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턴 플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돌턴 플랜은 1920년대 미국 교육자 헬렌 파크허스트가 개발한 교육 방식이다. 이 계획은 학생 개개인의 필요와 능력에 맞춰 학습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자립심, 사회성, 책임감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돌턴 플랜은 하우스, 과제, 실험실의 세 단계로 구성되며, 학생들은 교사와 계약을 맺고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워 과목별 실험실을 이동하며 학습한다. 이 교육 방식은 몬테소리 교육과 존 듀이의 문제 해결 학습의 장점을 결합했으며, 한국에서는 청라 달튼 외국인학교 등에서 적용되고 있다.
돌턴 플랜은 헬렌 파크허스트가 창립한 뉴욕의 프레퍼레이토리 스쿨인 돌턴 스쿨을 중심으로 세계 각지에 퍼져나갔다. 돌턴 스쿨은 '어린이 대학교'라는 별칭으로도 불렸다.
돌턴 플랜은 학생들이 자신의 속도에 맞춰 학습하고, 필요할 때 교사로부터 개별적인 도움을 받는 교육 방식이다. 학생들은 시간표를 작성하고 교과 과정 또는 과제에 대한 작업을 완료해야 할 책임이 있으며, 서로의 학습을 돕도록 권장된다. 공식적인 수업은 없다.[2]
2. 역사적 배경
1922년 대정 자유 교육 운동의 영향으로 일본 세이죠 초등학교에 도입되었으나, 쇼와 시대에 들어서면서 교사의 수고를 덜고 학생들의 학력 저하를 초래한다는 비판을 받고 일본 교육계에서 배제되었다.[22] 1928년 나가노 오사미가 해군병학교에 도입했지만, 군령부 차장으로 전임하면서 소멸되었다. 태평양 전쟁 이후 이노우에 시게미는 나가노의 돌턴식 교육을 비판했으나, 세키 마모루 등 유능한 인재를 배출하기도 했다.
1970년 가와이주쿠는 유아 및 아동 대상 지능 개발 교실을 설립하고, 1976년 뉴욕 돌턴 스쿨과 제휴했다.[23] 2019년에는 돌턴 도쿄 학원 중등부·고등부가 개교했다.
2. 1. 개발 배경
헬렌 파크허스트는 처음 교사로 부임한 학교에서 40명의 학생을 혼자 지도한 경험을 바탕으로 돌턴 플랜을 개발하였다. 이후 마리아 몬테소리의 자발성과 자주성을 중시하는 몬테소리 교육과 존 듀이의 문제 해결 학습의 장점을 도입하였다. 돌턴 플랜은 학급 인원이 많더라도 아동 개개인의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자유와 협동을 중심으로 한다.
2. 2. 해외 도입
돌턴 플랜은 미국뿐만 아니라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도입되었다.
영국에서는 1920년 타임스 교육 부록에 돌턴 플랜을 소개하는 기사가 실리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2] 1921년에는 영국의 교장 로사 바셋이 어린이 대학교를 방문하여 파크허스트와 교류하면서 돌턴 플랜 도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 바셋은 영국 중등학교에 돌턴 플랜을 처음으로 적용한 인물 중 하나로, 파크허스트의 저서에 기고하기도 했다.[3]
일본에서는 1922년 대정 자유 교육 운동의 영향으로 세이죠 초등학교에 처음 도입되어 가미야 미에코 등이 혜택을 받았다.[22] 그러나 쇼와 시대에 들어서면서 교사의 수고를 덜고 학생들의 학력 저하를 초래한다는 비판을 받고 교육계에서 배제되었다.[22] 1928년 나가노 오사미가 해군병학교 교장으로 취임하면서 자율 학습 중심의 돌턴식 교육을 도입했지만, 나가노가 군령부 차장으로 전임하면서 사라졌다. 해군병학교의 교육 목표와 돌턴 플랜의 교육 방식이 맞지 않았다는 평가도 있다. 태평양 전쟁 이후, 이노우에 시게미는 나가노의 돌턴식 교육을 비판했지만, 돌턴 교육을 받은 세키 마모루와 같은 유능한 인재들이 새로운 폭격술 연구 개발에 힘쓰는 등 긍정적인 측면도 있었다.
1970년 가와이주쿠는 1976년 뉴욕 돌턴 스쿨과 제휴하여 유아 및 아동 대상 지능 개발 교실을 운영하기 시작했다.[23] 1982년부터는 2세, 1991년부터는 1세 유아 대상 영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23] 2019년에는 돌턴 플랜 교육을 하는 돌턴 도쿄 학원 중등부·고등부를 개교했다.
2. 2. 1. 영국
1920년, 타임스 교육 부록에 돌턴 플랜의 작동 방식을 자세히 설명하는 기사가 게재되었다. 이 기사에서 파크허스트는 돌턴 플랜이 "중등학교에 대학교 학생의 여유와 문화를 부여했고, 커리큘럼을 단순화했으며, 교사의 매일 밤 수업 준비와 아이들의 악몽 같은 숙제를 없앴다. 동시에 그녀의 지도 아래 있는 아이들은 '입학 자격 표준' 시험에 필요한 모든 내용을 자동으로 습득하며, 시험 실패는 전혀 없다"라고 설명했다.[2]
돌턴 플랜은 학생들이 자신의 속도에 맞춰 학습하고, 필요할 때 교사로부터 개별적인 도움을 받는 교육 방식이다. 공식적인 수업 지시는 없으며, 학생들은 시간표를 작성하고 교과 과정 또는 과제에 대한 작업을 완료해야 할 책임이 있다. 또한 학생들은 서로의 학습을 돕도록 권장된다.
1921년 봄, 영국의 교장 로사 바셋은 어린이 대학교에 방문하여 파크허스트와 함께 머물렀다. 파크허스트는 바셋이 자신의 생각에 완전히 동의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50년 후 "그녀는 돌턴이었다"라고 회고했다. 그녀는 바셋과 벨 레니를 돌턴 플랜 도입에 가장 열정적이고 도움이 된 영국인 두 명으로 묘사했다. 로사 바셋은 영국 중등학교 내에서 돌턴 플랜을 처음으로 적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파크허스트의 돌턴 플랜에 관한 책에 한 장을 기고했다.[3]
2. 2. 2. 일본
1922년 대정 자유 교육 운동 말기에 세이죠 초등학교에 처음 도입되었다. 가미야 미에코 등이 "세이죠 돌턴 플랜"의 혜택을 받았다. 그러나 쇼와 시대에 들어서면서 돌턴 플랜은 교사의 수고를 덜고 학생들의 학력 저하를 초래하여 진학에 불리하다는 등의 비판을 받아 일본 교육계에서 배제되었다.[22]
1928년 나가노 오사미가 해군병학교 교장으로 취임하면서 자율 학습을 중심으로 하는 돌턴식 교육이 채택되었으나, 나가노가 군령부 차장으로 전임한 후 소멸되었다. 돌턴 플랜 소멸의 가장 큰 원인은 해군병학교의 시간표상 필수 과목이 많아 학생들이 자유롭게 토론하거나 공부할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해군병학교는 대학교처럼 학생들이 자유롭게 탐구하고 창조하여 새로운 시스템이나 원리를 발명하거나, 국가 각 방면에서 활약할 인재를 육성하는 기관이 아니라, 군대 조직을 움직이는 부품을 키우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기에 군대라는 작은 세계의 인재 육성에는 적합하지 않았다는 의견도 있다. 나가노 교장 시대의 병학교 교풍을 칭찬하는 목소리가 55기(요시다 토시오에 따르면 58기에서 60기)를 중심으로 하는 나가노 제자들로부터 컸던 반면, 타율적인 틀에 박힌 교육을 받지 않은 탓에 임관 후 다른 기수의 사관들로부터 상관에 대한 의견(제안)이 많아 "이론적이고 의견이 많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2차 세계 대전 중 병학교장을 맡았던 이노우에 시게미는 "1인분의 해군사관을 키우는 것이 병학교의 최대 임무이며, 어느 정도 틀에 박힌 교육은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나가노의 돌턴식 교육을 비판했다. 나가노가 이노우에 교장 시대의 병학교를 방문했을 때, 학생 앞에서 나가노에게 지론을 말하게 하면 곤란하다는 생각에 학생들을 위한 훈화를 시키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돌턴 교육을 받은 세키 마모루 등은 새로운 폭격술 연구 개발에 힘쓰는 등 유능한 인재도 많이 배출되었다.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당시 해군의 교육 정책과 조직 체질 문제가 제기되었는데, 현장 지휘관이나 젊은 사관의 제안이 묵살되고 연공서열과 권위주의가 우선시되어 조직 유연성이 부족했던 점이 패인 중 하나로 언급되기도 한다. 미국군에 비해 일본군의 전술·전법이 교과서적인 반복에 그쳐 쉽게 간파당한 점 등을 볼 때, 나가노가 실시한 돌턴 플랜은 각자의 창의성과 전문성을 키우고 새로운 전술·전법을 만들려는 유연한 발상의 교육 개혁으로서 해군병학교 역사에서도 혁신적이고 드문 사례였다는 평가도 있다.
1970년 가와이주쿠는 유아 및 아동 대상 지능 개발 교실 "영재 교육 연구소"를 설립하고, 1976년 뉴욕 돌턴 스쿨과 제휴하여 교실명을 가와이주쿠 학원 돌턴 스쿨로 변경했다. 1982년에는 2세, 1991년에는 1세 유아 대상 영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23] 85년 전 돌턴 플랜이 아이 중심 교육 개혁을 외치는 신교육 운동이었던 것에 비해, 2007년 현재의 돌턴 플랜은 조기 영재 교육의 색채가 짙다.
2019년 가와이주쿠는 돌턴 플랜 교육을 하는 중고등학교 일관 학교 돌턴 도쿄 학원 중등부·고등부를 도쿄도조후시에 개교했다.
2. 3. 한국 도입과 현황
청라 달튼 외국인학교는 한국에서 돌턴 플랜을 적용한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청라 지역에 위치한 이 학교는 학생 중심의 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다.[22]
과거 한국에서는 일본의 사례와 같이 돌턴 플랜이 도입되었으나, 교사의 부담 증가, 학력 저하 등의 비판을 받아 교육 현장에서 배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창의적 인재 육성과 학생 중심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돌턴 플랜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창의적 인재 육성과 학생 중심 교육을 강조하는 교육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돌턴 플랜은 더욱 주목받고 있다. 돌턴 플랜은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잠재력을 존중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돌턴 플랜의 특징
마리아 몬테소리의 몬테소리 교육과 존 듀이의 문제 해결 학습의 장점을 결합한 돌턴 플랜은, 학급 인원이 많더라도 각 학생의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자유와 협동을 중시한다.
매주 1회 학급 회의를 열어, 학급 전체가 흥미를 가질 만한 주제를 토론과 협의를 통해 선정하여 협동심을 기른다.
3. 1. 기본 원리
돌턴 플랜은 학생 중심의 개별화된 교육 방식으로, 각 학생의 필요, 흥미, 능력에 맞는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학생들은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우고, 자신의 속도에 맞춰 학습하며, 교사는 개별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이러한 교육 방식은 학생들의 자립심, 신뢰성, 사회성, 그리고 타인에 대한 책임감을 길러준다.[1]
돌턴 플랜은 유도가인 가노 지고로 박사와의 대화를 통해 유도의 가르침에서 영향을 받았다.[1]
돌턴 플랜은 다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1]
1920년 ''타임스'' 교육 부록 기사에 따르면, 돌턴 플랜은 중등학교에 대학교 학생의 여유와 문화를 부여하고, 커리큘럼을 단순화하며, 교사의 과도한 업무와 학생들의 숙제를 없앴다. 또한, 학생들은 시험에 필요한 내용을 자연스럽게 습득하며, 시험 실패는 거의 없었다.[2]
돌턴 플랜의 근본적인 목표는 학생의 정신적, 도덕적, 신체적, 영적 발달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1921년 봄, 영국의 교장 로사 바셋은 돌턴 플랜의 창시자인 파크허스트와 교류하며 돌턴 플랜에 대한 깊은 공감을 나타냈다. 파크허스트는 훗날 바셋을 돌턴 플랜 도입에 가장 열정적이고 큰 도움을 준 영국인 중 한 명으로 꼽았다. 로사 바셋은 영국 중등학교에 돌턴 플랜을 처음 적용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3]
돌턴 플랜은 마리아 몬테소리의 자발성과 자주성을 중시하는 몬테소리 교육과 존 듀이의 문제 해결 학습의 장점을 결합하여 만들어졌다. 이 계획은 학급 인원이 많더라도 각 학생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핵심 원리는 자유와 협동이다.
학생들은 교사와 함께 한 달 동안의 학습 계획, 즉 '컨트랙트(Contract)'를 맺는다. 이 계약은 국어, 산수, 과학, 사회 등 각 교과별로 학습 목표와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학생들은 매일 자신의 학습 진도에 맞춰 스스로 학습하고 교사에게 제출하여 평가를 받는다. 평가 결과는 '크레딧(Credit)'이라는 포인트로 주어지며, 학생들은 교실 뒤편의 학습 진도표(Room Graph)에 자신의 성취도를 표시한다. 교사는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상황을 파악하고 개별 지도를 제공한다.
교사들은 학습 내용 간의 연관성을 높이고, 학생들이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흥미로운 주제를 배치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관심사가 어떻게 발전하는지 관찰하고, 주 1회 학급 회의를 통해 협동심을 기르는 활동을 한다.
3. 2. 3단계 계획
헬렌 파크허스트는 돌턴 교육의 구조적 기초가 되는 3단계 계획을 개발했다.[1]
학생들은 과목 "실험실"(교실) 사이를 이동하며 자신만의 속도로 주제를 탐구한다. 학생은 교사와 자신이 세운 학습 계획을 바탕으로 일종의 계약을 맺는데, 이를 컨트랙트(Contract)라고 부른다. 1개월 동안 국어, 산수, 과학, 사회 등 각 교과별로 학습할 내용을 정한다. 학습 내용은 상자에 나누어져 있으며, 학습 문제에 대한 답이나 교사에 대한 질문을 적는 카드가 준비되어 있다. 학생은 매일 학습 진행에 맞춰 스스로 해당 카드를 꺼내 자율 학습을 하고, 교사에게 제출하여 합격하면 포인트를 받는다. 포인트는 크레딧(Credit)이라고 불리며, 교실 뒤쪽 벽에 붙어있는 학습 진도표(Room Graph)의 자신의 칸에 포인트별로 지정된 색을 칠한다. 교사는 학습 진도표를 보고 누가 순조롭게 학습을 진행하고 있는지 즉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돌턴 플랜에서 학습은 개별화되어 각 학생의 능력과 자질에 따라 설계된다.
3. 3. 학습 방식
돌턴 플랜은 학생들이 자신의 속도에 맞춰 학습하고, 필요할 때 교사로부터 개별적인 도움을 받는 교육 방식이다.[2] 공식적인 수업은 없으며, 학생들은 시간표를 작성하고 교과 과정 또는 과제에 대한 작업을 완료해야 할 책임이 있다.[2] 학생들은 서로의 학습을 돕도록 권장된다.[2]
돌턴 플랜의 학습 방식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학생들은 개별화된 학습을 진행하며, 자신의 능력과 자질에 따라 학습 계획을 설계할 수 있다.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 내용이 연관성을 갖도록 계획 회의를 열거나, 각 학생을 다음 단계의 학습 계획으로 진전시키기 위해 관련 있는 흥미로운 테마를 배치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각 학생의 관심사가 어떻게 발전해 나가는지 관찰하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
4.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돌턴 플랜은 한국 사회, 특히 교육 분야에 시사하는 바가 크지만, 현재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관련 내용이 없어 요약에 기반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1. 사회적 가치
매주 1회 학급 회의가 열리고, 학급 전체가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토론과 협의를 통해 협동심을 기른다.5. 돌턴 플랜 적용 학교 목록
돌턴 플랜을 적용하는 학교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국가 !! 학교
|-
| 오스트레일리아 || 애스컴 스쿨(Ascham School), 시드니 (1922년)[4]
|-
| 오스트레일리아 || 메소디스트 레이디스 칼리지, 퍼스(Methodist Ladies' College, Perth) (1921년)[4]
|-
| 오스트리아
|
|-
| 대한민국 || 청라 달튼 외국인학교
|}
5. 1. 오스트레일리아
- 애스컴 스쿨(Ascham School), 시드니, 1922년[4]
- 메소디스트 레이디스 칼리지, 퍼스(Methodist Ladies' College, Perth), 1921년[4]
5. 2.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에는 다음과 같은 돌턴 플랜 학교들이 있다.
5. 3. 대한민국
청라 달튼 외국인학교참조
[1]
서적
The Dalton Laboratory Plan
https://archive.org/[...]
E.P. Dutton
[2]
간행물
article in the ''Times' Educational Supplement''
1920-05-27
[3]
서적
Education On The Dalton Plan
https://archive.org/[...]
E. P. Dutton & Company
2007-12-01
[4]
간행물
Gertrude Mary Walton (1881–1951)
https://adb.anu.edu.[...]
National Centre of Biograph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4-25
[5]
웹사이트
Daltoncampus Het Leerlabo
http://www.hetleerla[...]
[6]
웹사이트
温州市道尔顿小学 学校简介An Introduction to Dalton Elementary School
http://www.wzdalton.[...]
[7]
웹사이트
Berufliche Schulen, Bachelor & Ausbildung - Angell Akademie Freiburg
https://www.angell-a[...]
[8]
웹사이트
Gymnasium Alsdorf - Gymnasium der Stadt Alsdorf
https://www.daltongy[...]
2022-05-03
[9]
웹사이트
Dalton Grundschule Unstruttal - Start
https://www.gs-unstr[...]
[10]
웹사이트
Marie-Kahle-Gesamtschule der Stadt Bonn
http://www.marie-kah[...]
[11]
웹사이트
Albrecht-Dürer-Gymnasium, Website
http://www.albrecht-[...]
[12]
웹사이트
Dalton | Friedrich Schiller Schule Erfurt
http://www.schiller-[...]
[13]
웹사이트
Gymnasium Essen-Überruhr - Dalton-Pädagogik
https://www.gymnasiu[...]
[14]
웹사이트
Dalton-Konzept. IGH FAQs 2019
https://igh-heidelbe[...]
Internationale Gesamtschule Heidelberg
[15]
웹사이트
Gymnasium Lage, Website
http://gymnasiumlage[...]
[16]
웹사이트
Home
https://www.debakelg[...]
[17]
웹사이트
Daltononderwijs, de 5 kernwaarden uitgelegd - Brederode Daltonschool
https://brederodedal[...]
2022-06-13
[18]
웹사이트
Homepage
https://casimirschoo[...]
[19]
웹사이트
Badley, John Haden (1865–1967), headmaster
https://www.oxforddn[...]
2021-01-02
[20]
웹사이트
Cecile McLachlan; Artist, teacher and inspiration for St Trinian's
https://www.heraldsc[...]
2009-10-23
[21]
웹사이트
Bonwick, Theodora Ellen
[22]
문서
国語教育史研究会発表資料『大正自由教育・成城小学校の分量主義教育とダルトン・プラン』1999年3月20日
http://www.kokugokyo[...]
[23]
웹사이트
河合塾学園 ドルトンスクールの歴史
http://www.dalton-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