통 마을 생활을 보여준다. 나미비아 독립기념관, 나미비아 국립도서관, 1925년에 알테 페스테 옆에 건립된 빈트후크 공공도서관도 이곳에 있다.[48]
주로 기독교 교회와 사찰이 예배 장소로 사용되며, 나미비아 복음 루터 교회, 나미비아 공화국 복음 루터 교회, 나미비아 독일어권 복음 루터 교회(이 세 교회 모두 루터교 세계 연맹 회원), 나미비아 침례회(침례교 세계 연맹 회원), 하나님의 교회, 빈트후크 로마 가톨릭 대교구(가톨릭교회) 등이 있다.[49] 도시에는 빈트후크 이슬람 센터를 포함한 몇몇 이슬람 사원도 있다.
8. 1. 주요 건축물

- 알테 페스테(Alte Feste) – (''구 요새'') 1890년에 건립되었으며, 현재 국립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쿠르트 폰 프랑수아(Curt von François) 기념비 - 빈트후크 시청 건물 앞에 있으며, 폰 프랑수아에 의한 도시의 두 번째 건설 75주년을 기념하여 1965년 10월 18일에 제막되었다. 이 동상은 2022년 11월 23일에 시청 부지 앞 위치에서 제거되어 빈트후크 시립 박물관에 보관될 예정이다.[18]
- 영웅의 언덕(Heroes' Acre)(나미비아) – 도시에서 약 1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국가 전쟁 및 영웅 기념비.
- 독립 기념 박물관(Independence Memorial Museum)(나미비아) – 식민지 반대 저항과 나미비아 공화국의 민족 해방 운동에 초점을 맞춘 역사 박물관.
- 나미비아 국가평의회(National Council (Namibia)) – 나미비아의 양원제 의회 상원.
- 라이터덴크말(Reiterdenkmal) (''기마상'') - 1904~1907년 헤레로족과 나마족 전쟁에서 독일 제국의 승리를 기념하는 동상.[50] 2013년 12월 크리스투스 교회(Christuskirche) 옆 역사적인 장소에서 제거되어 현재 알테 페스테(Alte Feste) 마당에 전시되어 있다.[51]
- 나미비아 대통령궁(State House, Windhoek) – 나미비아 대통령의 공식 관저.
- 나미비아 대법원(Supreme Court of Namibia) – 엘리아킴 나문제보 광장(Eliakim Namundjebo Plaza) 마이클 스콧 거리(Michael Scott Street)에 위치해 있다. 1994년부터 1996년 사이에 건립[52]되었으며, 독립 이후 아프리카 건축 양식으로 세워진 빈트후크 유일의 건물이다.[53]
- 빌헬름 잔더(Wilhelm Sander)가 건설한 빈트후크의 세 개의 성: 하이니츠부르크(Heinitzburg), 잔더부르크(Sanderburg), 슈베린스부르크(Schwerinsburg)[54]
- 틴텐팔라스트(Tintenpalast) – (''잉크 궁전'') 의회 정원 내에 위치하며, 나미비아 의회 양원의 의석이다. 1912년부터 1913년 사이에 건립되었으며 로버트 무가베 애비뉴(Robert Mugabe Avenue) 바로 북쪽에 위치해 있다.
- 턴할레(Turnhalle) – 1909년에 준공된 빌헬미나 양식의 신고전주의 건물.[55]
- 빈트후크 기차역(Windhoek Railway Station) – 빈트후크 시를 연결하는 역사적인 기차역.
- 동물원 공원(Zoo Park) – 빈트후크 시내 독립 애비뉴에 있는 공원. 현재 이 공원은 조경이 되어 있으며 연못, 놀이터, 야외극장이 있다.[56]
8. 2. 스포츠
럭비 유니온은 나미비아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남자 국가대표팀은 럭비 월드컵에 7번 연속(1999년, 2003년, 2007년, 2011년, 2015년, 2019년, 2023년) 출전했지만, 아직 토너먼트에서 승리한 적은 없다. 국가대표팀과 같은 이름을 가진 웰위치아스(Welwitschias)는 2021년부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국내 럭비 챌린지 대회에 참가했으며, 이전에는 커리 컵(Currie Cup)과 보다컴 컵(Vodacom Cup)에 참가했다.이 도시에는 아프리칸 스타스 FC(African Stars F.C.), 블랙 아프리카 FC(Black Africa F.C.), FC 시빅스 빈트후크(F.C. Civics Windhoek), 올랜도 파이러츠 FC, 램블러스 FC(Ramblers F.C.), SK 빈트후크(SK Windhoek), 타이거스 FC(Tigers F.C.), 투라 매직 FC(Tura Magic F.C.), 시티즌스 FC(Citizens F.C.)를 포함한 여러 축구 클럽이 있다.
파울루스 모세스(Paulus Moses), 파울루스 암분다(Paulus Ambunda), 압메르크 신주(Abmerk Shindjuu) 등 많은 권투 선수들이 이 도시 출신이다.
나미비아 국가 크리켓 팀(이글스)은 대부분의 홈 경기를 완데러스 크리켓 경기장에서 치른다.[57] 또한 유나이티드 경기장과 트랜스 나미브 경기장(Trans Namib Ground)을 포함한 도시의 다른 경기장에서도 경기를 치렀다.[58][59] 이 팀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03 크리켓 월드컵에 참가했지만 모든 경기에서 패했다. 또한 ICC 인터컨티넨탈 컵의 모든 대회에 참가했다.
남자 야구는 1950년 도시의 램블러스 스포츠 클럽에서 나미비아에 소개되었다.
'토니 러스트 레이스웨이(Tony Rust Raceway)'는 빈트후크 서쪽 다안 빌요엔 도로에 위치해 있으며 2007년에 재개장했다.[60] 도시와 인접해 있으며 지방 자치 단체가 소유한 팜 빈트후크(Farm Windhoek)는 하이킹, 달리기, 산악 자전거를 위한 스포츠 시설이다.
9. 교육
빈트후크의 주요 고등 교육 기관은 다음과 같다.
- 나미비아 대학교(UNAM)
- 나미비아 과학기술대학교(NUST) (2015년까지는 나미비아 폴리텍이었음)
- 국제경영대학교(IUM)
다른 주목할 만한 고등 교육 기관은 다음과 같다.
- 정보기술연구소(IIT)
- 예술대학(COTA)
빈트후크에는 2016년 기준으로 29개의 중등학교와 58개의 초등학교가 있다.[61] 주목할 만한 학교는 다음과 같다.
- A. Shipena 중등학교
- Academia 중등학교
- Augustineum 중등학교
- Centaurus 고등학교
- 콩코르디아 칼리지
- 코스모스 고등학교
- 마오쩌둥 의장 고등학교
- Dagbreek 지적 장애인 학교[62]
- 데이비드 베주이덴하우트 중등학교
- 델타 중등학교 빈트후크(DSSW)
- 독일 사립 고등학교(DHPS)
- 엘라 두 플레시스 고등학교
- Eros 여자학교[63]
- 하게 가이놉 고등학교
- 홀리 크로스 수녀원 학교
- 이마누엘 시피디 중등학교
- 야곱 마렝고 중등학교
- 얀 용커 아프리카너 고등학교
- 얀 뫼어 중등학교
- 세인트 조지스 디오세산 칼리지[64]
- 피오니어 소년학교
- 세인트 폴 칼리지
- 빈트후크 아프리칸스 사립학교(WAP)
- 빈트후크 체육관 사립학교(WHK Gym)[65]
- 빈트후크 고등학교(WHS)
- 빈트후크 국제학교(WIS)
참조
[1]
웹사이트
2023 Population & Housing Census Preliminary Report
https://web.archive.[...]
2024-03-16
[2]
웹사이트
Namibia: Regions, Towns, Villages & Settlement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2024-03-16
[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ǁKhauxaǃnas. Introduction.
http://www.klausdier[...]
2010-07-09
[4]
웹사이트
The Orlams Afrikaners – the Creole Africans of the Garieb
http://cape-slavery-[...]
Cape Slavery Heritage
2010-07-08
[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amib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6-07-04
[6]
서적
Das alte Südwestafrika. Südwestafrikas Geschichte bis zum Tode Mahareros 1890
Namibia Scientific Society
[7]
웹사이트
Biographies of Namibian Personalities, A (entry for Jonker Afrikaner)
http://www.klausdier[...]
klausdiers.com
2011-10-01
[8]
웹사이트
Windhoek City Council: The History of Windhoek
https://web.archive.[...]
[9]
서적
Capital Cities around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eography, History, and Culture
ABC-CLIO
[10]
뉴스
Verona, the last grandchild of Von François
https://www.namibian[...]
2021-11-17
[11]
웹사이트
Biographies of Namibian Personalities, V (entry for Curt von François)
http://www.klausdier[...]
klausdiers.com
2011-10-01
[12]
뉴스
Namibia pulls down German colonial officer's statue in Windhoek
https://www.bbc.com/[...]
BBC News
2022-11-23
[13]
웹사이트
Windhoek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19-07-07
[1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Windhoek
http://www.windhoekc[...]
City of Windhoek
2020-10-26
[15]
간행물
Walvis Bay: exclave no more
https://www.jstor.or[...]
[16]
웹사이트
Surviving in an arid land: Direct reclamation of potable water at Windhoek's Goreangab Reclamation Plant
http://ag.arizona.ed[...]
[17]
웹사이트
Windhoek (Namibia)
http://www.crwflags.[...]
2014-02-12
[18]
뉴스
Windhoek erhielt heute Stadtrechte
1965-10-18
[19]
학술지
Namibia's General Strike
https://www.jstor.or[...]
1972
[20]
웹사이트
The Windhoek Structure Plan
http://www.polytechn[...]
City of Windhoek
2013-07-02
[21]
뉴스
ELECTIONS 2010: Erongo regional profile
http://www.newera.co[...]
New Era
2010-11-16
[22]
뉴스
ELECTIONS 2010: Khomas Region profile
https://archive.toda[...]
2010-11-12
[23]
뉴스
Owning a house ... a dream deferred
https://web.archive.[...]
2010-02-11
[24]
뉴스
Namibians 3rd wealthiest people in Africa
http://www.namibian.[...]
2017-04-24
[25]
뉴스
743 convicts in jail for rape
https://www.namibian[...]
2022-02-15
[26]
뉴스
A glimpse into the taxi industry
2013-04-03
[27]
웹사이트
Namibia Airports Company
https://archive.toda[...]
2011-10-09
[28]
뉴스
Windhoek's battle for land
http://www.newera.co[...]
2010-02-10
[29]
뉴스
Windhoek slaan Afrika-rekord
http://www.republike[...]
2013-07-02
[30]
웹사이트
The Windhoek Structure Plan
http://www.polytechn[...]
City of Windhoek
2013-07-02
[31]
뉴스
Groot Aub incorporated into Windhoek
https://www.namibian[...]
2017-09-11
[32]
뉴스
Namibia's ghetto life: Half million live in shacks countrywide
https://www.namibian[...]
2020-08-12
[33]
웹사이트
Climate and average monthly weather in Namibia
https://weather-and-[...]
2017-07-20
[34]
뉴스
Khomas faces worst drought in 90 years
https://www.namibian[...]
2019-05-23
[35]
웹사이트
Klimatafel von Windhuk (Windhoek) / Namibia
https://web.archive.[...]
Federal Ministry of Transport and Digital Infrastructure
2016-11-02
[36]
웹사이트
Stationsnummer 68110
http://www.dmi.dk/dm[...]
Ministry of Energy, Utilities and Climate
2016-11-02
[37]
뉴스
Reading Eagle – Google News Archive Search
https://news.google.[...]
2015-11-15
[38]
웹사이트
Visit Windhoek, People and languages
http://www.visitwind[...]
2003
[39]
웹사이트
Namibia: Administrative Division population statistics
http://www.citypopul[...]
2019-11-21
[40]
간행물
Know Your Local Authority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41]
웹사이트
Local elections results
http://www.ecn.na/do[...]
Electoral Commission of Namibia
2015-11-28
[42]
웹사이트
2020 Local Authority Elections Results and Allocation of Seats
https://www.ecn.na/w[...]
Electoral Commission of Namibia
2020-11-29
[43]
웹사이트
Mayoral Annual Report 2016
http://documents.win[...]
Windhoek
2016
[44]
웹사이트
Twinning agreements
https://www.joburg.o[...]
City of Johannesburg
[45]
웹사이트
Namibia's Windhoek, Jamaica's Kingston sign twinning agreement
http://www.xinhuanet[...]
Xinhua
2019-02-06
[46]
뉴스
Windhoek and Addis Ababa Sign Twinning Agreement at African Urban Forum
https://economist.co[...]
2024-09-08
[47]
웹사이트
National Museum of Namibia
https://www.museums.[...]
[48]
뉴스
National News 19.02.2009 Public library gets a facelift
http://www.namibian.[...]
2009-02-19
[49]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50]
뉴스
Monument's centenary remembered
http://www.namibian.[...]
2012-01-30
[51]
뉴스
Ruiter val op heiligste dag
http://www.republike[...]
2013-12-27
[52]
웹사이트
Windhoek Supreme Court
http://www.wcenamibi[...]
Windhoek Consulting Engineers
[53]
웹사이트
Windhoek on Foot
http://www.holidaytr[...]
Venture Publications
[54]
웹사이트
Biographies of Namibian Personalities, S
http://www.klausdier[...]
klausdierks.com
[55]
뉴스
100 years Turnhalle • From gymnasium to Tribunal
http://www.republike[...]
2009-12-18
[56]
웹사이트
Windhoek Attractions, Namibia
http://www.sa-venues[...]
Sa-venues.com
[57]
웹사이트
Wanderers Cricket Ground, Windhoek
https://cricketarchi[...]
CricketArchive
2011-09-26
[58]
웹사이트
United Ground, Windhoek
https://cricketarchi[...]
CricketArchive
2011-09-26
[59]
웹사이트
Trans Namib Ground, Windhoek
https://cricketarchi[...]
CricketArchive
2011-09-26
[60]
웹사이트
Tony Rust Raceway, Windhoek
http://www.dlg.speed[...]
[61]
뉴스
Schools in Windhoek under pressure for places
http://www.namibian.[...]
Namibia Press Agency (Nampa)
2016-01-15
[62]
웹사이트
Dagbreek school Windhoek Namibia-school for learners who are intellectually impaired
http://www.schoolnam[...]
[63]
웹사이트
Eros School for Girls
http://www.namibweb.[...]
namibweb.com
[64]
웹사이트
Saint George's Diocesan College
http://www.stgeorges[...]
stgeorgesnamibia.com
[65]
뉴스
Private school draws praise from Namwandi
http://www.newera.co[...]
2014-05-20
[66]
뉴스
Windhoek slaan Afrika-rekord
http://www.republike[...]
Die Republikein
[67]
웹사이트
各国・地域情勢-ナミビア共和国(外務省HP)
https://www.mofa.go.[...]
2012-02-07
[68]
웹사이트
Windhoek, Namibia - Africa Travel
http://goafrica.abou[...]
[69]
뉴스
ナミビアも不気味 革命をめざす解放勢力
朝日新聞
1976-03-04
[70]
뉴스
Windhoek’s battle for land
http://www.newera.co[...]
New Era
2010-02-10
[71]
웹사이트
Visit Windhoek, People and languages
http://www.visitwind[...]
Thomas Schoch
2003
[72]
웹사이트
Average Conditions Windhoek, Namibia
http://www.bbc.co.uk[...]
BBC Weather
2009-08-16
[73]
웹인용
Namibia: Administrative Division population statistics
http://www.citypopul[...]
2019-11-21
[74]
웹인용
Klimatafel von Windhuk (Windhoek) / Namibia
https://web.archive.[...]
Federal Ministry of Transport and Digital Infrastructure
2016-11-02
[75]
웹인용
Stationsnummer 68110
http://www.dmi.dk/dm[...]
Ministry of Energy, Utilities and Climate
2016-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