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슬로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슬로 2세는 1162년부터 1163년까지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국왕이었다. 그는 벨러 2세와 옐레나의 아들로 1131년에 태어났으며, 보스니아 공작으로 임명되었으나 실제 통치하지는 않았다. 게저 2세에 대항하는 반란에 실패한 후 비잔티움 제국으로 망명했다가, 1162년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지원을 받아 헝가리로 돌아와 왕위에 올랐다. 에스테르곰 대주교의 반대와 파문에도 불구하고 컬로처 주교로부터 대관을 받았으나, 이듬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63년 사망 - 대혜종고
대혜종고는 남송 시대의 선승이자 임제종 양기파 승려로, 간화선 수행법을 주창하고 묵조선을 비판하며 중국, 한국, 일본 임제종 공안 수행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대혜어록』, 『정법안장』 등의 저서가 있다. - 1163년 사망 - 야율이열
야율이열은 1143년 즉위하여 어머니 소탑불연과 여동생 야율보속완의 보좌를 받았으며, 금나라와의 평화 시도에 실패하고 카를루크족과의 분쟁을 겪다가 1158년에 사망한 서요의 황제이다. - 1131년 출생 - 발데마르 1세
발데마르 1세는 1157년부터 1182년까지 덴마크를 통치한 왕으로, 내전을 극복하고 덴마크를 재건하며 영토를 확장하고 내정을 안정시켰다. - 1131년 출생 - 명종 (고려)
명종은 고려의 제19대 왕으로, 무신정변으로 즉위했으나 무신 권력자들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어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 12세기 헝가리 사람 - 이슈트반 4세
이슈트반 4세는 벨러 2세의 아들이자 게저 2세의 동생으로, 형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후 비잔티움 제국의 지원을 받아 헝가리 왕위를 주장했으나, 이슈트반 3세에게 패배하고 결국 독살당했다. - 12세기 헝가리 사람 - 게저 2세
게저 2세는 1141년부터 1162년까지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왕으로 재임하며 왕위 계승권 분쟁과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 등 여러 도전을 겪었고, 외교 정책과 이민족 우대 정책을 통해 헝가리 사회의 다양성을 증진시키려 노력했다.
| 라슬로 2세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라디슬라우스 2세 |
| 헝가리어 이름 | II. László |
| 크로아티아어 이름 | Ladislav II |
| 슬로바키아어 이름 | Ladislav II |
| 작위 | |
| 작위 | 보스니아 공작 |
| 계승 | 헝가리 왕 및 크로아티아 왕 |
| 재위 | 1162년 7월 - 1163년 1월 |
| 재위 상세 | 이슈트반 3세에 의해 이의 제기됨 |
| 대관식 | 1162년 7월, 세케슈페헤르바르 |
| 헝가리어 대관식 종류 | 헝가리 |
| 선임자 | 이슈트반 3세 |
| 후임자 | 이슈트반 4세 |
| 가문 | |
| 왕가 | 아르파드 왕조 |
| 아버지 | 벨러 2세 |
| 어머니 | 헬레나 라슈카 |
| 자녀 | 마리아 |
| 출생과 사망 | |
| 출생일 | 1131년 |
| 사망일 | 1163년 1월 14일 |
| 매장지 | 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 |
| 종교 | |
| 종교 | 로마 가톨릭 |
2. 생애
1131년 벨러 2세와 세르비아의 옐레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라슬로가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옐레나는 아라드에서 게저 2세와 함께 벨러 2세의 실명에 관여한 혐의를 받은 귀족들의 처형을 명령했다.
1136년 벨러 2세의 군대가 보스니아를 침공한후, 라슬로는 아버지 벨러 2세로부터 보스니아 공작 칭호를 받았지만 실제로 통치하지는 않았다. 1156년과 1157년에는 라슬로와 이슈트반이 게저 2세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했고, 이후 비잔티움 제국으로 망명했다.
1160년경 동생 이슈트반과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이주했지만, 1162년 게저 2세가 사망하자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지원을 통해 헝가리로 귀환했다. 마누엘 1세는 헝가리에 대한 비잔티움 제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이슈트반의 왕위 찬탈을 계획했지만, 헝가리 귀족들은 라슬로를 이슈트반 3세의 대립왕으로 추대했다.
에스테르곰 주교 루카치는 라슬로의 대관을 거부하고 그를 파문시켰다. 라슬로는 1162년 7월 컬로처 주교 미코로부터 왕관을 받았지만, 1163년 1월에 사망했다.[1]
2. 1. 보스니아 공작 시대 (1137년 ~ 1160년)
1136년 벨러 2세의 군대가 보스니아를 침공했고, 보스니아에서의 군사 행동을 기념하여 네레트바강의 지류인 소하천에서 유래한 "라마의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이듬해 1137년 벨러 2세는 에스테르곰에서 열린 귀족, 성직자 회의에서 라슬로를 보스니아 공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라슬로는 보스니아를 직접 통치하지 않았고, 실제 영지의 통치는 임명되거나 선출된 반(총독)이 담당했다.1156년/1157년 라슬로의 동생 이슈트반은 게저 2세에 대한 음모를 꾸몄지만 실패로 끝났다. 이슈트반은 처음 신성 로마 제국에 보호를 요청했지만, 이후 비잔티움 제국으로 망명했다. 라슬로도 이슈트반을 따라 1160년경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망명했다.
2. 2.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국왕 (1162년 ~ 1163년)
1162년 게저 2세가 사망하자,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지원을 받아 헝가리로 귀환했다.[4] 마누엘 1세는 헝가리에 대한 비잔티움 제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이슈트반 4세의 왕위 찬탈을 계획했다. 그러나 헝가리 귀족들은 마누엘 1세의 지원을 받는 이슈트반 4세 대신 라슬로 2세를 이슈트반 3세의 대립왕으로 추대했다.[5]이슈트반 3세의 지지자였던 에스테르곰 대주교 루카치는 라슬로 2세의 대관을 거부하고 그를 파문했다.[7] 라슬로 2세는 1162년 7월 컬로처 대주교 미코로부터 왕관을 받았지만,[6] 루카치를 투옥했다.[8]
헨리 폰 뮈겔른의 연대기에 따르면, 라슬로는 그의 형제 이슈트반에게 왕국의 1/3을 하사하고 공작 칭호를 부여했다. 키나모스는 라슬로가 그의 형제에게 "우룸"("나의 주")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는데, "헝가리인들 사이에서 이 이름은 왕위를 계승할 자를 의미한다"고 기록했다.[12] 라슬로는 교황 알렉산데르 3세의 요청에 따라 크리스마스에 루카스 대주교를 석방하여 반대자들과 화해를 시도했지만, 루카치는 헝가리로 돌아와 프레스부르크를 점령한 이슈트반 3세를 계속 지원했다. 라슬로는 루카치 대주교를 다시 투옥했다.
라슬로 2세는 1163년 1월 14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3. 유산
라슬로 2세의 짧은 통치는 헝가리 왕위 계승 분쟁을 심화시키고, 비잔티움 제국의 간섭을 초래했다. 그의 딸 마리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비탈레 2세 미켈레의 아들인 니콜라스 미키엘과 결혼하여 헝가리와 베네치아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3]
4. 가계
라슬로는 1160년경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했을 때 이미 아내를 여읜 상태였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의 아내와 가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13] 코니아테스는 라슬로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고귀한 혈통의 여성과 결혼했을 수도 있었다"라고 기록했지만,[13] "고국으로 돌아가는 것을 잊고 가정사를 망치는 일이 없도록 결혼을 삼갔다"고 덧붙였다.[13] 라슬로의 딸 마리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비탈레 미키엘 2세의 아들인 니콜라스 미키엘과 결혼했다.[13]
참조
[1]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3]
서적
O City of Byzantium, Annals of Niketas Choniates
[4]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5]
서적
O City of Byzantium, Annals of Niketas Choniates
[6]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7]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8]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9]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10]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11]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2]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13]
서적
O City of Byzantium, Annals of Niketas Chonia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라디슬라우스 2세가 [[성 이슈트반 왕관]]을 훔치는 모습 (《[[헝가리 그림 연대기]]》에서)](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