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장은 제품 생산을 위해 건축물, 설비, 부대시설을 갖춘 사업장을 의미한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며, 초기에는 가정에서 이루어지던 생산이 점차 분업화되고 대규모화되면서 공장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산업 혁명 시기에는 기계의 도입과 조립 라인의 발명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으며, 20세기 이후에는 자동화와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었다. 공장 입지 선정은 경제적, 기술적, 사회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지며, 공장 경영은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장 - 파운드리
파운드리는 주물 공장에서 유래된 용어로 반도체 칩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공장 또는 서비스로서, 기술 발전과 대규모 투자 필요에 따라 국제적인 협력 및 비용 절감이 중요해지고 있다. - 공장 - 식물공장
식물공장은 빛,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작물을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안정적인 생산과 농약 사용 감소의 장점이 있지만 초기 투자 비용과 운영 비용이 높고 재배 품목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으며, 완전 제어형과 태양광 이용형으로 나뉜다. - 제조업 - 석유화학
석유화학은 석유나 천연가스를 원료로 합성수지, 합성섬유 원료, 합성고무 등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석유 자원 고갈 및 환경 문제에 따라 대체 연료 및 원료 개발과 탄소 중립 정책에 따른 지속 가능한 발전 노력이 요구된다. - 제조업 - 용광로
용광로는 철광석을 고온의 열풍과 일산화탄소로 환원시켜 용융된 철을 생산하는 굴뚝 모양의 설비로,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었으나 환경 문제로 대체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며, 기원전 1세기경 중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 공장 | |
|---|---|
| 지도 | |
| 개요 | |
| 정의 | 상품이 산업적으로 생산되거나 가공되는 시설 |
| 역사 | |
| 기원 | 산업 혁명 |
| 유형 | |
| 주요 유형 | 제조 공장 가공 공장 |
| 특징 | |
| 일반적 특징 | 대규모 시설 기계 설비 대량 생산 시스템 |
| 산업 | |
| 관련 산업 | 제조업 건설업 물류업 |
| 기술 | |
| 관련 기술 | 자동화 |
| 경제 | |
| 경제적 역할 | 고용 창출 경제 성장 기여 수출 증대 |
| 사회 | |
| 사회적 영향 | 지역 사회 발전 환경 문제 야기 노동 환경 문제 |
| 미래 | |
| 스마트 공장 | 인더스트리 4.0 |
2. 역사
막스 베버는 고대와 중세 시대의 생산 방식을 현대적인 공장과는 거리가 멀다고 보았다. 고대에는 생산이 가정에 국한되었으나, 이후 거주지와는 별개의 사업으로 발전했다. 특히 파라오 시대 이집트에서는 노예를 고용하고 노예 집단 내에서 기술 분화가 이루어졌지만, 이는 현대적인 분업과는 비교할 수 없었다.
소규모 공방은 오래전부터 존재했지만, 최초의 근대적인 공장이 세워진 것은 1770년경의 영국이다. 1769년에 영국의 리처드 아크라이트는 수력을 이용한 방적기를 발명했다. 이 방적기는 매우 빠른 속도로 튼튼한 실을 뽑아낼 수 있었지만,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레방아가 있는 장소에 설치해야 했다. 리처드 아크라이트는 1770년경 더비셔 주의 크롬퍼드에 여러 대의 방적기를 모아, 모든 방적기의 동력이 되는 물레방아를 갖춘 방적 공장을 만들었다. 이것이 근대적인 공장의 출발점으로 여겨지며, 산업 혁명의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41]。
헨리 포드는 20세기 초 조립 라인을 도입하여 대량 생산에 혁신을 가져왔다. 고도로 전문화된 노동자들이 일련의 롤링 램프 옆에 위치하여 자동차와 같은 제품을 조립했다. 이 개념은 사실상 모든 제조 상품의 생산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켰고 소비주의 시대를 가져왔다.[33]
20세기 중후반, 산업화된 국가들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개선 사항을 통해 차세대 공장을 도입했다.
- 미국의 수학자 W. 에드워즈 데밍이 개척한 고급 통계적 품질 관리 방법. 품질 관리는 일본 공장을 비용 효과 분석 및 생산 품질 분야에서 세계 선두주자로 만들었다.
- 1970년대 후반에 도입된 공장 내 산업용 로봇. 이러한 컴퓨터 제어 용접 암과 그리퍼는 자동차 문을 빠르고 완벽하게 24시간 부착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 또한 비용을 절감하고 속도를 향상시켰다.
미래의 공장에 대한 몇 가지 추측[34]에는 신속한 프로토타입 제작, 나노 기술, 그리고 궤도 제로 중력 시설에 대한 시나리오가 포함된다.[35]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근대적 공장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주도의 경제 개발 계획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공장이 설립되고 성장했다. 특히, 중화학 공업 육성 정책으로 대규모 공장이 건설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은 자동차, 조선, 전자,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공장들이 운영되는 세계적인 제조업 강국이다. 한편, 일본과 유사하게 대공장과 중소 공장 간의 격차가 존재하며, 중소 공장의 기술력 강화와 후계자 양성 문제가 과제로 남아있다.
| 대공장 | 중소 공장 | 총수 | |
|---|---|---|---|
| 공장 수 | 3248 (0.9%) | 357,596 (99.1%) | 360,844 |
| 종업원 수 | (31.5%) | (68.5%) | |
| 공업 생산액 | 1694.089조엔 (52.6%) | 1526.613조엔 (47.4%) | 3220.703조엔 |
2. 1. 고대와 중세
막스 베버는 고대와 중세 시대의 생산 방식은 현대적인 공장과는 거리가 멀다고 보았다. 고대에는 생산이 가정에 국한되었으나, 이후 거주지와는 별개의 사업으로 발전했다. 특히 이집트 파라오 시대에는 노예를 고용하고 노예 집단 내에서 기술 분화가 이루어졌지만, 이는 현대적인 분업과는 비교할 수 없었다.[4][5][6]데모스테네스와 헤로도토스의 번역에 따르면, 나우크라티스는 고대 이집트 전체에서 유일한 공장이었다.[7][8][9] 기원전 4세기 아테네에서는 120명의 노예를 고용하는 공장이 가장 큰 규모였다.[10]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블롬보스 동굴에서는 초기 현생 인류가 황토 기반의 페인트를 섞는 데 사용한 10만 년 된 도구와 재료가 발견되어, 초기 형태의 공장 활동을 엿볼 수 있다.[11]
수차는 기원전 350년경 페르시아 제국에서 처음 만들어졌다.[22] 기원전 3세기에는 비잔티움의 필론이 그의 기술 논문에서 물레방아에 대해 설명했다. 로마 제국에서는 가룸을 생산하는 공장이 흔했다.[23] 바르베갈 수도교 및 제분소는 서기 2세기에 남부 프랑스에서 발견된 산업 단지이다. 서기 4세기 무렵에는 하루에 28톤의 곡물을 제분할 수 있는 수력 제분 시설이 있었고,[24] 이는 로마 제국에서 8만 명의 식량을 충당하기에 충분한 양이었다.[25][26][27]
바그다드와 같은 중세 이슬람 도시의 인구 증가는 대규모 공장 제분 시설의 발전을 이끌었다. 예를 들어, 빌바이스의 10세기 곡물 가공 공장은 하루에 약 300톤의 곡물과 밀가루를 제분했다.[24] 당시 이슬람 세계에서는 수차와 풍차가 널리 사용되었다.[28]


베네치아 아스날은 조립 라인을 이용한 대량 생산 방식을 도입하여, 현대적 의미의 초기 공장 중 하나로 여겨진다. 베네치아 공화국의 베네치아에서 1104년에 설립되었으며, 거의 매일 한 척의 배를 생산했고, 전성기에는 16,000명의 인력을 고용했다.[29]
2. 2. 산업 혁명


초기 공장 중 하나는 1721년에 가동된 존 롬브의 수력 실크 공장이었다.[29] 1746년에는 브리스틀 인근 웜리에서 통합 황동 공장이 가동되었다. 이 공장에서는 원자재가 들어가 용해 과정을 거쳐 황동으로 만들어지고, 냄비, 핀, 철사 등 다양한 상품으로 가공되었다. 노동자들을 위한 주택도 현장에 제공되었다. 스태퍼드셔의 조시아 웨지우드와 매튜 볼턴은 공장 시스템을 도입한 초기 산업가였다.
공장 시스템은 면화 방적의 기계화와 함께 비교적 늦게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
리처드 아크라이트는 현대 공장의 원형을 만든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1769년 수력 방적기 특허를 획득한 후, 영국 더비셔에 크롬포드 방앗간을 설립했다. 그는 이주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크롬포드 마을을 크게 확장했다. 공장 시스템은 작업자들의 집에 설치하기에는 너무 큰 기계들이 개발되면서 필요해진 새로운 노동 조직 방식이었다. 노동 시간은 농부와 마찬가지로 해가 뜰 때부터 질 때까지, 주 6일이었다. 이러한 관행은 숙련 노동자와 비숙련 노동자 모두를 대체 가능한 상품으로 전락시켰다. 아크라이트의 공장은 세계 최초로 성공한 면화 방적 공장이었으며, 산업의 미래를 명확히 보여주었고 널리 모방되었다.
1770년부터 1850년까지 기계화된 공장은 대규모 공장이 소규모 장인 상점에 비해 기술 및 감독 측면에서 상당한 이점을 가지면서 전통적인 장인 상점을 대체하고 주요 제조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30] 초기 공장은 면화 및 모직물 산업에서 발전했다. 이후 기계화된 신발 생산, 공작 기계를 포함한 기계 제조 공장, 압연 공장, 주조 공장, 기관차 공장, 철제 쟁기 및 수확기를 생산하는 농업 장비 공장 등 철도 산업에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는 공장들이 등장했다. 1880년대부터는 자전거가 대량 생산되었다.
1836년에 가동을 시작한 나이스미스, 가스켈 앤 컴퍼니의 브리지워터 제철소는 크레인과 건물 내 철로 등 현대적인 자재 취급 방식을 사용하여 무거운 물품을 다룬 최초의 공장 중 하나였다.[31]
공장의 대규모 전기화는 극 수와 현재 전기 주파수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작동하는 AC 모터가 개발된 1900년경부터 시작되었다.[32] 초기에는 큰 모터가 라인 샤프트에 추가되었지만, 소형 마력 모터가 널리 보급되면서 공장은 유닛 구동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라인 샤프트 제거는 공장 레이아웃의 제약을 없애고, 공장 배치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게 했다. 전기화는 릴레이 로직을 이용한 순차적 자동화를 가능하게 했다.
2. 3. 현대
헨리 포드는 20세기 초 조립 라인을 도입하여 대량 생산에 혁신을 가져왔다. 고도로 전문화된 노동자들이 일련의 롤링 램프 옆에 위치하여 자동차와 같은 제품을 조립했다. 이 개념은 사실상 모든 제조 상품의 생산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켰고 소비주의 시대를 가져왔다.[33]20세기 중후반, 산업화된 국가들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개선 사항을 통해 차세대 공장을 도입했다.
- 미국의 수학자 윌리엄 에드워드 데밍이 개척한 고급 통계적 품질 관리 방법. 품질 관리는 일본 공장을 비용 효과 분석 및 생산 품질 분야에서 세계 선두주자로 만들었다.
- 1970년대 후반에 도입된 공장 내 산업용 로봇. 이러한 컴퓨터 제어 용접 암과 그리퍼는 자동차 문을 빠르고 완벽하게 24시간 부착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 또한 비용을 절감하고 속도를 향상시켰다.
미래의 공장에 대한 몇 가지 추측[34]에는 신속한 프로토타입 제작, 나노 기술, 그리고 궤도 제로 중력 시설에 대한 시나리오가 포함된다.[35]
2. 4. 한국의 공장 역사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근대적 공장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주도의 경제 개발 계획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공장이 설립되고 성장했다. 특히, 중화학 공업 육성 정책으로 대규모 공장이 건설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은 자동차, 조선, 전자,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공장들이 운영되는 세계적인 제조업 강국이다.한편, 일본과 유사하게 대공장과 중소 공장 간의 격차가 존재하며, 중소 공장의 기술력 강화와 후계자 양성 문제가 과제로 남아있다.
2. 4. 1.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는 정부 직영 하에 다양한 수공업장이 설치되어 장인들이 국가의 수요를 충당했다. 이러한 관영 공장을 지휘·감독하는 관서는 다음과 같았다.[1]- 선공장(繕工匠): 토목 및 건축 담당
- 병기시(兵器寺): 각종 병기(무기) 제작 담당
- 공조서(供造署): 각종 장신구 제작 관리
- 장야서(掌冶暑): 금은 세공품 제작 관리
- 도교서(都校暑): 세공 잡품(여러 가지 물품) 제작 담당
- 도렴서(都染署): 각종 염료 제조 및 염색 작업 담당
- 잡직서(雜織署): 직물 제조 담당
- 액정국(掖庭局): 궁정의 특수 견직물(비단) 수요 담당
- 봉거서(奉車署): 왕실 어용(임금이 사용)의 거마(수레와 말) 관리, 각종 마구(말갖춤) 및 차바퀴 제조 담당
각 관서에는 관인이 배치되어 국가의 수요에 따라 물품을 제작하게 했으며, 물품 제작을 맡은 장인들의 기술 지도는 지유승지(指諭承旨), 행수대장(行首大匠) 등이 담당하여 기술면을 지휘·감독하였다.[1]
이러한 조직은 제작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조직되던 신라 시대와는 달리 국가의 용도에 따라 분류되었으며, 노동 급부 조직에 있어서도 노예적 노동 급부에 의존하던 신라 시대와는 달리 고려 시대 장인의 노동 급부는 임노동적(삯을 받고 일하는) 성격을 띠었다.[1]
2. 4. 2. 조선 시대
조선 시대의 공장은 관영 공업의 형태로, 경공장(중앙)과 외공장(지방)이 설치되어 예속된 장인들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이들은 중앙과 지방 관부의 공업 수요를 담당하였다.[1]경국대전에 따르면, 공조, 봉상시를 포함한 30여 개의 중앙 관아가 공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각 관아는 작업을 위한 수공업장을 갖추고 있었다. 경공장에는 129종 2,841명의 장인이 소속되어 있었다. 각 도, 부, 읍에 소속된 외공장은 경기 153명, 충청 564명, 경상 1,129명, 전라 775명, 강원 225명, 황해 221명, 영안(지금의 함경남북도 지방) 180명, 평안 214명 등 총 3,361명이었으며, 약 27종의 장인이 있었다.[1]
외공장에서 제작하는 수공품의 종류가 적었던 이유는 경공장에 제공되는 원료품과 반제품 외에는 지방 관아 및 일반 백성의 수요에 꼭 필요한 것만 제작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었기 때문이다.[1]
조선 시대의 장인들은 고려 시대와 달리 원칙적으로 노예적 노동 급부를 담당했다. 그러나 관영 공업의 책임을 완수하면 자기 경영에 종사할 수 있었다. 즉, 공역의 의무를 수행하는 외에 자기 경영을 하는 대신, 국가는 공장세를 징수하여 장인들이 자유로운 독립 수공업자로서 생산 분야를 담당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노동 급부 양식의 퇴조 현상을 의미한다.[1]
조선 중기에 이르러 대부분의 장인은 자기 경영에 종사하게 되었고, 국가의 공업적 수요는 장인세와 시장 교환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장인의 생산과 판매는 독점적 경향을 띠게 되었다.[1]
2. 4. 3. 현대
일제강점기의 영향을 받아 근대적 공장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주도의 경제 개발 계획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공장이 설립되고 성장했다. 특히, 중화학 공업 육성 정책으로 인해 대규모 공장이 건설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은 세계적인 제조업 강국으로, 자동차, 조선, 전자,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공장들이 운영되고 있다.일본과 유사하게, 대공장과 중소 공장의 격차가 존재하며, 중소 공장의 기술력 강화와 후계자 양성 문제가 과제로 남아있다. 일본의 경우 2017년 기준 약 36만 개의 공장이 있는데, 그중 99% 이상이 중소 공장이며 대공장은 불과 1% 미만이다.[44] 외국에 비해 일본 중소 공장의 비율은 크다.[45] 그러나 중소 공장에 일을 발주하는 대공장의 해외 이전 증가 등에 따라, 일본의 중소 공장의 수는 해마다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46]
일본의 전체 공장에서 대공장과 중소 공장을 비교했을 경우, 종업원 수는 중소 공장이 약 7할을 차지하지만, 생산액은 중소 공장이 전체의 약 절반이다.[47] 중소 공장에서는 각각 뛰어난 기술을 가진 장인이 많이 일하고 있지만, 종업원의 고령화에 따른 후계자 부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중소 공장은 경기 침체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경영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되기도 한다.
| 대공장 | 중소 공장 | 총수 | |
|---|---|---|---|
| 공장 수 | 3248 (0.9%) | 357,596 (99.1%) | 360,844 |
| 종업원 수 | (31.5%) | (68.5%) | |
| 공업 생산액 | 1694.089조엔 (52.6%) | 1526.613조엔 (47.4%) | 3220.703조엔 |
대한민국에서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상 공장은 건축물 또는 공작물, 물품제조공정을 형성하는 기계·장치 등 제조시설과 그 부대시설(이하 "제조시설등"이라 한다)을 갖추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제조업을 하기 위한 사업장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1]
공장 입지 선정에는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3. 법적 개념
4. 공장 입지의 선정

대중교통이 등장하기 전에는 많은 노동자가 필요했기 때문에, 공장은 주로 도시에서 성장하거나 도시화를 촉진했다. 산업 빈민가가 생겨났고, 공장 간 상호 작용을 통해 발전했다. 운하와 철도는 공장과 함께 성장했으며, 각 공장은 저렴한 에너지원, 자재, 시장을 중심으로 모여들었다. 농지에 설립된 Bournville 같은 공장도 자체 주택을 개발하고 통신 시스템의 이점을 얻었다.[38]
규제는 산업화의 폐단을 억제했으며, 영국에서는 공장법 노동자들이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 전차, 자동차, 도시 계획은 산업 교외와 주거 교외를 분리했고, 노동자들은 그 사이를 통근했다.
서비스 산업의 성장은 공장의 지위를 약화시켰다. 노동의 초점은 도심의 사무실이나 반농촌형 캠퍼스 시설로 옮겨갔고, 많은 공장이 러스트 벨트에 버려졌다.
세계화는 전통적인 공장에 또 다른 타격을 주었다. 20세기 후반, 제조 공정은 개발 도상국의 경제 특구나 마킬라도라에 다시 초점을 맞추었다. 아웃소싱과 유연한 위치 선정의 이점으로 인해, 덜 산업화된 국가로의 추가 이전이 예상된다.
4. 1. 경제적 요인
공장 부지 선정에는 다음과 같은 경제적 요인들이 고려된다.
| 요인 | 설명 |
|---|---|
| 지가 | 공장 증설 가능성을 고려하여 지가가 저렴한 곳을 선택해야 한다. |
| 원재료 | 원재료를 쉽고, 빠르고, 확실하며, 저렴하게 구할 수 있어야 한다. |
| 전력 및 연료 | 전력이나 연료를 저렴하게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
| 시장 | 수송비 절약, 광고 및 수요 조사에 유리하도록 시장이나 소비자와 가까워야 한다. |
| 노동력 | 임금이 낮고 질 좋은 노동력을 쉽게 구할 수 있어야 한다. |
| 운송 및 통신 | 원재료와 제품 운반이 빠르고 저렴해야 하며, 통신이 편리해야 한다. |
| 금융 기관 | 금융 기관이 가까이 있어야 한다. |
| 타 공장과의 관계 | 제조 기술, 재료 입수, 제품 판매, 노동력 확보 등에 유리하도록 동종 또는 유사 업종의 공장과 가까이 있는 것이 좋다. |
| 조세 및 보험료 | 지방에 공장을 지을 경우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4. 2. 기술적 요인
대지의 지형·지질은 공장 건설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며, 각종 기계 설비의 유지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지질이 불량하면 건물·기계의 기초 공사에 많은 경비를 투입해야 하며, 지형이 나쁜 장소에 공장을 건설하면 공장의 방위책이 강구되어야 하므로 지형·지질이 나쁜 장소는 공장의 적지(適地)가 못된다.[8]갈수기(渴水期)에도 공장 용수의 최대 사용량이 확보되어야 하며, 수질(水質)도 적합해야 한다.[8]
공장의 배수·폐물·매연·악취·소음·진동 등의 처리는 공해 문제와 관련이 있으므로, 입지 선정에 있어서 이의 처리 문제도 유의해야 한다.[8]
부산물(副産物)의 처리는 제품 가격에 미치는 영향으로 보아 중요한 사항의 하나이며, 사회 정세의 변화가 주 제품과 부산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경우도 고려해야 한다.[8]
강우량·강설량·온습도·기류 등의 기후 조건은 종업원의 건강·작업 능률과 관련된다.[8]
4. 3. 사회적 요인
국가 정책은 국토 개발 계획, 도시 계획, 지역 개발 계획에 따라 공장 입지 선정 대상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1] 국가의 경제 개발 정책(예: 콤비나트(combinat), 공업단지 설정 등)도 공장 입지 선정에 영향을 미친다.[2] 공장 대지를 선정할 때는 가능한 한 학교, 병원 등의 공공 복지 시설이 있는 곳은 피해야 한다.[3]더불어민주당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지방 공장 설립을 장려하고, 관련 규제 완화 및 지원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5. 공장 경영
대부분의 경영 이론은 공장 프로세스를 제어할 필요성에 대응하여 발전했다. 숙련되지 않은 노동자, 반숙련 노동자, 숙련 노동자, 그리고 그들의 감독자 및 관리자의 계층 구조에 대한 가정은 여전히 남아있다. 그러나 제조 시설에 적용 가능한 보다 현대적인 접근 방식의 예는 사회 기술 시스템(Socio-Technical Systems, STS)에서 찾아볼 수 있다.
6. 공장 계획
공장은 사람, 자재, 기계설비 등 생산의 3요소로 구성된 시스템을 통해 필요한 수량과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곳이다. 공장 계획은 이러한 기능을 갖춘 공장을 기업 목표에 맞게 계획하고 조직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장기적인 경영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므로,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1]
6. 1. 예측
계획은 예측을 전제로 하므로 대부분 불확실한 요소를 내포하게 된다.- '''공장계획과 경제예측''' ― 경기 변동과 수요는 밀접한 관계에 있고, 설비투자의 적시성과 관계된다. 따라서 경제 예측은 정확성을 기할 필요가 있으며, 경기지표·통계조사 이용, 계량경제학적 모형 이용 방법 등이 있다.[1]
- '''공장계획과 수요예측''' ― 수요예측은 장기(5년 이상)·중기(1년 이상∼5년 미만)·단기(1년 미만)로 나누어진다. 장기예측에서는 개략적인 목표를 설정하는데, 중기·단기 예측이 그 기본이 된다.[1]
- '''공장계획과 인원예측''' ― 인원예측은 공장설비의 자동화 정도에 따라 좌우된다.[1]
- '''공장계획과 기술예측''' ― 현대 산업사회는 항상 새로운 기술 개발·공정 개발에 도전받고 있으므로, 공장계획은 기술예측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된다. 기술예측은 제조기술의 진보, 설계 혁신, 재료의 진보 등 각종이 있으므로, 공장계획에서는 설비의 경제적 내용연수를 설정, 이 기간 중 투자 비용의 회수 가능성을 확인해야 한다.[1]
6. 2. 생산 계획
이 계획을 입안할 때에는 생산의 기본 요소인 제품, 생산 수량, 공정, 시간, 예정 원가, 가격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 이는 공장 계획을 세울 때 앞으로의 생산 계획과 연관성을 고려해야 함을 뜻한다. 생산 계획과 관련된 사항은 생산 방식, 기계 설비, 공장 능력, 생산 수량, 품질 설계, 공장 배치 문제 등이다.6. 3. 자금 계획
장기적인 고정 자금으로 투하된 자금은 기계 설비 등의 내용연수(耐用年數) 동안 감가상각비로 장기적으로 회수된다. 따라서 공장 계획에 필요한 자금은 자기 자금이나 장기 차입금에 의존하게 되고, 소요 자금의 견적은 개별 항목의 적산 방법, 과거의 수치와 시계열(時系列)에 의한 거시적(巨視的) 추산 방법 등이 있다.6. 4. 이익 계획
이익 계획은 매년 예산 편성 방침의 출발점이므로, 장기 계획에 따른 해당 연도 목표와 현재 기업의 내·외부 여건, 과거 실적, 현재 수준, 새로운 프로젝트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익 계획 작성에서 중요한 과제는 변동비를 절감하는 것이며, 기술 수준 향상과 공장 조건 개선이 그 대상이 된다.[1] 투자 가치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1]| 평가 기준 |
|---|
| 투자 이익률법 |
| 원가 비교법 |
| 자본 회수 기간법 |
| 현재 가치법 |
6. 5. 고려 사항
공장을 건설하거나 운영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내용 |
|---|---|
| 제품 및 재료 | |
| 기계 설비 | |
| 인간 | |
| 이동 | |
| 정체(停滯) | |
| 서비스 | |
| 건물 | |
| 변경 | |
| 기타 |
6. 6. 공장 계획의 순서
공장 계획은 기획, 설계 수준 결정, 방침 설정, 기본 계획 설정, 계획 수정, 세부 계획 입안 등의 단계를 거친다.[1]6. 6. 1. 공장 건설 계획
건물 배치 계획에서는 다음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1]- 공정 배치는 경제적이고 능률적이어야 한다.
- 건물 간, 건물과 부속건물 간의 연결은 기능적이고 조직적이어야 한다.
- 운반 설비와 건물, 건물 간의 관련성을 합리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 장래의 확장이나 변경에 대비해야 한다.
- 건물의 위치는 채광, 풍향 등을 고려해야 한다.
- 건물의 집중 방식, 분산 방식의 장단점을 고려해야 한다.
- 관계 법규를 검토해야 한다.
공장 배치를 결정하고 평면 계획을 시작하기 위한 기본 사항은 다음과 같다.[1]
- 종업원 수 (성별)
- 설비의 크기, 중량, 대수, 위치, 종류
- 출입구 및 통로의 크기, 폭, 위치, 수량
- 사무소, 창고, 작업장, 부속 건물의 면적, 수, 위치
- 건물 기둥의 간격
공장 건물의 형식에는 단층, 다층, 특수형이 있으며, 이는 작업 종류, 작업 방법, 대지 면적의 제약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평면 형식에서는 I형이 많고, L, U형은 광선의 방향이 변하게 되며, H, I형은 복도나 계단으로 연결하면 비교적 좋은 형태가 된다. O, T, E형은 특수형에 속한다.[1]
입면 계획은 벽의 높이와 운반 설비와의 관계, 기둥의 간격, 출입구·통로의 높이·폭 등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1]
건축 구조는 배치 계획과의 관련 하에 결정되어야 하며, 건축비와 유지 보수 비용이 적게 들도록 고려해야 한다. 구조에는 철골, 철근 콘크리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목조 등이 있다. 기초는 건물, 기계, 설비, 원재료, 제품 등의 중량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기계의 진동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지반의 지내력을 고려해서 기초 공사의 정도를 결정해야 한다. 벽은 보온, 열 차단, 방화, 방음의 목적을 가지며, 기둥은 건물의 하중뿐만 아니라 천장 크레인과 같은 운반 설비의 하중까지도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출입구는 사람의 출입, 물품 운반 등 생산 공정의 요구에 따라 그 위치와 크기, 구조 등이 결정되며, 도난, 방화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1]
바닥은 공장 설비를 지탱하며, 통행과 작업, 물품 저장 등에 사용되므로 바닥의 구조는 다음 사항들을 고려해야 한다.[1]
- 기계 설비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가 있고, 설치가 용이해야 한다.
- 사람, 원재료, 제품의 통행, 운반에 적합한 넓이와 구조여야 한다.
- 작업 능률상 피로가 적은 구조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바닥은 내구성과 적당한 탄력성이 요구된다.[1]
7. 섀도 팩토리 (Shadow factories)
영국에서 섀도 팩토리는 적의 공습으로 인한 생산 중단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분산된 위치에 전쟁 중에 건설된 여러 제조 시설 중 하나이며, 종종 제조 능력을 증가시키는 이중적인 목적을 가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영국은 많은 섀도 팩토리를 건설했다.
모회사 기지인 울스턴, 사우스햄튼에서 슈퍼마린 스핏파이어의 생산은 중요한 표적으로서 적의 공격에 취약했으며, ''루프트바페'' 폭격기의 사정거리에 충분히 들어왔다. 실제로 1940년 9월 26일 이 시설은 적의 폭격으로 완전히 파괴되었다.[39] 슈퍼마린은 이미 캐슬 브롬위치에 공장을 설립했으며, 이 사건으로 영국 정부가 많은 시설을 징발하면서 스핏파이어 생산을 전국으로 더욱 분산시켰다.[39]
스핏파이어와 관련된 것은 동등하게 중요한 롤스로이스 멀린 엔진의 생산이었다. 롤스로이스의 주요 항공 엔진 시설은 더비에 위치했으며, 생산량 증가의 필요성은 벤틀리 크루와 글래스고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포드 오브 브리튼이 맨체스터 트래퍼드 파크에 건설한 특별 공장을 사용하여 충족되었다.[40]
참조
[1]
서적
The Unbound Prometheus: Technological Change and Industrial Development in Western Europe from 1750 to the Present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2]
학술지
Smart Factory for Industry 4.0: A review
2015
[3]
웹사이트
What Are Industrial Sheds?
https://www.assetbui[...]
[4]
서적
Antiquity and Capitalism: Max Weber and the Sociological Foundations of Roman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1-04-25
[5]
서적
Ancient Households of the Americas: Conceptualizing What Households Do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2012-04-15
[6]
서적
General Economic History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1981
[7]
서적
Demosthenes, Volume 2
https://books.google[...]
Whittaker and Company
1868
[8]
서적
History of Herodotus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1862
[9]
문서
techn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10]
서적
Trade in the Ancient Econom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11]
뉴스
In African Cave, Signs of an Ancient Paint Factory
https://www.nytimes.[...]
2011-10-13
[12]
웹사이트
factory definition, meaning - what is factory in the British English Dictionary & Thesaurus – Cambridge Dictionaries Online
http://dictionary.ca[...]
[13]
서적
Theory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Ludwig von Mises Institute
2007
[14]
서적
A Brief Illustrated History of Machines and Mechanism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05-12
[15]
서적
Ancient Technolog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09-30
[16]
서적
Warfare in the Ancient Near East to 1600 BC: Holy Warriors at the Dawn of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6-04-12
[17]
서적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ighteenth Century: An Outline of the Beginnings of the Modern Factory System in England
Harper & Row
[18]
학술지
Early Mesopotamian urbanism: a new view from the north
http://nrs.harvard.e[...]
2007-09
[19]
MA
Understanding the role of production and craft specialization in ancient socio-economic systems: toward the integration of spatial analysis, 3D modeling and virtual reality in archaeology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20]
서적
Ancient Cities: The Archaeology of Urban Lif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Egypt, Greece and Rom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ajaonline[...]
2014-12-17
[22]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n Cultu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23]
웹사이트
Factory for Romans' favorite funky fish sauce discovered near Ashkelon
https://www.timesofi[...]
2019-12-16
[24]
서적
A History of Engineering in Classical and Medieval Tim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25]
서적
A Short History of Technology: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1900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1993-03-24
[26]
서적
Technology in World Civilization: A Thousand-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MIT Press
1991-07-01
[27]
서적
Cultural development in the Kur River Basin, Iran: an archaeological analysis of settlement patter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8]
서적
Wind, Water, Work: Ancient and Medieval Milling Technology
Brill Publishers
[29]
서적
SUPPLY CHAIN MANAGEMENT: CONCEPTS AND CASES
https://books.google[...]
PHI Learning Pvt. Ltd.
2005-01-01
[30]
학술지
What Do Bosses Do?: The Origins and Functions of Hierarchy in Capitalist Production
https://scholar.harv[...]
1974-07-01
[31]
서적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2]
서적
A History of Industrial Power in the United States, 1730–1930, Vol. 3: The Transmission of Power
https://archive.org/[...]
MIT Press
[33]
웹사이트
Henry Ford and Innovation
https://www.thehenry[...]
2010
[34]
웹사이트
What are the significant trends shaping technology relevant to manufacturing?
https://assets.publi[...]
2013-10
[35]
웹사이트
The Future of Zero-Gravity Living Is Here
https://www.smithson[...]
2017-06
[36]
서적
Hombre y Tecnología: 4.0 y más (Man and Technology: 4.0 and beyond)
Sisteplant Publishers
[37]
웹사이트
El escéptico de la Industria 4.0: 'Personas frente a robots'
https://www.elmundo.[...]
2023-09-13
[38]
웹사이트
The Bournville Story
https://www.bvt.org.[...]
2010
[39]
문서
Price 1986, p. 115.
[40]
문서
Pugh 2000, pp. 192-198.
[41]
서적
1000の発明・発見図鑑
丸善
2003-11-01
[42]
웹사이트
ちゅうしょうこうじょう【中小工場】
https://kids.gakken.[...]
2021-03-23
[43]
웹사이트
「統計から見る日本の工業」大工場と中小工場| 経済産業省
https://www.meti.go.[...]
2021-03-23
[44]
웹사이트
「統計から見る日本の工業」大工場と中小工場| 経済産業省
https://www.meti.go.[...]
2021-03-23
[45]
웹사이트
だいこうじょう【大工場】
https://kids.gakken.[...]
2021-03-23
[46]
웹사이트
中小工場がかかえる問題
https://www2.nhk.or.[...]
2021-03-23
[47]
웹사이트
「統計から見る日本の工業」大工場と中小工場| 経済産業省
https://www.meti.go.[...]
2021-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