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칸돈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칸돈어는 마야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음운론적으로는 다양한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방언에 따라 음운 변화가 나타난다. 문법적으로는 교착어이며, 능격 언어의 특징을 보이며, 1인칭 복수 형태와 어순에 특이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멕시코의 언어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모판어
    모판어는 과테말라 페텐 주 일부와 벨리즈 남부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유카테코어군과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라틴 문자로 표기되며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싱카어족
    싱카어족은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여러 언어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마야어족 및 믹스-소케어족과의 언어적 접촉 흔적을 보였으나 현재는 모든 언어가 사멸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미헤소케어족
    미헤소케어어족은 메소아메리카의 언어족으로, 올멕 및 테오티와칸 문명과의 연관성 주장이 있지만 고고학적 자료 부족으로 논쟁 중이며, 미헤어파와 소케어파로 나뉘고, 복잡한 동사 형태론과 단순한 명사 형태론, 능격-절대격 정렬을 특징으로 한다.
라칸돈어
기본 정보
언어 이름라칸돈어
자칭 이름Jach-tʼaan
사용 국가멕시코
사용 지역치아파스주
사용자라칸돈족
사용자 수 (2020년)771명
사용자 수 (2015년)600명
사용자 수 (2000년)563명
언어학적 분류
어족마야어족
어파유카텍어파
하위 분류유카텍-라칸돈
언어 코드
ISO 639-3lac
Glottologlaca1243
기타
소멸 위기 정도취약 (vulnerable)

2. 음운론

라칸돈어의 표준 음소는 자음과 모음 체계로 구성되며, 특정 강세 규칙을 따른다.

2. 1. 자음

라칸돈어는 다음과 같은 자음을 가진다[6][7] (라틴 문자는 ALMG 방식을 따른다).



l은 북부 방언에서는 부분적으로, 남부 방언에서는 완전히 r로 변화했다[8].

2. 2. 모음

모음은 단모음 a, e, i, o, u와 장모음 aa, ee, ii, oo, uu가 있다. 이 외에 11번째 모음으로 짧은 중설모음 ä(ə)가 존재하며, 이는 모판어이차어와 유사한 모음 체계이다.

북부 방언에서는 원래의 장모음 대부분이 단모음 a, e, i, o, u로 변화하였다. 또한 북부와 남부 방언 모두에서 원래 짧은 a는 ä로, 짧은 o는 a로 변화하는 현상이 나타났다[9].

남부 방언에서는 짧은 e와 o가 a로 합쳐지는 경향을 보인다[10].

남부 방언의 일부 지역에서는 유카텍어처럼 장모음에 성조의 구별이 나타난다. 하지만 라칸하(Lacanjá) 지역에서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성조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10].

2. 3. 강세

강세는 일반적으로 어근의 처음 또는 두 번째 음절에 놓인다[11].

3. 문법

라칸돈어는 마야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단어에 여러 접사를 붙여 의미를 확장하는 교착어의 특징을 가진다[12]. 또한, 많은 마야어처럼 능격 언어이며[13], 기본적인 문장 구조는 VOS형 어순을 따른다[16].

3. 1. 인칭 접사

라칸돈어는 다른 마야어와 마찬가지로 교착어에 속하며, 단어 형성을 위해 많은 접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남부 방언에서 "너는 나를 본다"는 k-aw-ir-ik-(e)en으로 표현된다. 이 문장에서 'k-'와 '-ik'는 타동사의 불완료상을 나타내는 접사이고, 'a(w)-'는 2인칭 단수 주어(A형)를, 동사 어근 'ir'은 "보다"를 의미하며, '-(e)en'은 1인칭 단수 목적어(B형)를 나타내는 접사이다. 만약 완료상으로 바꾸면 'k-'와 '-ik' 대신 't-'와 '-aj'를 사용하여 t-aw-ir-aj-(e)en("너는 나를 봤다")가 된다[12]

다른 마야어족 언어들처럼 라칸돈어는 능격 언어이다. 이는 인칭 접사가 A형(능격)과 B형(절대격)으로 나뉜다는 것을 의미한다[13]。 또한, 다른 유카테코어군 언어들과 같이 상에 따라 인칭 접사 사용 규칙이 달라지는 분열 능격성을 보인다. 완료상에서는 A형 접사가 타동사의 주어(A)를 표시하고, B형 접사가 타동사의 목적어(O)와 자동사의 주어(S)를 표시한다. 반면, 불완료상에서는 A형 접사가 자동사의 주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14]

1인칭 복수 인칭 대명사에는 듣는 사람을 포함하는 포괄형과 포함하지 않는 제외형이 구별된다. 특히 제외형의 경우, 남부 방언에서는 '-oʼbʼ'가 붙는 형태와 붙지 않는 형태 두 가지가 존재하는데, 이 중 하나는 1인칭과 2인칭만을 포함하는 이중(dual) 형태를 나타낸다는 설도 있다[13][15]

문장의 기본적인 어순은 동사-목적어-주어 순서인 VOS형이다[16]。 하지만 강조하고자 하는 초점 요소를 문장의 맨 앞, 즉 동사 앞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17]

3. 2. 어순

라칸돈어의 기본적인 어순은 동사-목적어-주어(VOS형)이다[16]。 그러나 초점을 맞추려는 특정 요소를 문장 맨 앞, 즉 동사 앞에 놓을 수도 있다[17]

라칸돈어는 다른 마야어족 언어들처럼 능격 언어이며, 인칭을 나타내는 접사가 A형(능격)과 B형(절대격)으로 나뉜다[13]。 또한 상에 따라 분열 능격성을 보이는데, 완료상에서는 A형 접사가 타동사의 주어를, B형 접사가 타동사의 목적어와 자동사의 주어를 나타낸다. 반면 불완료상에서는 A형 접사가 자동사의 주어를 표시한다[14]

1인칭 복수 표현에는 듣는 사람을 포함하는 포괄형과 포함하지 않는 제외형이 구분된다. 제외형의 경우, 남부 방언에서는 '-oʼbʼ'이 붙는 형태와 붙지 않는 형태 두 가지가 존재하며, 이 중 하나는 이중(1인칭과 2인칭)을 나타낸다는 설도 있다[13][15]

언어 구조적으로는 교착어에 속하여 단어에 여러 접사를 붙여 의미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남부 방언에서 '너는 나를 본다'는 ''k-aw-ir-ik-(e)en''으로 표현되는데, 여기서 k-와 -ik는 타동사의 불완료상을, a(w)-는 2인칭 단수 주어를, ir은 동사 어근 '보다'를, -(e)en은 1인칭 단수 목적어를 나타내는 접사이다. 완료상으로 바꾸면 k-와 -ik가 t-와 -aj로 바뀌어 '너는 나를 봤다'는 ''t-aw-ir-aj-(e)en''이 된다[12]

3. 3. 1인칭 복수

라칸돈어의 1인칭 복수 표현에는 듣는 사람을 포함하는 포괄형과 포함하지 않는 제외형의 구분이 있다. 특히 제외형의 경우, 남부 방언에서는 '-oʼbʼ'라는 형태소가 붙는 형태와 붙지 않는 형태, 이렇게 두 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이 중 한 형태는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즉 1인칭과 2인칭만을 가리키는 '이중(dual)'의 의미를 가진다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13][15]

참조

[1] 웹사이트 Catálogo de las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Variantes lingüísticas de México con sus autodenominaciones y referencias geoestadísticas - lacandón https://web.archive.[...] 2009-06-22
[2] 간행물 Lacandón http://www.unesco.or[...]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3] 문서 Hofling (2017) p.685
[4] 간행물 Language http://web.uvic.ca/l[...] Lacandon Cultural Heritage, University of Victoria
[5] 문서 Hofling (2017) p.753
[6] 간행물 Phonology and Phonetics http://web.uvic.ca/l[...] Lacandon Cultural Heritage, University of Victoria
[7] 문서 Hofling (2017) p.686
[8] 문서 Hofling (2017) p.691, 754注3
[9] 문서 Hofling (2017) pp.687-688
[10] 문서 Hofling (2017) p.687
[11] 문서 Hofling (2017) pp.688-689
[12] 문서 Hofling (2017) p.710
[13] 문서 Hofling (2017) p.691
[14] 문서 Hofling (2017) pp.722-724
[15] 문서 Hofling (2017) pp.692-693 には南部方言で二人称にも包括形と除外形があるように書かれているが、ほかの資料に見えない。
[16] 문서 八杉(1992) pp.120-122
[17] 문서 Hofling (2017) pp.733-735
[18] 에스놀로그 Lacandon https://www.ethnolog[...] 2016
[19] 웹인용 Catálogo de las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Variantes lingüísticas de México con sus autodenominaciones y referencias geoestadísticas - lacandón http://www.inali.gob[...] 2009-06-22
[20] 문서 México: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http://site.inali.go[...] INALI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