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코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코닉은 효율성, 강조, 철학적 이유, 또는 풍자를 위해 사용되는 간결한 문구를 의미한다. 스파르타인들의 과묵하고 절제된 언어 사용에서 유래되었으며, 필리포스 2세와 스파르타의 일화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라코닉 유머는 스파르타인들의 건조하고 절제된 유머를 일컫는 말로, 아테네식 유머와 대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스파르타의 문화 - 크립테이아
크립테이아는 고대 스파르타에서 젊은이들이 헤일로타이를 감시하고 통제하기 위해 운영된 제도로, 기원과 역할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스파르타 사회의 어두운 면을 보여주는 상징으로 여겨진다. - 고대 스파르타의 문화 - 아고게
아고게는 고대 스파르타에서 국가가 주도한 엄격한 군사 훈련 제도로, 소년들이 공동 생활하며 혹독한 훈련을 통해 복종, 인내,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여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하는 스파르타 사회의 교육 시스템이었다. - 수사학 - 연설
연설은 대중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로, 정보 전달, 설득 등의 다양한 목적을 가지며, 고대부터 중요한 훈련 과목이었고 기술 발전에 따라 더 많은 청중에게 도달하며 연설 기법 훈련과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 수사학 - 구성
구성은 글의 주제와 목적에 맞게 재료를 엮어 글의 성격을 결정하며, 시간적, 공간적 순서에 따른 자연적 구성과 논리적 관계에 따른 논리적 구성으로 나뉜다.
라코닉 | |
---|---|
개요 | |
정의 | 간결하고 의미심장한 말이나 문구 |
어원 | 고대 그리스 라코니아 지방의 스파르타인들의 특징적인 화법에서 유래 |
특징 | |
간결성 | 불필요한 단어 사용을 자제하고 핵심 내용을 명확하게 전달 |
함축성 | 짧은 말 속에 깊은 의미를 담아 듣는 이의 상상력을 자극 |
재치 | 기발한 표현이나 비유를 통해 유머와 풍자를 드러냄 |
권위 | 간결하고 단호한 어조로 강한 인상을 남김 |
예시 | |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 다양한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을 의미 |
"돌아오거나, 방패를 싣고 돌아오라." (스파르타 어머니의 말) | 용감하게 싸워 승리하거나 전사하라는 숭고한 희생정신 강조 |
활용 | |
문학 | 인물의 성격을 드러내거나 주제를 강조하는 효과적인 수단 |
연설 | 청중의 주의를 집중시키고 메시지를 각인시키는 데 유용 |
일상생활 | 재치 있는 농담이나 짧은 조언을 통해 분위기를 전환하고 관계를 개선 |
추가 정보 | |
관련 개념 | 금언 격언 경구 아포리즘 |
2. 용도
라코닉한 문구는 효율성을 위해(군사 훈련 및 작전 중), 강조를 위해, 철학적인 이유(특히 스토아 학파와 같이 미니멀리즘을 믿는 사상가들 사이에서) 또는 젠체하는 연설자를 비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필리포스 2세는 남부 그리스를 침공하여 다른 주요 폴리스들의 항복을 받은 후, 스파르타에 친구로 올 것인지 적으로 올 것인지 위협적으로 물었다. 스파르타는 "어느 쪽도 아니다."라고 답했다.[3]
참을성을 잃은 필리포스 2세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보냈다.
> 만약 내가 라코니아를 침공하면, 너희를 몰아낼 것이다.[4]
스파르타의 에포르들은 다시 한 단어로 대답했다.
> 만약.[5]
필리포스는 라코니아를 침공하여 대부분을 황폐화시키고 스파르타인들을 여러 지역에서 몰아냈다.[6] 스파르타는 이후 마케도니아의 페르시아 제국 침공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이는 그라니코스 전투에서 노획한 갑옷과 함께 알렉산드로스가 아테네에 보낸 포고문에서 기념되었다. 필리포스의 아들 알렉산드로스와 라케다이몬인들을 제외한 모든 그리스인들은 아시아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서 빼앗은 전리품으로 이 공물을 바칩니다.[7]
2. 1. 효율성
라코닉 문구는 효율성, 강조, 사상적 이유, 또는 상대를 굴복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39]
마케도니아 왕국의 필리포스 2세는 그리스 남부를 침공하여 주요 도시 국가들을 정복한 후 스파르타에 자신에게 적대할지 아군이 될지를 물었고, 스파르타는 "둘 다 싫다"고 답했다.[39]
이에 필리포스 2세는 "만약 내가 스파르타를 침공한다면, 너희를 멸망시키겠다."라고 위협했으나, 스파르타의 에포로이는 "만약 (침공한다면)."이라고 답했다.[40]
결과적으로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드로스 3세는 스파르타를 공격하지 않았다.[40][41] 스파르타는 이후 마케도니아의 페르시아 침공(코린토스 동맹)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라니코스 전투 후 "필리포스의 아들 알렉산드로스와, 스파르타인을 제외한 모든 그리스인이, 아시아의 이민족으로부터 얻은 것이다"라는 성명을 아테네에 보냈다.[41]
2. 2. 강조
라코닉 문구는 효율성, 강조, 사상적 이유, 또는 오만한 상대를 굴복시킬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39]유명한 예시로, 마케도니아 왕국의 필리포스 2세와의 대화가 있다. 그리스 남부에 침공하여 다른 주요 도시 국가들을 정복한 후, 그는 스파르타를 주목하고, 자신에게 적대할지 아군이 될지를 협박했다. 스파르타인의 답변은 "둘 다 싫다"는 것이었다.[39]
화가 난 필리포스는 다음과 같은 통첩을 발송했다.
"만약 내가 스파르타를 침공한다면, 너희를 멸망시키겠다."[40]
스파르타의 에포로이는 다시 다음과 같이 한 단어로 답했다.
"만약 (침공한다면)."[40]
이 결과, 필리포스도 그의 아들 알렉산드로스 대왕도 스파르타를 공격하지 않았다. 스파르타는 그 후, 마케도니아의 페르시아 침공 참여 (코린토스 동맹)를 거부했다. 이 사실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그라니코스 전투의 포로와 함께 아테네에 보낸 성명에 기록되어 있다. "필리포스의 아들 알렉산드로스와, 스파르타인을 제외한 모든 그리스인이, 아시아의 이민족으로부터 얻은 것이다"[41]
2. 3. 철학적 이유
라코닉 문구는 효율성, 강조, 사상적 이유, 또는 오만한 상대를 굴복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39] 특히 미니멀리즘을 신봉하는 스토아 학파 철학자 등이 이러한 이유로 라코닉 문구를 사용했다.마케도니아 왕국의 필리포스 2세는 그리스 남부를 침공하여 다른 주요 도시 국가들을 정복한 후, 스파르타에 자신에게 적대할지 아군이 될지를 물었고, 스파르타는 "둘 다 싫다"라고 답했다.[39] 이에 필리포스 2세는 스파르타를 침공하면 멸망시키겠다고 위협했다.[40] 스파르타의 에포로이는 "만약 (침공한다면)"이라고 답했다.[40]
결과적으로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스파르타를 공격하지 않았다. 이후 스파르타는 마케도니아의 페르시아 침공(코린토스 동맹)에 참여하지 않았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라니코스 전투에서 얻은 전리품을 아테네에 보내면서 "필리포스의 아들 알렉산드로스와, 스파르타인을 제외한 모든 그리스인이, 아시아의 이민족으로부터 얻은 것이다"라고 말했다.[41]
2. 4. 풍자와 유머
스파르타인들은 건조하고 절제된 유머로 유명했는데,[8] 이는 현재 "라코닉 유머"로 알려져 있다. 이는 스파르타의 주요 경쟁국인 아테네의 세련되고, 통렬하며, 섬세한 유머인 "아테네의 소금" 또는 "아테네식 유머"와 대조될 수 있다.[9]좀 더 최근의 역사에서 다양한 집단 역시 라코닉 유머로 명성을 얻었다. 사가에 등장하는 아이슬란드인,[10] 그리고 영어권 세계에서는 호주인(''참조'' 호주 유머),[11][12][13] 미국의 카우보이,[14] 뉴잉글랜드인,[15] 잉글랜드 북부 출신, 그리고 스코틀랜드 사람들이 있다.[16]
3. 역사
스파르타인들은 다른 고대 그리스인들보다 교육, 예술, 문학 발전에 덜 신경을 썼다.[17] 어떤 이들은 이러한 점이 특징적인 간결한 라코니아어의 말하기 방식에 기여했다고 본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의 대화편 《프로타고라스》에서 스파르타인들의 절제된 언어 사용이 단순히 문학 교육의 부실 때문이라는 생각을 거부하는 듯하다. "... 그들은 자신들의 지혜를 숨기고 바보인 척하여 단지 전투에서의 용맹으로만 우월한 것처럼 보이려고 한다... 내가 진실을 말하고 있고 스파르타인들이 철학과 말하기에 가장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는 것을 다음과 같이 알 수 있다. 만약 당신이 평범한 스파르타인과 이야기하면, 그는 어리석어 보이지만, 결국에는 숙련된 명사수처럼, 당신을 어린애로 만들 증거가 될 짧은 말을 던진다."[18] 다른 번역에 따르면, "...그들은 [철학]에 아무런 관심이 없는 척하며, 바보 같은 모습을 과시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우월함이 전투와 남자다움에 기반한다고 생각하게 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내가 말하는 것이 진실이며 스파르타인들이 철학과 논쟁에 있어 가장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는 것을 다음과 같이 알 수 있다. 가장 열등한 스파르타인과 사귀면 처음에는 말솜씨가 조금 부족하다고 느껴지지만, 토론 중 우연한 순간에 숙련된 명사수처럼 짧고 간결하며 주목할 만한 말을 던지기 때문에 그와 대화하는 사람은 어린아이보다 나아 보이지 않는다."[1][19] 소크라테스는 많은 다른 아테네인들도 그러했듯이 스파르타의 법을 존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0][21]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그가 스파르타인들에게 철학에 대한 비밀스러운 사랑을 귀속시킨 것의 진지함에 의문을 제기해 왔다.[22][23][24]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파르타인 미손 (케나에)과 킬론 (스파르타)은 전통적으로 그리스의 일곱 현인에 속했으며, 둘 다 많은 간결한 말로 유명했다. 미손의 "우리는 논쟁의 빛으로 사실을 조사해서는 안 되며, 사실의 빛으로 논쟁을 조사해야 한다"[25]와 킬론의 "혀가 감각을 앞지르지 않도록 하라"[26]는 말이 그 예시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스파르타인들은 과묵하고, 수사학을 경멸하며, 요점을 지켜야 했다. 수다스러움은 경박하고 분별력 있고 현실적인 스파르타 전사에게 어울리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다. 스파르타 청년은 교사의 질문에 너무 장황하게 대답한 벌로 엄지손가락을 물리는 처벌을 받았다고 전해진다.[27]
3. 1. 고대 라코노필리아
스파르타인은 다른 고대 그리스인에 비해 교육이나 예술, 문학의 발전에 그다지 주력하지 않았다.[51]이것이 간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코닉한 말씨의 발달을 촉진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한편 플라톤은 『프로타고라스』에서 소크라테스를 등장시켜 스파르타인의 말의 간결함이 단순한 문학적 교양의 부족에 기인한다는 생각을 물리치고, 스파르타 인들이 철학과 언론에 관해 최고의 교육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52]소크라테스는 다른 많은 아테나이인과 마찬가지로[53] 스파르타의 법을 찬미했다(라코노필리아/Laconophilia영어).[54] 그러나, 근대 연구자들은 그가 진지하게 스파르타인에게 숨겨진 철학적 사랑을 인정했는지는 의심스럽다고 보고 있다.[55][56][57]
스파르타인은 일반적으로 수사를 싫어하고 논지를 벗어나지 않는 과묵한 남자가 되어야 했다. 다변은 경박하고, 사려 깊고 현실적인 스파르타 남자에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스파르타의 젊은이는 교사의 질문에 장황하게 대답한 벌로 종종 자신의 엄지손가락을 물어뜯겼다고 전해진다.[58]
4. 주요 사례
페르시아 군대가 "우리의 화살이 하늘을 뒤덮을 것"이라고 협박하자, 스파르타의 용사들은 "그럼 시원한 그늘 아래서 싸울 수 있겠군"이라고 대답했다.[72]
스파르타의 아마 전설적인 법률가인 리쿠르고스는 민주주의를 세우려는 제안에 "가족부터 시작하십시오."라고 답했다.[28] 또한 그는 스파르타의 희생이 신들에게 바치는 희생의 규모가 크지 않은 이유에 대한 질문에 "우리가 항상 바칠 것이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답했다.[28] 스파르타인들이 조국 침략을 가장 잘 막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하자, 리쿠르고스는 "가난하게 남아 각자가 동료보다 더 많이 소유하려는 욕망을 갖지 않는 것"이라고 답했다.[28] 도시를 둘러싸는 방어벽을 건설하는 것이 신중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벽돌 대신 사람으로 된 벽을 가진 도시는 잘 요새화된다"고 답했다.[28] 다른 스파르타인이 나중에 인상적인 요새를 갖춘 아시아 도시를 보여주자, 그는 "여자를 위한 좋은 공간이군!"이라고 말했다.[29]
헤일로타이 대신 자신의 밭을 다루는 이유에 대해 질문한 방문객에게 아낙산드리다스는 "우리가 밭을 돌보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을 돌봄으로써 그 밭을 얻었다"고 설명했다.[30] 왕 데마라투스는 가장 모범적인 스파르타인이 누구인지에 대한 질문을 받자 "당신과 가장 닮지 않은 자"라고 대답했다.[28]
남편 레오니다스가 페르시아인과의 전투를 위해 테르모필레로 떠날 때, 고르고는 무엇을 해야 할지 물었다. 그는 그녀에게 "훌륭한 남편과 결혼하여 훌륭한 자녀를 낳으시오"라고 조언했다.[31][32]
헤로도토스가 기록한 스파르타인들의 두 가지 예시는 테르모필레 전투에 관한 것이다. 첫 번째는 전투가 시작될 때 "우리의 화살이 태양을 가릴 것이다!"라는 페르시아인의 자랑에, 스파르타인들은 "그럼 우리는 그늘에서 싸울 것이다"라고 답했다. 두 번째는 페르시아 사령관의 항복 요구에 스파르타인들이 "와서 가져가라!"라고 답한 것이다. 이 두 예시는 영화 ''300''에 등장한다.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따르면, 추방된 사미안인들이 스파르타에 도움을 요청하며 긴 연설을 하자, 스파르타인들은 앞부분을 기억할 수 없다고 했다. 사미안인들이 자루를 보여주며 '자루에 밀가루가 부족하다'고 말하자, 스파르타인들은 '자루'라고 말할 필요는 없다고 답했지만, 도움을 주기로 결정했다.[33]
폴리크라티다스는 페르시아 장군들에게 외교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파견되었는데, 개인 자격인지 공적 자격인지 질문을 받고 "우리가 성공하면 공적 자격으로, 그렇지 않으면 사적 자격으로"라고 대답했다.[28]
비참한 해상 키지쿠스 전투 이후, 제독 민다루스의 일등 항해사는 스파르타에 "배는 떠났고, 민다루스는 죽었고, 사람들은 굶주리고 있고,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라는 간결한 조난 신호를 보냈다. 이 메시지는 크세노폰의 ''헬레니카''에 기록되었다.[34][35]
- 아람인의 다마스코 왕 가 이스라엘 왕 아합을 공격했을 때, 그는 "만약 사마리아에 남은 먼지가 나와 함께 행동하는 모든 백성의 손바닥을 채울 수 있다면, 신들이여, 나를 여러 배로 벌하소서"라는 통첩을 보냈다. 아합은 "갑옷을 입는 자는 갑옷을 벗는 자처럼 자랑해서는 안 된다"라고 대답했다.[68]
- 기원전 336년, 필리포스 2세의 죽음이 아테네에 전해졌을 때, 장군 포키온은 "우리를 카이로네이아에서 물리친 군대가 한 명 줄었을 뿐이다"라며 모든 축하 제물을 중단시켰다.[69]
- 아스쿨룸 전투에서 로마인을 격파한 희생의 크기에 대해 피로스는 축하의 말에 "다시 한 번 로마군을 이기고 승리하더라도, 우리는 완전히 궤멸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피로스의 승리).[70]
- 제2차 세계 대전의 바스토뉴 전투 중, 독일의 장군 는 미국의 사령관 앤서니 맥컬리프 준장에게 "따르지 않으면 귀군은 궤멸될 것이다"라며 항복을 권고했다. 맥컬리프는 "NUTS! (젠장!)" 한마디로 대답했다.[71]
4. 1. 스파르타
페르시아 군대가 "우리의 화살이 하늘을 뒤덮을 것"이라고 협박하자, 스파르타의 용사들은 "그럼 시원한 그늘 아래서 싸울 수 있겠군"이라고 대답했다.[72]스파르타의 아마 전설적인 법률가인 리쿠르고스는 민주주의를 세우려는 제안에 "가족부터 시작하십시오."라고 답했다.[28] 또한 그는 스파르타의 희생이 신들에게 바치는 희생의 규모가 크지 않은 이유에 대한 질문에 "우리가 항상 바칠 것이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답했다.[28] 스파르타인들이 조국 침략을 가장 잘 막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하자, 리쿠르고스는 "가난하게 남아 각자가 동료보다 더 많이 소유하려는 욕망을 갖지 않는 것"이라고 답했다.[28] 도시를 둘러싸는 방어벽을 건설하는 것이 신중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벽돌 대신 사람으로 된 벽을 가진 도시는 잘 요새화된다"고 답했다.[28] 다른 스파르타인이 나중에 인상적인 요새를 갖춘 아시아 도시를 보여주자, 그는 "여자를 위한 좋은 공간이군!"이라고 말했다.[29]
헤일로타이 대신 자신의 밭을 다루는 이유에 대해 질문한 방문객에게 아낙산드리다스는 "우리가 밭을 돌보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을 돌봄으로써 그 밭을 얻었다"고 설명했다.[30] 왕 데마라투스는 가장 모범적인 스파르타인이 누구인지에 대한 질문을 받자 "당신과 가장 닮지 않은 자"라고 대답했다.[28]
남편 레오니다스가 페르시아인과의 전투를 위해 테르모필레로 떠날 때, 고르고는 무엇을 해야 할지 물었다. 그는 그녀에게 "훌륭한 남편과 결혼하여 훌륭한 자녀를 낳으시오"라고 조언했다.[31][32]
헤로도토스가 기록한 스파르타인들의 두 가지 예시는 테르모필레 전투에 관한 것이다. 첫 번째는 전투가 시작될 때 "우리의 화살이 태양을 가릴 것이다!"라는 페르시아인의 자랑에, 스파르타인들은 "그럼 우리는 그늘에서 싸울 것이다"라고 답했다. 두 번째는 페르시아 사령관의 항복 요구에 스파르타인들이 "와서 가져가라!"라고 답한 것이다. 이 두 예시는 영화 ''300''에 등장한다.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따르면, 추방된 사미안인들이 스파르타에 도움을 요청하며 긴 연설을 하자, 스파르타인들은 앞부분을 기억할 수 없다고 했다. 사미안인들이 자루를 보여주며 '자루에 밀가루가 부족하다'고 말하자, 스파르타인들은 '자루'라고 말할 필요는 없다고 답했지만, 도움을 주기로 결정했다.[33]
폴리크라티다스는 페르시아 장군들에게 외교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파견되었는데, 개인 자격인지 공적 자격인지 질문을 받고 "우리가 성공하면 공적 자격으로, 그렇지 않으면 사적 자격으로"라고 대답했다.[28]
비참한 해상 키지쿠스 전투 이후, 제독 민다루스의 일등 항해사는 스파르타에 "배는 떠났고, 민다루스는 죽었고, 사람들은 굶주리고 있고,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라는 간결한 조난 신호를 보냈다. 이 메시지는 크세노폰의 ''헬레니카''에 기록되었다.[34][35]
4. 2. 필리포스 2세와 스파르타
페르시아 군대가 "우리의 화살이 하늘을 뒤덮을 것"이라고 협박하자, 스파르타의 용사들은 "그럼 시원한 그늘 아래서 싸울 수 있겠군"이라고 대답했다.[72]4. 3. 기타 사례
- 아람인의 다마스코 왕 가 이스라엘 왕 아합을 공격했을 때, 그는 "만약 사마리아에 남은 먼지가 나와 함께 행동하는 모든 백성의 손바닥을 채울 수 있다면, 신들이여, 나를 여러 배로 벌하소서"라는 통첩을 보냈다. 아합은 "갑옷을 입는 자는 갑옷을 벗는 자처럼 자랑해서는 안 된다"라고 대답했다.[68]
- 기원전 336년, 필리포스 2세의 죽음이 아테네에 전해졌을 때, 장군 포키온은 "우리를 카이로네이아에서 물리친 군대가 한 명 줄었을 뿐이다"라며 모든 축하 제물을 중단시켰다.[69]
- 아스쿨룸 전투에서 로마인을 격파한 희생의 크기에 대해 피로스는 축하의 말에 "다시 한 번 로마군을 이기고 승리하더라도, 우리는 완전히 궤멸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피로스의 승리).[70]
- 제2차 세계 대전의 바스토뉴 전투 중, 독일의 장군 는 미국의 사령관 앤서니 맥컬리프 준장에게 "따르지 않으면 귀군은 궤멸될 것이다"라며 항복을 권고했다. 맥컬리프는 "NUTS! (젠장!)" 한마디로 대답했다.[71]
5. 라코닉 유머
페르시아 군대가 "우리의 화살이 하늘을 뒤덮을 것"이라고 협박하자, 스파르타의 용사들은 "그럼 시원한 그늘 아래서 싸울 수 있겠군"이라고 대답했다.[72] 스파르타인들은 특히 건조하고 절제된 유머로 유명했는데,[8] 이는 현재 "라코닉 유머"로 알려져 있다. 이는 스파르타의 주요 경쟁국인 아테네의 세련되고, 통렬하며, 섬세한 유머인 "아테네의 소금" 또는 "아테네식 유머"와 대조될 수 있다.[9]
좀 더 최근의 역사에서 다양한 집단 역시 라코닉 유머로 명성을 얻었다. 사가에 등장하는 아이슬란드인,[10] 그리고 영어권 세계에서는 호주인(''참조'' 호주 유머),[11][12][13] 미국의 카우보이,[14] 뉴잉글랜드인,[15] 잉글랜드 북부 출신, 그리고 스코틀랜드 사람들이 있다.[16]
참조
[1]
서적
Merriam-Webster's Dictionary of Synonyms
https://books.google[...]
Merriam-Webster
1984
[2]
서적
Synonyms Discriminated
https://books.google[...]
1904
[3]
문서
Apophthegmata Laconica
[4]
웹사이트
De Garrulitate
http://www.perseus.t[...]
Tufts University
2021-05-05
[5]
문서
De garrulitate
[6]
서적
Sparta and Lakonia: A Regional History, 1300-362 B.C.
Routledge
2002
[7]
문서
Anabasis Alexandri
[8]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reece in Fifty Lives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014-10-14
[9]
서적
Lord Chesterfield's letters to his son and godson
https://archive.org/[...]
Maynard, Merrill & Co.
[10]
서적
The Icelandic Saga
https://books.google[...]
[11]
서적
Australian Voices: Writers and Their Work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1
[12]
웹사이트
Australian Humour: What Makes Aussies Laugh?
http://www.australia[...]
Australian-Information-Stories.com
2014-08-30
[13]
간행물
Edgy laughter: Women and Australian humour
http://ro.uow.edu.au[...]
2016-09-03
[14]
서적
Roosevelts: An American Saga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017-01-14
[15]
서적
The Atlantic Monthly
Atlantic Monthly Company
1897-05
[16]
서적
Names and Nicknames of Places and Things
https://books.google[...]
Penguin Group USA
2017-01-14
[17]
문서
Hippias Major
[18]
문서
Protagoras
https://web.archive.[...]
[19]
서적
The Dialogues of Plato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
문서
Crito
[21]
문서
Republic
[22]
서적
Plato: The Man and His Work
https://books.google[...]
Meridian Books
1949
[23]
서적
Plato: Protagora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4]
서적
Plato: Protagoras and Meno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05
[25]
서적
Lives of the Eminent Philosoph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26]
문서
https://books.google[...]
[27]
서적
Spartan Reflec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2-12-13
[28]
문서
Life of Lycurgus
[29]
문서
Apophthegmata Laconica
[30]
문서
Apophthegmata Laconica
[31]
문서
Apophthegmata Laconica
[32]
문서
Lacaenarum Apophthegmata
[33]
문서
Histories
[34]
문서
Hellenica
[35]
서적
Xenophon in Seven Volumes
Heinemann
2014-09-20
[36]
간행물
自著を語る95:ルネサンス再入門――複数形の文化
http://www.collegium[...]
2018-01
[37]
서적
Merriam-Webster's Dictionary of Synonyms
https://books.google[...]
1984
[38]
서적
Synonyms Discriminated
https://books.google[...]
1904
[39]
문서
スパルタ人たちの名言集
[40]
문서
おしゃべりについて
[41]
문서
アレクサンドロス東征記
[42]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reece in Fifty Lives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014-10-14
[43]
서적
Toponymity: An Atlas of Word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0
[44]
서적
Lord Chesterfield's letters to his son and godson
https://books.google[...]
Maynard, Merrill & Co.
1897
[45]
서적
The Icelandic Saga
https://books.google[...]
[46]
서적
Australian Voices: Writers and Their Work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1
[47]
웹사이트
Australian Humour: What Makes Aussies Laugh?
http://www.australia[...]
Australian-Information-Stories.com
2013
[48]
간행물
Edgy laughter: Women and Australian humour
http://ro.uow.edu.au[...]
1993
[49]
간행물
Review: New England Humor: From the Revolutionary War to the Civil War.
https://www.jstor.or[...]
1994-12
[50]
서적
Names and Nicknames of Places and Things
https://books.google[...]
Penguin Group USA
1988
[51]
문서
ヒッピアス
[52]
문서
プロタゴラス
[53]
문서
国家
[54]
문서
クリトン
[55]
서적
Plato: The Man and His Work
https://books.google[...]
Meridian Books
[56]
서적
Protagora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57]
서적
Plato: Protagoras and Meno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58]
서적
Spartan Reflec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59]
문서
王と将軍たちの名言集
[60]
문서
英雄伝
[61]
문서
スパルタ人たちの名言集
[62]
문서
英雄伝
[63]
문서
スパルタ人たちの名言集
[64]
문서
スパルタ人たちの名言集
[65]
문서
英雄伝
[66]
문서
スパルタ人たちの名言集
[67]
문서
スパルタ人たちの名言集
[68]
문서
列王記20
[69]
문서
英雄伝
[70]
문서
対比列伝
[71]
서적
Bastogne: The First Eight Days
http://www.history.a[...]
Infantry journal Press
[72]
웹사이트
http://www.cine21.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