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고속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해고속버스터미널은 강원도 동해시에 위치했던 고속버스 전용 터미널이었다. 2008년 동해시외버스터미널의 임시 폐쇄로 인해 시외버스가 함께 운행되기도 했으나, 2013년 동해시외버스터미널 운영 재개 이후 다시 고속버스 전용 터미널로 운영되었다. 터미널 이원화로 인한 이용객의 불편으로 2018년 12월 26일에 운영이 종료되고 폐쇄되었으며, 서울/동서울 - 삼척 노선은 동해시외버스터미널로 중간 승하차지가 변경되었다. 과거에는 동해 - 서울경부, 동해 - 동서울 노선이 운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해시의 건축물 - 묵호역
묵호역은 1961년 개업한 강원도 동해시 소재의 영동선 철도역으로, 묵호항선과 연결되며 여객 위주로 운영되고, 전철 및 바다열차, 동해산타열차가 운행되고, 동해~강릉 구간 셔틀열차가 운행 중이다. - 동해시의 건축물 - 동해시외버스터미널
동해시외버스터미널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에 위치하며, 1986년 건립 이후 동해종합버스터미널로 통합 및 공영 터미널 재개장을 거쳐 현재 수도권, 강원, 영남, 충청권 방면으로 운행 노선을 갖추고 있다. - 동해시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동해시의 교통 - 묵호항
묵호항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에 위치한 1941년에 개항된 항구로, 어업과 무역 기능을 담당하며 동해안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주변 자연 경관과 신선한 해산물로 관광객들에게도 인기가 높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간성시외버스터미널은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특히 강원도 내 접근성이 낮은 지역까지 연결하는 교통망을 형성하여 관광객 편의 증진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대화버스터미널
대화버스터미널은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에 위치하며, 과거 고양시에서 운영했으나 현재는 고양도시관리공사에서 운영하며 동서울, 강릉, 원주, 춘천, 제천 방면 시외버스와 평창군 농어촌버스를 운행하지만, 경영난으로 매표가 중단되고 시설 노후화와 이용객 감소 문제를 겪고 있다.
| 동해고속버스터미널 | |
|---|---|
| 기본 정보 | |
| 공식 명칭 | 동해고속버스터미널 |
| 종류 | 터미널 |
| 국가 | 대한민국 |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1길 1 (부곡동) |
| 개장 | 알 수 없음 |
| 이전 | 2013년 7월 1일 (분리) |
| 폐지 | 2018년 12월 26일 |
| 운영 기관 | 동부고속 |
| 터미널 코드 | 210 |
| 표기 | 동해 |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 웹사이트 | 동해고속버스터미널 웹사이트 |
| 영어 안내 | |
| 영어 | Donghae Express Bus Terminal |
2. 역사
2008년 11월, 평릉동에 있던 동해시외버스터미널이 경영난으로 잠시 폐쇄되자, 이 터미널은 임시로 시외버스 운행을 겸하게 되었다. 이후 동부고속이 이 터미널을 인수하여 시외버스터미널과 고속버스터미널을 통합 운영했다.
2012년 1월 동해시가 구 시외버스터미널 부지를 매입하고, 2013년 7월 1일 시외버스터미널을 재개장하면서 동해고속버스터미널은 다시 고속버스 전용 터미널로 운영되었다.[3]
그러나 터미널 이원화로 인해 동서울 방면 이용객들의 불편 민원이 발생했고, 동해시와 동부고속은 터미널 일원화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2018년 12월 26일 터미널 운영을 종료하고 폐쇄했다.[4] 수원 - 삼척 노선은 2020년 1월 21일부터 동해 중간 승하차를 개시했다.
2. 1. 시외버스 겸용 (2008년 ~ 2013년)
원래 이 터미널은 고속버스 전용 터미널이었으나, 2008년 11월에 천곡동에 있던 동해시외버스터미널이 경영난으로 잠시 폐쇄되자 시외버스들이 이 터미널을 임시로 이용했다.[3]2012년 1월 동해시청에서 동해시외버스터미널 건물 및 부지를 매입한 후 시영 터미널로 전환해 2013년 7월 1일부터 동해시외버스터미널의 운영을 재개하면서[3] 이 터미널은 다시 고속버스만 운행하게 되었다.[1][2]
2. 2. 고속버스 전용 (2013년 ~ 2018년)
2012년 1월 동해시청에서 동해시외버스터미널 건물 및 부지를 매입한 후 시영 터미널로 전환했고, 2013년 7월 1일부터 동해시외버스터미널 운영을 재개하면서[3] 이 터미널은 다시 고속버스만 운행하게 되었다.2. 3. 터미널 폐쇄 (2018년)
2008년 11월, 천곡동에 있던 동해시외버스터미널이 경영난으로 잠시 폐쇄되자 시외버스들이 이 터미널을 임시로 이용했다. 2012년 1월 동해시청에서 동해시외버스터미널 건물 및 부지를 매입한 후 시영 터미널로 전환해 2013년 7월 1일부터 동해시외버스터미널 운영을 재개하면서[3] 이 터미널은 다시 고속버스만 운행하게 되었다.그러나 터미널 이원화로 인해 동서울 방면 이용객들의 불편과 민원이 빗발쳤고, 이에 동해시청과 동부고속 측이 터미널 일원화에 합의하였다. 그 결과 2018년 12월 26일을 마지막으로 터미널 운영을 종료하고 폐쇄했다.[4] 이에 따라 서울/동서울 - 삼척 노선은 동해시외버스터미널로 중간 승하차지가 변경되었다.[4]
2. 4. 폐쇄 이후
2018년 12월 26일을 마지막으로 터미널 운영을 종료하고 폐쇄되었다. 이로 인해 서울/동서울 - 삼척 노선은 동해시외버스터미널로 중간 승차 및 하차 장소가 변경되었다.[4] 수원 - 삼척 노선은 동해를 거치지 않았으나, 2020년 1월 21일부터 동해 중간 승하차를 시작했다.3. 과거 운행 노선
막차: 24:00 (동해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