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모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모음은 접근음의 하위 분류로, 모음과 유사한 음성을 가지지만 음절성을 가지지 않는 소리이다.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반모음은 비음절 모음 기호에 역 브레베(◌̯)를 붙여 표시하며, 네 개의 반모음 전용 기호(j, ɥ, ɰ, w)가 있다. 반모음은 모음보다 짧게 발음되며, 언어에 따라 모음과 음운론적으로 동일하게 취급되기도 한다. 한국어에서는 이중 모음의 첫소리(ㅑ, ㅕ, ㅛ, ㅠ, ㅖ, ㅒ, ㅢ, ㅘ, ㅝ, ㅙ, ㅞ)에서 나타나며, 일본어에서는 야행 및 와행으로 50음도에 정의되어 있다. 반모음은 마찰음과 대조되기도 하며, 스페인어와 같은 언어에서는 마찰 접근음과 구별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음 방법 - 마찰음
마찰음은 조음 기관 내 좁은 통로에서 공기 흐름의 마찰로 발생하는 소리이며, 조음 위치와 성대 진동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지만, 일부는 실제 마찰 없이 발음되기도 하고, 언어별 분포가 다양하다. - 조음 방법 - 파열음
파열음은 조음 기관의 완전 폐쇄와 개방으로 만들어지는 자음으로, 학자에 따라 폐쇄음, 폭발음과 혼용되기도 하며, 국제 음성 기호에서 사용되고, 조음 위치, 성대 진동 유무 등에 따라 분류되며, 다양한 언어에서 그 존재와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 접근음 - 무성 경구개 설측 접근음
- 접근음 - 무성 연구개 설측 접근음
- 자음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자음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반모음 | |
---|---|
개요 | |
언어 유형 | 과도적 음성, 음절 경계 |
영어 명칭 | Semivowel (세미바울), glide (글라이드) |
한국어 명칭 | 반모음 (半母音) |
정의 | |
설명 | 모음과 유사하게 발음되지만 음절 경계 역할을 하는 과도적인 음성 |
특징 | |
조음 방식 | 접근음 |
국제 음성 기호 (IPA) | |
예시 |
2. 정의 및 분류
반모음은 접근음의 하위 분류를 형성한다. "반모음"과 "접근음"은 때때로 동의어로 취급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저자는 "반모음"이라는 용어를 더 제한적인 집합에 사용한다. 보편적으로 합의된 정의는 없으며, 세부 사항은 저자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래드포지드와 매디슨은 순치 접근음 를 반모음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국제 음성 기호에서 비음절 모음 문자에 부착되는 발음 구별 부호는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 아래에 배치되는 역 브레베()이다. 기호 아래에 역 브레베를 위한 공간이 없을 경우, ()를 사용하여 위에 쓸 수 있다. 1989년 이전에는 비음절성은 ()로 표시되었으며, 현재는 극단적인 단음을 나타낸다.
또한, 네 개의 좁은 설정 모음 소리에 해당하는 네 개의 반모음을 위한 전용 기호가 있다:
반모음(비음절) | 모음(음절) |
---|---|
(경구개 접근음) | (전설 비원순 고모음) |
(순구개 접근음) | (전설 원순 고모음) |
(연구개 접근음) | (후설 비원순 고모음) |
(순연구개 접근음) | (후설 원순 고모음) |
반모음은 정의상 음절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모음과 대조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모음보다 짧게 발음된다. 암하라어, 요루바어, 주니어와 같은 언어에서 반모음은 해당 모음보다 좁은 성도의 수축을 통해 생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모음은 음운론적으로 모음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 "fly"는 개음절로 이중 모음 fly|플라이영어로 끝나거나, 폐음절로 자음 fly|플라이영어로 끝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저자는 R-유사 자음 접근음 , 을 와 같은 R-착색 모음에 해당하는 반모음으로 간주한다. 비원순 중설 반모음 (또는 ), 와 동일한 것은 흔하지 않지만, 원순 (또는 ), 와 동일한 것은 스웨덴어와 노르웨이어에서 발견된다.
3. 모음과의 차이
언어에서 반모음과 동등한 모음을 포함하는 이중 모음을 대조하는 것은 드물지만, 루마니아어는 이중 모음 e̯a|에아ro와 지각적으로 유사한 접근음-모음 시퀀스 ja|야ro를 대조한다. 이중 모음은 단일 분절로 분석되고, 접근음-모음 시퀀스는 두 개의 별도 분절로 분석된다.
음운론적 정당화 외에도 (예: 이중 모음이 단수-복수 쌍에서 e|에ro와 교대하는 것), 이 쌍 사이에는 음성학적 차이점이 있다.
음운론적 유사성이 o̯a|오아ro와 wa|와ro 사이에 존재하지만, 두 음성적 대조의 생성 및 인지는 훨씬 약하다. 이는 wa|와ro의 어휘 부하가 더 낮기 때문이며, 이는 주로 프랑스어 차용어에 국한되고, 화자가 앞쪽 반모음에 비해 뒤쪽 둥근 반모음 간의 대조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4. 마찰음과의 차이
표준적인 정의에 따르면 반모음([IPA|[j]])은 마찰음([IPA|[ʝ]])과 대조되는데, 마찰음은 난류를 생성하지만 반모음은 그렇지 않다. 스페인어에 대해 논하면서 마르티네스 셀드란은 반모음과 마찰음 모두와 대조되는 세 번째 범주인 "마찰 접근음"을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마찰 접근음은 더 제약적이고(더 낮은 포먼트 진폭을 가짐), 더 길며, 둥글게 되도록 지정되지 않았지만(''viuda'' ˈbjuða|비우다es '과부' vs. ''ayuda'' aˈʝuða|아유다es '도움'), 분포의 중첩은 제한적이다. 마찰 접근음은 음절 시작 부분(단어 시작 부분을 포함하며, 반모음은 절대 나타나지 않음)에만 나타날 수 있다. 두 음소는 /l/es과 /n/es 뒤에서 분포가 겹친다: ''enyesar'' ẽɲɟʝeˈsaɾ|엔예사르es ('석고를 바르다') ''aniego'' ãˈnjeɣo|아니에고es ('홍수') 그리고 방언 및 개별어 차이가 있지만, 화자들은 'ab'''ye'''cto' ('비참한') vs. 'ab'''ie'''rto' ('열린')과 같은 다른 거의 최소 쌍을 보일 수도 있다. 잠재적인 최소 쌍(방언에 따라 다름)은 ''ya visto'' ʝaˈβisto|야 비스토es ('이미 봄') vs. ''y ha visto'' jaˈβisto|이 아 비스토es ('그리고 그가 보았다')이다.
다시 말하지만, 모든 방언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방언들은 두 음소를 합치거나 전자를 다른 조음 위치([IPA|[ʒ]])로 이동시켜 대조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다르며, 이는 리오플라텐세 스페인어에서 볼 수 있다.
5. 한국어의 반모음
한국어에서 반모음은 이중모음의 첫소리에서만 나타난다.
- 경구개 접근음 j|제이영어: 'ㅑ', 'ㅕ', 'ㅛ', 'ㅠ', 'ㅖ', 'ㅒ'의 자음.
- 양순 연구개 접근음 w|더블유영어: 'ㅘ', 'ㅝ', 'ㅙ', 'ㅞ'의 자음.
- 연구개 접근음 ɰ|으한국어: 'ㅢ'의 자음.
6. 일본어의 반모음
일본어에서는 반모음과 모음으로 구성된 모라에 독립된 문자가 주어져 있으며, 야행 및 와행으로 50음도에 정의되어 있다.
- 야행 자음 - 경구개 접근음 j|일본어
- 와행 자음 - 양순 접근음 β̞|일본어
7. 국제 음성 기호 (IPA)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비음절 모음 문자에 부착되는 발음 구별 부호는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 아래에 배치되는 역 브레베(◌̯)이다. 기호 아래에 역 브레베를 위한 공간이 없을 경우, ◌̑를 사용하여 위에 쓸 수 있다. 1989년 이전에는 비음절성은 ◌̆로 표시되었으며, 현재는 극단적인 단음을 나타낸다.
또한, 네 개의 좁은 설정 모음 소리에 해당하는 네 개의 반모음을 위한 전용 기호가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