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자인코리아페스티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자인코리아페스티벌은 1999년 '디자인코리아'라는 명칭으로 처음 시작되어, 2019년부터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디자인 관련 행사이다. 2003년 서울에서 첫 박람회가 개최된 이후, 국내외에서 다양한 행사와 전시가 진행되었다. 역대 정부의 정책 방향을 반영하여, 디자인 산업 육성, 녹색 성장, 창조 경제, 4차 산업혁명 등 시대적 과제와 연계된 주제로 행사가 개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시회 - 공모전
    공모전은 특정 분야의 작품이나 아이디어를 공개적으로 모집하여 심사를 통해 수상작을 선정하는 경쟁 행사로, 17세기 유럽과 19세기 프랑스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현재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다.
  • 전시회 - 1993년 세계 박람회 자기부상열차관
    1993년 대전 엑스포에서 현대정공이 건립한 자기부상열차관은 피라미드형 역사와 궤도로 구성되어 관람객에게 탑승 경험을 제공했으며, 운영 중단과 재개통, 노선 축소를 거쳐 현재는 국립중앙과학관 구간을 왕복 운행한다.
  • 디자인 -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대한민국디자인대상은 디자인 산업 진흥과 디자인 경영 성과를 포상하기 위해 1999년에 제정되어 디자인 경영, 디자인 공로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한다.
  • 디자인 - 세계 디자인 수도
    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가 디자인을 통한 도시 발전과 시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한 도시를 2년마다 선정하는 세계 디자인 수도는 선정된 도시에서 국제적인 디자인 행사 및 프로그램을 개최하여 디자인의 중요성을 알리고 도시 브랜드를 강화하는 제도이며, 2008년 토리노를 시작으로 2026년 프랑크푸르트 라인마인까지 선정되었다.
디자인코리아페스티벌
디자인코리아페스티벌
분야디자인
기획대한민국 디자인 산업의 육성과 장려
장소미정 (2003년 ~ 현재)
시작2003년 ~ 현재
참가자국내 디자인업체 외
웹사이트디자인코리아페스티벌 공식 웹사이트

2. 명칭 변화

'디자인코리아'라는 명칭은 1999년 제1회 산업디자인진흥대회의 슬로건으로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한국디자인진흥원이 국제그래픽디자인단체협의회(ICOGRADA) 총회(2000년)와 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ICSID) 총회(2001년)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03년에는 국내 디자인 종합 박람회인 '제1회 서울세계베스트디자인전'이 열렸다. 2004년, 이 행사의 명칭이 '디자인코리아'로 변경되었다.[2] 2019년부터는 '디자인코리아페스티벌(DKfestival)'로 명칭이 다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3]

3. 역대 행사 정보

디자인코리아페스티벌은 2003년 '서울세계베스트디자인전'이라는 이름으로 코엑스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초기에는 한국의 서울뿐만 아니라 중국의 베이징(2004년), 상하이(2006년), 광저우(2008년) 등 아시아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열려, 한국 디자인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2009년부터는 국내 개최로 전환하여 송도 컨벤시아(2009년), 코엑스(2010년, 2011년), 엑스코(2012년), 김대중 컨벤션센터(2013년), 킨텍스(2014년~2019년) 등 전국의 주요 전시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이는 국내 디자인 산업의 저변을 넓히고 지역과의 연계를 강화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행사 주제는 시대의 흐름과 디자인 산업의 변화를 반영해왔다. '디자인, 녹색 성장동력'(2009년), '스마트 디자인'(2011년), '디자인 융합'(2012년), '디자인, 창조경제를 꽃 피우다'(2014년), 'DESIGN 4.0'(2017년), 'Digital Transformation'(2019년), '디자인, 데이터를 그리다'(2020년) 등 매년 사회·기술적 변화에 발맞춘 주제를 선정하여 디자인의 역할과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특히 2020년 행사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인해 '디지택트(Digi-tact)'라는 이름 아래 전면 온라인 전시 형태로 진행되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새로운 전시 모델을 선보였다.

3. 1. 역대 행사 목록

연도행사명행사일시개최장소관람객주제
2003년2003 서울세계베스트디자인전12.04~12.08코엑스131,783명
2004년디자인코리아 2004 베이징11.24~11.27베이징 밀레니엄 아트뮤지엄52,941명
2005년2005 서울세계베스트디자인전12.01~12.10코엑스161,232명
2006년디자인코리아 2006 상하이11.24~11.27상하이 세무상성67,532명
2007년디자인코리아 200711.29~12.06코엑스125,127명
2008년디자인코리아 2008 광저우09.22~09.25광저우 파저우전시장60,793명
2009년디자인코리아 200912.02~12.08송도 컨벤시아77,076명디자인, 녹색 성장동력
2010년디자인코리아 201012.07~12.12코엑스78,206명디자인을 통한 공존
2011년디자인코리아 201110.20~10.23코엑스32,073명스마트 디자인
2012년디자인코리아 201210.25~10.28엑스코21,238명디자인 융합
2013년디자인코리아 201310.10~10.13김대중 컨벤션센터20,382명K-DESIGN+ = 새로운 변화, 미래를 여는 힘
2014년DK 201411.06~11.10킨텍스32,465명디자인, 창조경제를 꽃 피우다
2015년DK 201511.11~11.15킨텍스53,629명DESIGN BUSINESS FAIR
2016년DK 201611.09~11.13킨텍스59,114명BEYOND ASIA
2017년DK 201711.08~11.12킨텍스60,686명DESIGN 4.0
2018년DK 201810.31~11.4킨텍스60,793명K-DESIGN DNA
2019년DKfestival 201911.06~11.10킨텍스60,975명Digital Transformation
2020년DKfestival 202011.19~12.18디지택트
(온라인 전시)
348,536명디자인, 데이터를 그리다 / Design Beyond Data


4. 역대 정부 정책 반영

노무현 정부 때인 2003년부터 시작된 디자인코리아페스티벌은 역대 대한민국 정부의 주요 정책 기조를 반영하며 발전해왔다.

4. 1. 노무현 정부 (2003~2008)

디자인코리아페스티벌은 노무현 정부 시기인 2003년에 처음 시작되었다. 당시 정부는 '신산업 정책의 산업강국 디자인'이라는 기조 아래, 디자인을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의 핵심 요소로 보고 육성하고자 하였다. 이는 디자인을 통해 산업 구조를 고도화하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려는 정책적 의지를 반영한 것이었다.

4. 2. 이명박 정부 (2008~2013)

이명박 정부 시기에는 '디자인, 녹색 성장의 동력'이라는 기조 아래 디자인 정책이 추진되었다. 이는 당시 정부가 강조했던 녹색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디자인의 역할을 중요하게 본 것으로, 친환경 디자인이나 지속 가능한 디자인 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려는 목표를 반영한 것이다.

4. 3. 박근혜 정부 (2013~2017)

박근혜 정부 시기에는 '창조경제를 통한 디자인'이라는 기조 아래 디자인 정책이 추진되었다. 이는 창조경제를 핵심 국정 과제로 내세우면서, 디자인을 그 중요한 요소로 인식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디자인과 다른 산업 간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고, 이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4. 4. 문재인 정부 (2017~2022)

문재인 정부 시기에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디자인의 역할을 새롭게 조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디지털 전환 시대에 발맞춰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련 산업의 혁신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부의 주요 국정 과제였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디자인 분야와 연결하여, 디자인을 통해 평화와 번영의 가치를 확산시키려는 노력이 나타났다. 이러한 정책 기조는 디자인코리아페스티벌의 주제와 방향 설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웹인용 세계 디자인 총집합 '디자인코리아 2010' https://www.chosun.c[...] 2020-12-09
[2] 서적 디자인 코리아 :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2020-06-19
[3] 웹인용 "DK페스티벌 美 CES처럼 키울 자신있다" https://www.sedaily.[...] 2020-12-09
[4] 웹인용 DKfestival 행사개요 https://dkf.kidp.or.[...] 2020-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