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변 미분 형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변 미분 형식은 매끄러운 다양체 M 위에 정의되며, 리 군 G의 리 대수 g에 대한 함수로, G의 작용에 대해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미분 형식이다. 등변 미분 형식 위에는 등변 외미분이라는 연산이 정의되며, 이를 통해 등변 코호몰로지를 정의할 수 있고, 등변 완전 미분 형식과 등변 닫힌 미분 형식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개념은 앙리 카르탕에 의해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등변 미분 형식 | |
---|---|
개요 | |
유형 | 미분 형식 |
분야 | 미분기하학, 미분 위상수학 |
관련 개념 | 동변 코호몰로지 |
정의 | |
정의 | 다양체 M 위의 동변 미분 형식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가진다. |
연산 | |
동변 외미분 | (d_G α)(x) = d(α(x)) - Σᵢ uᵢ(x) ⌟ (Xᵢ α)(x) |
동변 곱 | (α β)(x) = α(x) β(x) |
동변 축소 | ∫M α = ∫M α₀ |
성질 | |
성질 | |
응용 | |
응용 |
2. 정의
등변 미분 형식(Equivariant differential form)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러한 조건 아래, 위의 '''-등변 미분 형식'''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다항식 사상으로 정의된다.
2. 1. 기본 정의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그렇다면, 위의 '''-등변 미분 형식''' 는 다음 벡터 공간의 원소이다.
:
여기서 는 의 쌍대 공간이며, 은 위의 복소수 계수 미분 형식들의 복소수 벡터 공간이다. 이러한 원소는 다항식 사상
:
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는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2]
:
여기서 는 의 딸림표현이다.
2. 2. 관련 용어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그렇다면, 위의 '''-등변 미분 형식''' 는 다음 벡터 공간의 원소이다.
:
여기서 는 의 쌍대 공간이며, 은 위의 복소수 계수 미분 형식들의 복소수 벡터 공간이다. 이러한 원소는 다항식 사상
:
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는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2]
:
여기서 는 의 딸림표현이다.
3. 연산
등변 미분 형식에는 등변 외미분, 등변 완전 미분 형식, 등변 닫힌 미분 형식 등의 연산이 적용된다. 등변 외미분은 일반 외미분과 유사하게 을 만족시키며, 이를 통해 등변 코호몰로지를 정의할 수 있다. 등변 코호몰로지는 등변 외미분의 핵(kernel)을 등변 외미분의 상(image)으로 나눈 것이다.[2]
3. 1. 등변 외미분
등변 미분 형식 위에는 다음과 같은 '''등변 외미분'''(equivariant exterior derivative영어)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는 (일반 외미분과 마찬가지로) 다음을 만족시킨다.
:
이에 따라 코호몰로지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코호몰로지는 등변 코호몰로지와 일치한다.
:
또한, 이를 통해 '''등변 완전 미분 형식'''(equivariantly exact differential form영어) 및 '''등변 닫힌 미분 형식'''(equivariantly closed differential form영어)을 정의할 수 있다.[2]
3. 2. 등변 코호몰로지
등변 미분 형식 위에는 다음과 같은 '''등변 외미분'''(等變外微分, equivariant exterior derivative영어)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는 (일반 외미분과 마찬가지로) 을 만족시키며, 이에 따라 코호몰로지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코호몰로지는 등변 코호몰로지와 일치한다.
:
또한, 이를 통해 '''등변 완전 미분 형식'''(等變完全微分形式, equivariantly exact differential form영어) 및 '''등변 닫힌 미분 형식'''(等變-微分形式, equivariantly closed differential form영어)을 정의할 수 있다.[2]
3. 3. 등변 완전 미분 형식과 등변 닫힌 미분 형식
등변 미분 형식 위에는 다음과 같은 '''등변 외미분'''(等變外微分, equivariant exterior derivative영어)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는 (일반 외미분과 마찬가지로) 다음을 만족시킨다.
:
이에 따라 코호몰로지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코호몰로지는 등변 코호몰로지와 일치한다.
:
또한, 이를 통해 '''등변 완전 미분 형식'''(等變完全微分形式, equivariantly exact differential form영어) 및 '''등변 닫힌 미분 형식'''(等變-微分形式, equivariantly closed differential form영어)을 정의할 수 있다.[2]
4. 역사
등변 미분 형식의 개념은 앙리 카르탕이 도입하였다.[3][2][4]
4. 1. 앙리 카르탕의 공헌
앙리 카르탕이 등변 미분 형식의 개념을 도입하였다.[3][2][4]참조
[1]
문서
[2]
서적
Heat kernels and Dirac operators
http://www.springer.[...]
Springer-Verlag
1992
[3]
논문
Cohomologie réelle d’un espace fibré principal différentiable. I : notions d’algèbre différentielle, algèbre de Weil d’un groupe de Lie
http://www.numdam.or[...]
1950-05-15
[4]
논문
Equivariant characteristic forms in the Cartan model and Borel equivariant cohomology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