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야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야먼은 12세기 후반 또는 13세기 초에 활동한 잉글랜드의 사제로, 자신의 시에서 우스터셔 주의 아를리 킹스에 거주했다고 묘사했다. 그는 중세 영어 시 《브루트》를 편집 및 재구성했으며, 이 작품은 영국의 신화적 기원인 브루투스를 다루고 있다. 《브루트》는 16,095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앵글로-노르만어로 쓰인 와스의 《브루트 로망》을 기반으로 하고, 몬머스의 제프리의 《브리타니아 열왕사》에서 영감을 받았다. 라야먼은 멀린의 탄생, 원탁의 기원, 아서 왕의 아발론행과 같은 내용을 추가했다. 그의 작품은 잉글랜드 중세 역사 저술과 아서 왕 전설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후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세기 기독교 성직자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미하일 4세
11세기에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였던 미하일 4세는 1034년부터 1041년까지 총대주교로 재임하며 동로마 제국 시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중요한 시기를 대표하는 종교 지도자였다. - 12세기 로마 가톨릭 신부 - 위그 드 생빅토르
위그 드 생빅토르는 12세기 파리 생 빅토르 수도원의 신학자이자 철학자, 작가로서 스콜라 철학 형성에 기여했으며, 신학, 신비주의,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저술을 남기고 철학과 신학의 조화를 추구하며 후대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잉글랜드의 로마 가톨릭 신부 - 존 볼 (사제)
존 볼은 14세기 잉글랜드의 사제이자 급진적인 설교가로, 존 위클리프의 영향을 받아 사회적 평등을 주장하며 떠돌이 설교자로 활동했고, 와트 타일러의 난 당시 설교로 유명했으며, 반란 후 처형되어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 잉글랜드의 로마 가톨릭 신부 - 몬머스의 제프리
몬머스의 제프리는 아서 왕 전설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한 중세 작가이자 성직자이며, 《브리타니아 열왕사》, 《멀린의 예언》, 《멀린의 생애》 등의 작품을 남겼다.
| 라야먼 | |
|---|---|
| 기본 정보 | |
![]() | |
| 직업 | 시인 |
| 국적 | 영국 |
| 생애 | |
| 출생 | 12세기 말 |
| 사망 | 13세기 초 |
| 활동 시기 | 12세기 말 ~ 13세기 초 |
| 출생지 | 에얼리 근처의 래들로 |
| 거주지 | 에얼리, 우스터셔 |
| 작품 | |
| 주요 작품 | 브루트 연대기 |
2. 생애와 영향
라야먼은 자신의 시에서 우스터셔 주 아를리 킹스에 사는 사제라고 자신을 소개한다. 그의 시는 잉글랜드의 중세 역사 저술과 아서 왕 전설의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2], 이후 토머스 맬러리 경과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를 포함한 여러 후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브루트'''(''Brut'', ca. 1190)는 라야먼이 쓴 대표적인 중세 영어 서사시이다. 이 작품은 영국의 신화적 역사를 서술하며, 특히 아서 왕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내용을 비중 있게 다룬다. 자세한 내용은 라야먼의 브루트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브루트 (Brut)
3. 1. 내용
라야먼의 주요 작품은 ''브루트''(Brut)로, 대략 1190년경에 편집되고 재구성된 중세 영어 시이다. 이 시의 제목은 영국의 신화적 창시자로 여겨지는 트로이의 브루투스의 이름에서 따왔다. ''브루트''는 13세기 초에 작성된 코튼 칼리굴라 A.ix 필사본과 그보다 약 50년 뒤에 작성된 더 짧은 판본인 코튼 오토 C.xiii 필사본에 기록되어 있으며, 두 필사본 모두 현재 대영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총 16,095행으로 이루어진 ''브루트''는 영국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주로 앵글로-노르만어로 쓰인 와스의 ''브루트 로망''을 기반으로 하며, ''브루트 로망''은 다시 몬머스의 제프리가 쓴 ''브리타니아 열왕사''에서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라야먼의 ''브루트''는 이 두 작품보다 분량이 더 길며, 특히 아서 왕의 생애와 업적에 관한 내용이 크게 확장되었다. 라야먼이 새롭게 추가한 내용으로는 멀린의 탄생 이야기, 원탁의 기원에 대한 설명 중 하나,[3] 그리고 아서 왕이 요정 여왕에게 치료받기 위해 배를 타고 아발론으로 떠나는 장면 등이 있다.[4]
작품의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고대 영어 시의 전통인 두운시 기법과 함께, 와스의 ''브루트 로망''에서 영향을 받은 운율 기법이 결합되어 사용되었다. 이러한 운율은 후기 중세 영어 시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특징이다.
3. 2. 판본
라야먼의 대표작인 ''브루트''(''Brut'', ca. 1190)는 중세 영어로 쓰인 16,095행의 서사시이다. 이 작품은 주로 앵글로-노르만어로 쓰인 와스의 ''브루트 로망''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다시 몬머스의 제프리의 ''브리타니아 열왕사''에서 영감을 받았다. ''브루트''는 영국의 신화적 창시자인 트로이의 브루투스부터 시작하여 영국의 역사를 서술하며, 특히 아서 왕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부분이 확장되어 원탁의 기원 중 하나[3]나 아서 왕이 아발론으로 떠나는 이야기[4] 등 새로운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브루트''는 현재 두 개의 주요 필사본으로 전해진다.
두 필사본 모두 현재 대영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현대에 와서는 G. L. Brook와 R. F. Leslie가 두 필사본을 비교하여 편집한 판본(London/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63 & 1978)이 출판되었다. 또한, 코튼 칼리굴라 A.ix 판본은 인터넷 상에서 열람할 수 있다.
3. 3. 문체
라야먼의 대표작 ''브루트''는 고대 영어 시의 전통을 잇는 두운시 형식과, 프랑스어 문학, 특히 와스의 ''브루트 로망''에서 영향을 받은 운율을 결합하여 사용한 점이 특징이다. 이는 당시 중세 영어 문학에서 나타나는 과도기적 양상을 보여준다.
4. 이름 표기
인쇄술이 보급된 이후 편집자나 목록 작성자들은 그의 이름을 "Layamon", "Lazamon", 또는 "Lawman" 등 다양하게 표기했다. 브라운 대학교는 "Layamon"이라는 표기가 어원적으로 정확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브라운 대학교에서 열린 제5회 라야먼의 브루트 Laȝamon'sang 국제 학술 회의에서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BL MS 코튼 칼리굴라 A.ix에는 'Laȝamonang'(세 번째 문자는 '요그'라고 불림)으로 표기되어 있다. BL MS 코튼 오토 C.xiii에는 'Laweman'과 'Loweman'으로 표기되어 있다."[5]
참조
[1]
서적
The Road to Middle-Earth
1992
[2]
서적
The Cambridge Guide to Literature in English
1995
[3]
서적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VI
Cambridge
1929
[4]
서적
The Fall of Arthur
2015
[5]
웹사이트
program Medieval Studies Department, Brown University
http://www.brown.edu[...]
2006-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