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박새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박새과는 동박새를 포함한 조류 과이다. 이들은 주로 녹색을 띤 올리브색 깃털과 흰색 눈 고리를 특징으로 하며, 곤충, 꿀, 과일을 먹고 무리 생활을 한다. 동박새과는 형태학적, 생태학적 유사성으로 인해 오랫동안 별도의 과로 여겨져 왔으며, 유전적 연구를 통해 개개비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2019년 기준 13개 속, 149종이 있으며, 한국에는 동박새 1종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동박새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Zosteropidae
명명자보나파르트, 1853
본문 참조
일반 정보
메지로과
학명Zosteropidae
명명보나파르트, 1853년
한국어 이름메지로 (目白)
영어 이름White-eyes
White-eyes and Yuhinas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참새목 (Passeriformes)
아목참새아목 (Passeri)
소목참새소목 (Passerida)
상과울새상과 (Sylvioidea)
메지로과 (Zosteropidae)
하위 분류17속

2. 특징

동박새류는 대부분 특별한 외관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깃털은 일반적으로 윗부분은 녹색을 띤 올리브색, 아랫부분은 옅은 회색을 띤다. 일부 종은 흰색 또는 밝은 노란색 목, 가슴 또는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몇몇 종은 황갈색 옆구리를 가지고 있다. 동박새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많은 종은 눈 주위에 작은 흰색 깃털 고리가 뚜렷하게 있다.[1] 이 그룹의 학명 또한 이 특징을 반영하며, "고리 눈"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다. 둥근 날개와 튼튼한 다리를 가지고 있다. 다른 많은 꿀을 먹는 새들과 마찬가지로, 가늘고 뾰족한 부리와 붓 모양의 혀를 가지고 있다.[1] 크기는 최대 15cm에 이른다.

모든 동박새 종들은 사교적이어서 번식기 외에는 큰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나무에 둥지를 짓고 보통 옅은 파란색 알을 2개에서 4개 낳는다. 주로 곤충을 먹지만, 다양한 종류의 꿀과 과일도 섭취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일부 종(silvereye)이 포도원의 포도에 구멍을 내어 감염이나 곤충 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주로 아시아 남동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태평양인도양의 섬들, 열대온대 지역에 서식한다.

3. 분류

동박새과는 1853년 프랑스의 박물학자 샤를 루시앙 보나파르트에 의해 처음 아과(Zosteropinae)로 기술되었다.[2][3] 동박새 무리는 겉모습과 생활 방식이 비교적 비슷하여 오랫동안 별도의 (Zosteropidae)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분자 계통학 연구, 특히 mtDNA 분석 결과가 나오면서 동박새과의 분류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5] 이 연구들은 동박새가 개개비과(Timaliidae)와 매우 가까운 관계이며, 과거 구세계 개개비나 꿀빨기새과 등으로 분류되었던 일부 새들(예: 유히나 속, ''Apalopteron'' 속[4])이 실제로는 동박새과에 속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현재 동박새과는 개개비과에 포함되어 아과(Zosteropinae)로 분류되기도 하고, 또는 개개비과와 가장 가까운 독립된 과로 여겨지기도 한다. 동박새과 내부의 속 분류와 정확한 계통 관계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속의 소속 변경이나 통합이 이루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분류 및 계통 분류 섹션 참고)

3. 1. 하위 분류

동박새과는 1853년 프랑스의 박물학자 샤를 루시앙 보나파르트에 의해 아과(Zosteropinae)로 처음 기술되었다.[2][3] 동박새 무리는 형태와 생태가 비교적 균일하여 오랫동안 별도의 과(Zosteropidae)로 여겨졌으나, 분자 계통학 연구를 통해 개개비과(Timaliidae)와 매우 가까운 관계임이 밝혀졌다. 특히 과거 구세계 개개비로 분류되었던 유히나(Yuhina) 속 등이 동박새과에 포함되면서[5] 분류 체계에 변화가 있었다. 현재 많은 분류 체계에서는 동박새 무리를 개개비과 내의 아과(Zosteropinae)로 분류하거나, 개개비과와 매우 가까운 자매 그룹으로 간주한다.

분류학적 연구가 진행되면서 일부 속의 소속이 변경되었다. 과거 꿀빨기새과에 속했던 보닌동박새속(''Apalopteron'')은 유전적, 행동적 증거에 따라 동박새과로 옮겨졌고,[4] 과거 알키페과 또는 개개비과의 일부로 여겨졌던 ''Dasycrotapha'', ''Sterrhoptilus'', ''Zosterornis'' 속 등도 동박새과로 재분류되었다.[13][12][15] 반면, 과거 동박새과로 분류되었던 계피섬눈새(''Hypocryptadius cinnamomeus'')는 참새과로,[13][15] 마단가(''Madanga ruficollis'')는 할미새과[6] 소속이 변경되었다.

최근의 분자 계통 연구들은 동박새과 내부의 속 관계를 규명하는 데 기여했다.[7][9][8] 이 연구들에 따르면, 유히나 관련 속들이 동박새과 내에서 기저적인 분기군을 형성하며, 나머지 속들은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뉜다. 거대동박새(''Megazosterops'')는 헬레이아속(''Heleia'')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밝혀졌다.[8] 일부 속(''Apalopteron'', ''Tephrozosterops'', ''Rukia'')의 정확한 계통학적 위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거나 연구마다 다소 차이를 보인다.[8][7]

국제 조류 학회(IOC) 월드 버드 리스트(World Bird List) 버전 14.1 (2024년 기준)에 따르면, 동박새과는 13개 속에 149종을 포함한다.[9]

  • ''Parayuhina'' – 흰목유히나 (1종)
  • ''Staphida'' – 줄무늬유히나류 (3종)
  • ''Yuhina'' – 유히나류 (7종)
  • ''Dasycrotapha'' – 불꽃머리개개비류 (3종)
  • ''Sterrhoptilus'' – 관개개비류 (4종)
  • ''Zosterornis'' – 줄무늬개개비류 (5종)
  • ''Cleptornis'' – 황금동박새 (1종)
  • ''Rukia'' – 큰동박새류 (2종)
  • ''Heleia'' – 헬레이아류 (11종, 거대동박새 ''Megazosterops'' 및 난쟁이동박새 ''Oculocincta'' 포함)[8][13]
  • ''Apalopteron'' – 보닌동박새 (1종)
  • ''Tephrozosterops'' – 적갈색어두운눈새 (1종)
  • ''Zosterops'' – 동박새류 (110종, 멸종 3종 포함. 스페이롭스 ''Speirops'', 우드포드동박새 ''Woodfordia'', 검은눈동박새 ''Chlorocharis'', 관머리동박새 ''Lophozosterops'' 일부 포함)[13]


'''과거 동박새과에 포함되었으나 현재 다른 과로 분류되는 속:'''

'''과거 별도 속으로 인정되었으나 현재 다른 속에 통합된 속:'''

  • ''Megazosterops'' – 현재 ''Heleia''에 통합됨.[8]
  • ''Oculocincta'' – 현재 ''Heleia''에 통합됨.[13]
  • ''Speirops'' – 현재 ''Zosterops''에 통합됨.[13]
  • ''Woodfordia'' – 현재 ''Zosterops''에 통합됨.[13]
  • ''Chlorocharis'' – 현재 ''Zosterops''에 통합됨.[13]
  • ''Lophozosterops'' – 현재 일부는 ''Heleia''에, 일부는 ''Zosterops''에 통합됨.[13]

3. 2. 계통 분류

동박새과는 1853년 프랑스의 박물학자 샤를 루시앙 보나파르트에 의해 아과(Zosteropinae)로 처음 소개되었다.[2][3] 동박새들은 비교적 균일한 형태학생태학적 특징을 보여주는데, 이 때문에 적응 방산과 분화가 적어 오랫동안 별도의 (Zosteropidae)로 여겨졌다.

과거 꿀빨기새과에 속했던 ''Apalopteron'' 속은 1995년 유전적 및 행동적 증거를 바탕으로 동박새과로 옮겨졌다. 이 종은 전형적인 동박새인 ''Zosterops'' 속과는 외형상 차이가 크지만, 일부 미크로네시아분류군과 유사하며 불완전한 흰색 눈테를 제외하면 색상 패턴이 다소 독특하다.[4]

2003년 앨리스 시보이스(Alice Cibois)는 mtDNA사이토크롬 b와 12S rRNA,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동박새는 당시까지 구세계개개비와 함께 분류되었던 유히나( ''Yuhina'' ) 속을 포함하는 분지군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제시되었다. 구세계개개비는 당시 매우 다양한 종들을 포함하는 일종의 "쓰레기통 분류군"으로 여겨졌다.[5] 이전의 분자 계통 연구(예: Sibley & Ahlquist 1990, Barker 외. 2002)에서도 형태학적 증거와 함께 동박새를 개개비과의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잠정적으로 분류했었다. 그러나 동박새는 외형과 습성이 매우 유사한 반면, 구세계개개비는 매우 다양했기 때문에(현재는 이 그룹이 다계통군으로 밝혀짐) 분류에 대한 의문이 남아 있었다.

유히나 속(그리고 아마도 다른 개개비과 속들)과 함께 동박새 분지군의 경계는 "진정한" 구세계개개비와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이로 인해 한때는 동박새과를 개개비과의 아과(Zosteropinae)로 통합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동박새과, 특히 종 수가 많은 ''Zosterops'' 속과 여러 "구세계개개비" 속들의 관계는 여전히 명확하게 해결되지 않아, 동박새과를 독립된 과로 유지할지, 혹은 개개비과와 통합할지에 대해서는 더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Jønsson & Fjeldså 2006).

예를 들어, 시보이스(2003)와 동일한 유전자를 분석한 유히나 속과 ''Stachyris'' 속에 대한 연구(Cibois et al. 2002)에서는, 과거 ''Stachyris'' 속으로 분류되었던 일부 필리핀 종들이 실제로는 유히나 속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유히나 속 자체가 다계통군일 가능성이 있으며, 흰목유히나(현재 ''Parayuhina'')는 ''Stachyris''에서 이동된 종을 포함한 다른 유히나 속 새들보다 ''Zosterops'' 속 동박새의 조상에 더 가깝다는 결과가 나왔다(Cibois et al. 2002).

과거에는 마다가스카르섬의 마단가( ''Madanga ruficollis'' )가 동박새과에 포함되었으나, 현재 연구에 따르면 이 종은 할미새과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6] 또한, 계피섬눈새( ''Hypocryptadius cinnamomeus'' )도 과거 동박새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참새과로 옮겨졌다.[13][15]

최근의 분자 계통 연구들은 동박새과의 분류학적 위치와 내부 관계에 대해 더 명확한 그림을 제공하고 있다.

올리버로스 등(Oliveros et al., 2019)의 연구에 따르면, 동박새과는 흰턱딱새소목(Sylviida) 내의 흰턱딱새상과(Sylvioidea)에 속한다. 이 상과 내에서 동박새과는 붉은머리오목눈이과(Paradoxornithidae)와 가장 가까운 자매군을 이루며, 이 두 과의 분지군은 다시 흰턱딱새과(Sylviidae)와 자매 관계를 형성한다. 이 세 과 그룹은 직박구리과(Pycnonotidae)와 자매군 관계에 있다. 더 나아가 꼬리치레과(Timaliidae), 땅꼬리치레과(Pellorneidae), 상사조과(Leiothrichidae), 알키페과(Alcippeidae) 등과 단계적으로 분지군을 형성한다.[16]

카이 등(Cai et al., 2019)의 연구는 동박새상과(Sylvioidea, 이전의 개개비상과 Timalioidea 포함) 내에서 동박새과(Zosteropidae)가 개개비과(Timaliidae), 땅꼬리치레과(Pellorneidae), 알키페과(Alcippeidae), 상사조과(Leiothrichidae)로 이루어진 분지군과 자매 관계에 있다고 제시했다. 이 그룹은 다시 흰턱딱새과(Sylviidae) 및 붉은머리오목눈이과(Paradoxornithidae)와 자매 관계를 이루며, 이 모든 과들은 직박구리과(Pycnonotidae)와 더 큰 분지군을 형성한다.[7][9]

동박새과 내부의 속 관계에 대해서는 올리버로스 등(Oliveros et al., 2021)의 연구가 상세한 계통을 제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흰목유히나( ''Parayuhina'' 속)가 과 내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기저 분류군이다. 그 다음으로 유히나( ''Staphida'' 속)가 분기하고, 이어서 또 다른 유히나( ''Yuhina'' 속) 그룹이 분기한다. 나머지 속들은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뉜다. 한 그룹은 황금동박새( ''Cleptornis'' 속)와, 과거 꼬까참새속(''Stachyris'')에서 분리된 속들인 ''Dasycrotapha'' 및 ''Sterrhoptilus'' 속으로 구성된다. 다른 그룹은 역시 꼬까참새속에서 분리된 ''Zosterornis'' 속과, 동박새류를 포함하는 ''Heleia'' 속 (''Megazosterops'' 속 포함) 및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는 ''Zosterops'' 속 (과거 ''Speirops'', ''Chlorocharis'', ''Woodfordia'', ''Rukia'' 속 등 포함)으로 구성된다. 이 연구에서 ''Megazosterops'' 속은 ''Heleia'' 속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8] 카이 등(Cai et al., 2019)의 연구 결과도 대체로 유사했으나, ''Cleptornis'' 속을 ''Heleia'' 속의 자매 분류군으로 보았고, 샘플링되지 않았던 ''Apalopteron'' 속은 약한 지지도를 바탕으로 ''Heleia'' 속에 포함될 가능성을, ''Tephrozosterops'' 속은 ''Zosterops'' 속의 자매 분류군일 가능성을 제시했다.[7]

모일 등(Moyle et al., 2009)과 게랑 등(Gelang et al., 2009)의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들은 알키페과에서 관머리저오새속( ''Yuhina'' )이 동박새과로 옮겨지고, 꼬까참새속(''Stachyris'')의 일부 종들이 ''Dasycrotapha'', ''Sterrhoptilus'', ''Zosterornis''의 세 속으로 분리되어 동박새과로 이동했음을 보여주었다.[13][12][15] 이 분류 변경으로 동박새과와 알키페과는 자매군 관계가 되었다. 유히나 속은 동박새과 내에서 기저적인 측계통 그룹을 형성하며, 나머지 속들은 크게 Clade A와 Clade B로 나뉜다. Clade A는 꼬까참새속에서 분리된 세 속과 ''Heleia'' 속 등을 포함하며, Clade B는 주로 종 수가 가장 많은 ''Zosterops'' 속과 여기에 포함되는 몇몇 작은 속들로 구성된다.[13][10]

참조

[1] 서적 Encyclopaedia of Animals: Birds Merehurst Press
[2] 논문 Classification ornithologique par series https://www.biodiver[...]
[3] 서적 History and Nomenclature of Avian Family-Group Names http://digitallibrar[...]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4] 논문 Molecular Evidence That the Bonin Islands "Honeyeater" Is a White-eye https://www.jstage.j[...] 1995
[5] 논문 Mitochondrial DNA phylogeny of Babblers (Timaliidae) 2003
[6] 논문 Dramatic niche shifts and morphological change in two insular bird species
[7] 논문 Near-complete phylogeny and taxonomic revision of the world's babblers (Aves: Passeriformes) 2019
[8] 논문 A phylogeny of white-eyes based on ultraconserved elements 2021
[9] 웹사이트 ylviid babblers, parrotbills, white-eye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01
[10] 간행물 Phylogeny of babblers (Aves, Passeriformes): major lineages, family limits and classification http://www.nrm.se/do[...]
[11] 간행물 日本大百科全書 小学館
[12] 간행물 Alter the composition of the Timaliidae by merging Zosterops and moving the Wrentit Chamaea fasciata to the Sylviidae http://www.aou.org/c[...]
[13] 간행물 Explosive Pleistocene diversification and hemispheric expansion of a “great speciator” http://www.pnas.org/[...]
[14] 간행물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Passerida (Aves: Passeriformes): A review and a new molecular phylogeny based on three nuclear intron markers http://www.nrm.se/do[...]
[15] 간행물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16]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