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이떤 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이떤은 응우옌 왕조의 황제이자 베트남의 마지막 황제 중 한 명으로, 본명은 응우옌푹빈산이다. 타인타이 황제의 아들로, 8세의 나이에 황위에 올라 응우옌푹호앙으로 개명하고 연호를 주이떤으로 사용했다. 프랑스 식민 정부의 영향력 아래 있었지만, 성장하면서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프랑스에 저항했다. 1916년 베트남 광복회 봉기에 참여했다가 실패하여 폐위된 후 레위니옹으로 유배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자유 프랑스군에 참여하여 군 복무를 했다. 1945년 귀국 중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으며, 베트남 공산당은 그의 항불 정신을 높이 평가하여 그를 기리는 사업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위니옹의 역사 - 타인타이 황제
    타인타이 황제는 프랑스 식민지배 하의 베트남에서 10세에 즉위하여 프랑스에 저항하고 개혁을 시도했으나 프랑스에 의해 퇴위당하고 유배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 레위니옹의 역사 - 라나발로나 1세
    라나발로나 1세는 1828년부터 1861년까지 마다가스카르를 통치한 이메리나 왕국의 최초 여성 통치자로서, 유럽 열강의 영향력으로부터 자국의 주권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으나 가혹한 통치로 많은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다.
  • 베트남의 망명자 - 바오다이
    바오다이는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이자 베트남국의 국가주석으로, 프랑스의 보호 아래 즉위했으나 일본의 지원으로 독립을 선포하고 퇴위 후 다시 프랑스의 지원으로 국가주석이 되었지만 결국 망명하여 생을 마감하여 그의 통치 기간과 행적은 베트남 역사에서 논쟁적이다.
  • 베트남의 망명자 - 즈엉반민
    즈엉반민은 응오딘지엠 정권 축출 쿠데타를 주도하고 베트남 공화국의 마지막 대통령으로서, 사이공 함락 직전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여 베트남 전쟁을 종식시킨 인물이다.
  • 응우옌 왕조의 황제 - 민망 황제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2대 황제로 즉위 후 국호를 변경하고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중앙집권화를 강화했으나, 기독교 탄압과 반란 야기로 국제적 고립과 프랑스 식민지화의 길을 열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응우옌 왕조의 황제 - 뜨득 황제
    뜨득 황제는 1847년부터 1883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기독교 탄압, 쇄국 정책,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 사이공 조약 체결 등을 겪었으며, 그의 사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주이떤 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어린 황제 주이떤의 모습
응우옌푹호앙 (Nguyễn Phúc Hoảng, 阮福晃)
응우옌푹빈산 (Nguyễn Phúc Vĩnh San, 阮福永珊)
묘호없음
시대 이름주이떤 (維新)
재위 기간1907년 - 1916년
출생일1900년 9월 19일
출생지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후에 황성
사망일1945년 12월 26일
사망지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우방기샤리 로바예
매장지안릉
종교불교
통치
왕조응우옌 왕조
부친탄타이 황제
모친첩 응우옌티딘
배우자황귀비 매티방
마리 안 비알
페르망드 앙티에
에르네스틴 이베트 마이요
자녀아르망 비알
테레즈 빈산
리타 수지 조르제트 빈산
기 조르주 빈산
이브 클로드 빈산
조제프 로제 빈산
응우옌 왕조의 표준 (1890 - 1920)
전임자탄타이 황제
후임자카이딘 황제

2. 생애

1912년, 태화전(太和殿)에서 프랑스 외교관들을 맞이하는 황제 주이떤


1907년 타인타이 황제가 프랑스에 의해 폐위되자, 8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나, 실권은 없었다.[1] 성장하면서 프랑스 식민 통치에 저항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1916년에는 베트남 광복회의 봉기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레위니옹으로 유배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자유 프랑스군에 합류하여 나치 독일에 맞서 싸웠으며, 종전 후 베트남으로 귀국하던 중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였다.[2]

2. 1. 즉위 전

주이떤은 타인타이 황제의 다섯째 아들로, 생모는 재인(才人) 응우옌티딘(阮氏定)이다. 본명은 '''응우옌푹빈산'''(Nguyễn Phúc Vĩnh San|응우옌푹빈산vi)이다.

1907년 7월 29일, 타인타이프랑스 식민정부의 허가 없이 여러 관원들을 임명하였다. 프랑스가 파견한 중기흠사(中圻欽使) 페르낭 에르네스트 레베크(Fernand Ernest Lévecque)는 타인타이를 폐위하기로 결정하고, 그를 궁중에 연금하였다. 9월 3일, 보정대신(輔政大臣) 쯔엉니으끄엉(張如岡)은 식민 정부의 의도를 따라 타인타이가 정신병으로 발작하여 정사를 돌볼 수 없다고 선포하였다. 9월 5일 (음력 7월 28일), 당시 8세였던 주이떤은 황제로 옹립되어 응우옌푹호앙으로 개명하였고, 연호를 주이떤으로 고쳤다.[1] 존인부(尊人府) 존정(尊正)인 안성공(安城公) 응우옌푹미엔릭이 보정친신(輔政親臣)을 맡았고, 협변대학사(協辦大學士) 이부상서(吏部尙書) 쯔엉니으끄엉, 예부상서(禮部尙書) 레찐(黎貞), 호부상서(戶部尙書) 겸 관도찰원(管都察院) 좌부도어사(左副都御史) 후인꼰(黃琨), 형부상서(刑部尙書) 똔텃헌(尊室訢), 공부상서(工部尙書) 겸 관병부사무(管兵部事務) 응우옌흐우바이(阮有排) 5인이 보정대신을 맡아 함께 정권을 장악하였다.

2. 2. 즉위와 섭정 (1907년 ~ 1916년)

1907년 9월 5일, 8세였던 주이떤은 황제로 옹립되어 응우옌푹호앙(Nguyễn Phúc Hoảng)으로 개명하고, 연호를 주이떤(유신)으로 고쳤다.[1] 프랑스는 어린 주이떤을 쉽게 통제하고 친프랑스적인 인물로 키우려 했으나, 성장하면서 민족주의적 성향을 드러냈다.[1]

주이떤 6년(1912년), 중기흠사 조르주 마리 조제프 마에(Georges Marie Joseph Mahé)가 베트남에서 황금을 탐색하면서 티엔무 사원의 푹주옌탑(福緣塔) 아래와 뜨득 황제의 겸릉(謙陵) 및 후에 황성을 발굴하려 하자, 강력히 항의하였다.[1] 이 사건은 당시 13살이었던 주이떤의 반프랑스 감정을 더욱 키웠다.[1]

1884년에 체결된 《제2차 후에 조약》을 읽고 불평등 조약임을 인지하고, 응우옌흐우바이에게 식민 정부가 평등 조약에 새롭게 서명하도록 명하였으나 조정에서는 아무도 이행하지 못했다.[1] 한편, 판보이쩌우의 주도로 베트남 광복회가 성립되었다.[1]

주이떤 8년(1914년), 15세가 되던해 6명의 보정대신을 불러 중기흠사가 평등 조약에 서명하도록 요구하였으나, 보정대신들은 따르지 않았고, 오히려 주이떤의 생모에게 도움을 청해 주이떤을 설득하려 하였다.[1] 이후 주이떤은 보정대신들을 매우 싫어하게 되었다.[1]

주이떤 10년(1916년),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프랑스가 베트남에 신경 쓸 여유가 없는 틈을 타, 쩐까오번(陳高雲)과 타이피엔(蔡璠)은 봉기를 일으켜 프랑스 식민통치를 전복시키고자 하였다.[1] 이들은 주이떤이 프랑스에 불만을 품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지지를 요청하는 서신을 보냈다.[1] 4월 말, 주이떤은 쩐까오번, 타이피엔과 비밀리에 회동하여 5월 3일 새벽 1시에 봉기하기로 계획하였다.[1] 봉기군은 후에 황성, 꽝남성, 꽝응아이성의 주요 도로를 점거하고 무기를 탈취하여 주이떤의 탈출을 돕고, 독일의 지원을 받아 프랑스에 대항할 계획이었다.[1]

그러나, 꽝응아이성의 관원이 낌새를 알아채고 광복회 하부 구성원들을 체포하면서 계획이 누설되었다.[1] 5월 2일 밤, 봉기가 일어났으나 군대의 지원을 받지 못해 실패하고, 주이떤은 5월 6일 체포되었다.[1] 식민정부는 주이떤을 남기(南圻)의 타인냐칵짝(현재의 붕따우)로 보냈다가 11월 3일 레위니옹으로 유배보냈다.[1]

주이떤 황제는 재위 기간 동안 프랑스 국무총리들의 섭정을 받았다. 섭정을 맡은 프랑스 국무총리는 다음과 같다.



2. 3. 베트남 광복회 봉기와 폐위 (1916년)

1916년, 프랑스제1차 세계 대전에 집중하면서 베트남에 대한 감시가 소홀해졌다. 이러한 상황을 틈타 베트남 광복회의 쩐까오번(陳高雲)과 타이피엔(蔡璠)은 봉기를 일으켜 프랑스의 식민 통치를 전복시키고자 하였다. 이들은 주이떤이 프랑스에 불만을 품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황실 사기(司機) 팜흐우카인(范有慶)을 통해 주이떤에게 지지를 요청하는 서신을 보냈다.[6] 4월 말, 주이떤은 쩐까오번, 타이피엔과 비밀리에 회동하여 봉기를 지지하기로 약속했다. 봉기 시간은 5월 3일 새벽 1시로 정해졌다.[6]

봉기군은 먼저 후에 황성, 꽝남성, 꽝응아이성의 주요 도로를 점거하고 무기를 탈취하여 주이떤의 탈출을 돕기로 계획했다. 그러나 꽝응아이성의 한 관리가 사전에 낌새를 알아채고 광복회 하부 조직원들을 체포, 고문하면서 비밀 모의 내용이 누설되었다. 5월 2일 밤, 주이떤은 황성을 탈출하는 데 성공했지만, 이미 눈치를 챈 식민 정부는 베트남 사병들의 무기를 몰수하고 병영 내 활동을 제한한 상태였다. 결국 봉기는 신속히 진압되었다.[6]

5월 6일, 식민 정부는 후에 황성 남쪽의 한 절에 숨어 있던 주이떤과 쩐까오번, 타이피엔 등을 체포했다. 쩐까오번, 타이피엔 등은 참수당했다.[6] 식민 정부는 주이떤을 황성으로 돌려보내려 했으나, 주이떤이 거절하자 응우옌푹브우다오를 새 황제로 옹립하고 주이떤을 남기(南圻)로 보냈다. 주이떤은 아버지 타인타이 황제와 함께 잠시 수감되었다가 11월 3일 레위니옹으로 유배되었다.[6]

2. 4. 레위니옹 유배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16년 ~ 1945년)

주이떤은 아버지 타인타이 황제와 함께 인도양의 레위니옹 섬으로 유배되었다.[2] 망명 중에도 베트남의 독립을 계속 옹호했다.[2] 그는 프랑스의 어떠한 대우도 거절하고, 생드니의 작은 방을 빌려 라디오를 수리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이후 법률학교에서 공부하고 외국어를 배웠으며, 여러 신문사를 창립하고 프리메이슨에 가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자유 프랑스에 공감하며 통신 기술 지식을 활용, 비시 프랑스 점령 하의 레위니옹 섬에서 2년간 섬 정보를 연합군에 제공하고, 섬 내 레지스탕스에게 연합국 상황을 전달했다. 1942년 5월, 비시 정부에 레지스탕스 운동이 발각되어 격리 병원에 감금되었지만, 1942년 11월 28일, 레위니옹 해방에서 구출되었다. 같은 날, 자유 프랑스 해군 구축함 레오파드의 통신 요원으로 참전했다.[6] 1942년 12월에는 자유 프랑스군 소위로 입대하여,[6] 1943년에는 중위, 1944년에는 대위, 1945년 7월에는 소령, 1945년 9월에는 중령으로 진급했다.[6][7]

1945년 3월, 프랑스 레지스탕스 기념장(Médaille de la Résistance française)을 수여받았다.

2. 5. 사망과 베트남으로의 귀환

1945년 샤를 드 골과 회담 후 베트남으로 귀국하던 중, 현재의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음바이키 부근 상공에서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향년 45세였다.[2] 주이떤은 떠나기 전 재난을 예감했었고, 비엣민의 암살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정확한 진실은 밝혀지지 않았다.[2]

프랑스 정부는 사망 소식을 접하고 레지스탕스 훈장과 해방 훈장을 추서하여 전쟁 중 공적을 기념했다.[2] 베트남 공산당은 주이떤이 프랑스 식민통치에 저항한 점을 높이 평가하여 베트남 각지에 그의 이름을 딴 '주이떤'로(路)를 만들었다.[5]

1987년, 아들 바오방에 의해 주이떤의 유해가 베트남 후에로 돌아와 전통 의례에 따라 죽득 황제의 능 옆에 안장되었다.[3] 이후 바오방은 2001년에 주이떤의 생애를 적은 저서 'Duy Tan, Empereur d'Annam 1900-1945'를 저술하였다.[4]

3. 가족


  • 부: 타인타이 황제
  • 모: 재인(才人) 응우옌티딘(阮氏定)
  • 조부: 죽득 황제
  • 조모: 판티쩌우
  • 배우자:
  • * 마이 티 방(Mai Thị Vàng, 1899–1980)
  • * 마리 안 비알(Marie Anne Viale, 1890년 출생)
  • * 페르난드 안티에(Fernande Antier, 1913년 출생)
  • * 에르스틴 이베트 마이요(Ernestine Yvette Maillot, 1924년 출생)
  • 자녀:

주이떤 황제의 자녀
배우자이름출생-사망
마리 안 비알아르망 비알(Armand Viale)1919년 출생
페르난드 안티에테레즈(Thérèse)1928년 (요절)
리타 수지 조르제트 빈-산(Rita Suzy Georgette Vinh-San)1929년–2020년
솔랑주(Solange)1930년 (요절)
기 조르주 빈-산(Guy Georges Vinh-San)1933년 출생
클로드 빈-산(Claude Vinh-San)1934년 - 2016년
조셉 로제 빈-산(Joseph Roger Vinh-San)1938년 출생
지네트(Ginette)1940년 (요절)
에르스틴 이베트 마이요앙드레 마이요 빈-산(Andrée Maillot Vinh-San)1945년–2011년


4. 평가와 유산

주이떤은 베트남 독립 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항불 투쟁은 민족자결주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베트남 공산당은 프랑스 식민 통치에 저항한 그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여 베트남 각지에 그의 이름을 딴 '주이떤 로(路)'를 만들었다.

1987년, 주이떤의 아들 바오방은 주이떤의 유해를 베트남 후에로 운구하여 전통 의례에 따라 죽득 황제의 안릉(安陵)에 개장하였다. 2001년에는 주이떤의 생애를 다룬 저서를 저술하였다.

참조

[1] 문서 Derived from Book of Documents
[2] 서적 Vietnam: State, War, and Revolution (1945–1946)
[3] 웹사이트 CÉRÉMONIE D’INHUMATION A HUE Viet Nam http://vinhsan.free.[...]
[4] 웹사이트 Presentation du livre sur l empereur Duy Tan http://vinhsan.free.[...]
[5] 서적 Vietnam Country Map Periplus Travel Maps
[6] 웹사이트 The Nguyen Phuoc Dynasty Genealogy http://4dw.net/royal[...] The Royal Ark 2018-01-25
[7] 웹사이트 LE PRINCE VINH SAN http://vinhsan.free.[...] IENTÔT LA SORTIE D'UN LIVRE SUR L'EMPEREUR DUY TAN. 2018-01-25
[8] 웹사이트 L’ACCIDENT D’AVION 26 DÉCEMBRE 1945 http://vinhsan.free.[...] IENTÔT LA SORTIE D'UN LIVRE SUR L'EMPEREUR DUY TAN. 2017-03-10
[9] 웹사이트 Cérémonie à la Pagode de Vincennes http://vinhsan.free.[...] IENTÔT LA SORTIE D'UN LIVRE SUR L'EMPEREUR DUY TAN. 2017-03-10
[10] 웹사이트 CÉRÉMONIE D’INHUMATION A HUE VIET NAM http://vinhsan.free.[...] IENTÔT LA SORTIE D'UN LIVRE SUR L'EMPEREUR DUY TAN. 2017-03-10
[11] 웹사이트 Trưởng nữ của Vua Duy Tân, công chúa Suzy Vĩnh San http://mttuyet.fr/ Mathilde Tuyết Trần 2017-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