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딘 황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이딘 황제는 1916년 프랑스 보호령 안남의 꼭두각시 통치자로 즉위하여, 프랑스 식민 정부에 협력하며 독립 운동에 반대했다. 그는 제국의 명성을 회복하려 했지만, 프랑스 정부의 지시에 따르며 베트남 국민들에게 인기가 없었다. 1922년 프랑스 방문과 1923년 세금 인상 및 능묘 건설은 비판을 받았으며, 1925년 결핵으로 사망했다. 그는 동성애적 성향을 가졌고, 아들 바오다이 황제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우옌 왕조의 황제 - 민망 황제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2대 황제로 즉위 후 국호를 변경하고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중앙집권화를 강화했으나, 기독교 탄압과 반란 야기로 국제적 고립과 프랑스 식민지화의 길을 열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응우옌 왕조의 황제 - 뜨득 황제
뜨득 황제는 1847년부터 1883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기독교 탄압, 쇄국 정책,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 사이공 조약 체결 등을 겪었으며, 그의 사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 1925년 사망 - 박은식
박은식은 언론인, 역사학자, 정치인으로서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주필을 지내며 계몽운동을 전개하고, 국외 망명 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여 국무총리와 제2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등을 저술하여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와 정당성을 알린 독립운동가이다. - 1925년 사망 - 시모오카 주지
시모오카 주지는 에도 시대 하급 관리의 아들로 태어나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아키타현 지사, 농상무 차관, 내무차관 등을 역임했으며,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을 지내다가 위암으로 사망했다.
카이딘 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대남 황제, 안남 및 통킹의 프랑스 보호령 하 |
통치 기간 | 1916년 5월 18일 – 1925년 11월 6일 |
선임자 | 주이떤 |
후임자 | 바오다이 |
칭호 1 | 응우옌 왕조 황제 |
통치 기간 1 | 1916년 5월 18일 – 1925년 11월 6일 |
선임자 1 | 주이떤 |
후임자 1 | 바오다이 |
출생일 | 1885년 10월 8일 |
출생지 | 후에 황궁, 프랑스 보호령 안남 |
사망일 | 1925년 11월 6일 |
사망지 | 끼엔쭝 궁궐, 후에 황궁,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매장지 | 응릉 (應陵) |
배우자 | 12명, 쯔엉 느 티 띤 포함, 제1계위 귀비 은비 호 티 찌 , 호앙 티 꾹, 도안후이 황태후 |
자녀 | 응우옌푹빈투이 |
휘 | 응우옌푹ブー다오 (), 응우옌푹뚜언 (阮福晙) |
연호 | 카이딘 () |
연호 기간 | 1916년 – 1925년 |
시호 | 쯔 티엔 자 반 탄 민 턴 찌 인 효 탄 낀 디 모 트어 리엣 투옌 황제 (嗣天嘉運聖明神智仁孝誠敬貽謨承烈宣皇帝) |
묘호 | 홍종 (弘宗) |
왕조 | 응우옌푹 |
아버지 | 동캉 |
어머니 | 황후 흐우 티엔 |
종교 | 불교, 유교 |
![]() | |
이름 | |
출생명 | 응우옌푹ブー다오 |
쯔놈 | 阮福寶嶹 |
가타카나 | 구이엔 후크 부 다오 |
기타 정보 | |
IPA (베트남어) | xa᷉ːj ɗîŋ̟ˀ |
2. 생애
동카인 황제(同慶帝)와 선궁황태후(仙宮皇太后) Dương Thị Thục|즈엉티툭vie 사이에서 1885년 10월 8일 태어났다. 본명은 Nguyễn Phúc Bửu Đảo|응우옌푹버우다오vie이다. 아버지 동경제 승하 당시 어리고 병약하여 황위를 잇지 못했다.[4]
성태제(成泰帝)와 유신제(維新帝)가 프랑스 식민 통치에 저항하다 연이어 폐위되고 유배되자, 프랑스는 식민 통치에 가장 협조적이었던 동경제의 아들 버우다오를 1916년 5월 18일 제12대 황제로 옹립했다. 연호는 '평화와 안정의 조짐'을 뜻하는 카이딘(Khải Định, 啓定)으로 정했다.[4]
카이딘은 제국의 위신 회복을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프랑스 식민 당국에 긴밀히 협력하며 꼭두각시 통치자 역할을 수행했다. 프랑스의 정책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했으며, 이러한 친프랑스적 행보와 사치스러운 생활로 인해 베트남 국민들의 큰 반감을 샀다.[4] 민족주의 지도자 판쩌우찐(Phan Châu Trinh)은 그가 프랑스에 나라를 팔아넘기고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한다고 비판했으며, 훗날 호찌민(Hồ Chí Minh)으로 알려진 응우옌아이꾸옥(Nguyễn Ái Quốc)은 카이딘을 풍자하는 희곡 「대나무 용」을 써서 그를 프랑스의 무력한 꼭두각시로 묘사했다.[4]
1922년 프랑스 마르세유 식민지 박람회 참석차 프랑스를 방문한 것은 민족주의자들로부터 식민 통치를 정당화한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1923년에는 자신의 호화로운 능묘 건설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프랑스의 증세 조치를 승인하여 국민적 분노를 샀다. 또한 판보이쩌우(Phan Bội Châu) 등 민족주의 지도자들에 대한 체포 명령에 서명하는 등 프랑스의 탄압 정책에 협력했다.[4]
어릴 때부터 병약했던 카이딘은 1925년 11월 6일 결핵으로 40세에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프랑스 유학 중이던 아들 Nguyễn Phúc Vĩnh Thụy|응우옌푹빈투이vie가 귀국하여 마지막 황제 바오다이(保大帝)로 즉위했다.[4] 카이딘은 동성애자였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4]
2. 1. 즉위 전
카이딘 황제의 본명은 Nguyễn Phúc Bửu Đảo|응우옌푹버우다오vie로, 1885년 10월 8일(함응 원년 음력 9월 1일) 순화(順化)의 왕궁에서 동경제(同慶帝)와 선궁황태후(仙宮皇太后) Dương Thị Thục|즈엉티툭vie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동경제가 승하했을 당시, 그는 아직 어리고 병약했기 때문에 황위는 육덕제(育德帝)의 아들인 성태제(成泰帝)가 계승했다.[4]카이딘의 즉위 이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식민 통치 하에 있었다. 성태제와 그의 아들 유신제(維新帝)는 프랑스 식민 정권에 저항하다가 프랑스에 의해 폐위되어 레위니옹 섬으로 유배되는 등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프랑스 식민 당국은 자신들의 통치에 가장 협조적인 인물을 황제로 세우고자 했고, 동경제의 아들이자 어떠한 독립 운동에도 반대하며 친프랑스 성향을 보이던 버우다오를 새로운 황제로 선택했다.
1916년(유신 10년), 유신제가 프랑스를 배제하려다 폐위되고 유배되면서 버우다오는 프랑스에 의해 응우옌 왕조의 제12대 황제로 추대되었다.
2. 2. 즉위 과정
성타이 황제(Thành Thái)와 주이떤 황제(Duy Tân)는 프랑스 식민 정권에 저항하다가 폐위되어 망명길에 올랐다. 이러한 혼란 이후, 프랑스 식민 당국은 자신들에게 가장 협조적인 인물인 동카인 황제(Đồng Khánh)의 아들 응우옌푹버우다오(Nguyễn Phúc Bửu Đảo|응우옌푹버우다오vie)를 황제로 옹립하기로 결정했다. 버우다오는 프랑스 식민 지배자들과 협력하며 독립 운동에 반대했다.[4]아버지인 동카인 황제가 승하했을 당시, 그는 아직 어리고 병약했기 때문에 즉위는 미뤄졌고, 황위는 성타이 황제(육덕제의 아들)가 계승했다. 1916년, 주이떤 황제(성태제의 아들)가 종주국 프랑스를 배제하려 했기 때문에 폐위되어 레위니옹 섬으로 유배되었다. 이로 인해 프랑스에 의해 1916년 5월 18일, 버우다오는 프랑스 보호령 안남의 12대 황제로 추대되었고, 그의 치세에는 "평화와 안정의 조짐"을 의미하는 연호 카이딘(Khải Định, 啓定)을 사용했다.
그는 제국의 명성을 회복하고 싶다고 말했지만, 프랑스 점령군과의 긴밀한 협력으로는 불가능했다. 카이딘은 자신의 지위에 만족하지 못했지만, 프랑스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 정책을 시행했고, 프랑스 식민 통치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꼭두각시 정치적 명목상 지도자가 되어 프랑스 정책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그들의 모든 지시를 따랐다.
2. 3. 통치 기간
성태제(Thành Thái)와 유신제(Duy Tân)가 프랑스 식민 통치에 저항하다 폐위되고 유배된 후, 프랑스는 식민 정권에 가장 협조적인 인물이었던 동경제(Đồng Khánh)의 아들 응우옌푹버우다오(Nguyễn Phúc Bửu Đảo)를 새로운 황제로 선택했다. 아버지 동경제가 사망했을 당시 버우다오는 어리고 병약하여 즉위하지 못했었다. 1916년 5월 18일, 유신제가 프랑스에 의해 폐위되어 레위니옹 섬으로 유배되자, 프랑스는 버우다오를 제12대 황제로 추대했다.[4] 그는 연호를 '카이딘'(Khải Định, 啓定)으로 정했는데, 이는 '평화와 안정의 조짐'을 의미했다. 카이딘은 제국의 위신 회복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지만, 프랑스에 의해 옹립된 배경과 긴밀한 협력 관계 때문에 이는 어려운 목표였다. 그는 프랑스 식민 통치자들의 지시를 충실히 따르는 꼭두각시 통치자 역할을 수행하며 프랑스 정책에 정당성을 부여했다.[4]
이러한 친프랑스적 행보와 사치스러운 생활 때문에 카이딘은 베트남 국민들에게 매우 인기가 없었다. 민족주의 지도자 판주정(Phan Châu Trinh)은 그가 프랑스에 나라를 팔아넘기고 백성의 고통을 외면한다고 비판했다. 훗날 호찌민(Hồ Chí Minh)으로 알려진 응우옌 아이 꾸옥(Nguyễn Ái Quốc)은 카이딘을 풍자하는 희곡 「대나무 용」을 써서, 그가 겉모습만 화려할 뿐 실권 없는 프랑스의 꼭두각시임을 꼬집었다.[4]
카이딘의 통치 기간 동안 몇 가지 주요 정책과 사건은 다음과 같다.
- 1918년, 베트남의 공식 문자에서 한문 사용을 중단하고 로마자 기반의 꾸옥응으(Quốc Ngữ)로 대체하라는 칙령을 내렸다. 이는 프랑스가 과거를 폐지하여 반프랑스 성향의 전통 지식인층 영향력을 약화시킨 정책과 맥락을 같이 한다.[4]
- 1922년,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열린 식민지 박람회에 참석하기 위해 프랑스를 방문했다. 이 방문은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지임을 국제적으로 공인하는 모습으로 비춰져 민족주의자들의 큰 비판과 조롱을 받았다. 한편, 카이딘은 이때 본 서양 건축 양식에 감명받아 귀국 후 왕궁 내 건중전(建中殿)을 바로크 양식으로 증개축하도록 지시했다.[4]
- 1923년, 자신의 호화로운 능묘 건설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프랑스의 증세 조치를 승인했다. 이는 농민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으며 황제에 대한 비판 여론을 극도로 악화시켰다. 또한, 판보이쩌우(Phan Bội Châu)와 같은 민족주의 지도자들에 대한 체포 명령에 서명하고, 체포된 독립운동가들의 처형을 묵인하는 등 프랑스의 탄압 정책에 적극 협조했다.[4]
유년 시절부터 병약했던 카이딘 황제는 1925년 11월 6일, 결핵으로 인해 4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프랑스 유학 중이던 아들 응우옌푹빈투이(Nguyễn Phúc Vĩnh Thụy)가 귀국하여 베트남의 마지막 황제인 보대제(保大帝)로 즉위했다.[4]
개인적인 삶과 관련하여, 카이딘은 동성애자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는 후궁들과 잠자리를 거의 갖지 않았고, 특정 남성 근위병을 항상 침실에 불러 함께 잠들었다는 기록이 있다.[4]
2. 4. 붕어
카이딘 황제는 아버지 동경제와 마찬가지로 건강이 좋지 않았으며, 마약 중독자였다고 전해진다. 후궁 바피(Ba Phivi)는 카이딘 황제가 "성관계에 관심이 없었고", "신체적으로 허약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2] 또한 동성애자였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는데, 후궁들과 잠자리를 거의 갖지 않고 특정 근위병을 침실로 불러 함께 잠들었다는 기록이 있다.[4]
유년 시절부터 병약했던 카이딘 황제는 1925년 11월 6일(계정 10년 음력 9월 20일), 후에 황궁에서 결핵으로 40세의 나이에 붕어했다.[2] 그의 사후, 프랑스 유학 중이던 아들 응우옌푹빈투이(보대제)가 귀국하여 황위를 계승했다.
3. 개인사
1885년 10월 8일 순화의 왕궁에서 동경제와 선궁황태후 양씨숙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인 동경제가 승하했을 당시에는 아직 어리고 병약했기 때문에 황위는 성태제가 계승했다.
1916년, 위신제가 종주국 프랑스에 저항하다 폐위되어 레위니옹 섬으로 유배되자, 프랑스에 의해 제12대 황제로 추대되었다. 연호는 '''계정'''으로 정했다.
계정제는 명목만 남은 응우옌 왕조의 위신을 회복하려 했지만, 프랑스에 의해 추대된 황제였기에 앞날이 순탄치 않았다. 프랑스의 감독 하에 여러 법령을 제정했으나, 이러한 조치들은 민주주의 인사들이 프랑스 식민 당국에 의해 체포되거나 투옥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그가 즉위하자 프랑스는 과거 제도를 폐지하고 공문서 표기 방식을 한문에서 꾸옥응으로 변경하여 반프랑스 세력이 될 수 있는 지식인의 영향력을 약화시켰다.
프랑스의 보호 아래 사치스러운 생활을 한다는 인식 때문에 국민들 사이에서 평판이 좋지 않았으며, '프랑스의 꼭두각시 황제'로 여겨졌다. 판쭈찐과 같은 민주주의자로부터 비판을 받았고, 호찌민(당시 이름은 응우옌아이꾸옥)은 계정제를 풍자하는 희곡 《대나무 용》을 저술하기도 했다.
1922년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열린 식민 박람회에 참석했으며, 이때 본 바로크 양식 건축에 큰 영향을 받아 왕궁 내 건중전을 증개축할 때 이를 반영하도록 지시하는 등 친프랑스적 경향을 보였다. 1923년에는 자신의 능묘 건설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증세를 명령하여 많은 비판을 받았다.
어린 시절부터 병약했던 계정제는 1925년 11월 6일 결핵으로 40세의 나이에 승하했다. 프랑스 유학 중이던 아들 응우옌푹빈투이가 귀국하여 바오다이 황제로 즉위했다.
3. 1. 가족 관계
풍화 공(Phụng Hóa) 시절인 1907년, 첫 번째 부인인 장여씨정(Trương Như Thị Tịnh)과 결혼했으나, 그녀는 1915년 카이딘 황제가 즉위하기 전에 그를 떠나 수녀가 되었다.황제 즉위 후, 두 번째 부인인 안비(Ân phi) 호씨지(Hồ Thị Chỉ, 1902년 ~ 1982년)와 결혼했다. 그녀는 안남의 교육부 장관이었던 호댁중(Hồ Đắc Trung)의 딸이다.
카이딘 황제는 후궁 중 한 명인 황씨국(Hoàng Thị Cúc, 1890년 ~ 1980년)과의 사이에서 유일한 아들인 응우옌푹빈투이(Nguyễn Phúc Vĩnh Thụy, 1913년 출생)를 낳았다. 응우옌푹빈투이는 훗날 바오다이 황제가 된다. 황씨국은 카이딘 황제 즉위 후 정3품 귀빈인 회빈(Huệ tần)의 작위를 받았고, 나중에 정2품 귀비인 회비(Huệ phi)로 승격되었다. 그녀는 베트남 마지막 황태후인 뜨꿍 황태후(Từ Cung)이다.
역사 기록과 연구에 따르면, 카이딘 황제는 동성애적 성향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아내들과 거의 잠자리를 갖지 않았으며, 자신의 남성 경호원인 응우옌댁봉(Nguyễn Đắc Vọng)과 가까이 지내며 항상 그와 함께 잠을 잤다고 전해진다.[1]
- 아들 : 바오다이 (Bảo Đại)
3. 2. 성적 지향
풍화 공(Phụng Hóa Công) 시절인 1907년, 카이딘 황제는 첫 번째 부인인 장여씨정(Trương Như Thị Tịnh)과 결혼했다. 그녀는 1915년 황제가 즉위하기 전에 그를 떠나 수녀가 되었다. 즉위 후, 그는 두 번째 부인인 안비(Ân phi), 정1품 귀비 호씨지(Hồ Thị Chỉ)(1902~1982)와 결혼했다. 그녀는 안남의 교육부 장관이 된 호댁중(Hồ Đắc Trung)의 딸이었다. 카이딘 황제는 그의 후궁 중 한 명인 황씨국(Hoàng Thị Cúc)(1890~1980)과의 사이에서 유일한 아들인 응우옌푹빈투이(Nguyễn Phúc Vĩnh Thụy, 후일 바오다이 황제)를 1913년에 낳았다. 카이딘 황제가 즉위한 후, 황씨국은 정3품 귀비인 회빈(Huệ tần)의 작위를 받았고, 나중에 정2품 귀비인 회비(Huệ phi)로 승격되었다.역사 기록과 연구에 따르면, 카이딘 황제는 동성애 성향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후궁들과 거의 잠자리를 갖지 않았으며, 남성 경호원인 응우옌댁봉(Nguyễn Đắc Vọng)과 가까워 항상 그와 함께 잠을 잤다는 기록이 있다.[1][4]
4. 평가
동카인 황제 시대 이전, 성태제와 뒤찐제는 프랑스 식민 정권에 저항하다가 모두 프랑스에 의해 폐위되고 망명길에 올랐다.[4] 이러한 혼란 속에서 프랑스는 식민 정권에 가장 협조적인 인물이었던 동카인 황제의 아들, 응우옌푹버우다오(카이딘)를 새로운 황제로 옹립하기로 결정했다. 버우다오는 프랑스 식민 지배자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어떠한 독립 운동에도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1916년 5월 18일, 뒤찐 황제가 망명한 후 응우옌푹버우다오는 안남의 명목상 통치자로 즉위하며 '평화와 안정의 조짐'을 의미하는 카이딘(啓定)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그는 제국의 위신을 회복하겠다고 공언했지만, 프랑스 점령군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 속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목표였다. 카이딘은 자신의 지위에 만족하지 못하면서도 프랑스 정부와의 협력 정책을 충실히 이행했으며, 사실상 프랑스 식민 통치자들의 꼭두각시 정치 지도자로서 프랑스 정책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프랑스의 모든 지시를 따랐다.
이러한 행보 때문에 카이딘 황제는 베트남 국민들에게 매우 인기가 없었다. 민족주의 지도자 판주찐(Phan Châu Trinh)은 카이딘 황제가 프랑스에 나라를 팔아넘기고 백성들이 프랑스의 착취에 시달리는 동안 사치스러운 생활을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훗날 호찌민(Hồ Chí Minh)으로 알려진 응우옌아이꾸옥(Nguyễn Ái Quốc)은 카이딘 황제를 풍자하는 "대나무 용(Le Dragon de bambou)"이라는 연극을 썼다. 이 연극에서 카이딘은 위엄 있는 외양과 화려한 의식을 갖추었지만, 실제로는 프랑스 정부의 무력한 꼭두각시에 불과한 인물로 묘사되었다.
1918년, 카이딘 황제는 베트남의 공식 문자에서 한문 사용을 중단하고 로마자 표기 방식인 꾸옥응으(Quốc Ngữ)로 대체하는 칙령을 내렸다. 이는 프랑스가 과거(科擧)를 폐지하여 반프랑스 성향을 보이기 쉬운 지식인들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는 정책의 일환이기도 했다.
1922년, 카이딘 황제가 마르세유에서 열린 식민지 박람회에 참석하기 위해 프랑스를 방문했을 때, 이는 베트남 민족주의 지도자들의 조롱거리가 되었다. 그들은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지 피지배국이라는 현실을 개탄했으며, 박람회에서 기념할 만한 가치를 전혀 찾지 못했다. 프랑스 방문 당시 본 대형 건축물에 깊은 인상을 받은 카이딘은 귀국 후 왕궁 내 건중전을 증개축할 때 바로크 양식으로 짓도록 지시하는 등 친프랑스적인 경향을 더욱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카이딘 황제에 대한 국민적 반감은 1923년에 극에 달했다. 그는 프랑스가 베트남 농민들에게 세금을 인상하는 것을 허가했는데, 이 세금의 일부는 후에 그의 호화로운 능묘 건설 자금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백성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또한, 그는 판보이쩌우(Phan Bội Châu)와 같은 많은 민족주의 지도자들에 대한 체포 명령에 서명하여 그들을 망명으로 내몰았고, 체포된 그의 추종자들은 참수당했다.
유년 시절부터 병약했던 카이딘 황제는 1925년 11월 6일, 결핵으로 40세의 나이에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프랑스 유학 중이던 아들 응우옌푹빈투이(Nguyễn Phúc Vĩnh Thụy)가 귀국하여 바오다이(Bảo Đại)로 즉위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카이딘 황제는 동성애자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는 후궁들과 잠자리를 거의 갖지 않았으며, 특정 근위병을 항상 침실로 불러 함께 잠들었다고 전해진다.[4]
참조
[1]
웹사이트
'Chẩn đoán' căn bệnh 'bất lực' của vua Khải Định
http://baodatviet.vn[...]
2011-06-07
[2]
뉴스
In Vietnam, the Queen Mother Clings to a Faded Court Life
1973-08-28
[3]
웹사이트
No royal seal left in Hue today. VietNamNet Bridge – It is a great regret that none of more than 100 seals of the Nguyen emperors are in Hue City today.
https://www.vietnamb[...]
VietNam Breaking News
2016-02-10
[4]
웹사이트
'Chẩn đoán' căn bệnh 'bất lực' của vua Khải Định
http://baodatviet.vn[...]
2011-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