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철이음이의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철이음이의어는 철자는 같지만 발음이나 의미가 다른 단어를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언어별로 발생 원인과 유형이 다르다. 영어의 경우 강세 위치나 모음 발음의 차이로, 프랑스어는 동사와 명사의 어미 발음 차이로, 일본어는 한자의 음독과 훈독 등으로 인해 동철이음이의어가 발생한다. 이탈리아어는 강세, 모음의 개방/폐쇄, 자음의 유무성음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현대 그리스어는 학술적, 구어적 의미와 발음의 차이로 인해 동철이음이의어가 나타난다. 네덜란드어는 강세 위치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으며, 독일어는 동철이음이의어가 드물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음이의 - 다의어
    다의어는 서로 관련되면서도 다른 의미를 가지는 단어 또는 어구로, 선형 및 비선형 다의성으로 분류되며, 사전 편집자는 의미 변화, 화자의 직관 등을 고려해 판단하고 동음이의어와 구별되는 특징을 지닌다.
  • 동음이의 - 동음이의어
    동음이의어는 철자와 발음은 같지만 의미가 다른 단어들을 지칭하며, 언어의 음운 체계, 역사적 변화, 외래어 표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여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 언어유희나 문학적 표현에 활용되기도 하지만 오해를 불러일으키거나 심리 언어학 연구에서 모호한 정보로 사용되기도 한다.
동철이음이의어
개요
분야음성학, 의미론
정의철자는 같지만 발음과 의미가 다른 단어
명칭
영어Heteronym
한국어동철이음이의어(同綴異音異義語)
상세 정보
특징동철이음이의어는 철자는 동일하지만 발음과 의미가 다른 단어이다. 예를 들어, 영어의 "tear"는 '눈물'이라는 명사로 발음될 때는 /tɪər/로 발음되지만, '찢다'라는 동사로 발음될 때는 /tɛər/로 발음된다.
중요성동철이음이의어는 언어의 풍부함과 복잡성을 보여주는 예시이며, 언어 학습 및 사용에 있어서 주의를 요하는 부분이다.
예시
영어 예시"tear": 눈물 (/tɪər/) vs. 찢다 (/tɛər/)
"close": 닫다 (/kloʊz/) vs. 가까운 (/kloʊs/)
"present": 선물 (/ˈprɛzənt/) vs. 발표하다 (/prɪˈzɛnt/)
한국어 예시 (제공된 문서에 한국어 예시 없음)(제공된 문서에 한국어 예시 없음)

2. 유형

동철이음이의어는 동음이의어가 아닌 동철이의어로, 철자는 같지만 발음과 의미가 다른 단어를 말한다. "이음이의"는 문자 그대로 "다른 소리"를 의미한다.

고유 명사도 때로는 동철이음이의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오리건 주와 위스콘신 주 오리건 마을의 이름에서 마지막 음절의 발음이 다르다. 조지아 주 카이로, 켄터키 주 베르사유, 테네시 주 밀란의 지역 발음도 더 잘 알려진 카이로, 베르사유, 밀란과 비교해 볼 때 동철이음이의어의 예시이다.

문법 격을 무시하고 두문자어와 일반 단어를 모두 포함하는 쌍도 있는데, ''US''와 ''us''가 그 예이다.

동철이음이의어는 알파벳 언어가 아닌 언어에서도 발생한다. 예를 들어, 가장 흔한 2400개의 한자 중 20%가 여러 개의 발음을 가지고 있다.[1][2][3] 아랍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모음을 쓰지 않아 단어가 모호해질 수 있는데, 이는 완전히 모음화될 때는 명확해지므로, 이를 동철이음이의어로 간주해야 하는지는 불분명하다.[4]

동형이음어는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읽기, 음성 합성, 자연어 처리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2. 1. 의미 차이

동형이음이의어는 소리가 달라도 거의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예: 공장 - こうじょう/こうば)와, "가명 - かな/가메이"처럼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진 경우가 있다.[4] 동형이음이의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그것이 동형이음어임을 의식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소리 내어 읽을 때는 문맥을 고려하여 발음을 결정해야 한다. 각 발음에 따라 품사나 의미가 완전히 다른 경우에는 문맥이나 문장 구조에 의해 어떤 읽기가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지만, 그것이 어려운 경우나 불가능에 가까운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일본어에서는 "금(かね)"과 "금(きん)"처럼 비슷한 문맥에 나타나며, 품사가 같고 의미가 다른 경우에는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 그 경우, 가나 표기를 하거나, 후리가나를 붙이거나, "돈/현금/캐시", "황금/골드" 등 다른 단어를 사용하여 혼란을 피한다.[4]

다음은 소리가 달라도 의미가 유사하거나,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진 동형이음이의어의 예시이다.

동형이음이의어 예시
단어발음 1발음 2의미 차이
공장こうじょうこうば유사
가명かなかめい다름
일본にほんにっぽん유사
넙적다리またもも유사
바닥ゆかとこ유사
가루こな유사
생선さかなうお유사
푸른 생선あおざかなあおうお유사
저주のろいまじない다름
제물おともおそなえ(=御供え)유사
1분いっぷんいちぶ다름
5분ごふんごぶ다름
10분じっぷんじゅうぶん다름
시코쿠よんこくしこく다름
한 사람 분ひとりまえいちにんまえ다름
한 행いちぎょういっこう다름
두 걸음にほにふ다름
딸 둘じじょにじょ다름
아들 둘じなんになん다름
궁리くふうこうふ다름
말기まっきまつご다름
이익りえきりやく다름
많은 사람들おおぜいたいせい다름
후수うしろでごて다름
은행ぎんなんいちょう다름
분별ぶんべつふんべつ다름
문언ぶんげんもんごん다름
시행しこうせこう동일 (표기만 다름)
시공しこうせこう동일 (표기만 다름)
도화ずがとが다름
자중じじゅうじちょう다름
심중しんちゅうしんじゅう다름
거리まちなかまちじゅう다름
하족げそくげそ다름
경매きょうばいけいばい다름
입수にゅうすいじゅすい다름
추종ついじゅうついしょう다름
금성きんせいきんぼし다름
금색きんいろこんじき다름
동인どうじんどうにん다름
わたしわたくし유사
들어가다いるはいる다름
넣다いれるはいれる다름
풀다とくほどく다름
꾸미다よそおうよそう다름
오다くるきたる다름
젖다ぬれるまみれる다름
화내다おこるいかる다름
싸다つつむくるむ다름
고르다えるよる다름
입다こうむるかぶる다름
만지다いじるまさぐる다름
그리다かくえがく다름
울리다ひびくどよめく다름
권유하다さそういざなう다름
다르다ちがうたがう다름
비다あくすく다름
열다あくひらく동일 (표기만 다름)
열다あけるひらける동일 (표기만 다름)
피하다さけるよける다름
질투하다ねたむそねむ다름
움푹 들어가다へこむくぼむ다름
닿다ふれるさわれる다름
토하다はくつく다름
튕기다はじくひく다름
따다つむつまむ다름
비틀다ひねるねじる다름
잠수하다もぐるくぐる다름
일그러지다ゆがむひずむ다름
오르다のぼるあがる다름
내리다くだすおろす다름
지탱하다ささえるつかえる다름
더럽히다よごすけがす다름
안다だくいだく다름
관련되다かかるかかわる다름
데우다あたためるぬくめる다름
꾀하다はかるたばかる다름
얻다えるうる동일 (표기만 다름)
인정하다みとめるしたためる다름
내려다보다みくだすみおろす다름
찾아내다みだすみいだす다름
때려죽이다うちころすぶちころす다름
때려올리다うちあげるぶちあげる다름
갔다いったおこなった다름
다녔다とおったかよった다름
대로とおりでどおりで다름
처음はじめそめ다름
멈춤とめとどめ다름
내림おりふり다름
몸짓そぶりすぶり다름
냄새나다くさいにおい다름
맵다からいつらい다름
미지근하다ぬるいぬくい다름
심하다むごいひどい다름
~하기 어렵다にくいがたい다름
향기롭다かんばしいかぐわしい동일
매끄럽다なめらかすべらか다름
분하다くちおしいくやしい다름
아리따움つややかあでやか다름
일편단심いちずいっと다름
일견いっけんいちげん다름
어째서なぜなにゆえ다름
무엇의なんのどの다름
어느いずれどれ다름
오염よごれけがれ다름
아직まだいまだ다름
보행충おさむしごみむし다름
형제きょうだいけいてい다름
자매しまいきょうだい다름
자매していきょうだい다름
형제けいまいきょうだい다름
부녀おやこちちむすめ다름
집 찾기やさがしいえさがし다름
집주인やぬしいえぬし다름
시라스しらこしらす다름
남장여자(여성스러운 외모의 남성)/어떤 남성의 딸おとこのこおとこのむすめ다름 (문맥에 따라 구별이 어려울 수도 있음)


2. 2. 언어별 유형

다음은 언어별 동철이음이의어의 유형이다.

  • 영어: 주로 강세 위치나 모음 발음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 일본어: 한자의 음독과 훈독, 단어의 의미 차이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1][2][3]


단어발음 1발음 2단어발음 1발음 2
일본にほんにっぽん넙적다리またもも
바닥ゆかとこ가루こな
생선さかなうお푸른 생선あおざかなあおうお
저주のろいまじない제물おともおそなえ(=御供え)
가명かなかめい1분いっぷんいちぶ
5분ごふんごぶ10분じっぷんじゅうぶん
시코쿠よんこくしこく한 사람 분ひとりまえいちにんまえ
한 행いちぎょういっこう두 걸음にほにふ
딸 둘じじょにじょ아들 둘じなんになん
궁리くふうこうふ말기まっきまつご
이익りえきりやく많은 사람들おおぜいたいせい
후수うしろでごて은행ぎんなんいちょう
분별ぶんべつふんべつ문언ぶんげんもんごん
시행しこうせこう시공しこうせこう
도화ずがとが공장こうじょうこうば
자중じじゅうじちょう심중しんちゅうしんじゅう
거리まちなかまちじゅう하족げそくげそ
경매きょうばいけいばい입수にゅうすいじゅすい
추종ついじゅうついしょう금성きんせいきんぼし
금색きんいろこんじき동인どうじんどうにん
わたしわたくし들어가다いるはいる
넣다いれるはいれる풀다とくほどく
꾸미다よそおうよそう오다くるきたる
젖다ぬれるまみれる화내다おこるいかる
싸다つつむくるむ고르다えるよる
입다こうむるかぶる만지다いじるまさぐる
그리다かくえがく울리다ひびくどよめく
권유하다さそういざなう다르다ちがうたがう
비다あくすく열다あくひらく
열다あけるひらける피하다さけるよける
질투하다ねたむそねむ움푹 들어가다へこむくぼむ
닿다ふれるさわれる토하다はくつく
튕기다はじくひく따다つむつまむ
비틀다ひねるねじる잠수하다もぐるくぐる
일그러지다ゆがむひずむ오르다のぼるあがる
내리다くだすおろす지탱하다ささえるつかえる
더럽히다よごすけがす안다だくいだく
관련되다かかるかかわる데우다あたためるぬくめる
꾀하다はかるたばかる얻다えるうる
인정하다みとめるしたためる내려다보다みくだすみおろす
찾아내다みだすみいだす때려죽이다うちころすぶちころす
때려올리다うちあげるぶちあげる갔다いったおこなった
다녔다とおったかよった대로とおりでどおりで
처음はじめそめ멈춤とめとどめ
내림おりふり몸짓そぶりすぶり
냄새나다くさいにおい맵다からいつらい
미지근하다ぬるいぬくい심하다むごいひどい
~하기 어렵다にくいがたい향기롭다かんばしいかぐわしい
매끄럽다なめらかすべらか분하다くちおしいくやしい
아리따움つややかあでやか일편단심いちずいっと
일견いっけんいちげん어째서なぜなにゆえ
무엇의なんのどの어느いずれどれ
오염よごれけがれ아직まだいまだ
보행충おさむしごみむし형제きょうだいけいてい
자매しまいきょうだい자매していきょうだい
형제けいまいきょうだい부녀おやこちちむすめ
집 찾기やさがしいえさがし집주인やぬしいえぬし
시라스しらこしらす남장여자(여성스러운 외모의 남성)/어떤 남성의 딸おとこのこおとこのむすめ
하강쿠다리사가리오리하늘소라카라
하늘아키사이아이다
사이사가세이
카라다테이
타이아토노치
우시로모서리카도츠노
모서리스미카쿠~등나도
~등서투름헤타시타테
서투름시모테능숙함죠즈우와테
능숙함카미테우마(이)일시이치지히토토키
일시잇토키이치도키생물세이부츠이키모노
생물나마모노한창사이츄모나카
한창사나카사마귀호쿠로쿠로코
사마귀코쿠시멈추다야메루토메루
멈추다토도메루참다타에루코타에루
참다코라에루물러나다시리조쿠노쿠
물러나다도쿠물러나게 하다시리조케루노케루
물러나게 하다도케루갈취하다타카루네다루
갈취하다유스루세비루모가루비틀다네지루요지루
비틀다모지루넘치다아후레루코보레루
넘치다아부레루백마시로우마아오우마
백마하쿠바백발시라가시라카미
백발시로카미하쿠하츠백수시라미즈시로미즈
백수시로우즈시로오즈시로스하쿠스이
푸른 파리아오바에킨바에세이요잠자리톤보카게로
잠자리세이레이인기히토케닌키
인기진키성실마지메신멘모쿠
성실신멘보쿠몇 시난지난도키
몇 시이츠몇 분난푼나니분
몇 분난부몇 명난닌나니비토
몇 명난비토난피토나니진어떠함이칸이카가
어떠함어디도코이즈코
어디이즈쿠저쪽카나타아나타
저쪽아치라앗치아치내일아스아시타
내일묘우니치날마다[나날]히비히니치
날마다[나날]니치니치자질구레코마고마호소보소
자질구레사이사이하루츠이타치이치니치
하루이치지츠히토히잇피한마디히토코토이치곤
한마디이치겐그저께오토토이오토츠이
그저께잇사쿠지츠오늘콘니치
오늘콘지츠1월히토츠키이치가츠
1월이치게츠어른오토나타이진
어른다이닌우시소인코비토쇼진
소인쇼닌모자하하코오야코
모자보시화구호쿠치히구치
화구카코가라테카라테소라데
가라테소라테쿠슈농담자레고토타와고토
농담기겐유언유이곤이곤
유언이겐후세코세이고쇼
후세고세이고세出来데키슈츠라이
出来슛타이녀석카야츠캬츠
녀석아이츠아야츠해마토도세이우치
해마아시카타츠노오토시고카이바우미우마


  • 아랍어: 일반적으로 모음을 쓰지 않으므로 <كتب> /ktb/와 같이 쓰인 단어가 모호해질 수 있다. 이는 /kataba/ '그는 썼다', /kutubun/ '책들', 또는 /kutiba/ '그것은 쓰여졌다'로 읽을 수 있다.[4]

3. 한국어의 동철이음이의어

한국어는 한자어의 영향으로 동철이음이의어가 많이 존재한다.[1]

한국어 동철이음이의어의 예
단어발음 1발음 2발음 3발음 4발음 5발음 6발음 7발음 8발음 9
하강쿠다리사가리오리
하늘소라카라아키
사이아이다
사가세이
카라다테이타이
아토노치우시로
모서리카도츠노스미카쿠
~등나도
서투름헤타시타테시모테
능숙함죠즈우와테카미테우마(이)
일시이치지히토토키잇토키이치도키
생물세이부츠이키모노나마모노
한창사이츄모나카사나카
사마귀호쿠로쿠로코코쿠시
멈추다야메루토메루토도메루
참다타에루코타에루코라에루
물러나다시리조쿠노쿠도쿠
물러나게 하다시리조케루노케루도케루
갈취하다타카루네다루유스루세비루모가루
비틀다네지루요지루모지루
넘치다아후레루코보레루아부레루
백마시로우마아오우마하쿠바
백발시라가시라카미시로카미하쿠하츠
백수시라미즈시로미즈시로우즈시로오즈시로스하쿠스이
푸른 파리아오바에킨바에세이요
잠자리톤보카게로세이레이
인기히토케닌키진키
성실마지메신멘모쿠신멘보쿠
몇 시난지난도키이츠
몇 분난푼나니분난부
몇 명난닌나니비토난비토난피토나니진
어떠함이칸이카가
어디도코이즈코이즈쿠
저쪽카나타아나타아치라앗치아치
내일아스아시타묘우니치
날마다[나날]히비히니치니치니치
자질구레코마고마호소보소사이사이
하루츠이타치이치니치이치지츠히토히잇피
한마디히토코토이치곤이치겐
그저께오토토이오토츠이잇사쿠지츠
오늘콘니치콘지츠
1월히토츠키이치가츠이치게츠
어른오토나타이진다이닌우시
소인코비토쇼진쇼닌
모자하하코오야코보시
화구호쿠치히구치카코
가라테카라테소라데소라테쿠슈
농담자레고토타와고토기겐
유언유이곤이곤이겐
후세코세이고쇼고세고세
出来데키슈츠라이슛타이
녀석카야츠캬츠아이츠아야츠
해마토도세이우치아시카타츠노오토시고카이바우미우마


3. 1. 한자어

일본어에는 한자를 읽는 방법이 크게 음독훈독 두 가지가 있어, 하나의 한자가 여러 가지로 읽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사(四)'는 '욘' 또는 '시'로, '칠(七)'은 '나나' 또는 '시치'로 읽을 수 있다. 이처럼 독립된 단어로서 여러 가지로 읽히는 한자어는 동철이음이의어에 해당한다.

다음은 동철이음이의어의 예시이다.

한자어읽는 방법 1읽는 방법 2
사(四)
칠(七)나나시치
십(十)토오
금(金)카네
지폐(紙幣)오후다오사츠
종(種)타네
번역(飜譯)와케야쿠
똥(糞)쿠소
시장(市場)이치바시죠
목장(牧場)마키바보쿠죠
관공서(官公署)야쿠도코로야쿠쇼
대가(大家)오오야타이카
대인기(大人気)오토나게다이닌키
색지(色紙)이로가미시키시
음색(音色)네이로온쇼쿠
일미(一味)히토아지이치미
풍차(風車)카자구루마후샤
그 밖의(外)호카노타노
타소(他所)요소타쇼
단풍(丹楓)모미지코요
은행잎(銀杏葉)모미지코요
근육(筋肉)스지니쿠킨니쿠
기질(氣質)카타기키시츠
신체(身體)카라다신타이
화상(火傷)야케도카쇼
국립(國立)쿠니타치코쿠리츠
기하(幾何)이쿠바쿠키카
상방(上方)카미가타죠호
오이타(大分)오오이타다이부
미야기(宮城)미야기큐죠
대마(大麻)오오아사타이마
어제(昨日)키노우사쿠지츠
일목(一目)히토메이치모쿠
일촌(一寸)춋토잇슨
이중(二重)후타에니쥬
한기(寒氣)사무케칸키
장마(長 மழை)츠유바이우
부모(父母)치치하하후보
명주(名主)나누시묘슈
대사(大事)오오고토다이지
대지진(大地震)오오지신다이지신
배근(背筋)세스지하이킨
구경(求景)미모노켄부츠
묘혈(墓穴)하카아나보케츠
생화(生花)이케바나세이카
아기(赤)아카고세키시
비취(翡翠)카와세미히스이
갑충(甲蟲)카부토무시코츄
바다 소(海牛)우미우시카이규
영양(羚羊)카모시카레이요
경위(經緯)이키사츠케이이
센류(川柳)카와야나기센류
나타내다(表す)아라와스효스
유리체(琉璃體)가라스타이쇼시타이
콧물(鼻汁)하나지루비쥬
수면(水面)미나모스이멘
경첩(蝶番)쵸츠가이쵸반
성토(盛土)모리츠치모리도
목표(目途)메도모쿠토
수류탄(手榴彈)테류단슈류단
풍뎅이(金龜子)코가네무시오곤츄
인사(人事)히토고토진지
타인(他人事)히토고토타닌고토
해골(骸骨)샤레코베도쿠로
목하(目下)메시타못카
초일(初日)하츠히쇼니치
초심(初心)우부쇼신
무슨 색(何色)나니이로난쇼쿠
안색(顔色)카오이로간쇼쿠
창포(菖蒲)아야메쇼부
여파(余波)나고리요하
부자(父子)오야코후시
족적(足跡)아시아토소쿠세키
영원(永遠)토와에이엔
영구(永久)토와에이큐



숙자훈은 두 글자 이상의 한자 조합에 일본어 훈을 붙여 읽는 방식으로, 이 또한 동철이음이의어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인명이나 지명의 경우, 같은 한자 표기라도 읽는 방법이 여러 가지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大豆生田는 '오오마메우다', '오이마뉴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읽힐 수 있으며, 羽生는 '하부', '하뉴' 등으로, 八幡은 '하치만', '야하타', '야와타' 등으로 읽힐 수 있다. 日本橋는 '니혼바시', '닛폰바시', '히모토바시'와 같이 읽을 수 있다.

3. 2. 기타

영어의 동형이음이의어는 일본어에 비해 매우 적지만, 품사에 따라 같은 철자의 단어의 발음이 바뀌는 경우가 많다.

  • bow - 절하다, 활
  • dove - 비둘기, dive의 과거형
  • number - , 보다 저린(numb의 비교급)
  • lead - [liːd] 이끌다,
  • read - [riːd] 읽다, 읽었다(과거형), 읽혔다(과거 분사형)
  • row - 열, 노를 젓다, 싸움
  • wind - 바람, 감다
  • wound - 상처(입히다), 감았다(wind "감다"의 과거형), 감겼다(wind "감다"의 과거 분사형)
  • produce - [prəˈduːs] 동사 ~을 생산하다, 명사 농산물
  • close - [kloʊz] 동사 ~을 닫다, 형용사 가까운
  • separate - [ˈsepəreit] 동사 ~을 분리하다, 형용사 분리된
  • object - [əbˈdʒekt] 동사 ~에 반대하다, 명사 대상, 물체


템플릿은 제거 대상이므로 모두 제거하였다.

4. 다른 언어의 동철이음이의어

동철이음이의어는 알파벳 언어가 아닌 언어에서도 발생한다. 예를 들어, 가장 흔한 2400개의 한자 중 20%가 여러 개의 발음을 가지고 있다.[1][2][3] 예를 들어, 行은 '직업'을 뜻하는 ''háng'' 또는 '괜찮다'를 뜻하는 ''xíng''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아랍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모음을 쓰지 않으므로 <كتب> /ktb/와 같이 쓰인 단어가 모호해질 수 있으며, 이는 /kataba/ '그는 썼다', /kutubun/ '책들', 또는 /kutiba/ '그것은 쓰여졌다'로 읽을 수 있다.[4] 이들이 완전히 모음화될 때는 명확해지므로, 이를 동철이음이의어로 간주해야 하는지는 불분명하다.

4. 1. 일본어

일본어는 한자의 음독과 훈독, 단어 의미 차이 등 다양한 요인으로 동철이음이의어가 많이 존재한다.[1][2][3]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일본어 동철이음이의어 예시
단어첫 번째 발음 및 뜻두 번째 발음 및 뜻
일본일본 (にほん)にっぽん
넙적다리またもも
바닥ゆかとこ
가루こな
생선さかなうお
푸른 생선あおざかなあおうお
저주のろいまじない
제물おともおそなえ(=御供え)
가명かなかめい
1분いっぷんいちぶ
5분ごふんごぶ
10분じっぷんじゅうぶん
시코쿠よんこく시코쿠
한 사람 분ひとりまえいちにんまえ
한 행いちぎょういっこう
두 걸음にほにふ
딸 둘じじょにじょ
아들 둘じなんになん
궁리くふうこうふ
말기まっきまつご
이익りえきりやく
많은 사람들おおぜいたいせい
후수うしろでごて
은행ぎんなんいちょう
분별ぶんべつふんべつ
문언ぶんげんもんごん
시행しこうせこう
시공しこうせこう
도화ずがとが
공장こうじょう공장(こうば)
자중じじゅうじちょう
심중しんちゅうしんじゅう
거리まちなかまちじゅう
하족げそくげそ
경매きょうばい경매(けいばい)
입수にゅうすいじゅすい
추종ついじゅうついしょう
금성きんせい금성(きんぼし)
금색きんいろこんじき
동인どうじんどうにん
わたしわたくし
들어가다いるはいる
넣다いれるはいれる
풀다とくほどく
꾸미다よそおうよそう
오다くるきたる
젖다ぬれるまみれる
화내다おこるいかる
싸다つつむくるむ
고르다えるよる
입다こうむるかぶる
만지다いじるまさぐる
그리다かくえがく
울리다ひびくどよめく
권유하다さそういざなう
다르다ちがうたがう
비다あくすく
열다あくひらく
열다あけるひらける
피하다さけるよける
질투하다ねたむそねむ
움푹 들어가다へこむくぼむ
닿다ふれるさわれる
토하다はくつく
튕기다はじくひく
따다つむつまむ
비틀다ひねるねじる
잠수하다もぐるくぐる
일그러지다ゆがむひずむ
오르다のぼるあがる
내리다くだすおろす
지탱하다ささえるつかえる
더럽히다よごすけがす
안다だくいだく
관련되다かかるかかわる
데우다あたためるぬくめる
꾀하다はかるたばかる
얻다えるうる
인정하다みとめるしたためる
내려다보다みくだすみおろす
찾아내다みだすみいだす
때려죽이다うちころすぶちころす
때려올리다うちあげるぶちあげる
갔다いったおこなった
다녔다とおったかよった
대로とおりでどおりで
처음はじめそめ
멈춤とめとどめ
내림おりふり
몸짓そぶりすぶり
냄새나다くさいにおい
맵다からいつらい
미지근하다ぬるいぬくい
심하다むごいひどい
~하기 어렵다にくいがたい
향기롭다かんばしいかぐわしい
매끄럽다なめらかすべらか
분하다くちおしいくやしい
아리따움つややかあでやか
일편단심いちずいっと
일견いっけんいちげん
어째서なぜなにゆえ
무엇의なんのどの
어느いずれどれ
오염よごれけがれ
아직まだいまだ
보행충おさむしごみむし
형제きょうだいけいてい
자매しまいきょうだい
자매していきょうだい
형제けいまいきょうだい
부녀おやこちちむすめ
집 찾기やさがしいえさがし
집주인やぬしいえぬし
시라스しらこしらす
남장여자(여성스러운 외모의 남성)おとこのこ어떤 남성의 딸 (おとこのむすめ)



대부분의 한자는 음독과 훈독을 가지고 있어 동형이의어라고 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단어로서 독립되어 있는 것만을 나열한다. 또한 숙자훈의 예도 있다.

한자를 사용한 일본어 동형이의어
단어첫 번째 발음 및 뜻두 번째 발음 및 뜻
ナナシチ
토오ジュ
카네キン
지폐오후다오사츠
타네シュ
번역와케ヤク
쿠소フン
시장이치바シジョ
목장마키바ボクジョ
관공서야쿠도코로ヤクショ
대가오오야タイカ
대인기오토나게ダイニンキ
색지이로가미シキシ
음색네이로オンショク
일미히토아지イチミ
풍차카자구루마フシャ
그 밖의호카노タノ
타소요소タショ
단풍모미지コヨ
은행잎모미지コヨ
근육스지니쿠キンニク
기질카타기キシツ
신체카라다シンタイ
화상야케도カショ
국립쿠니타치국립(コクリツ)
기하이쿠바쿠기하(キカ)
상방카미가타ジョホ
오이타오오이타오이타(ダイブ)
미야기미야기미야기(キュジョ)
대마오오아사タイマ
어제키노우サクジツ
일목히토메イチモク
일촌춋토잇슨
이중후타에ニジュ
한기사무케カンキ
장마츠유バイウ
부모치치하하フボ
명주나누시명주(ミョシュ)
대사오오고토ダイジ
대지진오오지신ダイジシン
배근세스지ハイキン
구경미모노ケンブツ
묘혈하카아나ボケツ
생화이케바나セイカ
아기아카고セキシ
비취카와세미비취(ヒスイ)
갑충카부토무시コチュ
바다 소우미우시바다소(カイギュ)
영양카모시카レイヨ
경위이키사츠ケイイ
센류카와야나기센류(センリュ)
나타내다아라와스효스
유리체가라스타이ショシタイ
콧물하나지루ビジュ
수면미나모スイメン
경첩쵸츠가이쵸반
성토모리츠치모리도
목표메도モクト
수류탄테류단シュ류단
풍뎅이코가네무시오곤츄
인사히토고토인사(ジンジ)
타인히토고토타닌고토
해골샤레코베ドクロ
목하메시타못카
초일하츠히ショニチ
초심우부ショシン
무슨 색나니이로난쇼쿠
안색카오이로간쇼쿠
창포아야메창포(ショブ)
여파나고리요하
부자오야코フシ
족적아시아토ソクセ키
영원토와エイエン
영구토와エイキュ


4. 2. 프랑스어

프랑스어에서 동철이음이의어는 주로 동사와 명사의 어미 발음 차이에서 발생한다.

4. 3.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에서 강세, 모음의 개폐, 자음의 유무성음 차이 등 다양한 요인이 동철이음이의어를 만든다.

4. 4. 현대 그리스어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현대 그리스어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출력합니다.

4. 5. 네덜란드어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네덜란드어(Nederlands)에 대한 동철이음이의어 정보가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특별한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

4. 6. 독일어

주어진 원본 소스에 독일어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독일어' 섹션은 빈 내용으로 유지하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 결과는 올바르며 수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5. 동철이음이의어와 관련된 문제

동철이음이의어는 문맥을 통해 의미를 파악해야 하므로, 음성 합성, 자연어 처리 등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읽기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는 기계 번역에서 오역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ommon Heteronyms In Chinese https://chinesevoyag[...] 2024-07-09
[2] 웹사이트 Chinese Characters with Multiple Pronunciations http://www.pinyin.in[...] 2016-07-04
[3] 서적 Maintaining Three Languages: The Teenage Years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2015-10-22
[4] 간행물 Word Reading in Arabic: Influences of Diacritics and Ambiguity 2019
[5] 웹사이트 « Oignon » ou « ognon » ? [orthographe]   2018-12-21
[6] 서적 Greek: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Modern Language 2012
[7] 블로그 The hiatus of διαζύγιο 'divorce' http://hellenisteuko[...] 2011-01-05
[8] 서적 Using Italian: A Guide to Contemporary Usage 2004
[9] 웹사이트 Homographe https://www.sprechen[...] 2018-01-12
[10] 논문 후행음절 고유어의 硬音化에 대하여 - 이음절의 同綴異音語를 대상으로 - 2005-01
[11] 뉴스 修能듣기평가 ‘우리말 발음’ 제대로 http://news.naver.co[...] 동아일보 2005-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