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브고로드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 존재했던 동슬라브 국가로, 현재 러시아 서부에 위치한 노브고로드를 중심으로 번영했다. 키예프 루스의 일부였으나, 1136년 공작을 추방하며 자치 공화국으로 발전했다. 베체(민회)가 정치의 중심이었으며, 상업과 모피 무역으로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14세기부터 모스크바 대공국의 위협을 받았으며, 1478년 이반 3세에 의해 정복당하며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유럽사 -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는 9세기부터 13세기 동유럽에 존재했던 동슬라브족의 중세 국가로, 키예프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몽골 침략으로 멸망, 현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통된 역사적 기반으로 여겨진다. - 동유럽사 - 노브고로드 루스
노브고로드 루스는 9세기부터 15세기까지 현재 러시아 북서부에 존재했던 중세 국가로, 키예프 루스 시대 이후 공화정을 거치며 한자 동맹과의 무역으로 번성하고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1478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정복되었다. - 킵차크 칸국의 조공국 및 봉신국 - 불가리아 제2제국
불가리아 제2제국은 1185년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여 1396년 오스만 제국에 멸망할 때까지 존속했으며, 칼로얀과 이반 아센 2세 시대에 전성기를 누리고 비잔틴 제국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 킵차크 칸국의 조공국 및 봉신국 -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은 1054년 분할된 영토에서 시작되어 볼가강 상류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와 프세볼로드 3세 시기에 강성해졌으나 1238년 몽골의 침략으로 멸망하고 모스크바 공국에 흡수되었다. - 키예프 루스의 공국 - 폴로츠크 공국
- 키예프 루스의 공국 - 랴잔 대공국
랴잔 대공국은 키예프 루스 북동부에 위치했던 공국으로, 체르니히우 공국에서 분리되어 독립했으나 몽골 침입과 킵차크 칸국의 영향력 아래 놓인 후 모스크바 공국과의 경쟁 끝에 러시아 차르국에 합병되었다.
노브고로드 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주 노브고로드 대공 (고대 교회 슬라브어) |
공식 명칭 (러시아어) | 노브고로드 공화국 |
별칭 | 노브고로드 공국 |
위치 | 러시아 |
종교 | 러시아 정교회 |
데모님 | 노브고로드인 |
수도 | 노브고로드 |
공용어 | 교회 슬라브어 (문학), 고대 노브고로드 방언 |
통화 | 사용 기록 없음 |
현재 국가 | 러시아 |
![]() | |
![]() | |
정치 | |
정치 체제 | 혼합 공화정 |
입법부 | 베체, 영주 평의회 |
지도자 칭호 | 공작 |
첫 번째 공작 | 스뱌토슬라프 올고비치 |
첫 번째 공작 재임 기간 | 1136년–1138년 |
마지막 공작 | 이반 3세 |
마지막 공작 재임 기간 | 1462년–1478년 |
역사 | |
성립 | 1136년 |
소멸 | 1478년 |
이전 국가 | 키예프 루스 |
이후 국가 | 프스코프 공화국, 모스크바 대공국, 페름 대공국 |
주요 사건 | 1136년 노브고로드인이 프린스 프세볼로드 므스티슬라비치를 폐위하고 투옥함. |
주요 사건 상세 | 노브고로드의 공작은 베체의 초청으로 즉위했으며, 베체는 그들을 해임할 수도 있었음. |
언어 | |
공용어 상세 | 고대 노브고로드 방언은 15세기에 소멸된 (고대) 러시아어의 방언으로 여겨짐. |
군사 | |
군대 | 무장한 노브고로드 부대 (수천 명 규모) |
군대 특징 | 북부 지역의 식민지를 점령하고 볼가 강과 카마 강에서 강도 원정을 벌이기 위해 특정 직업이 없는 사람들의 귀족으로 형성됨. |
군대 명칭 | 우슈쿠이니키 |
2. 역사
소비에트 시대 마르크스주의 학자들은 노브고로드의 정치 체계를 '봉건 공화국'이라 칭하며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서 말하는 시대 구분에 적용하려 했다.[134]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루스에 중세 서유럽과 같은 봉건제가 존재했는지 의문시한다.[135] 노브고로드인들은 자신들의 국가를 “존엄한 대(大) 노브고로드” 또는 “대(大) 노브고로드”라고 불렀다.[136] 수도 노브고로드 시와 그 광대한 배후 지역은 “노브고로드 강역”이라 칭하였다.
노브고로드 지역은 서로 지배권을 놓고 끊임없이 전쟁을 벌이던 다양한 동슬라브족 부족이 거주했으나, 9세기 초 협상을 통해 군사적 공격을 종식시키기 위한 합의를 이루었다.[14]
노브고로드는 본디 키예프 루스의 전신인 노브고로드 루스의 수도로서 882년에 올레크 베시가 키예프에 도읍하기 이전까지 루스인들의 실질적 수도로 기능하였다. 882년부터 1019 ~ 1020년 사이에는 키예프 루스에 속하였으며, 키예프 대공이 노브고로드 공작을 임명하였다. 루스인의 정신적 중심지였던 노브고로드에는 21세기 현재에도 기독교 전래 이전 전통적 종교 유적들이 남아 있다.
노브고로드는 블라디미르 1세를 지원하고 야로슬라프 1세의 대공위 즉위에도 실력을 행사하는 등 루스인 정치에서 중심 역할을 수행했다. 야로슬라프 1세는 자신을 도와준 노브고로드 시민들에게 상당한 자유권과 특혜를 보장해 주었는데, 이때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기반이 마련된 것으로 본다. 키예프 루스의 한 지방이었지만, 노브고로드는 점차 독립적인 강력한 지역 중심지로 발전했다.
12세기 중반까지 키예프 대공에 의해 임명되던 포사드니크와 티스야츠키 공관을 노브고로드의 보야르들이 지배하기 시작했다. 1136년, 노브고로드인들은 공작 프세볼로트 1세를 쫓아낸 후 1.5 세기에 걸쳐 숱한 공작들을 초빙하고 또 쫓아냈다. 다만 이는 노브고로드의 독립적인 판단이라기보다는, 루스 민족 공후(크냐지)들 중 누가 더 강력한가에 따라 행해졌다.[129]
도시 형태는 850년대에 갖춰졌고, 862년 라도가에 정권이 세워졌다. 루스 카간국 또는 그 국가군으로 여겨지는 이 시대 노브고로드는 홀름가르드라고 불렸다. 루스라는 바랴그 지배 하의 건국자들에 이어 스웨덴・바이킹(바랴그) 류리크가 노브고로드를 정복, 879년까지 정권에 머물렀다. 류리크 시대는 루스 중심지였으나, 후계자가 키예프로 옮겨감에 따라 정치 중심지는 키예프 대공국으로 이동했다.
스타라야루사, 스타라야라도가, 토르조크, 오르셰크 등은 노브고로드 공화국 강역에 속했다. 13세기 노브고로드 대주교 대리가 스타라야라도가를 다스렸다는 기록도 있다. 프스코프는 13세기부터 프스코프 공화국이라는 사실상 독립국이 되어 한자 동맹에 가입했다. 다우만타스(1240년경 ~ 1299년경), 브세볼로드( ~ 1138년) 등은 노브고로드 간섭 없이 프스코프를 통치했다. 1348년 볼로토보 조약으로 프스코프는 완전히 독립했으나, 노브고로드 대주교는 1589년까지 "대노브고로드와 프스코프의 대주교" 직함을 유지하며 프스코프 교회를 대표했다.[18]
12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동쪽과 북동쪽으로 팽창, 오네가호 주위, 세베르나야드비나강 유역, 백해 연안을 탐험했다. 14세기 초에는 북빙양, 바렌츠해, 카라해, 서시베리아 오비강을 탐험했고, 우랄산맥 북부 우그리아족은 대노브고로드에 종속되었다. 공화국 북부 지방은 모피, 해양 동물상, 소금 등이 풍부하여 노브고로드에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했다.[18]
1113년까지 키예프 대공에게 조공을 바친 후, 노브고로드 공국의 행정 체제가 성숙해졌다. ''티샤츠키''와 ''포사드니크''는 보야르를 임명하고 지배 영토에서 세수를 징수했다. 1130년대 헌장에는 30개 행정 관직이 언급되어 있으며, 여기서 정기적으로 징수된 세수는 노브고로드 주교에게 십일조로 보내졌다. 12세기 내내 발트해-볼가강-카스피해 무역로를 활용, 무역뿐 아니라 비옥한 오카강 지역 식량을 도시로 운송했다.[18]
1136년, 노브고로드인들은 공작 브세볼로트 므스티슬라비치를 해임하고 이후 1세기 반 동안 여러 공작을 초청, 해임했다. 이는 당시 루스의 지배적인 공작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노브고로드의 독립적 판단은 아니었다.[20]
로스토프-수즈달은 중요한 오카 지역과 셰크스나 강을 따라 뻗어 있었다. 이 강을 지배하는 자는 노브고로드 식량 공급을 차단, 기근을 유발할 수 있었다. 이러한 두려움으로 1134년 노브고로드는 수즈달을 침략했으나 실패했고, 1149년 재시도하여 성공했다. 혹은 수즈달을 달래기 위해 일부 수즈달인을 통치자로 받아들였다. 그럼에도 수즈달은 두 번이나 노브고로드 무역을 차단하고 조공을 가로챘다.[18]
지중해, 흑해, 발트해를 잇는 "바랑기아에서 그리스로의 길" 발트해 쪽에 위치한 노브고로드는 상업 도시로 번영했다. 동로마 제국, 이슬람 세계와 활발히 교역하며 막대한 부를 모았고, 12세기 전반에는 이반 상인단이라는 상인 조합이 등장했다.
1136년 폭동으로 프세볼로트가 추방된 후 스뱌토슬라프가 노브고로드 공에 취임했다. 민회(베체) 정치 체제가 강했던 노브고로드는 이를 "12세기의 노브고로드 혁명"이라 부르며, 이때부터 공을 받들면서 "'''공화국'''"이 된 것으로 간주된다.
한자 동맹 4대 상관 중 하나였던 노브고로드는 목재, 밀랍, 모피 등을 수출했다.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시대는 북방 십자군이 한창이었지만, 핀란드, 카렐리아 지배권을 둘러싼 중세 스웨덴 왕국과의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도 계속되었다. 공국은 공세에 나섰으나 십자군 종료 후에도 분쟁은 계속되었고, 모스크바 대공국 정복 때까지 이어졌다. 1323년 국경 확정 조약(ru)으로 카렐리아는 동서로 분할되었다.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막내아들 모스크바 대공 다니엘 알렉산드로비치 이후 모스크바 영향이 강해져 노브고로드 공은 그의 혈통에 의해 겸임되었다.
1380년, 쿨리코보 전투.
14세기부터 트베리 대공국, 모스크바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노브고로드 지배권과 부를 노렸다. 트베리 대공국 미하일 야로슬라비치는 관리 파견으로 반발을 샀고, 노브고로드는 모스크바 공국과 협력했다. 트베리 대공국은 침략 우려가 있었지만, 모스크바 공국은 멀리 있어 보호해 줄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반 1세 시기 모스크바 대공국 성장은 노브고로드에 큰 위협이 되었다. 이반 1세, 시메온 이바노비치 등은 독립을 제한하려 했다. 1397년 모스크바 대공국의 세베르나야드비나강 유역 드비나 지역 병합으로 충돌이 발생했는데, 이 지역은 노브고로드 모피 생산에 중요했기 때문이다.[130] 이듬해 모스크바 대공국은 이 땅을 돌려주었다.
모스크바 대공국 압제에 저항하고자 노브고로드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동맹을 모색했다. 마르파 보레츠카야가 이끄는 '리투아니아당'이 이를 지지했다.
보레츠카야는 리투아니아 대공국 미하일 올렐코비치를 초청, 남편이자 노브고로드 지배자로 삼고 카지미에시 4세와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폴란드 왕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충성 가능성에 평민들은 동요했다. 학자들은 보레츠카야가 야젤비츠키 조약 위반 책임을 떠넘기기 위한 희생양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31]
노브고로드가 폴란드 왕국과 협력하려 한 것은 사실이며, 셸론강 전투 약탈품에서 조약 초안이 발견되었다.[132]
모스크바 대공국은 노브고로드 행동을 야젤비츠키 조약 위반으로 간주, 전쟁을 일으켰다. 1471년 7월 셸론강 전투에서 모스크바 대공국이 승리하며 노브고로드 자유는 크게 제한되었다. 7년간 형식적 독립을 유지했으나, 1478년 이반 3세가 도시를 점령, 베체를 파괴하고 도서관과 기록보관소를 불태웠다. 이반은 노브고로드 영토 81.7%를 차지, 절반은 자신의 땅으로, 나머지는 대공족들에게 분배했다.[133]
2. 1. 초기
노브고로드는 본디 키예프 루스의 전신인 노브고로드 루스의 수도로서 882년에 올레크 베시가 키예프에 도읍하기 이전까지 루스인들의 실질적 수도로 기능하였다. 882년부터 1019 ~ 1020년 사이에 노브고로드는 키예프 루스에 속하였으며, 키예프 대공이 노브고로드 공작을 임명하였다. 노브고로드는 루스인의 정신적 중심지로 기능하였다. 21세기 현재에도 노브고로드에는 기독교가 전래되기 이전, 먼 옛날에 숭배된 전통적 종교의 유적들이 남아 있다.노브고로드는 블라디미르 1세를 지원하면서 지속적으로 루스인의 정치에 있어 중심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야로슬라프 1세의 대공위 즉위에도 실력을 행사했다. 대공이 된 야로슬라프의 첫 번째 행동은 자신이 옥좌를 차지하는 것을 도와준 충성스러운 노브고로드 시민들에게 상당한 자유권과 특혜를 보장해 주는 것이었다. 이 때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기반이 마련된 것으로 본다. 여전히 키예프 루스의 한 지방이었지만, 노브고로드는 점점 힘을 키워 거의 독립적인 강력한 지역 중심지로 발전했다.
노브고로드의 보야르들은 12세기 중반까지 키예프 대공에 의해 임명되던 포사드니크와 티스야츠키 공관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1136년, 노브고로드인들은 공작 프세볼로트 1세를 쫓아냈다. 이후 1.5 세기에 걸쳐 그들은 숱한 공작들을 초빙하고 또 쫓아냈다. 다만 공작을 자기들이 영입하는 이 행위는 노브고로드가 완전히 독립적으로 생각하여 행했다기보다는, 그때 그때 루스 민족의 공후(크냐지)들 중 두드러지게 강력한 사람이 누구였는가에 따라 행해진 것이다.[129]
도시로서의 형태가 갖춰진 것은 서기850년대로 여겨진다. 862년, 라도가에 정권을 세웠다. 이 시대는 루스 카간국 또는 그 국가군으로 여겨지며, 노브고로드는 옛 이름으로 홀름가르드라고 불렸다. 카간국의 건국자는 루스라고 불리는 사람들로, 바랴그들에 의해 지배받았다. 그 후 스웨덴・바이킹(바랴그)의 류리크가 노브고로드를 정복했고, 류리크는 879년까지 정권에 머물렀다. 류리크 시대는 루스의 중심지가 되었지만, 죽은 후 류리크의 후계자가 키예프로 옮겨감에 따라 정치의 중심지는 이후 키예프 대공국으로 이동했다.
2. 2. 중기
스타라야루사, 스타라야라도가, 토르조크, 오르셰크 등의 도시가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강역에 속하였다. 일부 출전에 따르면 13세기 노브고로드 대주교 대리가 스타라야라도가를 다스렸다고 한다. 원래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땅이었던 프스코프는 늦어도 13세기부터 프스코프 공화국이라는 사실상의 독립국이 되어 한자 동맹에 가입했다. 다우만타스(1240년경 ~ 1299년경), 브세볼로드( ~ 1138년) 등은 노브고로드 공작이나 다른 관리들의 간섭을 받지 않고 프스코프 공작으로서 프스코프를 통치했다. 1348년 볼로토보 조약으로 프스코프는 프스코프 공화국으로 완전히 독립했다. 하지만 노브고로드 대주교는 이후에도 프스코프 교회를 대표했으며, 1589년까지 "대노브고로드와 프스코프의 대주교"라는 직함을 사용했다.[18]12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동쪽과 북동쪽으로 팽창했다. 노브고로드인들은 오네가호 주위, 세베르나야드비나강 유역, 백해 연안을 탐험했다. 14세기 초에 노브고로드인들은 북빙양과 바렌츠해, 카라해와 서시베리아의 오비강을 탐험했다. 우랄산맥 북부에 살던 우그리아족은 대노브고로드에 종속하였다. 공화국 북부 지방은 모피, 해양 동물상, 소금 등이 풍부한 곳이었고, 노브고로드인들에게 엄청난 경제적 중요성을 갖고 있었다.[18]
연대기에 따르면 노브고로드인들은 1113년까지 키예프 대공에게 조공을 바쳤다. 이 시점 이후 공국의 행정 체제가 성숙해진 것으로 보인다. 노브고로드의 ''티샤츠키''와 ''포사드니크''는 도시에서 보야르들을 임명하고, 지배 영토에서 행정 업무를 위한 세수를 징수했다. 1130년대의 헌장에는 노브고로드 영토 내 30개의 행정 관직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곳에서 정기적으로 세수가 징수되어 노브고로드 주교에게 십일조로 보내졌다. 12세기 내내 노브고로드는 발트해-볼가강-카스피해 무역로를 활용하여, 무역뿐만 아니라 비옥한 오카강 지역에서 식량을 도시로 운송했다.[18]
1136년, 노브고로드인들은 자신들의 공작 브세볼로트 므스티슬라비치를 해임했고, 그 후 1세기 반 동안 여러 공작을 초청하고 해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초청이나 해임은 종종 당시 루스의 지배적인 공작이 누구냐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노브고로드의 독립적인 판단에 따른 것은 아니었다.[20]
로스토프-수즈달은 중요한 오카 지역과 생명선인 셰크스나 강을 따라 뻗어있는 영토를 포함했다. 이 강은 북부 볼가 지류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이 강을 지배하는 자는 노브고로드의 식량 공급을 차단하여 기근을 유발할 수 있었다. 아마도 이러한 두려움 때문에 노브고로드는 1134년 수즈달을 침략했으나 실패했다. 그들은 1149년에 다시 시도하여 성공했다. 또는, 노브고로드는 수즈달을 달래기 위해 일부 수즈달인을 노브고로드의 통치자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사건들에도 불구하고 수즈달은 여전히 두 번이나 노브고로드로 가는 무역을 차단하고 노브고로드의 조공을 가로챘다.[18]
지중해, 흑해, 발트해를 잇는 교역로인 "바랑기아에서 그리스로의 길"의 발트해 쪽에 위치한 노브고로드는 오래전부터 상업 도시로 번영해 왔다. 동로마 제국과 이슬람 세계와 활발하게 교역을 했고, 노브고로드 공화국에는 막대한 부가 모였다. 12세기 전반에는 이반 상인단이라는 상인 조합이 등장했다.
1136년에 노브고로드에서 폭동이 일어나 공위에 있던 프세볼로트가 노브고로드, 프스코프, 라도가 사람들에 의해 추방되었다. 프세볼로트 추방 후 노브고로드 공에는 스뱌토슬라프가 취임했지만, 다른 루스 제 공국에 비해 민회(베체)에 의한 정치 체제가 강했던 노브고로드에서는, 이것을 "12세기의 노브고로드 혁명"이라고 부르며, 이때를 기점으로 노브고로드는 공을 받들면서 "'''공화국'''"이 된 것으로 간주된다.
노브고로드는 한자 동맹의 4대 상관 중 하나였다. 목재나 밀랍 등도 수출했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수출품은 모피였다.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시대는 북방 십자군이 한창이었지만, 한편으로 핀란드나 카렐리아 등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중세 스웨덴 왕국과의 끊임없는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있었다. 공국은 몇 번이고 공세에 나섰지만, 십자군이 종료된 후에도 양국의 분쟁은 끝나지 않고, 최종적인 결착을 맞이하는 것은 공국이 모스크바 대공국에 정복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양국의 일정한 국경선이 획정된 것은 1323년의 국경 확정 조약(ru) 체결 이후였다. 이 조약으로 카렐리아는 동서로 분할되었다.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의 막내아들인 모스크바 대공 다니엘 알렉산드로비치 시대 이후 모스크바의 영향을 강하게 받기 시작하여 노브고로드 공은 그의 혈통에 의해 겸임되게 되었다.
1380년, 쿨리코보 전투.
2. 3. 후기
14세기부터 트베리 대공국, 모스크바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등은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지배권과 부를 노리기 시작했다. 트베리 대공국의 미하일 야로슬라비치는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즉위한 후 자신의 관리들을 노브고로드에 파견했다. 이에 반발한 노브고로드는 모스크바 공국과 협력하기 시작했는데, 트베리 대공국은 노브고로드와 가까워 침략의 우려가 있었던 반면, 모스크바 공국은 멀리 떨어져 있어 노브고로드를 보호해 줄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그러나 이반 1세 시기에 모스크바 대공국이 성장하면서 노브고로드에 큰 위협이 되었다. 이반 1세와 시메온 이바노비치 등은 노브고로드의 독립을 제한하려 했다. 1397년, 모스크바 대공국이 세베르나야드비나강 유역의 드비나 지역을 병합하면서 결정적인 충돌이 발생했는데, 이 지역은 노브고로드의 모피 생산에 매우 중요했기 때문이다.[130] 모스크바 대공국은 이듬해 이 땅을 노브고로드에 돌려주었다.
모스크바 대공국의 압제에 저항하고자 노브고로드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의 동맹을 모색했다. 전통적으로 마르파 보레츠카야가 이끄는 '리투아니아당'이 이 동맹을 지지했다고 알려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보레츠카야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미하일 올렐코비치를 초청하여 자신의 남편이자 노브고로드의 지배자가 되어줄 것을 요청했고, 카지미에시 4세와도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폴란드 왕국 및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대한 충성 가능성이 높아지자 평민들 사이에 동요가 일어났다. 최근 학자들은 보레츠카야가 야젤비츠키 조약 위반 책임을 떠넘기기 위한 희생양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31]
보레츠카야의 역할이 과장되었을 수 있지만, 노브고로드가 폴란드 왕국과 협력하려 한 것은 사실이다. 셸론강 전투 이후 약탈품에서 이들 간의 조약 초안이 발견되었다.[132]
모스크바 대공국은 노브고로드의 행동을 야젤비츠키 조약 위반으로 간주하고 전쟁을 일으켰다. 1471년 7월 셸론강 전투에서 모스크바 대공국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노브고로드의 자유는 크게 제한되었다. 이후 7년간 형식적인 독립을 유지했으나, 1478년 이반 3세가 군대를 보내 도시를 점령하고 베체를 파괴했으며, 도서관과 기록보관소를 불태웠다. 이반은 노브고로드 영토의 81.7%를 차지하고 그 중 절반은 자신의 땅으로, 나머지는 대공족들에게 분배했다.[133]
3. 정치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정치 체계는 복잡하고 독특했다. 소비에트 시대 학자들은 이를 '봉건 공화국'으로 규정하려 했으나,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해석에 의문을 제기한다.[134][135] 노브고로드인들은 자신들의 국가를 "존엄한 대(大) 노브고로드"라고 불렀으며, 수도 노브고로드 시와 그 배후 지역은 "노브고로드 강역"이라고 칭했다.[136]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베체(민회), 포사드니크(시장), 티샤츠키(천인대장), 귀족 가문, 노브고로드 대주교 등으로 구성된 정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정확한 헌정 체제는 명확하지 않다.[33][34]
최소한 명목상 지도자는 노브고로드 공작이었지만, 이들은 주변 국가에서 초빙되었고 권력은 제한적이었다.[137][138] 일부 학자들은 노브고로드 대주교가 행정 수장이었다고 주장하지만, 다양한 관리들의 정확한 권한을 밝히기는 어렵다.[42] 대주교는 교회를 감독하고 대사관을 대표하며 세속적인 법정 판결을 감독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보야르(귀족)들과 협력하여 총의를 수렴하는 경우가 많았다.[43][45]
포사드니크는 베체를 주재하고 공작의 결정을 재가하는 중요한 직책이었다. 14세기 중반부터는 여러 명의 포사드니크가 선출되었고, 그들 중 수석 포사드니크가 선출되었다.[142]
베체는 시민들로 구성된 민회였지만, 민주적 기구였는지 아니면 귀족들이 주도했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93][94] 상인과 장인들도 정치에 참여했으며, '콘치'와 '소트냐'라는 조직을 이루었지만, 그 실체는 불분명하다.[145]
노브고로드 공작은 세습직이 아니었고 권력이 제한적이었지만, 군사 지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공작은 랴드라는 계약을 통해 보야르들의 이익을 보호하고 자신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받았다.[146]
14세기부터 트베리, 모스크바, 리투아니아는 노브고로드의 부에 대한 지배권을 놓고 경쟁했다. 특히 모스크바는 노브고로드의 독립을 제한하려 했고, 1397년에는 북드비나 강 유역의 드비나 랜드를 합병하기도 했다.[23][24]
15세기에는 모스크바 계승 전쟁에서 드미트리 셰먀카를 지원한 후 바실리 2세와 전쟁을 벌여 야젤비치 조약을 체결, 독립이 쇠퇴하기 시작했다.[25] 이후 마르파 보레츠카야를 중심으로 한 친리투아니아 파벌이 카시미르 4세와 동맹을 맺으려 했으나, 셸론강 전투에서 모스크바군에게 패배했다.[26][27] 1478년 이반 3세는 베체를 파괴하고 베체 종을 제거하는 등 노브고로드의 독립을 종식시켰다.[28]
3. 1. 베체
베체는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최고 의결 기관으로, 일종의 민회였다. 전통적으로 베체는 포사드니크(Posadnik, 시장)를 선출하고, 세금 징수와 도시의 시사 문제들을 논의했다. 공작의 주요 결정 사항들은 거의 대부분 시장의 재가를 받아야 했다.[142]베체의 정확한 구성은 불분명하지만, 농민을 포함한 시민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민회가 민주적 기구였는지, 아니면 보야르 귀족들에 의해 주도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시장, 티샤츠키(천인대장), 노브고로드 대주교나 주교 역시[143] 민회에 의해 선출되거나 적어도 민회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144]
14세기 중반부터는 시장을 한 명만 두지 않고, 민회에서 한 번에 6명을 뽑았다. 6명의 시장은 종신직이었으며, 매년 그들 중에서 수석시장인 스테페노이 포사드니크(Stepennoy Posadnik)를 뽑았다.[142]

상공업에 종사한 상인들과 장인들 역시 노브고로드의 정치에 참여했다. 전통적인 학자들은 그들이 콘치(конец, 복수형 концы)라 불리는 5개 자치구에 나뉘어 거주했으며, 그 자치구별로 조직을 이루었다고 주장한다. 상인 집단들은 소트냐(сотни, 백인대)라는 조직을 만들었는데, 이는 최초의 루스 길드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공업자 조직의 실체는 불명확하며, 서유럽의 길드와는 달리 단순한 행정 단위였을 가능성도 있다.[145]
1478년, 모스크바 대공국의 이반 3세는 베체를 파괴하고, 참여 정부, 시민 사회 및 법적 권리의 고대 상징인 베체 종을 떼어냈으며, 도서관과 기록 보관소를 파괴하여 노브고로드의 독립을 종식시켰다.[28]

3. 2. 포사드니크와 티샤츠키
베체(일종의 민회)는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가장 고도로 제도화된 기관이었다. 포사드니크(시장), 티샤츠키(천인대장, 본래 성읍 민병대의 수장이었으나, 나중에는 법률 및 상업 관리를 가리키게 되었다.), 다른 귀족 가문의 일원들, 노브고로드 대주교 등으로 이루어진 정부 형태였다.[33][34]노브고로드의 포사드니크(Posadnik; 시장)는 베체(Veche; 민회)를 주재하였다. 베체에서는 공작 이하 여러 사람들이 모여서 세금 징수와 도시의 시사 문제들을 논하였다. 공작의 주요한 결정사항들은 거의 대부분 시장의 재가를 받아야 했다. 14세기 중반부터는 시장을 한 명만 두지 않고, 민회에서 한번에 6명을 뽑았다. 6명의 시장은 종신직이었으며, 매 해 그들 중에서 수석시장인 스테페노이 포사드니크(Stepennoy Posadnik)를 뽑았다.[92]
민회인 베체의 정확한 실체는 불확실하나, 농민을 포함한 시민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민회가 민주적 기구였는지 보야르 귀족들에 의해 주도된 것인지 여부는 맹렬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시장, 천인대장은 물론 노브고로드 대주교나 주교 역시[93] 민회에 의해 뽑히거나 적어도 민회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94]
상공업에 종사한 상인들과 장인들 역시 노브고로드의 정치적 문제에 참여했다. 전통적인 학자들은 그들이 "콘치"(конец; 복수형 концы)라 불리는 5개 자치구에 나뉘어 거주했으며 또 그 자치구별로 조직을 이루었다고 주장한다. 특정 골목과 거리에 도시의 어떤 기능이 집중되어있는지에 따라 그 골목 또는 거리의 이름이 정해지기도 했다(예컨대 목수 골목, 도공 골목 등). 상인 집단들은 소트냐(сотни; 백인대)라는 조직을 만들었다. 이것은 최초의 루스 길드로 간주되기는 하나, 루스 민족의 여러 나라들에게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 영국 등에 존재했던 것과 동일한 성격의 길드가 존재했다는 증거는 없다.
티샤츠키는 "천인장"으로 번역되며, 원래는 도시 민병대의 대장이었지만, 나중에는 사법 및 상업 관리가 되었다.[34]
3. 3. 노브고로드 대주교
Новгородская архиепископия|노브고로드 아르히옙스코피야ru일부 학자들은 대주교가 정부의 행정부 수장이었다고 주장하지만, 다양한 관료들의 정확한 권한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대주교가 이끌고 대주교 궁(1433년 이후에는 다면궁)에서 회합하는 영주 위원회()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42]
노브고로드의 행정 수반은 적어도 명목상으로는 노브고로드의 공작이었으며, 노브고로드인들이 인근 국가에서 초청했다. 비록 13세기와 14세기 초에 그들의 권력이 약화되었지만 말이다.[43][44] 노브고로드 대주교가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진정한 국가 원수 또는 최고 행정 책임자였는지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어쨌든 그는 중요한 도시 관료였다. 노브고로드의 교회를 감독하는 것 외에도, 그는 대사들을 이끌고, 세속적인 성격의 특정 재판을 감독했으며, 다른 세속적인 업무를 수행했다. 그러나 대주교들은 보야르들과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협력한 것으로 보이며, 거의 단독으로 행동하지 않았다. 대주교는 임명되는 것이 아니라 노브고로드인에 의해 선출되었으며, 러시아 정교회의 러시아 관구 대주교에 의해 승인되었다.[43][45] 대주교는 아마도 노브고로드에서 가장 부유한 단일 토지 소유자였으며, 법원 수수료, 시장에서의 저울 및 측정기 사용료, 그리고 다른 수단을 통해 돈을 벌었다.[46][47]

학자들 중에는 대주교가 행정의 장을 겸임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지만, 정부 내의 구체적인 기능 분담을 검증하는 것은 어렵다. 다만, "Council of Lords" (Совет Господ)라는 회합이 존재했고, 대주교 저택에서 열렸다는 것은 확실하다.[87] 하지만, 이러한 설에 대해서도 최근 요나스 그란베리(Jonas Granberg)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그란베리에 따르면, 이러한 역사가들의 견해는 소수의 사료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88]
노브고로드 대주교가 행정의 장이었는지 여부는 아직 분명하지 않지만, 도시의 중요 인물이었다는 것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단순히 국내 교회를 감독할 뿐만 아니라, 대사관을 대표하고, 세속 재판에서 사법권의 일부를 장악했다. 다만, 거의 항상 보야르와 보조를 맞추었고, 독단적으로 행동한 흔적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대주교는 임명제가 아닌, 역시 노브고로드 시민의 선거에 의해 선출되었고, 러시아 관구의 승인을 필요로 했다.[89] 대주교는 아마 노브고로드에서 가장 부유한 지주였으며, 인지 판매와 시장으로부터의 징세 등으로 부수입을 얻었다.[91]
그러나 노브고로드 대주교는 프스코프의 교회를 계속 이끌었고, 1589년까지 노브고로드와 프스코프의 대주교라는 칭호를 유지했다.
3. 4. 노브고로드 공작
1136년 노브고로드에서 폭동이 일어나 프세볼로트 므스티슬라비치가 추방된 이후, 노브고로드는 공을 받들면서 "'''공화국'''"으로 간주된다.[86] 노브고로드 공작은 세습직이 아니었고 그 권력 역시 상당히 제한적이었지만, 노브고로드인의 생활에서 중요한 존재였다.[95]노브고로드 공작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군사적 지도자였다. 또한 공작은 도시의 교회들을 후원하고 재판소를 유지했으며, 공작이 부재할 시에는 나메츠니크 등 보좌관이 대신 업무를 보았다.[96] 재판에는 포사드니크(시장)가 항상 참석했고, 시장의 승인 없이는 어떠한 판결도 내려질 수 없었다. 시장의 허가 없이는 공작이 노브고로드의 영토를 분할하거나 법을 제정할 수도 없었다.[96] 공작은 노브고로드에 자신의 사유지를 가질 수 없었고, 노브고로드 영토에서 세금을 걷을 수도 없었다. 노브고로드 공작은 도시에서 지급하는 급여로 생활하는 일종의 '월급 사장'이었다.[89]
여러 랴드에 따르면, 공작은 노브고로드 영토 밖에서 노브고로드인을 체포하거나 기소할 수 없었다.[97] 공작은 두 곳에 거처를 두었는데, 하나는 장터에 있는 야로슬라프 궁전(야로슬라프 1세의 이름을 땀)이었고, 다른 하나는 남쪽으로 수 마일 떨어진 곳에 있었다.
100여 명의 노브고로드 공작들 중 대다수는 노브고로드인들에 의해 초빙되거나 폐위되었다. 일부 공작들은 랴드라는 계약에 서명했는데, 이는 노브고로드 보야르(귀족)들의 이익을 보호하고 공작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한 것이었다. 문서 보관소에 보존된 랴드는 초빙된 공작 12명과 노브고로드의 관계를 서술하고 있다. 이들 중 5명은 트베리, 4명은 모스크바, 3명은 리투아니아 출신이었다.[95]
4. 경제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경제는 농업, 축산업, 수렵, 양봉, 어업 등 다양한 산업을 기반으로 했다. 특히 모피 무역은 공화국의 가장 중요한 수입원이었다.
- 농업 및 기타 산업:
- 대부분의 지역에서 농업과 함께 다양한 "산업"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졌다.
- 핀란드만 해안에서는 철이 채굴되었고, 스타라야 루사 등에서는 염전이 유명했다.
- 아마와 홉 재배도 중요한 산업이었다.
- 모피, 밀랍, 꿀, 어류, 라드, 아마, 홉 등은 시장에서 판매되거나 다른 루스계 도시 또는 해외로 수출되었다.
- 낙농업과 축산업이 발달하였고, 특히 노브고로드 군대를 위해 말을 길렀다.[56]
- 수렵, 양봉, 어로도 널리 행해졌다.[56]
- 모피 무역:
- 노브고로드의 진정한 부는 모피 무역에서 비롯되었다.
- 한자동맹 상인들은 광대한 모피와 밀랍 자원 때문에 러시아 무역에 특히 매료되었으며, 노브고로드는 모피의 주요 공급원이었다.
- 이 도시는 한자동맹이 구축한 발트해 무역 네트워크의 동쪽 끝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루스와 북서 유럽 간 무역의 주요 중개지였다.
- 노브고로드의 북동쪽 지방 ("육로 너머의 땅")은 라도가호와 오네가호에서부터 북으로는 백해, 동으로는 우랄산맥까지 펼쳐져 있었다.[56]
- 이 지역에서는 모피가 매우 많이 나서 중세 여행기에는 하늘에서 모피 동물들이 비처럼 내린다는 기록까지 있을 정도였다.[57]
- 노브고로드 상인들은 스웨덴, 독일, 덴마크 도시들과 교역했다.[56]
- 초기에는 노브고로드인들이 직접 발트해를 항해하기도 했다. (이 때 노브고로드 상인들이 고틀란드와 덴마크에서 겪은 일들이 노브고로드의 첫 번째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다.)[56]
- 고틀란드에는 노브고로드 상인들을 위한 정교회가 만들어졌다.[56]
- 마찬가지로 고틀란드 상인들은 노브고로드에 자신들만의 성 올라프 교회와 무역상사를 세웠다.[56]
- 하지만 한자 동맹은 노브고로드 상인들이 독립적으로 해상무역을 하고 자국 선박으로 서유럽까지 화물을 운반할 권리에 이의를 제기했다.[56]
- 서유럽에서는 은, 천, 포도주, 청어가 수입되었다.[58]

- 토지 소유:
- 14-15세기까지 노브고로드 사유지의 절반 이상은 30~40여 명의 보야르 귀족들이 차지하고 있었다.
- 이들의 대토지는 물적 자원으로 기능하여 보야르들의 정치적 우월을 보장했다.
- 노브고로드 성 소피아 대성당은 토지 소유에 있어 보야르들의 주요 경쟁 상대였다.
- 유리예프 수도원, 아르카즈스키 수도원, 안토니예프 수도원 등도 광대한 토지를 소유했다.
- 소작농과 농노제:
- 일부 학자들은 노브고로드의 봉건 영주들이 소작농들을 법적으로 자기들 땅에 묶어두려고 시도했다고 주장한다.
- 다브니예 류디, 폴로브니키, 포루치니키, 돌즈니키 등은 주인들을 떠날 권리가 없었다.
- 보야르들과 성직자들은 다른 종류의 소작농들에 대해서도 영주를 바꾸는 것을 제한하려고 시도했다.
- 하지만 루스에는 소작농들이 빚을 다 갚으면 가을의 성 게오르기 축일 전후 1주일 동안 떠날 수 있는 전통이 있었다.
- 이 전통은 모스크바 대공국이 노브고로드 공화국을 정복하고 나서도 1세기 이상이 지난 이반 4세 때에야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 따라서 노브고로드 공화국에는 영구 농노제가 존재한 바가 없다.
5. 사회
학자들은 노브고로드 공화국이 당대로서는 상당히 높은 문헌 수준을 가지고 있었다는 데 대체로 동의한다. 고고학자들은 11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만들어진 천여 점의 자작나무 껍질 문서를 발굴했는데, 이 문서들 중 약 950개가 노브고로드에서 유래한 것이다.[166] 고고학자들과 역사학자들은 화재로 노브고로드의 문헌 대부분이 소실되었으며, 발굴된 것과 유사한 문서 2만여 점이 도시 어딘가에 파묻혀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166]
보야르(귀족)에서 농민, 장인, 상인에 이르는 모든 계급의 노브고로드 시민들이 이 문서 작성에 참여했다. 여성들도 상당한 양의 필사본을 남겼다.[166] 자작나무 껍질에 쓰여진 글들의 내용은 종교 문서, 노브고로드 대주교의 기록, 모든 계급의 사업상 메시지, 여행기, 특히 종교 순례자들의 여행기가 있다. 노브고로드 시민들은 사실적이고 효율적인 문체를 사용했다. 또한 개중에는 빌리나(루스 민담과 서사시) 연대기도 포함되어 있다. 이 이야기들의 주인공은 대부분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자유와 모험정신을 대변하고 있다. 유명한 등장인물로는 사업가이자 모험가인 사드코, 젊은 거인 바실리 부슬라에프 등이 있다. 자작나무 껍질 문서 외에도, 고고학자들은 노브고로드에서 현재까지 발견된 것들 중 가장 오래된 노브고로드어 필사본을 발견했다. 밀랍 서판에 시편 67, 75, 76장을 쓴 것으로, 그 작성 연대는 11세기 제1사분기로 추측된다.[167]
14세기와 15세기에는 노브고로드의 모든 사유지의 절반 이상이 약 30~40개의 귀족 보야르 가문의 손에 집중되었다. 이 광대한 영지는 보야르의 정치적 지위를 확보하는 물질적 자원 역할을 했다. 노브고로드의 주요 교회 기관인 성 소피아 대성당은 토지 소유 측면에서 그들의 주요 경쟁자였다. 그들의 ''보트치나''는 노브고로드 랜드의 가장 경제적으로 발달한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유리예프 수도원, 아르카즈스키 수도원, 안토니예프 수도원 및 기타 특권 수도원도 대규모 토지 소유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보야르보다 적은 토지를 소유한 소위 ''지티 류디''(житьи люди)와 ''스보예젬치''(своеземцы, 또는 개인 토지 소유자)라고 불리는 특권이 없는 소규모 ''보트치나'' 소유자도 있었다. 노동 착취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소작 제도는 앞서 언급한 토지 소유자 범주에 전형적이었다. 그들의 가구 경제는 주로 노예(홀로프)에 의해 운영되었는데, 그 수는 꾸준히 감소했다. 소작과 함께 15세기 후반에는 금전적 지불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일부 학자들은 봉건 영주들이 법적으로 농민들을 그들의 토지에 묶어두려고 시도했다고 주장한다. ''다브니예 류디''(давние люди), ''폴로브니키''(половники), ''포루치니키''(поручники), ''돌즈니키''(должники)와 같은 특정 범주의 봉건적 종속 농민들은 주인을 떠날 권리를 박탈당했다. 보야르와 수도원 또한 다른 범주의 농민들이 봉건 영주를 바꾸는 것을 제한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16세기 후반까지 농민들은 가을의 성 게오르기우스 축일을 전후한 몇 주 동안 그들의 토지를 떠날 수 있었다.
알렉산드르 호로셰프와 같은 마르크스주의 학자들은 노브고로드에서 계급 투쟁에 대해 자주 이야기했다. 공화국에서 약 80번의 주요 봉기가 있었으며, 종종 무장 반란으로 변했다. 이들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사건은 1136년, 1207년, 1228-1229년, 1270년, 1418년, 1446-1447년에 일어났다. 이러한 사건들이 어느 정도 "계급 투쟁"에 근거했는지는 불분명하다. 많은 사건들은 다양한 보야르 파벌 간의 갈등이었거나, 만약 반란이 농민이나 상인들을 보야르에 대항하게 했다면, 이는 농민들이 기존의 사회 질서를 전복하려는 것이 아니라, 통치 계급의 더 나은 통치를 요구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공작의 직책이 폐지되어야 하거나 농민들이 도시를 운영하도록 허용되어야 한다는 인식은 없는 것 같았다.
공화정 시대 전체에 걸쳐 노브고로드 대주교는 도시의 정교회 수장이었다. 노브고로드 랜드의 핀족 인구는 기독교화되었다. ''스트리고르니키'' 종파는 14세기 중반에 프스코프에서 노브고로드로 퍼져나갔고, 그 구성원들은 교회 계급, 수도원주의, 사제직의 성사, 성찬식, 회개, 세례를 거부했으며, 15세기 초에 사라졌다.[61] 또 다른 종파는 반대자들에 의해 유다교 추종자들의 이단으로 알려졌는데, 15세기 후반에 노브고로드에서 나타났고, 이후 모스크바의 궁정에서 지지를 받았다.[62] 결국 박해를 받았고 러시아 교회의 여러 공의회에서 그들을 정죄했다.[63]
6. 대외 관계
동서 교회의 분열 이후, 노브고로드는 스웨덴, 덴마크, 독일, 노르웨이 등 십자군 국가들과 갈등을 겪었다.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시기에는 스웨덴이 노브고로드가 차지하고 있던 현재의 핀란드 땅을 침공했고, 독일은 12세기 후반부터 발트 지방 정복을 시도했다.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스웨덴과 26차례,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과 11차례 전쟁을 벌였다. 1240년부터 1242년까지 독일 기사단,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봉건 영주들의 공격이 이어졌으나, 페이푸스 호 전투(1242년)로 독일의 발트 진출 시도는 좌절되었다. 노브고로드 측 문헌에서는 네바 전투(1240년)에서 스웨덴군을 억제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1293년 비보르에 성채가 건설된 후, 스웨덴은 카렐리야에 거점을 확보하였다. 1323년 8월 12일, 뇌테보리 조약을 통해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사이의 국경선이 처음으로 확정되었다.
몽골 제국의 침입 당시,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몽골군 사령관이 소택지를 통과하기를 원치 않아 노브고로드 전방 100km 지점에서 회군했기 때문에 직접적인 피해를 피할 수 있었다. 비록 정식으로 정복되지는 않았지만, 공화국은 킵차크 칸국에 조공을 바쳤다. 1259년, 노브고로드에서 정치적 소란이 발생하자 몽골의 조공 징수인과 호구 조사원들이 들어왔고, 알렉산드르 네브스키는 블라디미르 대공과 몽골 칸에게 거역한 노브고로드 관리들의 코를 베는 형벌을 내렸다.[151] 14세기에는 노브고로드 해적 집단인 우시쿠이니크스가 카잔과 아스트라한까지 진출하여 악명을 떨쳤으며,[151] 이들은 노브고로드 공화국과 모스크바 대공국 사이의 전쟁에서 노브고로드를 지원했다.
12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동쪽과 북동쪽으로 팽창했다. 노브고로드인들은 오네가호 주위, 세베르나야드비나강 유역, 백해 연안을 탐험했고, 14세기 초에는 북빙양, 바렌츠해, 카라해, 서시베리아의 오비강까지 탐험했다. 우랄산맥 북부에 살던 우그리아족은 노브고로드에 종속되었다. 공화국 북부 지방은 모피, 해양 동물상, 소금 등이 풍부하여 노브고로드인들에게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했다.
키예프 루스 시절부터 노브고로드에서는 교역이 이루어졌다. 스칸디나비아 상인들이 지역 상인들과 거래했고, 1100년대에는 고틀란드 농민들이 성 올로프 교역상사를 세웠다. 이후 독일 상인들도 노브고로드에 교역상사를 만들었다. 스칸디나비아 왕족들은 루스계 공국들의 왕자, 공주들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6. 1. 키예프 루스와의 관계
노브고로드는 본디 키예프 루스의 전신인 노브고로드 루스의 수도였으며, 882년에 올레크 베시가 키예프에 도읍하기 이전까지 루스인들의 실질적 수도로 기능하였다. 882년부터 1019 ~ 1020년 사이에 노브고로드는 키예프 루스에 속하였으며, 키예프 대공이 노브고로드 공작을 임명하였다. 노브고로드는 루스인의 정신적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14][15][16]블라디미르 1세를 지원하면서 노브고로드는 루스인의 정치에서 중심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야로슬라프 1세의 대공위 즉위에도 실력을 행사했다. 야로슬라프 1세는 자신이 옥좌를 차지하는 것을 도와준 노브고로드 시민들에게 상당한 자유권과 특혜를 보장해 주었다. 이때문에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기반이 마련된 것으로 본다. 키예프 루스의 한 지방이었지만, 노브고로드는 점점 힘을 키워 거의 독립적인 강력한 지역 중심지로 발전했다.
노브고로드의 보야르들은 12세기 중반까지 키예프 대공에 의해 임명되던 포사드니크와 티스야츠키 공관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1136년, 노브고로드인들은 공작 프세볼로트 1세를 쫓아냈다. 이후 1.5 세기에 걸쳐 그들은 숱한 공작들을 초빙하고 또 쫓아냈다. 다만 공작을 자기들이 영입하는 행위는 노브고로드가 완전히 독립적이어서 라기보다는, 루스 민족의 공후(크냐지)들 중 두드러지게 강력한 사람이 누구였는가에 따라 행해진 것이다.[129]
6. 2. 스웨덴,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과의 관계
동서 교회의 분열 이후, 노브고로드는 1200년대부터 스웨덴, 덴마크, 독일, 노르웨이 등 십자군 국가들과 갈등을 겪었다. 노브고로드가 차지하고 있던 현재의 핀란드 지역을 스웨덴이 침공하면서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이 발발했고, 독일은 12세기 후반부터 발트 지방 정복을 시도했다.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스웨덴과 26차례,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과 11차례 전쟁을 벌였다.[151] 1240년부터 1242년까지 독일 기사단,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의 봉건 영주들은 일련의 비조직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독일의 발트 지역 진출 시도는 페이푸스 호 전투(1242년)에서 좌절되었고, 노브고로드 측 문헌에서는 네바 전투(1240년)에서 스웨덴군이 저지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1293년 비보르에 성채가 건설된 후, 스웨덴은 카렐리야에 거점을 확보하였다. 1323년 8월 12일,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사이의 국경선을 확정하는 뇌테보리 조약이 체결되면서 양국 간의 국경이 처음으로 확정되었다.6. 3. 몽골 제국과의 관계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몽골 제국의 침입을 직접적으로 받지는 않았는데, 이는 몽골군 사령관이 노브고로드를 둘러싼 소택지를 통과하기를 원치 않아 노브고로드 전방 100km 지점에서 회군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비록 정식으로 정복되지는 않았지만,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킵차크 칸국에 조공을 바쳤다.[151] 1259년, 노브고로드에서 정치적 소란이 발생하자 몽골의 조공 징수인과 호구 조사원들이 들어왔다. 이들은 알렉산드르 네브스키에게 노브고로드 관리들의 코를 베어 블라디미르 대공과 몽골 칸에게 거역한 죄를 묻게 했다.[151] 14세기에는 노브고로드 해적 집단인 우시쿠이니크스가 카잔과 아스트라한까지 진출하여 악명을 떨쳤으며,[151] 이들은 노브고로드 공화국과 모스크바 대공국 사이의 전쟁에서 노브고로드를 지원했다.6. 4. 모스크바 대공국과의 관계
14세기부터 트베리 대공국, 모스크바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노브고로드 공화국과 그 풍부한 자원을 노렸다. 블라디미르 대공 지위를 얻은 트베리의 미하일 야로슬라비치는 노브고로드에 대리인을 보냈으나, 노브고로드와 미하일 사이에는 갈등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노브고로드는 게오르기 대공이 다스리는 모스크바와 협력하기 시작했다. 트베리는 노브고로드에 인접해 있어 영토 할양 요구 등으로 공화국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두려움을 줬지만, 모스크바는 달랐다. 모스크바는 노브고로드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위기 시 지원은 가능하나, 지나친 간섭은 어려울 것이라 판단했다.
모스크바가 강대해지면서 노브고로드에 위협이 되었다. 이반 1세, 세묜 등 모스크바 군주들은 노브고로드 주권을 제한하려 했다. 1397년, 드비나 강변 드비나 지방을 모스크바가 병합하려 하자 양국 간 큰 갈등이 발생했다. 이 지역은 모피 생산지로 노브고로드에 중요했다.[124] 이듬해 이 지역은 노브고로드에 반환되었다.
모스크바 압력에 저항하고자 노브고로드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동맹을 맺으려 했다. 노브고로드 보야르들은 모스크바에 정복당하면 재산을 몰수당할 것을 우려해 독립을 원했다. 그러나 보야르 77.8%는 전쟁 수행 능력이 부족했다.[125] 전승에 따르면, 포사드니크 이사크 보레츠키(ru:이사크 보레츠키)의 아내 마르파 보레츠카야가 이끄는 '리투아니아파'가 연방과의 동맹을 주장했다.
마르파는 리투아니아 공작 아들 미하일 올렐코비치에게 자신과 결혼하여 노브고로드 공작에 취임할 것을 제안하고, 폴란드 왕국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국 대공인 카지미에시 4세와 동맹도 요청했다. 노브고로드가 모스크바를 배신하고 연방과 손잡을 수 있다는 소식에 서민들도 흥분했다. 그러나 Janet Martin과 Gail Lenhoff는 이 계획 주모자가 대주교 Feofil (재위 1470-1480)이며, 야젤비츠키 조약에 따라 모스크바 허락 없이 외국과 조약 체결이 불가능했기에[126] 마르파가 희생양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마르파의 역할은 과장되었지만, 노브고로드가 연방과 조약을 맺으려 한 것은 사실이다. 셸론강 전투 약탈품에서 조약 초안이 발견되었다.[127]
모스크바는 노브고로드의 행동을 야젤비츠키 조약 위반으로 간주하고 군대를 보냈다. 1471년 셸론강 전투에서 모스크바군이 승리하며 노브고로드는 주권을 잃었다. 1478년 이반 3세는 다시 군대를 보내 시민 학살, 베체 파괴 등 강경책을 펼쳤다. 이반은 노브고로드 영토 81.7%를 점령, 절반은 자신이 갖고 나머지는 동맹에게 주었다.[128]
7. 문화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다른 루스계 공국들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의 문화를 향유한 것으로 유명하다. 당대 동유럽 미술품의 대다수가 노브고로드에서 유래하였다. 노브고로드 시민들은 특히 종교 성화 등 많은 양의 예술작품을 남겼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예술은 번영하는 경제 덕분이었다. 주요 보야르 가문뿐 아니라 부유한 상인이나 장인 계층에서도 예술가들을 후원하여 성화를 만들었다.[152] 13세기 말에는 노브고로드에서 성화가 매우 흔해져서, 그다지 부유하지 않은 시민도 성화를 하나 장만할 수 있을 정도였다. 성화는 공화국 내의 교회와 가정에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출품으로도 제작되었다.[153]
동서 교회 분열 이후, 노브고로드는 13세기 초부터 스웨덴, 덴마크, 독일 십자군에 맞서 고군분투했다.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동안 스웨덴은 이전에 노브고로드에 조공을 바치던 일부 지역을 침략했다. 독일인들은 12세기 말부터 발트 지역을 정복하려 했다. 노브고로드는 스웨덴과 26번, 리보니아 검 형제 기사단과는 11번의 전쟁을 벌였다. 독일 기사들은 덴마크 및 스웨덴 봉건 영주들과 함께 1240–1242년에 일련의 비조직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러시아 자료에 따르면 1240년 네바 전투에서 스웨덴군이 패배했고,[21] 발트 독일의 군사 작전은 1242년 얼음 전투 이후 실패로 끝났다. 1293년 비보르크 성이 건설된 후 스웨덴은 카렐리아에 교두보를 확보했다. 1323년 8월 12일, 스웨덴과 노브고로드는 노테보리 조약을 체결하여 처음으로 국경을 규정했다.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몽골 침략의 직접적인 영향으로부터 벗어났는데, 몽골에게 정복되지 않았기 때문이다.[69] 1259년, 몽골의 세금 징수원과 인구 조사관이 도시에 도착하여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고, 알렉산드르 네프스키는 블라디미르 대공(곧 러시아의 칸의 세금 징수관이 될)과 몽골 지배자들에게 반항한 여러 도시 관리들을 처벌(코를 베는 형벌)하게 했다.[70][71]
7. 1. 미술과 도상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수즈달을 비롯한 다른 루스 국가에 비해 문화 수준이 높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대의 동유럽에서 중요한 예술 작품의 대부분은 노브고로드에서 유래했다. 노브고로드 시민들은 대량의 회화를 생산했으며, 특히 종교적인 이콘에 조예가 깊었다. 이러한 예술의 개화는 경제적인 번영에 힘입은 것이었다. 이콘화 제작은 보야르 가문뿐만 아니라, 상인의 부에 힘입은 전문 예술가와 강력한 장인 계층도 담당했다.[105] 13세기까지 이콘은 중요한 공예품이 되었지만, 반드시 시민들이 부유하여 이를 구매한 것은 아니었다. 실제로 생산된 이콘은 수출되었고, 해외의 교회와 가정에서도 수요가 있었다.[106] 그러나, 현존하는 노브고로드산 이콘은 12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작은 것들이 산발적으로 발견될 뿐이다.[106]이러한 이콘들은 전통적인 루스의 예술, 비잔틴 미술, 로마네스크, 고딕이 복잡하게 융합된 양식을 보여준다.[107] 노브고로드의 예술가와 시민들은 경제와 관련된 수호 성인을 선호했다. 예언자 엘리야는 농민에게 비를 가져다주는 천둥의 신이었다. 성 게오르기우스, 성 블레이즈, 성 플로루스와 라우루스 등은 모두 대지와 가축을 수호하는 성인이었다. 성 파라스케바 피아트니차와 성 아나스타시아는 무역과 상인을 위한 수호신이었다. 성 니콜라스는 목수의 수호 성인이었으며, 여행자를 보호하고 고통을 제거하는 역할도 담당했다. 성 니콜라스와 예언자 엘리야는 화재에 대한 수호신이기도 했다. 노브고로드는 화재가 잦은 도시였다.[108] 이러한 성인과 관련된 이야기는 공국 전역에서 계속 믿어졌다. 그러나 14세기에는 자비의 성모(the Virgin of Mercy) 이콘이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이것은 콘스탄티노플의 안드레아의 성모 마리아를 기념하며, 마리아가 인류를 위해 기도를 드리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109] 1478년, 노브고로드의 예술은 모스크바에 의해 파괴되었고, 러시아의 체계적인 이콘 양식으로 대체되었다.[110]
7. 2. 건축과 도시 설계
볼호프 강은 노브고로드 공화국을 양분했다. 주요 시장이 있던 도시의 상업 지구는 볼호프 강 한쪽에 위치해 있었다. 노브고로드 성 소피아 대성당과 고대 크렘린은 강의 반대편에 자리 잡고 있었다.[1] 대성당과 크렘린은 종탑을 포함한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노브고로드는 교회와 수도원으로 가득 차 있었다.[74] 이 도시는 3만 명에 달하는 많은 인구로 인해 과밀 상태였다. 부유층(보야르 가문, 장인, 상인)은 성벽 안의 대저택에 살았고, 가난한 사람들은 찾을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했다.[75] 거리는 나무로 포장되었으며,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비잔틴 발명품인 나무 물 파이프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었다.[1]비잔틴 건축 양식(거대한 돔으로 유명)과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은 노브고로드의 건축에 영향을 미쳤다.[76] 많은 부유한 가문들이 도시에 교회와 수도원 건립을 의뢰했다. 이 기간 동안 약 83개의 교회가 운영되었으며, 거의 모두 돌로 지어졌다.[77] 노브고로드 공화국에는 두 가지 두드러진 양식의 교회가 존재했다. 첫 번째 양식은 경사진(''lopastnyi'') 지붕이 있는 단일 앱스(apse)로 구성되었다. 이 양식은 이 기간 동안 러시아 전역에서 표준이었다. 두 번째 양식인 노브고로드 양식은 세 개의 앱스로 구성되었으며 아치형 박공 지붕을 가지고 있었다. 이 두 번째 양식은 노브고로드 공화국 초기에 두드러졌으며, 모스크바 대공국의 부상하는 권력에 대항하기 위한 의도로 이 양식이 부활한 공화국 말기에도 두드러졌다.[78] 교회의 내부에는 성상, 목각, 교회 제기 등이 있었다.[79] 최초의 알려진 하루 헌당 교회는 1390년 팬데믹을 막기 위해 노브고로드에 세워졌으며, 16세기 중반까지 여러 교회가 더 건설되었다. 하루 만에 지어졌기 때문에, 나무로 만들어졌고, 작고 단순한 디자인이었다.[80][81]
7. 3. 문헌

노브고로드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진 가장 초기의 문학 형태는 연대기이며, 가장 오래된 것은 ''노브고로드 최초 연대기''이다. 14세기와 15세기에는 노브고로드의 스테판이 무역을 목적으로 콘스탄티노플로 여행한 기록과 같은 여행기, 지역 포사드니크와 성인, 노브고로드의 전쟁과 승리에 대한 전설 등 다른 장르들이 등장했다.[82] 많은 빌리나(전통 러시아 구전 서사시)의 사건들이 노브고로드에서 일어났으며, 상인이자 모험가인 사드코와 무모한 바실리 부슬라예프가 그 등장인물이다.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노브고로드 공화국이 당시 시기에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준의 문해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믿는다. 고고학자들은 11세기부터 15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초기 루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도시에서 천 개 이상의 자작나무 껍질 문서를 발견했다. 이 텍스트 중 약 950개가 노브고로드에서 발견되었다. 고고학자와 학자들은 약 20,000개에 달하는 유사한 텍스트가 여전히 땅에 남아 있으며 수많은 화재로 인해 더 많은 텍스트가 불에 탔을 것으로 추정한다.[83]
보야르부터 농민, 장인, 상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계층의 노브고로드 시민들이 이 텍스트를 작성하는 데 참여했으며, 심지어 여성들도 상당량의 원고를 작성했다.[83] 이 자작나무 껍질 문서 모음은 종교 문서, 도시 대주교의 글, 모든 계층의 비즈니스 메시지, 여행기(특히 종교 순례)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브고로드 시민들은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방식으로 글을 썼다. 자작나무 껍질 문서 외에도 고고학자들은 노브고로드에서 가장 오래 살아남은 러시아 원고를 발견했는데, 11세기 1분기에 작성된 시편 67, 75, 76이 적힌 세 개의 밀랍 정제였다.[84]
참조
[1]
서적
Proto-Slavic inflectional morphology: a comparative handbook
Brill
2015
[2]
서적
The Indo-European controversy: facts and fallacies in historical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3]
서적
Freedom, a history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0
[4]
서적
California Slavic Studies, Volume XIV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3
[5]
서적
Companion to Russian Studies: Volume 1: An Introduction to Rus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6]
서적
International and National Law in Russia and Eastern Europe: Essays in honor of George Ginsburgs
https://books.google[...]
Brill
2021
[7]
서적
The Merchants of Siberia: Trade in Early Modern Eurasia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6
[8]
서적
Советская историче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Том 14
[9]
서적
Histoire Russ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of Pittsburgh
2004
[10]
서적
A Brief History of Russi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8
[11]
간행물
Novgorod the Great
https://cyberleninka[...]
2022-12-23
[12]
서적
Все град людии, изволеша собе...
2012
[13]
서적
Kievskaia Rus; ocherki sotsialʼno-ekonomicheskoĭ istorii.
Leningrad State University
1974
[14]
서적
Russia: a 1,000-Year Chronicle of the Wild East
Random House
2011
[15]
서적
Russian Subjects: Empire, Nation, and the Culture of the Golden Age
https://books.google[...]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98
[16]
서적
Russia: A Reference Guid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
[17]
서적
Imagined Communities on the Baltic Rim: From the Eleventh to Fifteenth Centuries
https://www.jstor.or[...]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16
[18]
간행물
Russian Eastward Expansion before the Mongol Invasion
https://www.jstor.or[...]
1947
[19]
서적
Feeding the Russian Fur Trade: Provisionment of the Okhotsk Seaboard and the Kamchatka Peninsula, 1639–185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
2011
[20]
문서
"Was the Prince of Novgorod a 'Third-rate bureaucrat' after 1136?"
2008-01
[21]
서적
Kingship and State Formation in Sweden 1130–1290
https://books.google[...]
Brill
2007
[22]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23]
문서
Treasure of the Land of Darkness
[24]
문서
Secular Power and the Archbishops of Novgorod Before the Muscovite Conquest
[25]
서적
Russia Under the Old Regime
[26]
간행물
Marfa Boretskaia, Posadnitsa of Novgorod: A Reconsideration of Her Legend and Her Life
2000
[27]
문서
Secular Power and the Archbishops of Novgorod
[28]
서적
Russia: A 1,000 Year Chronicle of the Wild East
Overlook Pr.
2012
[29]
서적
Russia Under the Old Regime
[30]
서적
Northern Europe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 Baltic World 1492–1772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31]
서적
Russia: A 1,000 Year Chronicle of the Wild East
Overlook Pr.
2012
[32]
서적
Russia: A 1,000 Year Chronicle of the Wild East
Overlook Pr.
2012
[33]
서적
Russia: A 1,000 Year Chronicle of the Wild East
Overlook Pr.
2012
[34]
서적
Русская история: полный курс лекций
ОЛМА Медиа Групп
2004
[35]
서적
State Service in Sixteenth Century Novgorod: The First Century of the Pomestie Syste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9
[36]
서적
texts Notes upon Russia : Being a translation of the earliest account of that country, entitled Rerum Moscoviticarum Commentarii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1851
[37]
문서
The Communist Manifesto
[38]
서적
Kievskaia Rus; ocherki sotsialʼno-ekonomicheskoĭ istorii.
Leningrad State University
1974
[39]
서적
The Course of Rus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9
[40]
서적
Crises of Political Development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SPD-9)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41]
서적
Medieval Europe 400–15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42]
서적
Boiarskaia Duma drevnei Rus; Dobrye liudi Drevnei Rus
Ladomir
1994
[43]
문서
Outline of history of medieval Novgorod.
[44]
문서
Was the Prince of Novgorod a 'Third-rate bureaucrat' after 1136?
[45]
서적
Byzantium and the Rise of Russia: A Study of Byzantino-Russian Relations in the Four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46]
간행물
Secular Power and the Archbishops of Novgorod Before the Muscovite Conquest.
2007
[47]
간행물
Episcopal Election in Novgorod, Rus 1156–1478.
2003
[48]
문서
Novgorod posadniks
[49]
문서
Starting from 1156, elevated to archiepiscopal status in 1165
[50]
간행물
The Iaroslavichi and the Novgorodian Veche 1230–1270: A Case Study on Princely Relations with the Veche
2004
[51]
문서
Gramoty Velikogo Novgoroda i Pskova
[52]
문서
Novgorod acts of 12th–15th centuries
[53]
문서
Sources of Novgorod statehood.
[54]
문서
Was the Prince of Novgorod a 'Third-rate bureaucrat' after 1136?
[55]
서적
International and National Law in Russia and Eastern Europe: Essays in honor of George Ginsburgs
https://books.google[...]
Brill
2021
[56]
서적
Treasure of the Land of Darkness: the Fur Trade and its Significance for Medieval R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57]
문서
Secular Power and the Archbishops of Novgorod Before the Muscovite Conquest
[58]
서적
Великий Новгород.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Нестор-История
2007
[59]
서적
Русская монетная система: историко-нумизматический очерк
Издательств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Эрмитажа
1962
[60]
서적
Нумизмат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http://www.numizm.ru[...]
Высшая школа
1980
[61]
서적
Russian Identities: A Historical Surve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6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dieval Russ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1
[63]
서적
Christianity: A Brief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9
[64]
서적
Древний Новгород. Очерки из истории русской культуры XI–XV вв.
Издательство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ССР
1947
[65]
서적
Новгородское войско XI–XV веков (диссертация)
2006
[66]
간행물
К вопросу о вестернизации военного дела Северо-Запада Руси
http://www.milhist.i[...]
2022-08-13
[67]
서적
Новгородское войско XI–XV веков (диссертация)
2006
[68]
간행물
О применении судовой артиллерии на северо-западе России в допетровское время
2001
[69]
서적
Genghis Khan
2015
[70]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004
[71]
서적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8
[72]
서적
World Heritage: Archaeological Sites and Urban Centres
https://books.google[...]
Unesco
2002
[73]
서적
The History of the Discovery and Study of Russian Medieval Painting
https://books.google[...]
Brill
2017
[74]
문서
Novgorod
[75]
서적
A History Of Russia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76]
문서
Novgorod
[77]
간행물
Medieval Novgorod
Cambridge UP
2008
[78]
문서
Medieval Novgorod
[79]
서적
Novgorod Icons: 12th–17th Century
Aurora
1980
[80]
논문
The One-Day Votive Church: A Religious Response to the Black Death in Early Russia
1981
[81]
서적
Избранные труды. Статьи по духовной культуре 1901–1913 гг
Индрик
[82]
서적
История древне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Высшая школа
[83]
문서
Medieval Novgorod
[84]
문서
Lord Novgorod the Great
[85]
서적
Russia: A 1,000 Year Chronicle of the Wild East
Overlook Pr.
2012
[86]
서적
Russia: A 1,000 Year Chronicle of the Wild East
Overlook Pr.
2012
[87]
문서
Boiarskaia Duma drevnei Rusi; Dobrye liudi Drevnei Rusi
[88]
논문
The Soviet Gospod of Novgorod, in Russian and German Sources
1998
[89]
문서
Outline of history of medieval Novgorod
[90]
문서
Was the Prince of Novgorod a 'Third-rate bureaucrat' after 1136?
[91]
논문
Secular Power and the Archbishops of Novgorod Before the Muscovite Conquest
2007
[92]
문서
Novgorod posadniks
[93]
문서
Starting from 1156, elevated to archiepiscopal status in 1165
[94]
논문
The Iaroslavichi and the Novgorodian Veche 1230-1270: A Case Study on Princely Relations with the Veche
2004
[95]
문서
Novgorod acts of 12th 15th centuries
[96]
문서
Sources of Novgorod statehood
[97]
문서
Was the Prince of Novgorod a 'Third-rate bureaucrat' after 1136?
[98]
서적
Russia: A 1,000 Year Chronicle of the Wild East
Overlook Pr.
2012
[99]
서적
Medieval Russia: 980-1584
n.p.
[100]
서적
Treasure of the Land of Darkness: the Fur Trade and its Significance for Medieval Rus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101]
논문
Secular Power and the Archbishops of Novgorod Before the Muscovite Conquest
[102]
논문
Les Uškujniki de Novgorod: Marchands ou Pirates
1975
[103]
서적
Russia: A 1,000 Year Chronicle of the Wild East
Overlook Pr.
2012
[104]
서적
Russia: A 1,000 Year Chronicle of the Wild East
Overlook Pr.
2012
[105]
서적
The Russian Icon: From Its Origins to the Sixteenth Century
Liturgical
1997
[106]
서적
The Russian Icon
[107]
간행물
Novgorod
Unesco
2002
[108]
서적
The Russian Icon
[109]
서적
The Russian Icon
[110]
서적
The Russian Icon
[111]
서적
Lord Novgorod the Great
Oxford UP
2011
[112]
간행물
Novgorod
[113]
서적
Lord Novgorod the Great
[114]
서적
Lord Novgorod the Great
[115]
간행물
Novgorod
[116]
서적
Medieval Novgorod
Cambridge UP
2008
[117]
서적
Novgorod Icons: 12th-17th Century
Aurora
1980
[118]
서적
Medieval Novgorod
[119]
서적
Medieval Novgorod
[120]
서적
Lord Novgorod the Great
[121]
서적
The Communist Manifesto
[122]
서적
Kievskaia Rus; ocherki sotsial’no-ekonomicheskoĭ istorii.
Leningrad State University
1974
[123]
문서
Gospodin Velikiy Novgorod is also the name of a 1984 Soviet film starring future People's Artist of the Soviet Union Oleg Strizhenov. It was, however, about Novgorod in the Second World War, and was not set in the medieval period.
[124]
논문
Secular Power and the Archbishops of Novgorod Before the Muscovite Conquest
[125]
서적
Russia under the old regime
[126]
논문
Marfa Boretskaia, Posadnitsa of Novgorod: A Reconsideration of Her Legend and Her Life.
2000
[127]
논문
Secular Power and the Archbishops of Novgorod
[128]
서적
Russia under the old regime
[129]
논문
Was the Prince of Novgorod a 'Third-rate bureaucrat' after 1136?
2008-Spring
[130]
논문
Secular Power and the Archbishops of Novgorod Before the Muscovite Conquest
[131]
논문
Marfa Boretskaia, Posadnitsa of Novgorod: A Reconsideration of Her Legend and Her Life.
2000
[132]
논문
Secular Power and the Archbishops of Novgorod
[133]
서적
Russia under the old regime
[134]
서적
The Communist Manifesto
[135]
서적
Kievskaia Rus; ocherki sotsial’no-ekonomicheskoĭ istorii.
Leningrad State University
1974
[136]
문서
“대 노브고로드”란 소비에트 연방의 인민예술가 올레그 스트리체노프가 출연한 1984년 영화의 제목이기도 하다. 다만 이 영화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노브고로드를 다루고 있으며, 중세 시대가 배경은 아니다.
[137]
문서
Outline of history of medieval Novgorod.
[138]
논문
Was the Prince of Novgorod a 'Third-rate bureaucrat' after 1136?
[139]
서적
Boiarskaia Duma drevnei Rusi; Dobrye liudi Drevnei Rusi
Ladomir
1994
[140]
논문
The Soviet Gospod of Novgorod, in Russian and German Sources
1998
[141]
논문
Secular Power and the Archbishops of Novgorod Before the Muscovite Conquest
2007-03
[142]
문서
Novgorod posadniks
[143]
문서
Starting from 1156, elevated to archiepiscopal status in 1165
[144]
논문
The Iaroslavichi and the Novgorodian Veche 1230-1270: A Case Study on Princely Relations with the Veche
2004-03
[145]
서적
Gramoty Velikogo Novgoroda i Pskova
[146]
문서
Novgorod acts of 12th 15th centuries
[147]
문서
Sources of Novgorod statehood
[148]
문서
Was the Prince of Novgorod a 'Third-rate bureaucrat' after 1136?
[149]
서적
Treasure of the Land of Darkness: the Fur Trade and its Significance for Medieval Rus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150]
논문
Secular Power and the Archbishops of Novgorod Before the Muscovite Conquest
[151]
논문
Les Uškujniki de Novgorod: Marchands ou Pirates
1975
[152]
서적
The Russian Icon: From Its Origins to the Sixteenth Century
Liturgical
1997
[153]
서적
The Russian Icon
[154]
간행물
Novgorod
Unesco
2002
[155]
서적
The Russian Icon
[156]
서적
The Russian Icon
[157]
서적
The Russian Icon
[158]
서적
Lord Novgorod the Great
Oxford UP
2011
[159]
간행물
Novgorod
[160]
서적
Lord Novgorod the Great
[161]
서적
Lord Novgorod the Great
[162]
간행물
Novgorod
[163]
서적
Medieval Novgorod
Cambridge UP
2008
[164]
서적
Medieval Novgorod
[165]
서적
Novgorod Icons: 12th-17th Century
Aurora
1980
[166]
서적
Medieval Novgorod
[167]
서적
Lord Novgorod the Gre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