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는 알렉산드르 넵스키 대공의 아들로, 노브고로드 공화국 공작과 블라디미르 대공을 역임했다. 그는 1259년 노브고로드를 물려받았으나, 이후 추방과 망명을 겪었다. 1281년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즉위했으나 동생 안드레이 3세와의 대립으로 인해 블라디미르 대공국은 몽골 제국의 공격과 내분으로 황폐화되었다. 1294년 사망하여 페레슬라블잘레스키 구세주 성당에 안치되었으며, 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류리크 가문과 동일한 Y 염색체 계통을 가졌음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94년 사망 - 로저 베이컨
로저 베이컨은 13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과학자로 경험과 관찰을 중시하는 과학적 방법론을 강조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과 이슬람 과학의 영향을 받아 광학, 수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대작》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후대 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1294년 사망 - 안드레이 3세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의 아들인 안드레이 3세는 코스트로마 공작으로 즉위 후 몽골군을 동원하여 블라디미르 대공이 되었지만, 여러 공국들과의 권력 투쟁과 몽골 군대 동원 행위로 비판받았다. - 1250년 출생 - 안드레이 3세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의 아들인 안드레이 3세는 코스트로마 공작으로 즉위 후 몽골군을 동원하여 블라디미르 대공이 되었지만, 여러 공국들과의 권력 투쟁과 몽골 군대 동원 행위로 비판받았다. - 1250년 출생 - 요안니스 4세
요안니스 4세는 니케아 제국의 황제 테오도로스 2세의 아들로, 8세에 즉위했으나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에게 권력을 빼앗기고 실명당한 후 수도사로 생을 마쳤으며, 14세기에 성인으로 추앙받았다. - 블라디미르 대공 - 이반 1세
이반 1세는 모스크바 공작으로 즉위하여 블라디미르 대공의 지위를 얻어 모스크바 대공국을 러시아의 중심지로 만들고, 킵차크 칸국과의 외교, 재정적 수단, 트베리 공국과의 갈등 승리, 러시아 정교회 중심지 이전 등을 통해 모스크바 대공국의 성장과 러시아 국가 형성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다. - 블라디미르 대공 - 유리 2세
유리 2세는 프세볼로트 3세의 아들로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대공이었으며, 공작위 분쟁과 몽골의 침공 등 혼란스러운 시대를 통치하다 시트 강 전투에서 전사했다.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 |
로마자 표기 | Dmitrii Aleksandrovich |
통치 | |
작위 | 블라디미르 대공 |
통치 기간 | 1276년–1281년, 1283년–1293년 |
이전 통치자 | 바실리 야로슬라비치 (코스트로마) |
다음 통치자 | 안드레이 알렉산드로비치 (고로데츠) |
가문 | |
왕가 | 류리크 왕조 |
아버지 | 알렉산드르 넵스키 |
어머니 | 알려지지 않음 |
출생과 사망 | |
출생 | 1250년 |
사망 | 1294년 |
매장지 | 페레스라블-잘레스키 구세주 대성당 |
종교 | |
종교 | 동방 정교회 |
2. 생애
알렉산드르 넵스키 대공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1259년 노브고로드 공작이 되었으나, 어린 나이 때문에 1264년 추방되었다가 복귀하는 등 초기부터 지위가 불안정했다. 1276년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즉위했지만, 그의 치세는 동생 안드레이 3세와의 끊임없는 권력 투쟁으로 점철되었다. 이 과정에서 킵차크 칸국(골든 호드)과 노가이 칸 등 몽골 제국 세력의 개입과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여러 차례 망명과 복귀를 반복해야 했다. 1293년 동생 안드레이가 다시 몽골 및 루스 공작들과 연합하여 압박해오자, 드미트리는 계속되는 분쟁을 피해 수도원에 들어갔다. 이듬해인 1294년 사망하였고, 페레슬라블잘레스키의 구세주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노브고로드 공작 시절
알렉산드르 넵스키 대공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 바실리가 젊은 나이에 사망하면서 아버지의 주요 상속자가 되었다. 1259년 아버지 알렉산드르 넵스키에 의해 노브고로드의 통치자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1264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노브고로드 주민들은 드미트리가 너무 어리다는 이유로 그를 고향인 페레슬라블잘레스키로 추방했다.4년 뒤인 1268년, 18세가 된 드미트리는 노브고로드로 돌아왔고, 미래의 사위가 되는 프스코프의 다우만타스와 함께 리보니아 기사단을 상대로 한 라크베레 전투에서 지역 민병대를 이끌었다. 이후 약 10년 동안 그는 자신의 삼촌들인 야로슬라프 3세와 코스트로마의 바실리를 상대로 노브고로드의 지배권을 놓고 경쟁했다.
1276년 그의 삼촌들이 사망하자 드미트리는 마침내 블라디미르 대공과 노브고로드 공작의 자리에 올랐다. 1278년 그는 코포리예에 요새를 건설하여 직접 통치하려 했으나, 이에 반발한 노브고로드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결국 드미트리는 코포리예와 노브고로드를 모두 떠나 스칸디나비아로 망명해야 했다.
1281년 드미트리가 노브고로드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동안, 그의 남동생인 안드레이 3세는 킵차크 칸국으로 가서 칸으로부터 드미트리를 대신하여 대공이 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안드레이는 루스로 돌아와 로스토프 공국과 야로슬라블 공국의 군대와 합류하여 드미트리의 영토에 큰 피해를 입히고 그의 수도인 페레슬라블을 점령했다. 드미트리는 코포리예로 피신했으나 노브고로드인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고, 결국 북쪽으로 다시 후퇴하여 아마도 스칸디나비아로 망명했을 것이다.
2. 2. 블라디미르 대공 즉위와 동생과의 대립
1276년, 그의 삼촌들인 야로슬라프 3세와 코스트로마의 바실리가 사망하자 드미트리는 블라디미르 대공 및 노브고로드 공작으로 즉위했다. 1278년에는 코포리예에 요새를 건설하여 직접 통치하려 했으나, 노브고로드 주민들이 이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키자 코포리예와 노브고로드를 떠나야 했다.1281년, 드미트리의 동생인 안드레이 3세는 골든 호드로 가서 칸으로부터 드미트리를 대신하여 대공이 되어도 좋다는 허가를 받았다. 안드레이는 루스로 돌아와 로스토프와 야로슬라블 공작들과 군대를 합류시켜 드미트리의 영토를 공격하고 수도인 페레슬라블잘레스키를 점령했다. 드미트리는 코포리예로 피신했으나 노브고로드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북쪽으로, 아마도 스칸디나비아로 망명해야 했다.
1283년 드미트리는 루스로 돌아왔지만, 그의 영토는 몽골 군대와 동생 안드레이 3세의 공격으로 황폐해져 있었다. 그는 흑해로 가서 당시 골든 호드의 강력한 경쟁자였던 노가이 칸을 만나 지원을 약속받았다. 노가이 칸은 루스 내에서의 영향력을 키우기 위해 드미트리의 대공위 계승 투쟁을 지지했다. 이 소식을 들은 안드레이 3세는 블라디미르와 노브고로드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포기하고 고로데츠로 돌아갔다.
1285년 안드레이 3세는 다시 몽골 군대를 루스로 데려왔지만, 드미트리와 그의 동맹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마침내 1293년 안드레이 3세는 다시 몽골과 루스 공작들을 규합하여 드미트리에 반대하는 연합 세력을 형성했다. 계속되는 형제간의 분쟁에 지친 드미트리는 결국 그해 수도사 서약을 하고 수도원에 들어갔다. 1294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페레슬라블잘레스키의 구세주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2. 3. 죽음
1283년 드미트리가 루스로 귀환했을 때, 블라디미르 대공국은 이미 몽골 제국과 동생 안드레이 3세의 거듭된 공격으로 황폐해져 있었다. 드미트리는 흑해로 가서 당시 골든 호드의 유력자였던 노가이 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루스 내 영향력 확대를 원했던 노가이 칸은 드미트리의 대공위 계승 투쟁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이 소식을 들은 안드레이는 블라디미르와 노브고로드에 대한 주장을 잠시 포기하고 고로데츠로 물러났다.1285년 안드레이는 다시 몽골 군대를 동원하여 공격했지만, 드미트리와 그의 동맹 세력에 의해 격퇴되었다. 그러나 1293년, 안드레이는 다시 몽골 및 다른 루스 공작들과 연합하여 드미트리에 대항하는 세력을 결집시키는 데 성공했다. 형제간의 계속되는 싸움을 피하고자 했던 드미트리는 결국 그해 수도사 서약을 하고 권력에서 물러났다. 그는 1294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페레슬라블잘레스키의 구세주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3. 유전학적 분석
2023년 고대 유전학자들(Zhur 외)은 그가 현대 류리크 왕조의 대부분과 동일한 Y 염색체 계통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Acta Naturae''에 게재되었다. 과학자들은 그의 미토콘드리아 DNA F1b1-a3a2a를 확인했는데, 이는 동아시아 집단에 속하며, Y 염색체 N1a1a1a1a1a1a7a (N1a1-L550>Y4339>VL11)에 속한다.
참조
[1]
서적
Von der Rus zu Russland: ethnische Geschichte der Russen spannend erzählt
https://books.google[...]
MV-Verlag
2005
[2]
서적
Crusade and Conversion on the Baltic Frontier 1150–1500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7-05
[3]
웹사이트
F1b1-a3a
https://www.yfull.co[...]
[4]
웹사이트
N-VL11 YTree, id:NEV2
https://www.yfull.co[...]
2023-10-25
[5]
간행물
Рюриковичи: первый опыт реконструкции генетического облика правящего рода средневековой Руси по данным палеогеномики
2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