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발 특이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뒤발 특이점은 패트릭 뒤발과 펠릭스 클라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복소 변수를 사용하여 표현되는 특이점의 한 유형이다. 이 특이점들은 ADE형 딘킨 도표에 의해 분류되며, A, D, E6, E7, E8의 다섯 가지 유형이 있다. 뒤발 특이점은 이진다면체군과의 관계를 가지며, 끈 이론에서 3차원 복소 다양체의 오비폴드 특이점으로 나타난다.
영국의 패트릭 뒤발(Patrick du Val|패트릭 듀 발영어)[7]과 독일의 펠릭스 클라인의 이름을 땄다. 뒤발은 1934년에 이 특이점들을 연구하였다.[8][9][10]
뒤발 특이점은 ADE 분류형 딘킨 도표에 의해 분류된다. 이는 복소수 변수 w, x, y로 정의되는 복소 2차원 아핀 대수다양체의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이 다양체들은 w=x=y=0에서 특이점을 갖는다.[11]
2. 역사
3. 분류
3. 1. ADE 분류
각 특이점 유형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이들은 를 의 유한 부분군의 작용으로 몫공간을 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의 부분군들은 '''이진다면체군'''(binary polyhedral group영어)이라고 불리며, 이들에 대한 ADE 분류가 존재한다. 이를 '''매케이 대응성'''(McKay correspondence영어)이라고 한다.ADE 분류 SO(3) 부분군 An n+1차 순환군 Dn 2n차 정이면체군 E6 정사면체군 (정사면체의 대칭군) E7 정팔면체군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대칭군) E8 정이십면체군 (정십이면체와 정이십면체의 대칭군)
3. 2. 이진다면체군과의 관계
뒤발 특이점은 를 의 유한 부분군의 작용으로 몫공간을 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의 부분군들은 '''이진다면체군'''(binary polyhedral group영어)이라고 불리며, 이들에 대한 ADE 분류가 존재한다. 이를 '''매케이 대응성'''(McKay correspondence영어)이라고 한다.[11]
3. 2. 1. 이진다면체군 목록
이진다면체군은 SU(2)=Spin(3)가 SO(3)의 이중피복군이므로, SO(3)의 부분군(다면체군)의 이중피복에 해당한다.[11]
ADE 분류 | SO(3) 부분군 |
---|---|
An | n+1차 순환군 |
Dn | 2n차 정이면체군 |
E6 | 정사면체군 (정사면체의 대칭군) |
E7 | 정팔면체군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대칭군) |
E8 | 정이십면체군 (정십이면체와 정이십면체의 대칭군) |
3. 3. 특이점 해소
표수가 0인 대수적으로 닫힌 체 에 대하여, 뒤발 특이점을 갖는 아핀 대수다양체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다양체는 원점 에서 특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특이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이점에서 부풀리기를 여러 번 시행할 수 있다. 부풀리기를 통해 얻어지는 유리 곡선들은 항상 -2의 자기 교차수를 가지며, 서로 교차하는 경우 교차수는 0 또는 1이다.이러한 교차 관계를 나타내는 유한 그래프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의 각 꼭짓점은 예외 인자(자기 교차수가 -2인 유리 곡선)이다.
- 의 서로 다른 두 꼭짓점 사이에 변이 존재하는 것은 해당 예외 인자가 서로 교차하는 (교차수가 1인) 경우이다.
이 그래프 는 ADE형 딘킨 도표와 일치한다.
4. 응용
끈 이론에서는 축소화하는 3차원 복소 다양체에 따라 4차원 물리가 결정된다. 이 3차원 복소 다양체는 오비폴드 꼴의 특이점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국소적으로 뒤발 특이점이다. 뒤발 특이점의 딘킨 도표는 4차원 물리의 화살집 도형과 같다.[12] 이는 D-막이 특이점에 감겨 있기 때문이다. D-막의 배열은 뒤발 특이점의 부풀리기의 꼴과 같다.[12] 이는 프레디 카차소(Freddy Alexander Cachazoes)와 셸던 카츠(Sheldon Katz영어), 캄란 바파가 2001년에 발견하였다.[13]
참조
[1]
논문
On isolated singularities of surfaces which do not affect the conditions of adjunction, Entry I
https://www.zentralb[...]
[2]
논문
On isolated singularities of surfaces which do not affect the conditions of adjunction, Entry II
https://www.zentralb[...]
[3]
논문
On isolated singularities of surfaces which do not affect the conditions of adjunction, Entry III
http://www.zentralbl[...]
[4]
서적
Compact Complex Surfaces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Berlin
2022-05-09
[5]
논문
On isolated rational singularities of surfaces
[6]
논문
Fifteen characterizations of rational double points and simple critical points
https://www.e-period[...]
European Mathematical Society Publishing House
2022-05-09
[7]
웹사이트
Patrick Du Val
2010-02-00
[8]
논문
On isolated singularities of surfaces which do not affect the conditions of adjunction (Part I)
1934-10-00
[9]
논문
On isolated singularities of surfaces which do not affect the conditions of adjunction (Part II)
1934-10-00
[10]
논문
On isolated singularities of surfaces which do not affect the conditions of adjunction (Part III)
1934-10-00
[11]
서적
1980-00-00
[12]
논문
2004-00-00
[13]
논문
2001-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