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랴잔 대공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랴잔 대공국은 1097년에 독립하여 1521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병합될 때까지 존재했던 루스 공국이다. 1237년 몽골의 침략으로 수도가 파괴되었고, 이후 랴잔은 모스크바 대공국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프론스크 공국을 병합하며 영토를 확장했다. 1520년 마지막 대공 이반 5세가 체포·투옥된 후 리투아니아로 망명하면서 랴잔 대공국은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랴잔주의 역사 - 랴잔현
    랴잔현은 러시아 랴잔주에 있는 여러 군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이며, 각 군은 예고리예프스크, 자라이스크, 카시모프 등 여러 도시를 행정 중심지로 두고 랴잔시가 랴잔스키 군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키예프 루스의 공국 - 폴로츠크 공국
  • 키예프 루스의 공국 - 노브고로드 공화국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 동유럽에 존재했던 중세 국가로, 민회를 통해 공작을 선출하고 모피 무역과 한자 동맹을 통해 번성했지만, 1478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합병되었다.
  • 루스계 국가 -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는 9세기부터 13세기 동유럽에 존재했던 동슬라브족의 중세 국가로, 키예프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몽골 침략으로 멸망, 현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통된 역사적 기반으로 여겨진다.
  • 루스계 국가 - 트베리 대공국
    트베리 대공국은 1247년 시작되어 볼가 강 상류의 유리한 위치를 바탕으로 번성하며 모스크바와 경쟁했으나 킵차크 칸국의 영향력과 모스크바의 부상으로 쇠퇴, 1485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합병된 루스 공국이다.
랴잔 대공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1350년경 랴잔 공국
1350년경 랴잔 공국
기본 정보
공식 명칭랴잔 공국
완전한 공식 명칭랴잔 대공국
위치랴잔
종교러시아 정교회
언어러시아어
정치 체제군주제
입법부베체
통칭랴잔
역사
시작1129년
종료1521년
주요 사건모스크바 대공국에 합병
이전 국가체르니고프 공국
이후 국가모스크바 대공국
통치자
역대 통치자야로슬라프 1세 스뱌토슬라비치 (1097년 ~ 1129년)
이반 5세 이바노비치 (1500년 ~ 1521년)

2. 역사

랴잔 대공국의 역사는 초기, 몽골 침입기, 모스크바 대공국과의 관계, 멸망의 네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097년 야로슬라프 스뱌토슬라비치가 체르니고프 공국에서 독립하여 랴잔 공국을 세웠다. 1237년 바투가 랴잔을 공격하여 구 랴잔(현재의 스타라야 랴잔)을 완전히 파괴하고 수도를 페레슬라블랴잔스키(현재의 랴잔)로 옮겼다.

모스크바 대공 다니일 알렉산드로비치는 대귀족의 배신을 이유로 랴잔을 공격, 콘스탄틴 공작을 투옥했고, 이후 콘스탄틴과 그의 두 후계자는 조치 울루스 칸에게 살해되었다. 1380년 올레그 이바노비치는 쿨리코보 전투마마이의 동맹자로 참가했다.

랴잔 공국은 프로스크 공국과 갈등을 겪다가 1483년 안나 바실리예브나 섭정기에 프로스크 공국을 병합했다. 1520년 바실리 3세는 마지막 랴잔 대공을 크림 칸국 메흐메트 1세 기레이와 내통한 혐의로 투옥했다. 1521년 이반 5세리투아니아 대공국으로 망명, 랴잔 공국은 모스크바 대공국에 편입되었다.[2]

2. 1. 초기 역사 (1097년 ~ 1237년)

1097년 체르니히우 공국의 일부였던 무롬-랴잔 지역이 독립하여 랴잔 공국이 성립되었다. 초대 공작은 야로슬라프 스뱌토슬라비치로 추정된다.[3] 12세기 말, 랴잔 공국은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과 전쟁을 벌였으며, 이 과정에서 랴잔 시가 1186년부터 1208년까지 20년 만에 두 번이나 불탔다.

1217년, 공국 내부의 내전으로 여섯 명의 국가 지도자들이 글레프 블라디미로비치에 의해 살해되었다. 글레프 블라디미로비치는 쿠만족의 지원을 받아 랴잔을 블라디미르 공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 했으나, 이고르 이고레비치에게 패배하였다. 이후 이고르 이고레비치가 공국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

1237년 12월, 랴잔 공국은 몽골의 침공으로 가장 먼저 피해를 입은 키예프 루스 국가들 중 하나였다. 공국은 완전히 휩쓸렸고, 거의 모든 왕족이 사망했으며, 수도는 파괴되었다. 이후 수도는 오늘날 랴잔 스타라야(Old Ryazan)로 알려진 원래 위치에서 북쪽으로 약 64.37km 떨어진 현재의 랴잔 위치로 옮겨졌다.

2. 2. 몽골 침입과 골든 호드 시기 (1237년 ~ 14세기)

1237년 겨울, 몽골 제국의 바투가 이끄는 군대가 랴잔을 침공하여 함락시켰다. 이 과정에서 수도였던 구 랴잔(현재의 스타라야 랴잔)은 완전히 파괴되었고, 수많은 주민들이 학살되었다.[1] 이후 공국의 수도는 페레슬라블랴잔스키(현재의 랴잔)로 옮겨졌다.[1]

랴잔 공국은 킵차크 칸국(골든 호드)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며, 랴잔의 공작들은 칸의 허락을 받아 통치해야 했다.[1] 1301년, 모스크바 공작 다닐 알렉산드로비치는 보야르(대귀족)들의 배신을 이유로 랴잔을 점령하고 콘스탄틴 공작을 투옥했다.[1] 1305년 다닐의 아들 유리는 콘스탄틴을 처형했다.[1] 콘스탄틴의 다음 두 후계자 역시 킵차크 칸국에 의해 살해되었다.[1]

1380년 쿨리코보 전투에서 랴잔 공작 올레그 2세는 마마이의 동맹군으로 참전했으나,[1] 비밀리에 모스크바를 지원하기도 했다.

2. 3. 모스크바 대공국과의 관계 및 멸망 (14세기 ~ 1521년)

1301년, 다니엘은 보야르들의 배신으로 랴잔을 점령하고, 콘스탄틴 로마노비치ru 공작을 투옥했다.[1] 1305년에는 다니엘의 아들 유리가 콘스탄틴을 살해했다.[1] 콘스탄틴의 다음 두 후계자는 킵차크 칸국에 의해 살해되었다.[1] 1371년, 모스크바 군은 스코르니셰보 전투에서 올레그 2세 이바노비치를 격파했고, 그는 6개월 동안 추방되었다가 왕좌로 돌아왔다.[1] 1380년, 올레그 2세는 쿨리코보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마마이의 동맹이었다.[1]

랴잔 공국은 프론스크 공국과 갈등을 겪었고, 1483년 랴잔의 안나 섭정 기간 동안 프론스크를 병합했다.[2]

1520년, 바실리 3세크림 칸 메흐메트 1세와 관계를 맺었다는 이유로 마지막 랴잔 대공 이반 5세를 체포하여 투옥했다.[2] 1521년, 이반 이바노비치리투아니아 대공국으로 도망쳤고,[2] 랴잔 대공국은 모스크바 공국에 병합되었다.[2]

3. 역대 군주

랴잔 공국의 역대 군주 목록은 다음과 같다. 랴잔 공국은 1129년 무롬 공국에서 분리 독립한 후 1521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병합될 때까지 존속했다.

초대 군주는 야로슬라프 1세 스뱌토슬라비치로, 그는 무롬 공으로서 랴잔 공국 영토를 함께 다스렸다. 1237년 몽골의 루스 침공으로 구 랴잔이 파괴된 후, 공국의 중심지는 페레슬라블랴잔스키(현재의 랴잔)로 옮겨졌다.

랴잔 공국은 모스크바 대공국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다니일 알렉산드로비치는 랴잔의 군주 콘스탄틴 공작을 체포·투옥했고, 콘스탄틴은 유리 3세에 의해 살해되었다. 쿨리코보 전투(1380년)에서 랴잔 공작 올레그 2세 이바노비치는 마마이의 동맹으로 참전했지만, 비밀리에 모스크바를 지원했다는 기록이 있다.

1483년 안나 바실리예브나의 섭정 시대에 프로스크 공국을 병합했다. 1520년, 바실리 3세는 마지막 랴잔 대공을 크림 칸국과의 내통 혐의로 체포·투옥했다. 1521년, 마지막 대공 이반 5세가 리투아니아 대공국으로 망명하면서 랴잔 공국은 모스크바 대공국에 완전히 병합되었다.


  • ・는 랴잔 공(크냐즈)을, ○는 랴잔 대공(벨리키 크냐즈)을 칭한다.


재위 기간군주비고
1127년 - 1129년야로슬라프 1세 스뱌토슬라비치무롬 공으로서 랴잔 공국 영토 통치
1129년 - 1143년・스뱌토슬라프 야로슬라비치
1143년 - 1145년・로스티슬라프 야로슬라비치
1145년 - 1147년・글레프 로스티슬라비치
1147년 - 1147년・다비드 스뱌토슬라비치
1148년 - 1148년・이고리 스뱌토슬라비치
1151년 - 1153년・글레프 로스티슬라비치복위
1153년 - 1161년○블라디미르 스뱌토슬라비치
1161년 - 1178년○글레프 로스티슬라비치복위
1178년 - 1207년로만 1세 글레보비치((ru))
1208년 - 1208년야로슬라프 블라디미로비치
1212년까지블라디미르 대공국 파견 나메스트니크공작 대리 통치
1212년 - 1217년/1218년・글레프 블라디미로비치
1213년 - 1217년 ?로만 2세 이고레비치대공 혹은 분할 공국
1217년 - 1235년・잉바르 1세 이고레비치((ru))
1235년 - 1237년○유리 이고레비치
1237년 - 1252년・잉바르 2세 잉바레비치((ru))몽골의 루스 침공으로 구 랴잔 파괴, 페레야슬라블 랴잔스키 천도
1252년 - 1258년○올레그 1세 잉바레비치"적공"
1258년 - 1270년○로만 3세 올레고비치((ru))성인
1270년 - 1294년○표도르 1세 로마노비치
1294년 - 1299년○야로슬라프 2세 로마노비치
1299년 - 1301년・콘스탄틴 로마노비치
1301년 - 1308년・바실리 1세 콘스탄티노비치
1308년 - 1327년○이반 1세 야로슬라비치
1327년 - 1342년・이반 2세 이바노비치 콜로토폴((ru))
1342년 - 1343년○야로슬라프 3세 알렉산드로비치((ru))
1343년 - ?년○이반 알렉산드로비치
?년 - 1349년○바실리 2세 알렉산드로비치
1350년 - 1371년○올레그 2세 이바노비치((ru))
1371년 - 1372년○블라디미르 드미트리에비치((ru))
1372년 - 1402년○올레그 2세 이바노비치복위
1402년 - 1408년○표도르 2세 올레고비치
1408년 - 1409년 이후○이반 블라디미로비치
1409년 이후 - 1427년○표도르 2세 올레고비치복위
1427년 - 1456년○이반 3세 표도로비치
1456년 - 1462년바실리 2세 바실리예비치모스크바 대공 겸임
1462년 - 1464년이반 4세 바실리예비치모스크바 대공 겸임, 나메스트니크 통치
1464년 - 1483년○바실리 이바노비치 트레트노이
1483년 - 1500년○이반 바실리에비치
1500년 - 1521년○이반 5세 이바노비치


3. 1. 무롬

체르니히우 공국의 일부였던 무롬-랴잔은 야로슬라프 스뱌토슬라비치가 키예프 대공국의 세볼로드 올고비치에 의해 체르니히우에서 쫓겨난 후, 1129년에 그가 사망한 후에도 그의 후손들이 소유하게 되면서 독립적인 공국이 되었다.[3]

야로슬라프 1세는 무롬 공으로서 랴잔 공국 영토도 통치했다. 야로슬라프 사후 유리, 스뱌토슬라프, 로스티슬라프 3인에 의해 무롬 공국의 공동 통치가 이루어진 후, 무롬 공국으로부터 '''랴잔 공국'''과 프로른스크 공국이 분리되었다.

  • 1127년 - 1129년: 야로슬라프 1세 스뱌토슬라비치

3. 2. 랴잔

Рязаньru

  • 1129년–1143년: 스뱌토슬라프 랴잔 공작 (야로슬라프 1세의 아들)[1]
  • 1143년–1145년: 로스티슬라프 랴잔 공작 (수즈달에 랴잔을 빼앗겼지만, 쿠만족을 이용하여 되찾음)[1]
  • 1145년–1178년: 글레브 1세 랴잔 공작 (블라디미르와 모스크바를 약탈했지만, 블라디미르에서 포로로 죽음)[1]
  • 1180년–1207년: 로만 1세 랴잔 공작 (블라디미르 대공 모든 볼로도 대공의 봉신으로 통치했지만, 감옥에서 죽음)[1]
  • 1208년–1208년: 야로슬라프 2세 랴잔 공작 (모든 볼로도 대공의 아들)[1]
  • 1208년–1212년: 블라디미르의 섭정[1]
  • 1212년–1217년: 로만 2세 랴잔 공작 (로만 1세의 조카, 블라디미르에 포로로 잡혔지만, 그들의 봉신으로 풀려남)[1]
  • 1217년–1218년: 글레브 2세 랴잔 공작 (로만 1세의 조카, 블라디미르를 위해 삼촌을 배신하고 쿠만족을 이용하여 로만 2세와 그의 친척 6명을 처형함)[1]
  • 1218년–1235년: 잉바르 1세 랴잔 공작 (로만 2세의 형제, 글레브 2세를 격파하고 추방함)[1]
  • 1235년–1237년: 유리 랴잔 공작 (그의 형제, 몽골족에게 살해당하고, 도시가 파괴됨)[1]

3. 3. 페레슬라블랴잔스키

Переяславль-Рязанскийru는 1237년 몽골의 침입으로 수도 랴잔이 파괴된 후 랴잔 대공국의 새로운 중심지가 되었다.

연도랴잔 공작비고
1237년–1252년잉바르 2세잉바르 1세의 아들, 그의 존재는 논쟁의 대상이다.[1]
1252년–1258년올레그 1세 랴잔 공작잉바르 2세의 형제, 콜롬나 전투에서 몽골군에 포로로 잡혔지만, 그들의 봉신으로 통치했고 수도사로 사망했다.[1]
1258년–1270년로만 3세올레그 1세의 아들, 몽골 봉신으로 통치했지만 그의 신앙 때문에 처형되었다. 성인.[1]
1270년–1294년표도르 1세 랴잔 공작로만 3세의 아들, 1278년과 1288년에 타타르족의 습격에 저항했다.[1]
1294년–1299년야로슬라프 3세 랴잔 공작표도르 1세의 아들[1]
1299년–1301년콘스탄틴 랴잔 공작야로슬라프 3세의 형제, 모스크바에서 처형되었다.[1]
1301년–1308년바실리 1세 랴잔 공작콘스탄틴의 아들, 골든 호드에서 처형되었다.[1]
1308년–1327년이반 1세 랴잔 공작야로슬라프 3세의 아들, 골든 호드에서 처형되었다.[1]
1327년–1342년이반 2세 코로토폴이반 1세의 아들, 망명 중에 사망했다.[1]
1342년–1344년야로슬라프 4세 랴잔 공작이반 2세의 사촌, 타타르족의 도움으로 왕위를 찬탈했다.[1]
1344년–1350년바실리 2세 랴잔 공작야로슬라프 4세의 사촌[1]
1350년–1402년올레그 2세 랴잔 공작이반 2세의 아들, 1380년 쿨리코보 전투에서 타타르족 편에서 싸웠지만, 비밀리에 그의 군대의 대부분을 모스크바를 돕기 위해 보냈다.[1]
1402년–1427년표도르 2세 랴잔 공작올레그 2세의 아들, 드미트리 돈스코이의 딸과 결혼하여 모스크바와 동맹을 맺었다.[1]
1427년–1456년이반 3세 랴잔 공작표도르 2세의 아들, 골든 호드에 대한 충성을 포기했다.[1]
1456년–1483년바실리 3세 랴잔 공작이반 3세의 아들, 모스크바 궁정에서 자랐으며, 이반 3세 러시아 대공의 여동생과 결혼하여 모스크바의 동맹이 되었다.[1]
1483년–1500년이반 4세 랴잔 공작바실리 3세의 아들, 이반 3세 러시아 대공에게 충성을 맹세했다.[1]
1500년–1521년이반 5세 랴잔 공작이반 4세의 아들, 마지막 대공, 1534년 리투아니아에서 사망.[1]


4. 정치

랴잔 대공국의 초대 군주는 체르니고프 공작이자, 이후 무롬 공이자 랴잔 공작이 된 야로슬라프 스뱌토슬라비치로 추정되며, 1097년에 공국은 독립했다.[1] 1237년 12월, 몽골의 루스 침공 초기 랴잔은 몽골 제국 황자 바투의 랴잔 포위전 공격으로 황폐화되었고, 구 랴잔(현재의 스타라야 랴잔, 스파스스크-랴잔스키 근교)은 완전히 파괴되어 페레슬라블랴잔스키(현재의 랴잔)로 천도했다.[1] 모스크바 대공 다니일 알렉산드로비치는 대귀족의 배신을 처벌하기 위해 랴잔을 공격하여 랴잔의 군주 콘스탄틴 공작을 체포·투옥했다.[1] 다니일 사후, 그의 아들 유리 3세는 조치 울루스의 칸에게 콘스탄틴을 살해하도록 명령받았다.[1] 콘스탄틴의 두 후계자도 조치 울루스에 소환되어 살해되었다.[1] 1380년, 올레그 이바노비치 공작은 마마이의 동맹자로서 쿨리코보 전투에 참가했다.[1]

랴잔 공국은 그 역사 후기에 프로스크 공국과 싸웠고, 1483년 안나 바실리예브나의 섭정 시대에 프로스크 공국을 병합했다.[1] 1520년, 모스크바 대공 바실리 3세는 마지막 랴잔 대공을 크림 칸국의 메흐메트 1세 기레이와 내통한 혐의로 체포·투옥했다.[1] 이듬해 1521년, 대공 이반 5세리투아니아 대공국으로 망명했고, 랴잔 공국은 모스크바 대공국 영토에 편입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Ryazan https://www.britanni[...]
[2] 서적 Byzantium and the rise of Russia: a study of Byzantino-Russian relations in the four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 서적 The crisis of medieval Russia, 1200-1304 Routledge, Taylor and Francis 2014
[4] 서적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Volume 1
[5] 서적 A history of Russian law: from ancient times to the Council Code (Ulozhenie) of Tsar Aleksei Mikhailovich of 1649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