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포스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포스 2세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으로, 어린 시절 테베에서 군사 및 외교 기술을 연마하고 기원전 359년 왕위에 올랐다. 그는 파이오니아와 트라키아의 위협을 외교와 군사력으로 제압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마케도니아의 팽창을 이끌었다. 일리리아 정복, 암피폴리스 점령, 테살리아 동맹 맹주 등 발칸 반도와 그리스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했으며, 카이로네아 전투에서 승리하여 그리스 지배권을 확립했다. 코린토스 동맹을 결성하고 페르시아 원정을 준비하던 중 암살당했으며, 그의 유산은 아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페르시아 정복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마케도니아식 팔랑크스를 창시하고 올림피아 대제전에서 전차 경주 우승, 피리페이온 건설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82년 출생 - 안티고노스 1세 모노프탈모스
    안티고노스 1세 모노프탈모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부하이자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세력을 확장하여 왕을 칭했으나 입소스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한 헬레니즘 시대의 인물이다.
  • 기원전 336년 사망 - 아민타스 4세
    아민타스 4세는 어린 나이에 마케도니아 왕위를 계승했지만 숙부 필리포스 2세에게 왕위를 찬탈당하고 알렉산드로스 3세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처형당한 비운의 왕이다.
  • 기원전 336년 사망 - 파우사니아스 (오레스티스)
    파우사니아스는 기원전 336년 필리포스 2세를 암살한 인물로, 암살 동기는 다양하게 해석되지만 도주 중 경호원들에게 살해당하며 마케도니아 왕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필리포스 2세 - 이소크라테스
    이소크라테스는 기원전 4세기 아테네에서 수사학 학교를 설립하여 영향력을 행사한 고대 그리스의 수사학자이자 교육자, 작가로, 실용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중시하는 수사학 교육을 통해 많은 제자를 배출했으며, 수사학을 철학적 사고와 윤리적 책임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능력으로 보았다.
  • 필리포스 2세 - 클레오파트라 에우리디케
    클레오파트라 에우리디케는 기원전 338년 또는 337년에 필리포스 2세의 아내가 되어 에우리디케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필리포스 2세와의 사이에서 딸 에우로파와 아들 카라노스를 낳았지만, 필리포스 2세 사후 올림피아스에 의해 자녀들이 살해된 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필리포스 2세
기본 정보
필리포스 2세 흉상, 로마 시대 그리스 원본 복제품, 코펜하겐 뉘 칼스버그 글립토테크 소장
필리포스 2세 흉상, 로마 시대 그리스 원본 복제품, 코펜하겐 뉘 칼스버그 글립토테크 소장
이름필리포스 2세
로마자 표기Philippos Ⅱ
그리스어 표기Φίλιππος Β'
재위기원전 359년 5월경 – 기원전 336년 10월
출생기원전 382년, 펠라
사망기원전 336년 10월 (향년 46세), 베르기나
매장지베르기나
종교고대 그리스 종교
왕조아르게아스 왕조
아버지아민타스 3세
어머니에우리디케 1세
배우자
배우자 1아우다타
배우자 2필라
배우자 3니케시폴리스
배우자 4올림피아스
배우자 5필리나
배우자 6메다
배우자 7클레오파트라 에우리디케
자녀
자녀퀴나네
필리포스 3세
알렉산드로스 3세
클레오파트라
테살로니카
에우로파
카라노스
직위
마케도니아 왕마케도니아
헬라스 연맹 맹주코린토스 동맹
헬라스 연맹 맹주 재위기원전 337년
계승
선대 국왕아민타스 4세
후대 국왕알렉산드로스 대왕
헬라스 연맹 맹주 후임알렉산드로스 대왕

2. 생애 초기와 집권

필리포스 2세는 마케도니아의 아민타스 3세의 막내아들로 태어나 어린 시절 테베에 볼모로 잡혀 있었다. 테베에서 그는 당대 그리스 최고의 전략가이자 장군이었던 에파미논다스에게서 군사와 외교 기술을 배웠고, 기원전 364년 마케도니아로 돌아왔다.[5][6]

기원전 359년 형 페르디카스 3세가 일리리아의 침입에 맞서 싸우다 전사하자 뒤를 이어 마케도니아 왕위를 물려받았다.[7]

집권 초기 마케도니아는 파이오니아트라키아의 침입을 받았고, 아테나이는 마케도니아 왕권을 주장하는 아르게우스의 도움을 주면서 마케도니아를 위협하고 있었다. 필리포스 2세는 외교적으로 파이오니아와 트라키아와는 협정을 맺어 물러나게 한 다음, 아테네의 중장보병 3,000명을 격파함으로써 잠시 숨을 돌렸다.[8] 그사이 그는 내부적으로 힘을 강화하는 데 힘썼는데, 특히 마케도니아 군사력 강화에 전력하였다. 그는 마케도니아의 노예 수를 대폭 줄여서 국가 재정을 안정시킨 후 채리엇 제도를 폐지하고 마케도니아 보병에 팔랑크스를 새로이 도입하여 기병대를 더욱 강화시키고, 보병은 사리사라는 창과 방패로 무장시켰는데 사리사는 당시 주변 그리스 국가들의 군사들이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긴 창으로 기병을 상대하는 데 효과적이었다.[9][10]

3. 마케도니아의 팽창

기원전 357년 필리포스 2세는 일리리아를 공격하여 군사적 재능을 발휘했다. 그는 아테나이와 협정을 맺어 암피폴리스를 점령하여 양도하고 그 대신 피드나를 받는 조건이었으나, 암피폴리스 점령 후 협정을 파기하고 두 도시 모두 지배했다. 아테나이는 이에 전쟁을 선포했다.[11] 이듬해 그는 금광이 있는 크레니데스를 점령하고 필리피로 개명하여 금광을 확보, 군자금으로 활용했다.[13]

기원전 354년 메톤 공격 중 한쪽 눈을 잃었지만 함락시켰다.[14] 기원전 353년 테살리아를 점령하고 테살리아 동맹의 맹주가 되었다. 아테나이는 테르모필라이를 점령하여 필리포스 2세의 남진을 저지했다. 이후 6년간 그는 발칸반도 및 마케도니아 북서쪽 변방 강화에 전념하고, 남쪽으로는 침범하지 않았다.[15]

기원전 348년 올린토스를 점령하고 할키디키반도를 합병했다. 그는 신성전쟁에 개입하여 그리스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했고, 데모스테네스 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기원전 346년 아테나이와 평화협정을 맺었다. 이로써 스파르타를 제외한 주요 그리스 국가들이 굴복했고, 필리포스 2세는 다시 북쪽의 트라키아와 스키타이를 공격했다.[15]

기원전 340년 아테네가 선전포고하자, 필리포스 2세는 테바이의 도움을 받으려 했으나, 테바이는 아테네 편에 가담했다. 기원전 338년 카이로네아 전투에서 승리하여 테바이와 아테나이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했다. 테바이에는 군대를 주둔시키고 친마케도니아 정권을 세웠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대항하기 위한 해군 협력을 위해 아테나이는 무력 점령하지 않았다.

기원전 337년 코린토스 동맹을 조직하고 맹주(''헤게몬'')가 되었다. 동맹 국가들은 반란 진압 외에는 서로 전쟁을 할 수 없었다. 이듬해 필리포스 2세는 페르시아 원정을 발표하고 원정대를 파견했다.

4. 그리스 지배권 확립

기원전 340년 아테나이가 선전포고를 하자 필리포스 2세는 페린투스와 뷔잔티온 포위를 풀고 남쪽으로 진격했다.[15] 테바이의 도움을 받기를 원했지만 테바이는 아테나이 편에 가담했다.

필리포스 2세는 스키타이족에 대항하여 북쪽으로 군사 원정을 이끌고, 트라키아의 요새 도시 에우몰피아(Eumolpia)를 정복하여 자신의 이름을 따 '필리포폴리스'(Philippopolis, 현대 플로브디프(Plovdiv))라고 이름 지었다.

기원전 340년 필리포스는 페린토스(Perinthus) 포위 공격을 시작했고, 기원전 339년에는 비잔티움 도시에 대한 또 다른 포위 공격을 시작했으나, 두 포위 공격 모두 실패하면서 그리스에 대한 영향력이 약화되었다.[15]

4. 1. 카이로네이아 전투

기원전 338년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필리포스 2세는 테바이의 지원을 받으려 했으나, 테바이는 아테나이 편에 가담했다. 필리포스 2세는 이 전투에서 승리하여 테바이와 아테나이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했다. 그는 테바이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친마케도니아 정권을 세웠다. 그러나 페르시아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해군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아테나이는 무력으로 점령하지 않고 협력 관계를 유지했다.[15]

4. 2. 코린토스 동맹

기원전 337년 필리포스는 코린토스 동맹을 조직하고 그 자신이 동맹의 맹주(''헤게몬'')가 되었다.[19][20] 동맹국들은 반란 진압을 제외하고는 서로 전쟁을 벌일 수 없었다.[21] 이듬해 이 동맹을 바탕으로 페르시아 원정을 발표하고 마케도니아 군으로 이루어진 소규모 원정대를 파견하였다.[26][27]

5. 암살

기원전 336년, 필리포스 2세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옛 수도 아이가이에서 자신의 딸 클레오파트라와 에페이로스의 알렉산드로스 1세의 혼인 잔치에 참석하던 중, 경호대장 파우사니아스에게 암살당했다.[29][30]

파우사니아스는 범행 직후 도주했으나, 다른 경호원들에게 추격당해 덩굴에 말이 걸려 넘어지면서 살해되었다.[31]

당시 공식 발표에서는 파우사니아스의 개인적 원한에 의한 범행이며 배후에 페르시아가 있다고 주장했으나, 진실은 밝혀지지 않았다.[31] 린케스티스의 아에로푸스의 세 아들 중 린케스티스의 알렉산드로스는 사면받았고, 다른 두 아들은 처형되었다.[32][33]

올림피아스알렉산드로스가 암살의 배후라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유스티누스에 따르면, 올림피아스는 파우사니아스에게 공개적으로 감사를 표하고 그의 시신에 관을 씌우며 무덤을 만들어 제사를 지내게 했다고 한다.[37]

5. 1. 암살의 배경에 대한 현대적 분석

Φίλιππος Βʹ ὁ Μακεδών|필리포스 2세grc의 암살 동기는 고대 역사가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분분했다. 현존하는 당대 기록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것인데, 그는 필리포스가 아탈루스와 그의 친구들에게 모욕당한 파우사니아스에게 죽임을 당했다고 간략히 언급한다.[34]

클레이타르쿠스(Cleitarchus)는 이 이야기를 확장하고 윤색했는데, 수 세기 후 디오도루스 시쿨루스와 다른 역사가들이 이 버전을 전파했다. 이에 따르면, 파우사니아스는 필리포스 2세의 연인이었으나, 필리포스가 다른 젊은이에게 관심을 돌리자 질투심을 느꼈다. 파우사니아스가 새 연인을 조롱하자, 젊은이는 전투에서 목숨을 잃었고, 그의 친구 아탈루스는 파우사니아스를 술 취하게 한 뒤 강간하여 복수했다.[36]

파우사니아스가 필리포스에게 불만을 제기했을 때, 왕은 아탈루스를 징계할 수 없었다. 아탈루스는 파르메니온(Parmenion)과 함께 아시아 파병 예정이었고, 필리포스는 아탈루스의 조카 클레오파트라 에우뤼디케와 최근 결혼했기 때문이다. 필리포스는 파우사니아스를 친위대로 승진시켜 달랬고, 파우사니아스는 복수심을 필리포스에게 돌려 암살 계획을 세웠다고 한다.[36]

유스티누스는 알렉산드로스와 그의 어머니 올림피아스가 음모에 가담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올림피아스는 파우사니아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드러냈고, 암살자의 시체에 관을 씌우고 무덤 위에 봉분을 세우고 연례 제사를 명령했다고 한다.[37]

그러나 일부 현대 역사가들은 어떤 기록도 신빙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파우사니아스의 암살 동기는 불충분하고, 알렉산드로스와 올림피아스의 연루는 억지라는 것이다. 암살의 최대 수혜자들에게 의심이 돌아간 것은 자연스럽지만, 그들의 반응이 범죄 자체의 유죄 증거가 되기는 어렵다고 한다.[38]

암살의 실제 배경이 무엇이든, 후대 세계사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일부 역사가들은 필리포스가 페르시아 전쟁을 지휘했다면, 아나톨리아를 마케도니아 속주로 만드는 정도에 만족하고, 아들 알렉산드로스처럼 페르시아 정복과 인도 원정을 추진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38]

6. 마케도니아식 팔랑크스

필리포스 2세는 테베에 인질로 있던 시절 창을 든 중장보병의 밀집대형인 팔랑크스를 익혔다. 그는 더 긴 창인 사리사를 채용하고 방진을 대형화하여 마케도니아식 팔랑크스를 창시했다. 사리사는 4.0~6.4미터 길이의 창으로, 다른 그리스 중장보병이 사용한 창보다 길어 사정거리가 길었고, 뒤쪽 병사의 창도 더 많이 뻗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9][10] 필리포스 2세는 다른 그리스인들이 중장보병을 주력으로 삼은 것과 달리, 기병과 보병을 효과적으로 결합한 전술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카이로네아 전투에서는 중앙의 팔랑크스 부대가 적을 유인하여 적진에 틈을 만들고, 그곳에 기병을 돌격시켜 승리했다. 필리포스 2세가 고안한 마케도니아식 팔랑크스는 당시 무적이었으며, 그리스 전토를 정복하고 아들 알렉산드로스 3세의 페르시아 정복까지 가능하게 할 정도로 강력했다. 마케도니아식 팔랑크스는 로마군의 분산 전술에 패할 때까지 지중해 세계 주변에서 약 200년간 널리 유행했다.

7. 올림피아와의 관계

기원전 357년 필리포스 2세는 몰로시아 왕의 딸인 에피로스 공주 올림피아스와 결혼했다. 알렉산드로스 3세는 기원전 356년에 태어났는데, 이는 필리포스 2세의 경주마가 올림픽 경기에서 우승한 해와 같다.[12] 필리포스 2세는 전 그리스 대제전인 올림피아 대제전에 참가하여 전차 경주에서 우승했다. 이 소식은 알렉산드로스 3세의 탄생과 거의 동시에 필리포스에게 전해졌다. 필리포스는 고대 올림픽 우승을 크게 기뻐하며, 아내의 이름을 올림피아를 따서 올림피아스(Olympias)로 지었고, 아들의 이름은 마케도니아인으로서 최초로 고대 올림픽에 참가한 알렉산드로스의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7. 1. 필리페이온

기원전 338년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의 승리를 기념하여, 고대 올림픽 개최지인 올림피아에 필리페이온(원형 건축물)을 봉헌했다. 필리페이온은 필리포스 2세 재위 시에는 완공되지 못하고, 그의 뒤를 이은 알렉산드로스 3세 재위 시에 완공되었다. 외측에 18개의 이오니아 양식 원주, 내측에 9개의 코린트 양식 원주를 가진 지름 15.25m의 건물로, 고대에서 가장 아름다운 건축물 중 하나로 칭송받고 있다.[1]

8. 유산 및 평가

필리포스 2세는 뛰어난 군사적, 외교적 역량을 바탕으로 마케도니아를 그리스 최강국으로 만들었다. 그의 군사 개혁과 정복 활동은 아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페르시아 정복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했다.[9][10] 특히, 마케도니아 방진을 창설하고 병사들에게 긴 창인 사리사를 지급하여 군사력을 강화했다.[9]

필리포스 2세 재위 시대의 은화 테트라드라크마. 앞면: 오른쪽을 향한 월계관을 쓴 제우스의 머리; 뒷면: 오른쪽으로 진군하는 말을 탄 청년. 윗부분의 글은 ΦΙΛΙΠΠΟΥ (필리포스)이다.


기원후 350~400년경 필리포스 2세 동상. 트리어 라인 주립 박물관.


필리포스는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올림피아에 필리페이온 건설을 의뢰했다.


베르기나의 왕릉 박물관에는 그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있다. 1977년 그리스 고고학자 마놀리스 안드로니코스는 베르기나 근처 아이가이의 대형 고분을 발굴하여 훼손되지 않은 두 개의 무덤을 발견했다. 특히 2호 무덤에는 정강이뼈 보호대 등 여러 특징적인 유물들이 발견되어 필리포스 2세의 무덤으로 추정되었다.[45][46] 두개골 잔해는 오른쪽 눈의 손상을 보여주는데, 이는 역사 기록과 일치한다.[45][46] 그러나 2015년, 다른 연구에서는 1호 무덤이 필리포스 2세의 유골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47] 최근 연구는 2호 무덤에 필리포스 2세의 유해가 있다는 추가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49]

필리포스 2세는 사후 영웅으로 추앙받거나 신격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마케도니아인들은 그를 신으로 여기지 않았지만, 그리스 여러 지역에서 숭배를 받았다. 예를 들어, 에레소스(제우스 필리페이오스 제단), 에페소스(아르테미스 신전에 그의 동상), 올림피아(필리페이온 건설) 등에서 숭배를 받았다.

9. 가족 관계

필리포스 2세는 일부다처제를 시행하여 여러 왕비와 자녀를 두었다.[28]

왕비출신 및 관계자녀
아우다타일리리아 왕 바르딜리스의 딸킨나네
엘리메이아의 필라데르다스 3세와 엘리미오티스의 마카타스의 누이
니케시폴리스페라이 출신, 테살리아마케도니아의 테살로니케
올림피아스에피로스의 에피로스의 네오프톨레모스 1세의 딸알렉산드로스 대왕, 마케도니아의 클레오파트라
필린나라리사 출신아리다이오스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3세)
오데소스의 메다트라키아의 코텔라스 왕의 딸
클레오파트라 에우리디케히포스트라투스의 딸이자 장군 아탈루스의 조카딸카라노스, 에우로페


참조

[1] 서적 Freedom in Greek life and thought: the history of an ideal https://books.google[...] Springer
[2] 서적 Philip II of Macedonia Yale University Press
[3] 서적 Macedonia: An Introduction to its Political History Manitoba Studies in Classical Civilization
[4] 기타 Diodorus Sicilus, Book 16, 89
[5] 서적 Alexander of Macedon, 356–323 B.C.: A Historical Bi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서적 Plain tales from the hills: Illyrian influences on Argead military development S. Müller, T. Howe, H. Bowden and R. Rollinger (eds.)
[7] 서적 Alexander of Macedon, 356–323 B.C. : A Historical Bi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DGRBM Argaeus http://quod.lib.umic[...]
[9] 서적 Philip of Macedon Ekdotike Athenon S.A.
[10] 웹사이트 The Professionalization of the Macedonian Military https://sites.psu.ed[...] Penn State University 2021-03-02
[11]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6: The Fourth Century BC
[12] 서적 Alexander of Macedon, 356–323 B.C. : A Historical Bi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학술지 The Kingdoms in Illyria circa 400–167 B.C. https://www.jstor.or[...] 1966
[14] 학술지 Diseases and physicians in the life of Philip II 1950
[15] EB1911
[16] 웹사이트 De Garrulitate http://www.perseus.t[...] Tufts University
[17] 서적 Sparta and Lakonia : a regional history, 1300–362 B.C. Routledge 2002
[18] 서적 The Macedonian Empire: The Era of Warfare Under Philip II and Alexander the Great, 359–323 BC McFarland
[19] 서적 Philip II of Macedon https://books.google[...] Faber & Faber
[20] 서적 The Outline of History: Volume 1 Doubleday
[21] 서적 Greek Historical Inscriptions: 404–323 BC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2] 서적 Greek Perspectives on the Achaemenid Empire: Persia Through the Looking Glass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6
[23] 서적 Alexander the Great https://books.google[...] Haus Publishing 2004
[24]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His Empire: A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
[25] 서적 Barbarians in the Greek and Roman World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2018
[26] 서적 From Cyrus to Alexander: A History of the Persian Empire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2002
[27] 서적 Who's Who in the Age of Alexander the Great: Prosopography of Alexander's Empi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
[28] 기타 Deipnosophistae
[29] 학술지 The Regnal Years of Philip and Alexander https://grbs.library[...] 1992-12-21
[30] 서적 The book of calendars https://archive.org/[...] Gorgias Press 2002
[31] 서적 The Outline of History: Volume 1 Doubleday
[32] 서적 Affective Relations and Personal Bonds in Hellenistic Antiquity Oxbow
[33] DGRBM Alexander (Ἀλέξανδρος), son of Aeropus https://books.google[...]
[34] 서적 Politics
[35] 웹사이트 The Library of History http://www.holoka.co[...]
[36] 웹사이트 The Library of History http://www.holoka.co[...]
[37] 서적 Justini historiæPhilippicæ: Cum versionse anglica, ad verbum, quantum fieri potuit, facta, or, The history of Justin; with an English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By John Clarke, author of the essays upon education and study. Printed for L. Hawes, W. Clarke, and R. Collins, in Pater-Noster Row, M.DCC.LXVIII
[38] 서적 Philip of Macedon Ekdotike Athenon S. A.
[39] 서적 Alexander the Great: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09
[40]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scientific research https://www.aigai.gr[...]
[41] 서적 Alexander the Great: Man and Go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42] 뉴스 National Geographic article outlining recent archaeological examinations of Tomb II http://news.national[...]
[43] 뉴스 Treasures from a Golden Tomb https://www.nytimes.[...] 1977-12-25
[44] 웹사이트 Hatzopoulos B. Miltiades, The Burial of the Dead (at Vergina) or The Unending Controversy on the Identity of the Occupant of Tomb II. ''Tekmiria'', vol. 9 (2008) http://www.tekmeria.[...]
[45] 서적 Making Faces: Using Forensic and Archaeological Evidence British Museum Press
[46] 논문 The Occupants of Tomb II at Vergina. Why Arrhidaios and Eurydice must be excluded https://www.medsci.o[...] 2010-08-08
[47] 논문 The lameness of King Philip II and Royal Tomb I at Vergina, Macedonia 2015-07-20
[48] 뉴스 Ministry of Culture [Greece]: Answer to the conclusions of a study on the tomb of Philip https://www.tovima.g[...] 2015-07-22
[49] 논문 New Finds from the Cremains in Tomb II at Aegae Point to Philip II and a Scythian Princess https://onlinelibrar[...] 2015-05-11
[50] 서적 Backgrounds of early Christianity
[51] 서적 The twelve gods of Greece and Rome
[52] 성경
[53] 웹사이트 Imperium Civilisation Spotlight – The Macedonians | Imperium: Classics https://boardgamegee[...]
[54] 웹사이트 Γενικό Επιτελείο Στρατού: Εμβλήματα Όπλων και Σωμάτων http://www.army.gr/d[...]
[5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