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이히트트락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히트트락터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군사 개발이 제한된 독일이 비밀리에 개발한 콩 전차(경전차)로,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개발되었다. "트랙터"라는 암호명으로 개발되었으며, 라인메탈과 크루프가 시제차를 제작했다. 소련과의 협력 하에 카잔의 카마 전차 학교에서 시험을 거쳤으나, 구조적 문제로 실전에는 투입되지 못했다. 훈련용 전차로 사용되다가, 이후 1호 전차 개발에 영향을 미쳤으며, 온라인 게임 월드 오브 탱크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전차 - 레오파르트 1
    레오파르트 1은 서독에서 개발되어 높은 기동성을 특징으로 하며 105mm 주포를 장착한 주력전차로, NATO 회원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고, 현재는 일부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되었다.
  • 독일의 전차 - 레오파르트 2
    레오파르트 2는 1970년대 서독에서 개발된 주력 전차로, 여러 개량형이 개발되었으며, 1979년 실전 배치되어 유럽 표준 전차로 자리 잡았고, 2022년 우크라이나에 지원되어 실전에 투입되었다.
  • 전간기의 전차 - L3/33
    L3/33은 이탈리아 육군이 운용한 경전차로, 영국 카덴로이드 豆戦車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확장된 전투실과 해치를 갖춘 2인승 豆戦車로, 다양한 파생형과 함께 2,000대 이상 생산되었다.
  • 전간기의 전차 - 1호 전차
    1호 전차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에서 개발된 경전차로, 정찰 및 보병 지원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독일 전차 부대 훈련용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며, 스페인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사용되다가 장갑과 화력 부족으로 훈련용 또는 파생형으로 개조되었다.
  • 무기에 관한 - 지대공 미사일
    지대공 미사일은 지상에서 발사되어 항공기나 미사일을 요격하는 미사일로, 냉전 시대를 거치며 장거리 요격에 주력하여 개발되었고, 현대에는 소형화, 기동성 향상, 탄도 미사일 요격 능력까지 갖추며 사거리와 운용 목적에 따라 고고도·중고도, 단거리, 근거리 방공 미사일 등으로 분류된다.
  • 무기에 관한 - 탄도 미사일
    탄도 미사일은 로켓 기술을 기반으로 장거리 비행을 통해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사거리, 발사 플랫폼, 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며 핵무기 탑재를 통해 전략적 억제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라이히트트락터
개요
라인메탈사 제작 라이히트트락터 측면도
라인메탈사 제작 라이히트트락터 측면도
유형경전차
개발 국가바이마르 공화국 / 나치 독일
사용 국가바이마르 공화국군 / 독일 국방군
실전 투입없음 (훈련용으로만 사용)
생산
설계 시기1929년~1933년
제작사크루프, 라인메탈
생산 년도1930년
생산 대수4대
제원
승무원4명 (차장 겸 장전수, 포수, 조종수, 무전수)
중량크루프: 8.7톤 / 라인메탈: 8.96톤
전장크루프: 4.35m / 라인메탈: 4.21m
전폭크루프: 2.37m / 라인메탈: 2.26m
전고크루프: 2.35m / 라인메탈: 2.27m
장갑크루프: 전면 상부 14mm, 전면 하부 19mm, 측면 8+6mm, 후면 14mm, 하부 5mm, 보닛 6mm, 포탑 전면 경사면 5mm, 포탑 측면 14mm, 포탑 후면 14mm, 포탑 상부 5mm, 큐폴라 14mm. 포탑은 전체적으로 14mm로 보임. / 라인메탈: 전면 14mm
무장
주무장3.7 cm KwK L/45
부무장7.92×57mm 마우저 드라이제 기관총, 천 벨트 드럼 탄창 (100발)
기동
엔진다임러-벤츠 M36 6기통 액체 냉각 가솔린 엔진
마력100마력
현가 장치크루프: 코일 스프링 / 라인메탈: 판 스프링
항속 거리137km (도로)
최고 속도30km/h (도로)

2. 개발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군비 개발, 특히 전차와 같은 공격용 무기 개발이 엄격히 제한되었다.[2] 그러나 독일 군부는 이러한 제약을 회피하고자 "트랙토어"(Traktor|트락토어de, 농업용 트랙터)라는 위장 명칭 아래 비밀리에 장갑 군용 차량 및 화포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라이히트트락터(Leichttraktor|라이히트트락토어de, 경 트랙터)는 이러한 비밀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된 실험용 전차였다.

독일은 이전에 A7V라는 단 하나의 공식 전차만을 제작한 경험이 있었기에, 새로운 전차 설계 및 제작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했다. 라이히트트락터 설계는 비록 실전에 투입되지는 않았지만, 이후 1호 전차 개발로 이어지는 중요한 기술적 경험과 직관을 제공했다.[4]

전차 개발 및 시험을 위해 독일은 1922년 소련과 체결한 라팔로 조약을 활용했다. 이 조약을 통해 독일은 소련 영토 내에서 비밀리에 군사 기술을 개발하고 시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1926년부터 1933년까지 소련 카잔 근교에 카마 전차 학교(Panzertruppenschule Kama|판처트루펜슐레 카마de)라는 암호명을 가진 시험 시설이 운영되었으며, 이곳은 붉은 군대와 바이마르 공화국 군의 공동 시험장이자 전차 훈련장으로 사용되었다. "카마"라는 이름은 시험장이 위치한 '카잔'과 부지 선정을 담당한 '말브란트'(Malbrandt) 중령의 이름 앞 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

라이히트트락터 개발 계획은 1928년경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영국에서 개발된 카든 로이드 Mk.VI 콩 전차는 세계 각국의 경전차 및 콩 전차 개발에 영향을 미쳤으며, 독일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새로운 경전차 개발에 착수했다. 그로스 트랙토어(Grosstraktor|그로스트락토어de, 대형 트랙터) 개발 계획 이후 약 2년 뒤인 1928년 3월경, 자동차 병기 감부의 요청에 따라 육군 병기국 제6과(대표: 하인리히 에른스트 크니프캄프)는 크루프사에 "VK.31"이라는 계획명으로 시제 콩 전차 개발을 의뢰했다. VK는 "Versuchs-konstruktion|페어주흐스콘스트룩치온de"(시제 설계)의 약자로 추정된다.

초기 암호명은 "클라이네 트랙토어"(Kleinetraktor|클라이네트락토어de, 소형 트랙터)였으나, 1928년 5월 26일 육군 병기국 제6과와 크루프사 간의 회의를 통해 "라이히트 트랙토어"(Leichttraktor|라이히트트락토어de, 경 트랙터)로 변경되었다. "클라이네 트랙토어"라는 명칭은 이후 1호 전차로 이어지는 별도의 3톤급 콩 전차 개발 계획에 사용되었다. 초기 "클라이네 트랙토어" 구상은 60마력 엔진, 최고 속도 40km/h, 승무원 2명(차장 겸 기총수, 조종수)의 콩 전차였으며, 전차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포병 트랙터로서 3.7 cm Tak이나 7.7cm FK 96 nA 포를 견인하는 다목적 차량으로 계획되었다. 1928년 4월 17일 승인된 초기 계획에 따르면, 1929년 10월까지 첫 시제차를 완성하고 1930년에 시험을 거쳐, 대당 50,000 라이히스마르크의 비용으로 17대(1개 경전차 중대 규모)를 제조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군의 요구 사항이 점차 증가하면서 계획은 수정되었다. 1928년 5월 26일에 승인된 새로운 사양은 중량 6ton, 노상 최고 속도 40km/h, 노외 최고 속도 20km/h, 최대 장갑 두께 14mm로 상향 조정되었다. 주포로는 라인메탈사제 3.7 cm TaK와 연막탄 발사기, 무전기를 장비하고 포수가 추가되어 승무원은 3명(차장 겸 장전수, 포수, 조종수)으로 늘어났다. 1928년 6월 초에는 최종 사양이 거의 확정되어 엔진이 전면에 배치되고 조종수 옆에 무전수가 추가되어 승무원은 4명이 되었다.

개발에는 크루프사 외에 라인메탈사와 다임러-벤츠사도 참여했으나, 다임러-벤츠는 곧 개발에서 철수했고, 크루프와 라인메탈이 공동으로 시제차 개발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1928년 10월, 두 회사는 각각 시제 차량 2대를 제작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시제차 개발 단계로 진입했다.[5][6][7][8][9][10][11][12][13]

3. 개발 과정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군비 개발이 제한되었던 독일은 "트랙터"라는 암호명 아래 비밀리에 군용 차량 개발을 진행했다. 그로스 트랙토어 개발 계획 이후 2년 뒤인 1928년, 영국 카든 로이드 Mk.VI 콩 전차의 등장에 영향을 받아 독일 육군 병기국 제6과는 크루프사에 "VK.31"이라는 계획명으로 시제 콩 전차 개발을 의뢰했다.[5] VK는 'Versuchs-konstruktion'의 약자이다.

초기에는 "클라이네 트랙토어(de, 소형 트랙터)"라는 암호명으로 불렸으나, 1928년 5월 26일 육군 병기국 제6과와 크루프사 간의 회의를 통해 "라이히트트락토어(de, 경 트랙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6] 이 과정에서 군의 요구 사양이 변경되어 초기 2인승 콩 전차 계획(클라이네 트랙토어)은 이후 1호 전차 개발로 이어졌고, 라이히트트락토어는 6톤급 4인승 경전차로 개발 방향이 수정되었다.[7]

개발에는 크루프사 외에 라인메탈사와 다임러-벤츠사도 참여했으나, 다임러-벤츠사는 1928년 7월 개발에서 철수했다. 이후 크루프사와 라인메탈사는 공동 개발에 합의하고, 1928년 10월 각각 시제 차량 2대씩을 제작하는 계약을 체결했다.[8] 이에 따라 1930년 봄, 크루프사(차량 번호 Nr.37, Nr.38)와 라인메탈사(차량 번호 Nr.39, Nr.40)는 각각 2대의 시제 차량을 완성했다.[9]

3. 1. 기술적 특징

라이히트트락터는 엔진을 차체 전면에 배치하고 포탑은 후면의 전투실 위에 두는, 이른바 프론트 엔진, 리어 드라이브 방식을 채택했다. 이는 영국의 비커스 중형전차 Mk.I/II의 영향을 받은 설계로 여겨지며, 미국의 T1 경전차의 영향 가능성도 제기된다.[2] 라인메탈크루프가 각각 시제 차량을 제작했는데, 두 회사의 차량은 주로 하부 구조에서 차이를 보였다. 크루프 모델은 코일 스프링 서스펜션을 사용한 반면, 라인메탈 모델은 판 스프링 서스펜션을 적용했다.[2] 라인메탈 차량은 6개의 연성 현가 방식 2륜 보기륜을 갖추었고, 크루프 차량의 최종 개수형은 코일 스프링 서스펜션의 2중 보기륜을 한쪽에 7개씩 장착하고 그 앞뒤에 유동륜과 기동륜을 배치했다.

초기에는 르노 FT-17 경전차의 영향을 받아 강철 심을 넣은 고무제 궤도를 사용했으나, 이는 실용성이 떨어져 이후 일반적인 금속제 궤도로 변경되었다. 시제 차량의 차체는 연강판으로 제작되었으며, 정면과 측면 장갑 두께는 14mm로 소총 철갑탄 정도를 방호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차체 후면에는 양쪽 차량 모두 대형 승하차용 문이 설치되었다.

포탑은 크루프가 설계하고 라인메탈이 제조했으며, 무장으로는 3.7 cm KwK 36 L/45 반자동식 전차포 1문과 드라이제 7.92 mm 수냉식 중기관총 1정을 탑재했다. 주포탄은 150발, 기관총탄은 3,000발을 적재할 수 있었다. 탑재된 기관총은 오랫동안 드라이제 MG13 기관총으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MG08/15용 100발들이 드럼 탄창과 천 벨트 급탄 방식을 사용하는 수냉식 드라이제 중기관총(라인메탈 제작)이었다. 이는 루이스 슈마이저가 개발한 기관총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엔진은 당초 60마력으로 계획되었으나 기동력 부족으로 100마력으로 변경되었고, 요구 최고 속도 역시 시속 40 km/h에서 35 km/h로 하향 조정되었다. 최종적으로 모든 시제 차량에는 다임러 벤츠의 6기통 M36 100마력 트럭용 액랭식 엔진이 탑재되었다. 연료로는 가솔린 150L를 탑재하여 최대 140km를 주행할 수 있었으며, 변속 장치는 ZF 프리드리히스하펜에서 제작한 것을 사용했다. 또한, 작은 차체에도 불구하고 무전기를 탑재하여 차체 측면에서 후면 포탑 주위를 두르는 프레임 안테나를 갖추고 있었다. 이는 개발 초기부터 무선을 통한 부대 지휘 및 통제를 염두에 두었음을 시사한다. 6톤급 경전차로 개발 방향이 변경된 것은 동시대 영국의 비커스 6톤 전차를 의식했을 가능성이 있다.

3. 2. 시험 및 운용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으로 군비 개발이 제한된 독일은 "트랙터"라는 암호명 아래 비밀리에 군용 차량 개발을 진행했다. 라이히트트락터 역시 이러한 배경 속에서 개발된 실험용 전차였다.[2]

독일은 1922년 소련과 체결한 라팔로 조약에 따라 소련 영토 내에서 라이히트트락터의 시험을 진행했다. 시험은 1926년부터 1933년까지 카잔 근교에 위치한 카마 전차 학교에서 이루어졌다. 이곳은 붉은 군대와 바이마르 공화국 군(이후 국방군)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시험장이자 전차 훈련 시설이었다.[3][14] "카마"라는 암호명은 시험장이 카잔(Kazan) 근처에 있었고, 부지 선정을 담당했던 말브란트(Malbrandt) 중령의 이름 앞 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

1930년 여름, 크루프라인메탈이 각각 제작한 시제차 4대가 카마 전차 학교로 옮겨져 소련군과 공동으로 시험 주행을 실시했다. 시험 자체는 비교적 성공적으로 평가되었으나, 구조적인 결함이 발견되어 실전 투입에는 부적합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14]

1931년에는 289대의 라이히트트락터 생산이 발주되기도 했으나, 구동 방식 변경 등 개발 방침이 수정되면서 이 주문은 곧 취소되었다.[2][14] 당시 소련 역시 비커스 6톤 전차를 기반으로 한 T-26이나 크리스티식 급속 전차를 기반으로 한 BT 등 더 발전된 전차의 도입 및 생산을 추진하고 있었기에, 상대적으로 구형이 된 라이히트트락터에 대한 관심은 줄어든 상태였다.[14]

1933년, 독일에서 나치 정권이 들어서면서 소련과의 군사 협력은 종료되었고, 카마에 있던 시제차 4대는 모두 독일로 반환되었다. 독일로 돌아온 라이히트트락터는 실전에 투입되지는 못했지만, 새롭게 창설된 독일 기갑 부대에서 수년간 훈련용 전차로 사용되었다.[4][14] 일부 차량은 포탑과 전투실을 제거하고 순수 훈련용으로 개조되기도 했으며,[14]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초기인 1939년까지도 훈련 목적으로 운용되었다.[4] 이후 최소 1대의 크루프사 시제 차량이 푸틀로스 훈련장(:de:Truppenübungsplatz Putlos)에 기념비로 전시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5] 비록 실전 경험은 없었지만, 라이히트트락터의 개발 및 시험 과정은 독일이 A7V 이후 본격적인 전차 설계 및 운용 경험을 쌓는 데 기여했으며, 이는 이후 1호 전차 개발의 밑거름이 되었다.[4]

4. 파생형

라이히트트락터에는 라인메탈사에서 개발한 자주포 파생형인 Rheinmetall Leichttraktor Selbstfahrlafette|라인메탈 라이히트트락토어 젤프스트파르라페테de (Rh L.Tr. Sfl.)가 존재한다. 이 차량은 기존 라이히트트락터를 기반으로 포탑 등을 변경하여 제작되었다.

4. 1. 라인메탈 라이히트트락토어 젤프스트파르라페테 (Rh L.Tr. Sfl.)

1930년 10월, 라인메탈사(Rheinmetall)는 세 번째 차량으로 라인메탈 라이히트트락토어(Rh L.Tr.)의 파생형인 Rheinmetall Leichttraktor Selbstfahrlafette|라인메탈 라이히트트락토어 젤프스트파르라페테de (Rh L.Tr. Sfl.)를 제작했다. Selbstfahrlafette|젤프스트파르라페테de는 독일어로 자주포를 의미한다.

이 차량은 기존 Rh L.Tr.와 거의 유사했지만, 포탑이 더 작아졌고 포탑 천판 위의 잠망경 시찰 장치는 제거되었다. 차체 전면에는 큰 에어 인테이크가 추가되어 냉각 성능은 개선되었지만, 피탄에 대한 방어력은 약해졌다. 또한, 무선수와 무전기가 제거되어 승무원은 3명으로 줄었다.

Rh L.Tr. Sfl.은 독일을 벗어나지 않고 쿰머스도르프 시험장에서 시험 주행을 실시했다.[18][19] 그러나 시험 결과, 자주포로서는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이후 서스펜션 실험 차량으로 용도가 변경되었다. 이 과정에서 서스펜션뿐만 아니라 궤도, 기동륜, 유도륜도 교체되었다.[20]

5. 의의 및 영향

라이히트트락토어는 카마 전차 학교에서의 시험 결과, 구조적으로 전투에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14] 1931년에는 289대의 생산 발주가 있었으나 개발 방침 변경으로 취소되었고,[14] 비슷한 시기 소련이 T-26이나 BT 전차 같은 더 진보된 전차 개발에 집중하면서 라이히트트락토어에 대한 관심도 줄어들었다.[14]

실제 전투에는 투입되지 못했지만, 라이히트트락토어 개발 경험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A7V 외에는 전차 개발 경험이 거의 없던 독일에 중요한 기술 축적의 기회를 제공했다.[4] 특히 이 설계 경험은 이후 1호 전차 개발의 바탕이 되어,[4] 초기 독일 기갑 전력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독일로 반환된 시제 차량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초기까지 신설된 독일 전차 부대의 훈련용 전차로 사용되었다.[14]

6. 대중 매체

온라인 게임월드 오브 탱크에서는 독일 경전차라이히트트락터로 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Original Leichttraktor manual http://tanks.mod16.o[...] 2019-07-09
[2] 웹사이트 The German Leichttraktor VK-31 Light Tank http://tanknutdave.c[...] TankNutDave.com 2020-03-23
[3] 문서 White p48
[4] 서적 Tank, Kenneth Macksey, John H. Batchelor, 1971 https://books.google[...]
[5] 웹사이트 https://3.bp.blogspo[...]
[6] 웹사이트 https://2.bp.blogspo[...]
[7] 웹사이트 https://2.bp.blogspo[...]
[8] 웹사이트 https://2.bp.blogspo[...]
[9] 웹사이트 https://3.bp.blogspo[...]
[10] 웹사이트 https://3.bp.blogspo[...]
[11] 웹사이트 https://2.bp.blogspo[...]
[12] 웹사이트 https://4.bp.blogspo[...]
[13] 웹사이트 https://4.bp.blogspo[...]
[14] 웹사이트 https://4.bp.blogspo[...]
[15] 웹사이트 https://3.bp.blogspo[...]
[16] 웹사이트 https://1.bp.blogspo[...]
[17] 웹사이트 http://img-cdn.jg.ju[...]
[18] 웹사이트 https://2.bp.blogspo[...]
[19] 웹사이트 https://2.bp.blogspo[...]
[20] 웹사이트 https://2.bp.blogsp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