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리 2세는 프세볼로트 3세의 아들로, 1212년부터 1216년, 1218년부터 1238년까지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대공이었다. 그는 형제들과의 권력 다툼을 겪었으며, 1214년에는 형과의 싸움에서 벨리키 소리를 빼앗았다. 몽골의 루스 침공 중 1238년 시트 강 전투에서 바투가 이끄는 몽골군과 싸우다 전사했다. 슬하에 3남 2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즈달 출신 - 알렉세이 가스테프
알렉세이 가스테프는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과학적 관리 전문가로, 중앙노동연구소를 설립하여 노동의 과학적 조직 연구를 주도하며 효율적인 작업 방식 개발과 노동자 훈련에 힘썼으나, 노동자를 '인간 로봇'처럼 취급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1238년 사망 - 헨리크 1세
헨리크 1세는 실레시아 공작으로, 내정을 중시하며 실롱스크 공국의 문화와 경제 발전에 기여했고, 폴란드 공국 정치에 개입하여 폴란드 왕국을 실질적으로 통치했으며, 몽골의 침략으로 그의 유산이 파괴되었음에도 뛰어난 공작으로 평가받는다. - 1238년 사망 - 알카밀
알 카밀은 아이유브 왕조의 술탄으로서 제5차 십자군을 격퇴하고 프리드리히 2세와 교류하며 평화를 유지했으나, 제6차 십자군 침공으로 예루살렘을 십자군에게 양도하고 1238년에 사망했다.
유리 2세 | |
---|---|
기본 정보 | |
칭호 | 블라디미르 대공 |
![]() | |
재위 기간 | 1212년–1216년, 1218년–1238년 |
선임 | 프세볼로트 큰 둥지 |
후임 | (불명) |
아버지 | 프세볼로트 큰 둥지 |
어머니 | 마리야 시바르노브나 |
왕가 | 유리예비치 가문 |
배우자 | 아가타 (키예프의 프세볼로트 4세의 딸) |
자녀 | 프세볼로트 블라디미르 |
출생일 | 1188년 11월 26일 |
사망일 | 1238년 3월 4일 |
사망 장소 | 시트 강 전투 |
이름 | |
러시아어 | Юрий II Всеволодович |
로마자 표기 | 유리 II 프세볼로도비치 |
생애 | |
참고 | 바딤 카르갈로프 겔리안 프로호로프 프세볼로트 유리예비치 블라디미르의 순교자들 |
2. 생애
1209년 형 콘스탄틴, 동생 야로슬라프와 함께 토르조크로 군대를 진격했다.[1] 1214년 형과 싸워 벨리키 소리를 빼앗겼다.[1]
2. 1. 초기 생애
유리 2세는 프세볼로트 3세 대공과 그의 아내인 마리아 시바르노브나ru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208년에는 자신의 형인 콘스탄틴 프세볼로도비치와 함께 랴잔 공국을 공격했다.[1]프세볼로트 3세는 유리에게 로스토프 공작위를, 콘스탄틴에게 블라디미르 공작위를 물려주려는 계획을 세웠지만 콘스탄틴은 자신이 로스토프와 블라디미르 공작이 되기를 원했다. 프세볼로트 3세는 유리에게 블라디미르 공작위를 넘겨줬지만 콘스탄틴과 유리는 블라디미르 공작위를 놓고 분쟁을 빚게 된다.[1]
1211년에는 키예프의 프세볼로트의 딸 아가피야와 결혼했다.[1]
2. 2. 권력 투쟁
프세볼로트 3세 대공과 그의 아내인 마리아 시바르노브나ru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208년에는 자신의 형인 콘스탄틴 프세볼로도비치와 함께 랴잔 공국을 공격했다.프세볼로트 3세는 유리에게 로스토프 공작위를, 콘스탄틴에게 블라디미르 공작위를 물려주려는 계획을 세웠지만 콘스탄틴은 자신이 로스토프 공작, 블라디미르 공작이 되기를 원했다. 프세볼로트 3세는 유리에게 블라디미르 공작위를 넘겨줬지만 콘스탄틴과 유리는 블라디미르 공작위를 놓고 분쟁을 빚게 된다.
1212년부터 1216년까지, 1218년부터 1238년까지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대공을 역임했다. 1238년 3월 4일 시트강 전투|mn|Сить голын тулалдаанru에서 몽골 제국군의 공격을 받고 전사했다.
- 1209년 형 콘스탄틴, 동생 야로슬라프와 함께 토르조크로 군대를 진격시켰다.
- 1211년에 키예프의 프세볼로트의 딸 아가피야를 아내로 맞이했다.
- 1214년에는 형과 싸워 벨리키 소리를 빼앗겼다.
- 몽골의 루스 침공 중 1238년에 바투가 이끄는 몽골 군대와 시티 강에서 전투를 벌이다 전사했다.
2. 3. 블라디미르 대공
프세볼로트 3세와 그의 아내 마리아 시바르노브나ru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208년 형 콘스탄틴 프세볼로도비치와 함께 랴잔 공국을 공격했다.[1]프세볼로트 3세는 유리에게 로스토프 공작위를, 콘스탄틴에게 블라디미르 공작위를 물려주려 했으나 콘스탄틴은 로스토프와 블라디미르 모두 자신이 다스리기를 원했다. 결국 프세볼로트 3세는 유리에게 블라디미르 공작위를 넘겨주었지만, 이후 콘스탄틴과 유리는 블라디미르 공작위를 놓고 분쟁을 벌였다.[1]
1212년부터 1216년까지, 그리고 1218년부터 1238년까지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대공을 역임했다. 1238년 3월 4일 시트강 전투|mn|시ть голын тулалдаанru에서 바투가 이끄는 몽골 제국군의 공격을 받고 전사했다.[1]
- 1209년 형 콘스탄틴, 동생 야로슬라프와 함께 토르조크로 군대를 진격시켰다.[1]
- 1211년 키예프의 프세볼로트의 딸 아가피야와 결혼했다.[1]
- 1214년 형과 싸워 벨리키 소리를 빼앗겼다.[1]
2. 4. 몽골의 침입과 죽음
1212년부터 1216년까지, 그리고 1218년부터 1238년까지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대공을 역임했다. 몽골의 루스 침공 중이던 1238년 3월 4일 시티 강 전투(바투가 이끄는) 몽골 제국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3]3. 가족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프세볼로트 | 1213년 | 1238년 | 노브고로드 공. 오브루치 공 블라디미르의 딸 마리나와 결혼. |
므스티슬라프 | 1213년 이후 | 1238년 | 마리야(출신 불명)와 결혼. |
도브라바 | 1215년경 | 1265년 | 볼히니아 공 바실코와 결혼. |
블라디미르 | 1218년 이후 | 1238년 | 모스크바의 나메스트니크. 흐리스티나(출신 불명)와 결혼. |
페오도라 | 1229년 | 1238년 |
참조
[1]
학위논문
A history of the Muscovite civil war: the reign of Vasili II (1425–1462)
https://www.proquest[...]
1956
[2]
간행물
Повесть о Батыевом нашествии в Лаврентьевской летописи
Л.
[3]
서적
絶対に見られない世界の秘宝99
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