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흐 크루어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흐 크루어한은 아일랜드 로스코먼주에 위치한 광대한 고고학 유적지로, "유럽에서 발굴되지 않은 가장 큰 왕궁 단지"로 여겨진다. 아일랜드 왕립 유적지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를 신청했다. 이 유적지는 아일랜드 신화와 전설에 중요한 장소로, 얼스터 사이클의 주요 등장인물인 메브 여왕의 고향으로 묘사되며, 사윈 축제와도 관련이 있다. 라흐 크루어한 단지에는 다양한 시대의 유적이 존재하며, 라흐 크루어한 언덕, 라스모어, 라스 나 드타르브, 릴리그 나 리, 오웨이나갓, 다티의 무덤, 머클라, 라스베그, 카셸마난난 등 240개 이상의 고고학 유적지가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유적 - 타라 언덕
    타라 언덕은 아일랜드 신화와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고대 유적지로, 신석기 시대 유적과 철기 시대 유적을 포함하며 아일랜드 최고 왕의 자리로 여겨졌고 다섯 고대 도로가 시작되는 곳으로 전해진다.
  • 로스커먼주 - 애슬론 (아일랜드)
    아일랜드 중부 섀넌 강을 따라 웨스트미스 주와 로스커먼 주에 걸쳐 있는 애슬론은 전략적 요충지로서 중세부터 중요했으며 격동의 근현대사를 거쳐 현재 관광, 교육, 산업의 중심지이자 다양한 편의 및 스포츠, 교육 시설을 갖춘 도시이다.
라흐 크루어한
개요
공식 명칭라흐 크루어한
다른 이름코나크트의 고대 수도
로마자 표기Ráth Cruachan
종류고고학 단지
지리
위치로스커먼 주, 아일랜드
면적6 제곱킬로미터
기타
우편 번호F45 HH51
웹사이트라흐 크루어한 방문자 센터 웹사이트

2. 역사적 중요성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따르면, 이 유적지는 "유럽에서 발굴되지 않은 가장 큰 왕궁 단지"일 수 있다. 아일랜드 정부는 이곳을 아일랜드 왕립 유적지로 지정했다. 아일랜드는 2021년에 이 유적지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를 신청했다.

3. 신화와 전설

크루어한은 딘센차스 시에 따르면 인간으로 환생한 에타인의 시녀인 크로헨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한다. 에타인이 그녀의 원래 ''síd''(요정 언덕) 연인 미디르에 의해 다른 세상으로 돌아갈 때, 크로헨이 그들을 따라갔다. 미디르의 지하 궁전으로 가는 길에 신세(Síd Sinche)라고 알려진 언덕에서 시간을 보냈다고 전해진다.

크로헨은 이 ''síd''에 깊은 인상을 받아 미디르에게 이곳이 그의 궁전인지 물었다. 에타인에 대한 충성심과 이 거처에 대한 존경심 때문에 미디르는 그녀에게 그곳을 주고 브리 레흐에 있는 자신의 궁전으로 에타인을 데려가기 전에 그녀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시의 마지막 부분에서 크로헨은 메드브의 어머니로 언급된다.[1]

같은 시는 크루아한을 왕족 묘지로 언급하고 있다. "크루아추 주변의 전사들이여, 들으라! 모든 고귀한 부부를 위한 묘지가 있다".[1]는 구절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크루어한은 메브 여왕의 고향이었기 때문에 얼스터 사이클에 자주 등장한다. ''타인 보 쿠얼린게''의 시작과 끝에 등장하며, 황소들의 싸움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환상 요새 중 하나인 라스 나 드타르브에서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크루어한은 사윈 축제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일랜드인들은 사윈 때 자신들의 시대 이전의 선사 시대 무덤이 열리고, 그 안에 살고 있는 신과 정령들이 세상에 나타난다고 믿었다.[3] 오웨너갯에서 생물들이 나타나는 것도 이러한 믿음의 일부였다.

오웨이나갓은 라흐 크루어한 유적지에 있는 동굴로,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따르면 이곳은 메브 여왕의 탄생지이다.[2] 내부 상인방에는 오검 비문이 새겨져 있는데, ""와 ""이라는 단어가 번역되었다고 한다.

전통적인 이야기에서 사윈 동안 다양한 파괴적인 생물들이 오웨이나갓에서 나타났다.[2]

모리안은 『타인 보 레그마나』에서 외다리 밤색 말을 끄는 전차를 타고 이 동굴에서 나타난다고 전해진다.

고양이, Oweynagat 동굴 입구

3. 1. 기원

딘센차스 시에 따르면 크루아한은 인간으로 환생한 에타인의 시녀인 크로헨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에타인이 그녀의 원래 ''sídhe'' 연인 미디르에 의해 다른 세상으로 돌아갈 때, 크로헨이 그들을 따라갔고, 미디르의 지하 궁전으로 가는 길에 신세(Síd Sinche)라고 알려진 언덕에서 시간을 보냈다.

크로헨은 이 ''síd''(요정 언덕)에 깊은 인상을 받아 미디르에게 이곳이 그의 궁전인지 물었다. 에타인에 대한 충성심과 이 거처에 대한 존경심 때문에 미디르는 그녀에게 그곳을 주고 브리 레흐에 있는 자신의 궁전으로 에타인을 데려가기 전에 그녀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 시의 마지막 부분에서 크로헨은 메드브의 어머니로 언급된다.

같은 시는 크루아한을 왕족 묘지로 언급하고 있다: "크루아추 주변의 전사들이여, 들으라! 모든 고귀한 부부를 위한 묘지가 있다".[1]

3. 2. 얼스터 사이클

크루어한은 메브 여왕의 고향이었기 때문에 얼스터 사이클에 자주 등장한다. 메브는 반역 행위로 이전 왕 틴디 막 콘라를 폐위시킨 에오카이드 페이들레흐 최고왕인 아버지로부터 코노트 왕국을 받았다. 틴디가 실제로 크루어한에서 통치했는지, 아니면 메브에 의해 건설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또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크루어한은 메브 자신이 여동생 클로트루를 죽이기 전까지 여왕의 여동생이 통치했다. 서부 수도에 대한 생생한 묘사가 ''브리크리우의 연회''와 ''타인 보 프라이히''에 실려 있다.

: "집은 소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외부에는 슁글로 덮여 있었다. 집에는 16개의 창문이 있었고, 각각에 놋쇠 틀이 있었으며, 채광창에는 놋쇠 끈이 있었다. 아릴과 메브의 방에는 4개의 놋쇠 들보가 있었고, 모두 청동으로 장식되었으며 집의 정확한 중앙에 있었다. 금박 아래에는 두 개의 은색 난간이 있었다. 정면에는 집의 중간 서까래에 닿는 은색 지팡이가 있었다. 집은 문에서 다른 문까지 모든 면이 둘러싸여 있었다."

크루어한은 왕궁에서의 베개 이야기로 시작하여 황소들의 싸움으로 끝나는 ''타인 보 쿠얼린게''의 시작과 끝에 등장하며, 황소들의 싸움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환상 요새 중 하나인 라스 나 드타르브에서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얼스터 이야기 외에도 코노트의 주요 요새에 대한 신화적 묘사는 많지 않으며, 가장 좋은 예는 카른 프라이치에 대한 ''딘센차스'' 시에 나타난다. 이 시는 이 이름의 두 인물, 즉 메브 시대의 프라에흐와 아일랜드가 콘의 절반과 에오간의 절반으로 분할되기 전 코노트의 왕자를 다루고 있으며, 시의 이 부분은 크루어한을 석조 요새로 묘사하고 있다.

3. 3. 사윈 축제

크루어한은 사윈 축제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일랜드인들은 사윈 때 자신들의 시대 이전의 선사 시대 무덤이 열리고, 그 안에 살고 있는 신과 정령들이 세상에 나타난다고 믿었다.[3] 오웨너갯에서 생물들이 나타나는 것도 이러한 믿음의 일부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전설인 "네라의 모험"에서, 주인공인 전사는 사윈 밤에 사형수의 발목에 나뭇가지를 묶으라는 도전을 받는다. 사형수에게 물을 구해다 주기로 동의한 후, 그는 이상한 집들을 발견하고 세 번째 집에서 물을 구해다 준 후 그를 감옥으로 돌려보내지만, 정령들에 의해 라스크로건의 왕궁 건물이 파괴되는 것을 목격한다. 그는 요정의 무리를 따라 ''시드''로 가서, 그에게 그가 본 것은 1년 후에 일어날 일의 환영이며, 그의 인간 동료들에게 경고하지 않으면 그렇게 될 것이라고 말하는 여자를 만난다. 그는 ''시드''를 떠나 아릴 막 마타에게 자신의 환영을 알리고, 아릴은 시드를 파괴한다.

3. 4. 오웨이나갓 (Oweynagat)

오웨이나갓은 라흐 크루어한 유적지에 있는 동굴이다.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따르면 이곳은 메브 여왕의 탄생지이다.[2]

"시드"라고 불리는 것이 오웨이나갓인지, 아니면 라스크로건 자체의 언덕인지는 불분명하다.

내부 상인방에는 오검 비문이 새겨져 있다. 전체 문구는 불분명하지만 ""와 ""이라는 단어가 번역되었다. 이것이 메브 여왕과 관련된 'Fraech'와 동일한 인물인지 불분명하다.

18세기 이야기에는 달아나는 암소를 잡으려다 동굴로 따라 들어간 한 여성이 수 마일 떨어진 슬리고 주의 케시코란에서 나타났다는 이야기가 있다.

전통적인 이야기에서 사윈 동안 다양한 파괴적인 생물들이 오웨이나갓에서 나타났다.[2]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오웨이나갓''이라는 이름은 쿠 훌린에 의해 길들여지기 전에 동굴에서 나와 세 명의 얼스터 전사들을 공격하는 "브리크루의 잔치"에 등장하는 마법 고양이과 동물들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
  • ''엘렌 트레첸''은 코날 케르나흐의 아버지인 아메르긴 막 에킷에 의해 죽기 전까지 전국을 휩쓸었던 머리가 셋 달린 괴물이었다.
  • 동굴에서 작은 붉은 새들이 나와 숨을 쉬는 모든 식물을 시들게 했고, 이후 붉은 가지 기사단에 의해 사냥당했다.
  • 비슷한 부패력을 가진 돼지 떼가 동굴에서 튀어나왔고, 아릴과 메브는 필사적으로 그들을 사냥하려 했지만 돼지의 사라지는 능력과 잡힌 살을 떨어뜨리는 능력에 대처해야 했다.


3. 5. 모리안 (The Morrígan)

모리안은 『타인 보 레그마나』에서 외다리 밤색 말을 끄는 전차를 타고 이 동굴에서 나타난다. 그녀는 갈색 황소와 교배하기 위해, 갈라진 지팡이를 든 거인에게 이끌린 암소를 데려온다.[4] 또 다른 이야기에서 모리안은 오드라스라는 여자의 암소를 빼앗는데, 오드라스는 동굴로 따라 들어갔다가 마법에 걸려 잠든다. 잠에서 깨어난 오드라스는 모리안을 보고, 모리안이 주문을 속삭여 오드라스를 강으로 만든다.

4. 역사

아일랜드 정부는 이곳을 아일랜드 왕립 유적지로 지정했으며, 2021년에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를 신청했다.

라흐 크루어한 언덕의 추정 복원도(후기 철기 시대). JG O'Donoghue 제작. 사진 제공: 라흐 크루어한 방문자 센터


다른 왕실 유적지와 마찬가지로, 신화에서 묘사된 것처럼 라흐 크루어한이 왕의 거처나 요새였다는 것을 증명할 만한 역사적 기록이나 고고학적 증거는 거의 없다. 이 지역에서 가장 훌륭한 환상 요새는 기독교 시대에 만들어졌다. 라흐 크루어한은 중요한 묘지였으며, 많은 환상 고분들은 Tailtiu 및 타라와 함께 3대 매장지 중 하나로 언급되었다. 또한 집회 장소 또는 "오에나크"이기도 했다. 모든 회의와 "오에나크"는 종교적 및 장례 전통의 일부였으며, 테일티우의 묘지에서 집회가 열린 것처럼(19세기까지도) 크루어한에서도 집회가 열렸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메브 여왕이 실제로는 지역의 대지 여신이며, 타라의 메브 레더르그와 매우 유사하다고 믿는다. 왕이 된다는 것은 땅과 결혼하여 크루어한과 하나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대관식은 라흐 크루어한 언덕 자체에서 거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크루어한의 종교적 중요성은 기독교의 도래 이후 감소했는데, 이는 오앵거스의 순교록의 서문에서 크루어한의 권력 종말과 클론맥노이스의 부상을 대조하여 강조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5]

새롭게 등장한 작가들은 이와 같은 유적지에서 실제로 일어난 일을 기록하지 않았다. 크루어한의 ''시드''가 아릴과 메브에 의해 공격받는 이야기를 전개하는 한편, 오웨나가트를 아일랜드의 지옥문이라고 지칭했다. 서기 1세기가 끝날 무렵, 여러 개의 라스가 이 부지에 건설되었다. 이 중 일부는 나중에 지하 터널을 포함했는데, 오웨나가트 위에 세워진 터널의 입구는 코노트에서만 나타나는, 아일랜드 남서부에서만 주로 발견되는 부지에서 가져온 서 있는 오검석을 사용했다.

이 지역에는 중세 시대의 밭둑이 흩어져 있으며, 가장 좋은 예는 릴리그 나 리 주변에 있다. 이는 크루어한이 초기 중세 시대 요새가 인접한 툴스크에 부속되어 주요 방목지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근처의 또 다른 특징인 카르프리 언덕은 코노트의 오코너 왕들의 대관식 장소로 사용되었다. 기념비 사이에는 작은 집단 또는 ''sean bhaile''이 있었는데, 이는 중세 시대 이후에도 오랫동안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음 중요한 발전은 18세기 중반에 시작된 측량으로, 가브리엘 베랭거가 크루어한 언덕을 그린 컬러 드로잉으로 강조된다. 이 작업은 1830년대에 측량국에 의해 계속되었으며, 그들은 지역의 도움을 받아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기념비의 이름을 지정했다. 라흐 크루어한 언덕 주변에서 물리적인 발굴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레이더 및 자기 조사를 통해 라흐 크루어한, 타라, 에마인 마차 사이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특징이 드러났다. 1999년, 크루어한 에이 방문자 센터가 툴스크에 완공되어 라흐 크루어한, 카르프리, 툴스크 자체에 대한 최신 연구 업데이트를 전시했다.

동굴에 대한 역사적 언급은 14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는 아일랜드의 삼위일체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아일랜드에서 가장 어두운 세 곳"이라는 제목 아래 "Úam Chnogbaga, Úam Slángæga 그리고 Dearc Fearnaga"가 나열되어 있다. 마지막 단어는 '오리나무 동굴'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현재의 던모어 동굴로 여겨진다.[6] 앞의 두 단어는 노스의 동굴과 슬라니의 동굴로 번역된다. 슬라니 강 근처의 어떤 동굴/통로 무덤 시스템이 언급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발팅라스에 있는 것이다. 다른 자료에서는 나열된 위치를 라흐 크로한, 슬란의 동굴 또는 지하 묘지[7] 및 "고사리 동굴"으로 번역한다.

5. 고고학

Ráth Cruachanga아일랜드 정부에 의해 아일랜드 왕립 유적지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를 신청했다.[5]

다른 왕실 유적지와 마찬가지로, 신화에서 묘사된 것처럼 Ráth Cruachanga이 왕의 거처나 요새였다는 것을 증명할 만한 역사적 기록이나 고고학적 증거는 거의 없다. 이 지역에서 가장 훌륭한 환상 요새는 기독교 시대에 만들어졌다. Ráth Cruachanga은 Tailtiu 및 타라와 함께 3대 매장지 중 하나로 언급되는 중요한 묘지였으며, 종교적 및 장례 전통의 일부였던 집회 장소 또는 "오에나크"이기도 했다. 테일티우에서 19세기까지 집회가 열렸던 것처럼 크루어한에서도 집회가 열렸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메브 여왕이 실제로는 지역의 대지 여신이며, 타라의 메브 레더르그와 매우 유사하다고 믿는다. 왕이 된다는 것은 땅과 결혼하여 크루어한과 하나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대관식은 라흐 크루어한 언덕 자체에서 거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기독교 도래 이후 크루어한의 종교적 중요성은 감소했는데, 오앵거스의 순교록 서문에서 크루어한의 권력 종말과 클론맥노이스의 부상을 대조하여 강조하고 있다.[5]

새롭게 등장한 작가들은 이와 같은 유적지에서 실제로 일어난 일을 기록하지 않았고, 크루어한의 ''시드''가 아릴과 메브에 의해 공격받는 이야기를 전개하는 한편, 오웨나가트를 아일랜드의 지옥문이라고 지칭했다. 서기 1세기가 끝날 무렵, 여러 개의 라스가 이 부지에 건설되었다. 이 중 일부는 나중에 지하 터널을 포함했는데, 오웨나가트 위에 세워진 터널 입구는 코노트에서만 나타나는, 아일랜드 남서부에서만 주로 발견되는 부지에서 가져온 오검석을 사용했다.

이 지역에는 중세 시대 밭둑이 흩어져 있으며, 가장 좋은 예는 릴리그 나 리 주변에서 발견된다. 이는 크루어한이 초기 중세 시대 요새가 인접한 툴스크에 부속되어 주요 방목지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근처의 또 다른 특징인 카르프리 언덕은 코노트 오코너 왕들의 대관식 장소로 사용되었다. 기념비 사이에는 작은 집단 또는 ''sean bhaile''이 있었는데, 중세 시대 이후에도 오랫동안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중반 가브리엘 베랭거가 크루어한 언덕을 그린 컬러 드로잉을 통해 측량이 시작되었고, 1830년대 측량국이 이 작업을 이어받아 지역의 도움을 받아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기념비 이름을 지정했다.

라흐 크루어한 언덕 주변에서 물리적인 발굴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레이더 및 자기 조사를 통해 라흐 크루어한, 타라, 에마인 마차 사이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특징이 드러났다. 1999년, 크루어한 에이 방문자 센터가 툴스크에 완공되어, Ráth Cruachanga, 카르프리, 툴스크 자체에 대한 최신 연구 업데이트를 전시했다.

14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는 아일랜드의 삼위일체에서 "아일랜드에서 가장 어두운 세 곳" 중 하나로 동굴에 대한 역사적 언급을 찾아볼 수 있는데, "Úam Chnogbaga, Úam Slángæga 그리고 Dearc Fearnaga"가 나열되어 있다.[6][7]

라흐 크루어한 단지는 약 약 10.36km2에 걸쳐 240개 이상의 고고학 유적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 중 60개는 국립 기념물로 분류된다. 이 유적들은 신석기 시대부터 중세 시대까지 다양하며, 기념물 유형에는 매장 고분, 환상 요새, 선형 토루 및 울타리가 포함된다.

5. 1. 주요 유적

라흐 크루어한은 아일랜드 콘나흐타 지역의 왕실 유적지로, 여러 고대 유물들이 남아있다. 주요 유적은 다음과 같다.

  • 라스크로건 언덕 (Rathcroghan mound): 라흐 크루어한 단지의 중심지로, 지름 89m, 높이 5.5m의 원형 언덕이다. 타라, 에이만 마차, 던 알린과 같은 다른 왕실 유적과 유사하게 지름 360m의 거대한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다.[8]
  • 라스모어 (Rathmore): "큰 요새"라는 뜻의 언덕으로, 지름 40m이며 해자로 둘러싸여 있다. 철기 시대 후기부터 중세 초기 거주지로 사용된 흔적이 발견되었다.
  • 라스 나 드타르브 (Rath na dTarbh): "황소의 요새"라는 뜻으로, 토인 보 컬린에서 돈 쿠알린게와 핀벤나흐 황소의 싸움이 벌어진 장소로 전해진다.
  • 릴리그 나 리 (Reilig na Rí): "왕들의 묘지"라는 뜻으로, 지름 100m의 원형 울타리이다. 내부에 더 작은 울타리와 5개의 집터가 있으며, 1872년 발굴에서 동물 뼈가 발견되었다.[1]
  • 오웨이나갓 (Oweynagat): "고양이의 동굴"이라는 뜻으로, 메브 여왕의 탄생지로 알려져 있다. 입구에는 'VRAICCI...MAQI MEDVVI' (오검 비문)가 새겨져 있는데, "메드브의 아들, 프라에흐의"라는 뜻이다.[2]
  • 다티의 무덤 (Dathí's Mound): 다티 왕의 매장지로 알려져 있지만, 발굴 결과와 연대가 맞지 않아 논란이 있다.
  • 기타 유적: 미스관 메브(쓰러진 입석), 고대 가도 등이 있다.

5. 1. 1. 라스크로건 언덕 (Rathcroghan mound)

조셉 펜윅이 촬영한 라흐 크루어한 언덕의 항공 사진


라흐 크루어한 단지의 중심지인 이 언덕은 밑면의 평균 지름이 89m이고 높이가 5.5m인 넓고 평평한 원형 언덕이다. 동쪽과 서쪽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경사로가 정상으로 이어지며, 정상에는 작은 언덕의 흔적이 있다. 조사 결과 라흐 크루어한 언덕은 두 개의 동심원 석조 링 뱅크로 만들어진 기존 기념물 위에 건설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지름이 360m이고 깊이가 5m에 달하는 거대한 울타리가 조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이 울타리는 거대한 언덕과 다양한 다른 기념물을 둘러싸고 있으며, 타라, 에이만 마차, 던 알린과 같은 아일랜드의 다른 왕실 유적과 비교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유적들은 유사한 울타리를 가지고 있다.[8]

5. 1. 2. 라스모어 (Rathmore)

이 언덕의 이름은 "큰 요새"로 직역된다. 모양은 볼록하며 지름은 40m이고, 너비 7m의 해자로 둘러싸여 있다. 풀로 덮인 가파른 경사면의 이 언덕은 철기 시대 후기부터 중세 초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앤언덕과 유사하지만, 언덕의 꼭대기는 너무 좁다고 여겨진다. 언덕 꼭대기에서 발견된 잠재적인 기둥 구멍은 이곳이 철기 시대 공동 회관 또는 이와 유사한 원형 구조물의 부지였음을 시사할 수 있다. 지구물리학적 조사는 난로, 구덩이 및 오븐의 흔적을 보여주며, 이는 언덕이 거주지로 사용되었음을 뒷받침한다.

5. 1. 3. 라스 나 드타르브 (Rath na dTarbh)

영어식 표기는 라스나다르브(Rathnadarve)이며, 이름은 영어로 '황소의 요새'를 의미한다. 라스크로건(Rathcroghan) 언덕 서쪽에는 상당한 둔덕과 외부 해자를 가진 커다란 원형 환상 요새가 있다. 둔덕에는 여러 갈라진 틈이 있는데, 북동쪽의 하나는 입구일 가능성이 있다. 이곳은 전통적으로 서사시 《토인 보 컬린》의 마지막 부분에서 황소 돈 쿠알린게(Donn Cuailnge)와 핀벤나흐(Finnbennach) 사이의 싸움이 벌어진 장소이다.

5. 1. 4. 릴리그 나 리 (Reilig na Rí)

영어식 표기는 Relignaree이며 아일랜드어에서 번역하면 '왕들의 묘지'를 의미한다. 이곳은 지름이 100m, 높이가 1m인 돌과 흙으로 된 둑이 있는 큰 원형 울타리이다. 울타리 내부에는 지름이 48m인 더 작은 원형 울타리의 흔적이 있다. 고대 경계 둑이 이 부지를 가로질러 뻗어 있어 부지를 4개의 불균등한 구획으로 나누는 것처럼 보이며, 5개의 직사각형 집터가 부지 안팎에서 보인다. 1872년에는 남서쪽 사분면에서 수테레인(지하 통로)의 유적이 발굴되었고 동물 뼈가 발견되었다.[1]

5. 1. 5. 오웨이나갓 (Oweynagat)



오웨이나갓은 부지 내에 있는 동굴이다.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따르면 이곳은 메브 여왕(퀸 메이브)의 탄생지이다.[2]

내부 상인방에는 오검 비문이 새겨져 있다. 전체 문구는 불분명하지만, ""와 ""이라는 단어가 번역되었다. 이것이 메브 여왕과 관련된 ''Fraech''와 동일한 인물인지는 불분명하다.

전통적인 이야기에서 사윈(Samhain) 동안 다양한 파괴적인 생물들이 오웨이나갓에서 나타났다.[2]

Oweynagat 동굴 내부 이미지 (Hamish Fenton 촬영)


이 유적지의 아일랜드 이름은 '고양이의 동굴'로 번역되는 Uaimh na gCat이다. 이곳은 입구에 인공적인 지하 통로가 있는 좁은 천연 석회암 동굴이다. 원래 지하 통로의 입구는 1930년대 도로 건설로 인해 훼손된 흙 무덤 안에 있었다.[9] 지하 통로는 깬돌 벽, 정방형 석재, 상인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구에서 천연 동굴까지 총 10.5m 정도 된다. 천연 동굴은 추가로 37m 더 뻗어 있다.

Oweynagat 상인방의 오검 비문


지하 통로 입구 바로 안쪽 상인방에는 'VRAICCI...MAQI MEDVVI'라고 적힌 오검 비문이 있다. 번역하면 '메드브의 아들, 프라에흐의'라는 뜻인데, 프라에흐는 《쿠얼레의 소도둑》에서 크루어한과 메드브와 연관되어 있다. 프라에흐는 또한 인근 기념물인 카른피(카른 프라에흐)와도 연관되어 있다. 통로 안쪽의 또 다른 상인방에는 두 번째 오검 비문이 있는데, 거의 보이지 않으며 'QR G SMU'라고 적혀 있다. 이 비문은 너무 불완전하여 정확한 판독이 불가능하다.

5. 1. 6. 다티의 무덤 (Dathí's Mound)

이 언덕은 아일랜드의 마지막 이교도 최고 군주인 다티의 매장지였다고 한다. 동쪽과 서쪽에 마주보는 입구가 있는, 전체 지름이 40m인 제방식 분묘로 보인다. 언덕 꼭대기에는 높이 1.85m인 붉은 사암 기둥이 있다. 1913년 맥알리스터의 조사에 따르면 이 언덕은 자연적인 자갈 능선에서 파낸 것이며, 1981년의 제한적인 발굴에서도 이것이 확인되었다. 이 발굴에서는 무덤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회수된 숯 샘플은 기원전 200년에서 서기 200년 사이로 건축 연대를 추정하게 한다. 이 연대는 다티가 서기 429년경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 장소의 생성 시점보다 최소 200년 이상 늦기 때문에, 다티의 마지막 안식처라는 전설과 상충된다.[1]

1900년경 다티의 언덕 스케치

5. 1. 7. 기타 유적


  • '''미스관 메브''' – 라흐 크루어한 언덕 근처에 위치한 쓰러진 입석.
  • '''고대 가도''' – 낮은 제방 두 개로 둘러싸인 가도 또는 길. 이 길의 일부는 중앙에 작은 언덕이 있는 유적인 라스크레그의 외부 원형 제방 및 도랑과 교차한다. 대략 15m 너비의 이 가도는 플래너건 요새(Flanagan's Fort)에서 끝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곳 역시 중앙에 작은 언덕이 있는 또 다른 환상 요새이다. 이 두 요새는 가도보다 늦게 건설되었다.

6. 연대기적 언급

다른 왕실 유적지와 마찬가지로, 신화에서 묘사된 것처럼 라흐 크루어한이 왕의 거처나 요새였다는 것을 증명할 만한 역사적 기록이나 고고학적 증거는 거의 없다. 이 지역에서 가장 훌륭한 환상 요새(Ringfort)의 예는 기독교 시대에 만들어졌다. 라흐 크루어한은 분명 중요한 묘지였으며, 많은 환상 고분들은 Tailtiu 및 타라와 함께 3대 매장지 중 하나로 언급한 필사본 작가들을 뒷받침하며, 집회 장소 또는 "오에나크"이기도 했다. 모든 회의와 "오에나크"는 종교적 및 장례 전통의 일부였으며, 테일티우의 묘지에서 집회가 열린 것처럼(19세기까지도) 크루어한에서도 분명히 집회가 열렸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메브 여왕이 실제로는 지역의 대지 여신이었으며, 타라의 메브 레더르그와 매우 유사했으며, 왕이 된다는 것은 땅과 결혼하여 크루어한과 하나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대관식은 라흐 크루어한 언덕 자체에서 거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믿는다. 크루어한의 종교적 중요성은 기독교의 도래 이후 감소했는데, 이는 오앵거스의 순교록의 서문에서 크루어한의 권력 종말과 클론맥노이스의 부상을 대조하여 강조한다.[5]

새롭게 등장한 작가들은 실제로 이와 같은 유적지에서 일어난 일을 기록하지 않았고, 크루어한의 ''시드''가 아릴과 메브에 의해 공격받는 이야기를 전개하는 한편, 오웨나가트를 아일랜드의 지옥문이라고 지칭했다. 서기 1세기가 끝날 무렵, 여러 개의 라스(rath)가 이 부지에 건설되었다. 이 중 일부는 나중에 지하 터널을 포함했는데, 오웨나가트 위에 세워진 터널의 입구는 코노트에서만 나타나는, 아일랜드 남서부에서만 주로 발견되는 부지에서 가져온 서 있는 오검석을 사용했다.

이 지역에는 중세 시대의 밭둑이 흩어져 있으며, 가장 좋은 예는 릴리그 나 리 주변에 있는데, 이는 크루어한이 초기 중세 시대 요새가 인접한 툴스크에 부속되어 주요 방목지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근처의 또 다른 특징인 카르프리 언덕은 코노트의 오코너 왕들의 대관식 장소로 사용되었다. 기념비 사이에 작은 집단 또는 ''sean bhaile''이 있었는데, 이는 중세 시대 이후에도 오랫동안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음 중요한 발전은 18세기 중반에 시작된 측량으로, 가브리엘 베랭거가 크루어한 언덕을 그린 컬러 드로잉으로 강조된다. 이 작업은 1830년대에 측량국에 의해 계속되었으며, 그들은 지역의 도움을 받아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기념비의 이름을 지정했다. 라흐 크루어한 언덕 주변에서 물리적인 발굴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레이더 및 자기 조사를 통해 라흐 크루어한, 타라, 에마인 마차 사이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특징이 드러났다.

동굴에 대한 역사적 언급은 14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는 아일랜드의 삼위일체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아일랜드에서 가장 어두운 세 곳"이라는 제목 아래 "Úam Chnogbaga, Úam Slángæga 그리고 Dearc Fearnaga"가 나열되어 있다. 마지막 단어는 '오리나무 동굴'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현재의 던모어 동굴로 여겨지며,[6] 앞의 두 단어는 노스의 동굴과 슬라니의 동굴로 번역된다. 슬라니 강 근처의 어떤 동굴/통로 무덤 시스템이 언급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발팅라스에 있는 것이다. 다른 자료에서는 나열된 위치를 라흐 크로한, 슬란의 동굴 또는 지하 묘지[7] 및 "고사리 동굴"으로 번역한다.

라흐 크루어한 단지에 대한 정보의 일부 출처는 연대기적 참고 문헌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참고 문헌은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라흐 크루어한에 대한 가장 초기의 연대기적 언급은 사대 명인 연대기에 나타나며 기원전 1681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서기 8세기까지, 이러한 초기 언급들은 원시 역사적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783년과 814년에 각각 크루어한에서 성 파트리치오 법과 성 키아란 법이 공포된 것은[10] 중세 시대까지 이 유적지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아마도 라흐 크루어한에 대한 가장 초기의 진정한 역사적 언급일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Oweynagat ('Cave of the Cats'), Co. Roscommon. https://cavesofirela[...] 2017-01-15
[2] 웹사이트 Inside the Irish ‘hell caves’ where Halloween was born https://www.national[...] 2023-09-26
[3] 서적 A Guide to Irish Mythology Irish Academic Press 1996
[4] 서적 A Guide to Irish Mythology Irish Academic Press 1996
[5] 서적 The Martyrology of Oengus the Culdee https://archive.org/[...] Harrison and Sons, 1905
[6] 서적 The Caves of Ireland Anvil Press
[7] 간행물 An account of a visit to the cave of Dunmore, Co. Kilkenny, with some remarks on human remains found therein https://archive.org/[...]
[8] 서적 Rathcroghan, Archaeological and geophysical survey in a ritual landscape Wordwell Books 2009
[9] 서적 Rathcroghan, Archaeological and geophysical survey in a ritual landscape Wordwell Books 2009
[10] 서적 The Annals of Ulster https://celt.ucc.ie/[...] Corpus of Electronic Texts (CEL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