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투르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라마투르기는 희곡의 맥락을 탐구하는 학문으로, 18세기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에 의해 창시되었다. 레싱은 함부르크 극장의 드라마투르그로 활동하며 연극 작품을 평가했고, 그의 저서 《함부르크 드라마투르기》는 현대 드라마투르기의 기초가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은 서양 연극 전통의 기초를 이루며, 브레히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드라마투르기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비서양 드라마투르기 중 가장 오래된 작품은 인도의 《나티아 샤스트라》이다. 드라마투르기는 극의 환경, 등장인물, 주제, 구조 등을 포괄적으로 분석하며, 기관 드라마투르그는 제작 과정에 참여하여 전문 지식을 제공한다. 1996년 뮤지컬 《렌트》의 사례와 같이, 드라마투르기의 저작권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극 - 관객
관객은 연극, 영화, 스포츠 경기 등 다양한 공연이나 행사에서 감상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직접 대면하거나 매체를 통해 참여하는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고, 공연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거나 공연자와 소통하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 연극 - 서사극
서사극은 관객에게 교훈을 전달하고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유도하는 연극 형식으로, 에르빈 피스카토어가 용어를 처음 사용하고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이론을 정립했으며, 소격 효과, 제스투스, 역사화 등의 특징을 가진다. - 드라마 -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는 과장된 감정, 극적인 줄거리, 선악이 분명한 인물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마 장르로, 18세기 프랑스에서 음악 반주가 있는 연극으로 시작되어 19세기 영국과 프랑스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20세기 영화와 텔레비전으로 확장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음악 분야에서도 활용되었다. - 드라마 - 희비극
희비극은 비극과 희극의 요소를 결합한 연극 장르로,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하여 르네상스 시대에 발전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매체에서 사회 비판이나 인간 심리 탐구 등의 주제를 다루는 데 활용된다.
드라마투르기 | |
---|---|
개요 | |
분야 | 드라마, 연극, 영화, 무용, 오페라, 뮤지컬 |
정의 | 극작술, 극의 구조와 표현 기법 연구 |
역할 | 극작품 분석 및 비평 극작가의 창작 과정 지원 연출가의 해석 및 구현 협력 배우의 연기 지도 무대 디자인 및 기술 요소 검토 관객과의 소통 촉진 |
역사 | |
기원 | 고대 그리스 연극 |
발전 | 르네상스 시대, 근대 연극 이론 정립 |
현대 | 다양한 형태의 드라마투르기 등장 |
주요 개념 | |
플롯 | 극의 사건 전개 구조 |
캐릭터 | 극중 인물 설정 및 역할 |
주제 | 극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 사상 |
갈등 | 극중 인물 간 또는 내면의 대립 |
대사 | 극중 인물의 말과 행동 |
스펙터클 | 무대 장치, 의상, 조명 등 시각적 요소 |
드라마투르그 | |
역할 | 극작품 분석, 비평, 창작 지원, 연출 협력 |
자질 | 문학적 지식, 연극 이론, 분석 능력, 소통 능력 |
활동 분야 | 극단, 극장, 영화 제작사, 방송국, 교육 기관 |
관련 용어 | |
극작 | 희곡, 시나리오 등 극본 창작 |
연출 | 극본을 무대 또는 영상으로 구현하는 과정 |
연기 | 극중 인물을 표현하는 행위 |
무대 미술 | 무대 디자인, 조명, 의상 등 시각적 요소 |
비평 | 극작품의 가치를 평가하고 분석하는 활동 |
참고 문헌 | |
도서 | 베르트 카르둘로, 《드라마투르기란 무엇인가?》, 피터 랭 출판사, 2005 |
2. 정의 및 역사
드라마투르기는 실제적 훈련과 실천 주도 학문으로서, 18세기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에 의해 창시되었다. 레싱은 함부르크 극장에서 '드라마투르그'라는 직책을 맡아 연극 작품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헤겔 등 여러 작가들을 거치면서 발전되었다. 서양 연극 전통의 기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며,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서사극으로 이어졌다. 가장 오래된 비서양 드라마투르기 작품은 산스크리트어 작품인 ''나티아 샤스트라''(연극의 기술)로 알려져 있다.[11]
2. 1. 레싱과 함부르크 드라마투르기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은 《함부르크 드라마투르기(Hamburgische Dramaturgie)》를 통해 당시 독일 연극의 현황을 분석, 비판, 이론화하여 현대 드라마투르기의 아버지로 불린다.[3] 레싱은 함부르크 극장에 "드라마투르그"라는 직책으로 고용되었는데, 이는 유럽 연극에서 최초의 사례였다. 그는 자신의 임무를 "극적 심판자"("dramatischer Richter")로 묘사하며 특정 연극 작품을 무대에 올리는 가장 설득력 있고 적절한 수단을 평가해야 했다.[2]2. 2. 드라마투르기의 발전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함부르크 드라마투르기''와 ''라오콘''[4], 그리고 헤겔의 ''미학''(1835–38)[5] 이후, 프리드리히 횔덜린,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손턴 와일더, 아서 밀러, 테네시 윌리엄스 등 많은 작가들이 연극의 무대 언어를 독특한 예술 형식으로 고찰했다.[6][7]독일 극작가 구스타프 프라이타크는 1863년 저서 《드라마 기법》(The Technique of the Drama)[8]에서 현대 드라마투르기의 구성 요소를 종합하려 시도했으며, 이 책은 1894년 영어로 출판되었다. 극적 구조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 책은 프라이타크의 피라미드라고 불리는 극적 긴장과 해결의 흐름을 포함하며, 종종 최초의 할리우드 시나리오 작성 매뉴얼의 청사진으로 여겨진다. 찰턴 앤드루스의 《극작술의 기술》(1915)[9]은 유럽 및 독일의 드라마투르기 전통과 극적 구성에 대한 이해를 언급한다.
2. 3. 아리스토텔레스와 브레히트
서양 연극 전통의 기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기원전 335년경 집필)이다.[11]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 장르를 분석하며, 오이디푸스 왕(기원전 429년경)을 전형적인 극작품으로 보았다. 그는 등장인물, 행동, 대사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좋은 플롯의 예를 제시했으며, 청중의 반응을 연극 형식의 한 측면으로 간주했다. 그의 "규칙"은 오늘날 "아리스토텔레스적 드라마"로 불린다. ''시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적 인식의 순간(아나그노리시스)과 청중의 연민과 공포의 정화(카타르시스)를 포함하여 그리스 드라마의 많은 핵심 개념들을 논의한다.[10]아리스토텔레스적 드라마투르기의 가장 중요한 계승자는 20세기 독일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개발한 서사극이다. 브레히트는 베르프렘둥스에페크트(소외 효과)의 개념과 제스투스로 알려진 연기 기법 등 여러 혁신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가 지지한 가치를 의도적으로 수정하려 했다.
2. 4. 비서양 드라마투르기
가장 오래된 비서양 드라마투르기 작품은 인도의 《나티아 샤스트라》로, 기원전 500년에서 서기 500년 사이에 쓰여졌으며 고대 인도 드라마의 요소, 형식, 서사 요소를 설명한다.[11]3. 실제
드라마투르기는 희곡이 존재하는 맥락을 포괄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극작가는 행동이 일어나는 물리적,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환경, 등장인물의 심리적 토대, 주제별 관심사를 다루는 다양한 은유적 표현뿐만 아니라 작문으로서 연극의 기술적 고려(구조, 리듬, 흐름, 심지어 개별 단어 선택까지)를 한다.[12]
3. 1. 기관 드라마투르그의 역할
기관 드라마투르그는 연극 제작의 여러 단계에 참여하여, 진행 중인 제작물에 대한 사내 비평을 제공하고, 연극의 역사와 현재의 중요성에 대해 감독, 출연진 및 청중에게 알린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드라마투르기를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기(Production Dramaturgy)라고 한다.[13] 기관 또는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는 연극의 역사 또는 사회적 맥락에 대한 자료 파일을 만들고, 프로그램 노트를 준비하고, 제작 후 토론을 이끌거나, 학교 및 그룹을 위한 학습 가이드를 작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은 감독이 텍스트 및 연기 비평, 공연 이론, 역사 연구를 프로덕션에 통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14]4. 저작권 문제
드라마투르기는 일반적으로 정의되고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은 작품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의 저작권 문제는 매우 모호한 경계를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1996년 뮤지컬 《렌트》의 저작권 분쟁이 있다.[15]
4. 1. 렌트 (뮤지컬) 사례
1996년, 뮤지컬 《렌트》의 작가 조나단 라슨의 유산과 프로덕션의 드라마투르그였던 린 톰슨 사이에 드라마투르그가 작품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범위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톰슨은 자신이 작품의 공동 저작자이며 자신의 권리를 양도, 라이선스,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전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법원에 자신을 《렌트》의 공동 저작자로 선언하고 로열티의 작가 지분 16%를 부여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녀는 쇼가 브로드웨이에서 히트한 후에야 이러한 주장을 제기했지만, 이러한 사례가 전례가 없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엔젤스 인 아메리카》 로열티의 15%는 극작가 토니 쿠슈너의 드라마투르그에게 돌아간다. 1998년 6월 19일, 미국 제2 순회 항소 법원은 톰슨이 《렌트》의 공동 저작자로 인정받을 자격이 없고 로열티를 받을 자격이 없다는 원심 판결을 확인했다.[15] 톰슨이 자신의 자료를 프로덕션에서 제거하겠다고 위협한 후, 이 사건은 결국 톰슨이 공개되지 않은 금액을 받으면서 법정 밖에서 해결되었다.참조
[1]
서적
What is Dramaturgy?
Peter Lang Publishing
[2]
서적
Hamburgische Dramaturgie
[3]
웹사이트
Dramaturgy
http://www.britannic[...]
2020-10-31
[4]
서적
Laokoon
C. F. Vosst
[5]
서적
Aesthetics : lectures on fine art
Clarendon Press
[6]
서적
Dramaturgische Schriften des 18. Jahrhunderts
Henschelverlag Berlin
[7]
서적
Dramaturgische Schriften des 19. Jahrhunderts
Henschel Verlag
[8]
서적
Technique of the drama: an exposition of dramatic composition and art
[9]
서적
The Technique of Play Writing
The Home Correspondence School
[10]
웹사이트
Brecht on Theatre
https://community.du[...]
1964-01-01
[11]
서적
Soundings in the Dramaturgy of the Australian Theatre Director
University of Melbourne
[12]
서적
Mis-Directing the Play: An Argument Against Contemporary Theatre
[13]
서적
Soundings in the Dramaturgy of the Australian Theatre Director
University of Melbourne
[14]
서적
What is Dramaturgy?
Peter Lang Publishing
[15]
웹사이트
American Theatre
https://www.angelfir[...]
1997-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