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종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종은 고려의 제19대 왕으로, 1170년 무신정변으로 의종이 폐위된 후 무신들에게 추대되어 즉위했다. 정중부, 경대승, 최충헌 등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명종은 허수아비 왕으로 전락했고, 무신들의 폭정으로 정치는 극도로 혼란스러웠다. 1197년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어 창락궁에 유폐되었으며, 6년 후 사망했다. 인종의 아들이며, 강종을 비롯한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세기 한국의 군주 - 예종 (고려)
    예종은 고려의 제16대 왕으로, 여진과의 갈등, 9성 반환, 교육 진흥 등에 힘썼으며 1122년 종양으로 사망했다.
  • 12세기 한국의 군주 - 의종 (고려)
    인종의 맏아들인 의종은 고려 제18대 왕으로, 즉위 초 왕권 강화를 꾀했으나 잦은 유희와 문신 우대로 무신정변을 초래하여 폐위 후 살해되었으며, 그의 치세는 무신정권 시대로 이어지는 분수령이 되었다.
  • 1131년 출생 - 발데마르 1세
    발데마르 1세는 1157년부터 1182년까지 덴마크를 통치한 왕으로, 내전을 극복하고 덴마크를 재건하며 영토를 확장하고 내정을 안정시켰다.
  • 1131년 출생 - 라슬로 2세
    라슬로 2세는 벨러 2세의 아들이자 비잔티움 제국의 지원을 받은 헝가리의 대립왕이었으나, 반년 만에 통치를 마감하며 헝가리 왕국 내 분열을 심화시켰다.
  • 1202년 사망 - 조영인
    조영인은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과거 급제 후 요직을 두루 거치며 동지추밀원사까지 올랐고, 금나라 사신에게 거짓으로 대응하여 외교적 위기를 넘겼으며, 문경이라는 시호를 받고 신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 1202년 사망 - 미에슈코 3세
    미에슈코 3세는 폴란드 분열 시대에 비엘코폴스카 공작이었고, 형의 죽음으로 폴란드 대공이 되었지만, 아들 오돈의 반란과 잦은 폐위로 권력 유지가 불안정했으며, 여러 번의 복위 시도 끝에 사망했다.
명종 (고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
''
이름왕흔, 후에 왕호
출생일1131년 11월 8일 (음력 10월 17일)
출생지고려 개경 연덕궁 (추정)
사망일1202년 12월 3일 (음력 11월 17일)
사망지고려 개경 창락궁
또는 양화궁 (주장)
묘호명종(明宗)
시호황명광효대왕(皇明光孝大王)
왕호(王晧)
지단(之旦)
능호지릉(智陵)
왕조
왕가왕씨
왕국고려
통치
즉위1170년
재위 기간1170년 ~ 1197년
전임자의종
후임자신종
섭정이의방 (1170년 ~ 1174년)
정중부 (1174년 ~ 1179년)
경대승 (1179년 ~ 1183년)
이의민 (1183년 ~ 1196년)
최충헌 (1196년 ~ 1197년)
가족
아버지인종
어머니공예왕후
배우자의정왕후 김씨 (1152년 결혼)
명춘 옹주
순주 옹주
자녀아들: 강종
아들: 왕선사
아들: 왕홍기
아들: 왕홍주
아들: 왕홍규
아들: 왕홍균
아들: 왕홍각
아들: 왕홍이
딸: 연희궁주
딸: 수안궁주
딸: 딸 1명

2. 생애

1170년(의종 24년) 무신정변으로 의종이 폐위되자 무신들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 명종은 재위 기간 내내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이 차례로 권력을 장악하는 것을 지켜봐야 했으며, 이의민을 제거하고 집권한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었다.[1] 명종은 실권이 없는 꼭두각시 군주였으며, 무신들의 폭주와 정치 혼란을 막을 수 없었다.[1] 재위 기간 동안 크고 작은 반란과 농민 봉기가 발생했다.[1] 1197년,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어 창락궁에 유폐되었으며, 5년 후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1]

2. 1. 정변과 즉위

1170년(의종 24년) 무신정변으로 의종이 폐위되자 무신들에 의해 옹립되었다. 재위 기간 내내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이 차례로 권력을 장악하였으며, 이의민을 제거하고 집권한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었다.[1]

1170년 음력 8월 30일무신정변이 일어나 음력 9월의종이 폐위되고 무신들에게 추대되어 즉위하였다. 그러나 실권은 무신 정권의 지도자인 이고, 이의방, 정중부 등에게 있었다.[1] 명종은 정중부의 꼭두각시에 불과했고, 나약하고 통치 능력도 없었기 때문에 정중부 이후 경대승, 최충헌 등에게 실권을 빼앗겼다. 이 기간 동안 명종은 무신들의 폭주를 막을 수 없었고, 정치는 극도로 혼란스러워졌다.[1]

2. 2. 재위 기간 중

1170년(무신정변) 의종이 폐위되자 무신들에 의해 옹립되었다. 재위 기간 내내 이의방(李義方), 정중부(鄭仲夫), 경대승(慶大升), 이의민(李義旼)이 차례로 권력을 장악하였으며, 이의민을 제거하고 집권한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되었다. 재위 기간 동안 크고 작은 반란과 농민봉기가 발생하였다.[1]

1173년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김보당이 무신 정권 타도와 전(前) 임금인 의종의 복위를 천명하며 군사를 일으켰으나, 무신 정권에 의하여 진압되고 의종은 시해되었다.[1]

1179년 정중부의 전횡을 탐탁지 않게 여긴 경대승이 정변을 일으켜 정중부를 죽이고 정권을 장악하였다.[1]

경대승이 죽자, 명종은 경주로 달아난 이의민을 다시 불러들였다. 이의민은 새로운 무신 권력자가 되어 자신의 아들들을 모두 요직에 앉히고 부정부패를 일삼아 갖은 횡포를 부리다가, 나중에 가서는 스스로 임금이 되려는 야심까지 품게 된다.[1]

2. 3. 유폐와 최후

1170년 무신정변으로 의종이 폐위되자 무신들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재위 기간 내내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이 차례로 권력을 장악하였으며, 최충헌이 이의민을 제거하고 집권하자 그에 의해 폐위되었다.[1]

1196년 음력 4월, 최충헌이 이의민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최씨 정권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때 최충헌은 거사의 명분을 얻기 위하여 앞으로의 국정 개혁안의 내용을 담은 봉사십조를 올렸고 명종은 이를 기꺼이 받아들였다.[1]

그러나 최충헌의 난 초기 혼란기를 틈타 무신 정권을 타도하려 하였으나, 1197년에 최충헌 형제가 정변을 일으켜 평량공을 옹립함으로써 폐위당하고 창락궁에 감금되었다.[1] 유폐된 지 6년 후 병을 얻어 승하하였으며, 능은 장단군 장도면에 위치한 지릉이다.[1]

3. 가족 관계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인종고려 제17대 국왕
어머니공예왕후임원후의 딸
왕후의정왕후강릉공 왕온의 딸, 명종 즉위 이전에 사망
연희궁주영인후 왕진과 혼인, 희종비 성평왕후의 어머니
수안궁주창화후 왕진의 처[13]
아들왕영고려 제22대 국왕, 의정왕후 소생
기타
후궁명춘? ~ 1180년
후궁순주? ~ 1179년
아들소군 왕선사이하 생모 미상
소군 왕홍기
소군 왕홍추
소군 왕홍규
소군 왕홍균
소군 왕홍각
소군 왕홍이
왕녀 왕씨이화룡에게 시집감


4. 기타

명종 재위 시기에 남해 금산 정상에 봉수대를 건설하였다.[4] 당시 전국의 봉수 경로 5개 가운데 동래에서 개경에 이르는 경로에 속한 최남단에 자리잡고 있어 출발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4]

5. 명종이 등장하는 작품

참조

[1] 뉴스 "[Why] 고려 의종 때 '무신(武臣)의 난' 간신(奸臣) 무참하게 도륙했지만 문극겸 등 충신(忠臣)은 화 면해" https://www.chosun.c[...] 2009-09-06
[2] 뉴스 http://www.geojenews[...] 2012-11-07
[3] 뉴스 https://economist.co[...] 2020-09-27
[4] 웹인용 남해금산봉수대 https://www.namhae.g[...] 남해군청 2020-10-23
[5] 문서 폐첩(嬖妾)의 소생으로 [[왕선사]](王善思), 왕홍기(王洪機), 왕홍추(王洪樞), 왕홍규(王洪規), 왕홍균(王洪鈞), 왕홍각(王洪覺), 왕홍이(王洪貽) 등이 있었다.
[6] 문서 소군(小君)이란 고려시대 어머니가 궁인이거나 혹은 국왕의 사랑을 받은 첩에서 태어난 왕자들을 출가시켜 승려로 삼은 왕의 서자들을 말한다. 고려사회에서는 이들의 어머니가 천민 출신이기 때문에 승려가 될 수 없었으나, 이들의 정치참여를 제도적으로 막기 위해 출가시켰다. ---- *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330·510~511쪽. *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1991. * 황병성, 『고려무인정권기연구』, 신서원, 1998, 285쪽. *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 국학자료원, 1999, 326~327쪽.
[7] 문서 소군(小君)이란 고려시대 어머니가 궁인이거나 혹은 국왕의 사랑을 받은 첩에서 태어난 왕자들을 출가시켜 승려로 삼은 왕의 서자들을 말한다. 고려사회에서는 이들의 어머니가 천민 출신이기 때문에 승려가 될 수 없었으나, 이들의 정치참여를 제도적으로 막기 위해 출가시켰다. ---- *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330·510~511쪽. *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1991. * 황병성, 『고려무인정권기연구』, 신서원, 1998, 285쪽. *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 국학자료원, 1999, 326~327쪽.
[8] 문서 소군(小君)이란 고려시대 어머니가 궁인이거나 혹은 국왕의 사랑을 받은 첩에서 태어난 왕자들을 출가시켜 승려로 삼은 왕의 서자들을 말한다. 고려사회에서는 이들의 어머니가 천민 출신이기 때문에 승려가 될 수 없었으나, 이들의 정치참여를 제도적으로 막기 위해 출가시켰다. ---- *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330·510~511쪽. *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1991. * 황병성, 『고려무인정권기연구』, 신서원, 1998, 285쪽. *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 국학자료원, 1999, 326~327쪽.
[9] 문서 소군(小君)이란 고려시대 어머니가 궁인이거나 혹은 국왕의 사랑을 받은 첩에서 태어난 왕자들을 출가시켜 승려로 삼은 왕의 서자들을 말한다. 고려사회에서는 이들의 어머니가 천민 출신이기 때문에 승려가 될 수 없었으나, 이들의 정치참여를 제도적으로 막기 위해 출가시켰다. ---- *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330·510~511쪽. *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1991. * 황병성, 『고려무인정권기연구』, 신서원, 1998, 285쪽. *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 국학자료원, 1999, 326~327쪽.
[10] 문서 소군(小君)이란 고려시대 어머니가 궁인이거나 혹은 국왕의 사랑을 받은 첩에서 태어난 왕자들을 출가시켜 승려로 삼은 왕의 서자들을 말한다. 고려사회에서는 이들의 어머니가 천민 출신이기 때문에 승려가 될 수 없었으나, 이들의 정치참여를 제도적으로 막기 위해 출가시켰다. ---- *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330·510~511쪽. *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1991. * 황병성, 『고려무인정권기연구』, 신서원, 1998, 285쪽. *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 국학자료원, 1999, 326~327쪽.
[11] 문서 소군(小君)이란 고려시대 어머니가 궁인이거나 혹은 국왕의 사랑을 받은 첩에서 태어난 왕자들을 출가시켜 승려로 삼은 왕의 서자들을 말한다. 고려사회에서는 이들의 어머니가 천민 출신이기 때문에 승려가 될 수 없었으나, 이들의 정치참여를 제도적으로 막기 위해 출가시켰다. ---- *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330·510~511쪽. *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1991. * 황병성, 『고려무인정권기연구』, 신서원, 1998, 285쪽. *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 국학자료원, 1999, 326~327쪽.
[12] 문서 소군(小君)이란 고려시대 어머니가 궁인이거나 혹은 국왕의 사랑을 받은 첩에서 태어난 왕자들을 출가시켜 승려로 삼은 왕의 서자들을 말한다. 고려사회에서는 이들의 어머니가 천민 출신이기 때문에 승려가 될 수 없었으나, 이들의 정치참여를 제도적으로 막기 위해 출가시켰다. ---- *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330·510~511쪽. *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1991. * 황병성, 『고려무인정권기연구』, 신서원, 1998, 285쪽. *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 국학자료원, 1999, 326~327쪽.
[13] 문서 [[고려 인종|인종]]의 4녀 [[영화궁주]]의 아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