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니에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니에 3세는 1923년 모나코에서 태어난 모나코의 공작으로, 1949년부터 2005년 사망할 때까지 통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군에 참전하여 무공 십자 훈장을 받았으며, 1949년 모나코 공위에 올라 재정난과 스캔들로 어려움을 겪던 모나코를 조세 회피처, 상업 중심지, 관광 명소로 발전시켰다. 1956년 배우 그레이스 켈리와 결혼하여 세기의 결혼으로 불렸으며, 1962년 헌법 개정을 통해 군주의 권한을 축소했다. 2005년 사망 시까지 유럽에서 가장 오래 재임한 군주였으며, 그의 아들 알베르 2세가 공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나코의 로마 가톨릭교도 - 다니엘 듀크루엣
다니엘 듀크루엣은 1965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모나코 왕실 경호원, 가수, 사업가로 활동했으며, 스테파니 공주와의 결혼과 이혼, 가수 활동, 그리고 현재 회사 공동 관리자로서의 삶을 살고 있다. - 우표 수집가 - 알베르 1세 (모나코)
알베르 1세는 모나코의 대공으로서 해양학, 고생물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해양학 연구에 기여하여 '해양학의 선구자'로 불린다. - 우표 수집가 - 미즈노 기요시
일본방송협회 기자 출신으로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을 지낸 미즈노 기요시는 건설대신과 총무청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정계 은퇴 후 행정 개혁에 참여하며 우정 민영화 등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고 외무성 기밀비 유용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다. - 폴리냑가 - 발랑티누아 공작 피에르
발랑티누아 공작 피에르는 프랑스 폴리냐크 가문 출신으로 모나코의 루이 2세의 사생아인 샤를로트 공녀와 결혼하여 모나코 공자 칭호를 받았으며, 모나코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시민들의 개혁 요구와 SBM과의 갈등을 중재했으며, 모나코 문학 회의 초대 총재 등을 역임했다. - 폴리냑가 - 가브리엘 드 폴리냑
마리 앙투아네트의 총애를 받으며 베르사유 궁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던 가브리엘 드 폴리냑은 왕실 자녀의 가정교사로 사회적 지위를 높였으나, 사치스러운 생활과 궁정 내 권력 장악으로 프랑스 혁명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어 오스트리아로 망명 후 사망했으며 여러 작품에서 묘사되었다.
레니에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레니에 3세 |
전체 이름 | 레니에 루이 앙리 막상스 베르트랑 그리말디 |
출생일 | 1923년 5월 31일 |
출생지 | 모나코 대공궁, 모나코 |
사망일 | 2005년 4월 6일 |
사망 장소 | 모나코 심장흉부센터, 모나코 |
매장일 | 2005년 4월 15일 |
매장 장소 | 성 니콜라스 대성당, 모나코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서명 | Rainier III signature.svg |
통치 | |
군주국 | 모나코 공국 |
즉위 | 1949년 5월 9일 |
퇴위 | 2005년 4월 6일 |
이전 통치자 | 루이 2세 |
후임 통치자 | 알베르 2세 |
섭정 | 알베르 (2005년) |
가족 관계 | |
배우자 | 그레이스 켈리 (1956년 4월 18일 결혼, 1982년 9월 14일 사망) |
자녀 | 하노버 공녀 카롤린 알베르 2세 스테파니 |
가문 | 그리말디 가문 |
아버지 | 피에르 드 폴리냐크 |
어머니 | 모나코 여공 샤를로트 |
교육 | |
교육 기관 | 몽펠리에 대학교 파리 정치학교 |
2. 생애
1923년 모나코에서 태어나 영국, 스위스, 프랑스 등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의 어머니 샤를로트 공녀가 1944년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면서, 그는 외조부 루이 2세의 직계 상속자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자유 프랑스군에 입대하여 알자스 전선 등에서 복무했으며, 프랑스 정부로부터 무공 훈장을 받기도 했다.
1949년 루이 2세가 사망하자 25세의 나이로 모나코의 군주, 레니에 3세로 즉위했다. 즉위 당시 모나코는 재정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고 국가 이미지도 좋지 않았다. 레니에 3세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모나코를 조세 회피처, 상업 중심지, 국제적인 관광 명소로 개발하는 데 힘썼다. 이 과정에서 모나코 국영 기업 소시에테 데 뱅 드 메르(SBM)를 장악하려던 그리스 선박 재벌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와 갈등을 겪기도 했으나, 결국 통제권을 확보하여 자신의 경제 개발 비전을 추진했다.
1956년에는 미국의 유명 영화 배우 그레이스 켈리와 결혼하여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두 사람 사이에는 캐롤라인 공주, 알베르 공세자(현 알베르 2세), 스테파니 공주 세 자녀가 태어났다. 그레이스 공비는 1982년 불의의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으며, 레니에 3세는 이후 재혼하지 않았다.
정치적으로는 1962년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여 군주의 절대적인 권한을 일부 축소하고, 선출된 국민 의회와 권력을 공유하는 체제를 마련하는 등 모나코의 정치 시스템 변화를 이끌었다. 또한 우표 및 동전 박물관 설립, 자동차 컬렉션 공개 등 문화적인 활동에도 관심을 보였다.
오랜 기간 흡연으로 인해 말년에는 건강이 좋지 않았으며, 여러 차례 병원 치료를 받았다. 2005년 3월 건강이 위독해지자 아들 알베르 공자가 섭정을 맡았고, 같은 해 4월 6일 폐렴 등 합병증으로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아들 알베르 2세가 모나코 공으로 즉위했다. 레니에 3세는 사망 당시 유럽에서 가장 오랫동안 재위한 군주였다.
2. 1. 초기 생애
1758년 오노레 4세 이후 처음으로 모나코에서 태어난 왕자로, 대공 궁전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샤를로트는 루이 2세와 그의 연인 마리 쥘리에트 루베 사이에서 태어난 유일한 자녀였으며, 정식 입양을 통해 합법적인 지위를 얻고 모나코 왕위의 추정 상속인이 되었다. 아버지 폴리냐크 백작 피에르는 절반은 프랑스, 절반은 멕시코 혈통이었고, 결혼 후 아내의 가문인 그리말디 성을 따랐으며 장인 루이 2세에 의해 모나코의 공작이 되었다. 레니에에게는 마시 남작부인 앙투아네트 공주라는 누나가 있었다.[2] 그의 부모는 1933년에 이혼했다. 레니에 3세는 프랑스, 스페인, 독일,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 다양한 유럽 귀족 가문의 혈통을 이어받았다.레니에는 어린 시절 영국에서 교육을 받았다. 서식스 세인트 레너드 온 시에 있는 서머필드와 퍼블릭 스쿨을 다녔고, 1935년 이후에는[3] 버킹엄셔의 스토우 스쿨에서 교육받았다. 1939년부터는 스위스 롤과 그슈타트에 있는 르 로제 학교에 다녔다. 이후 프랑스로 건너가 몽펠리에 대학교에서 1943년 문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파리의 파리 정치대학에서 공부했다.[2]
1944년, 레니에가 21세 생일을 맞기 전날, 어머니 샤를로트 공녀는 모나코 왕위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고, 레니에는 외조부 루이 2세의 직계 상속자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4년 9월, 레니에는 자유 프랑스군에 입대하여 조제프 드 고일라르 드 몽사베르 장군의 지휘 아래 소위로 복무했다. 그는 알자스에서 독일군의 반격에 맞서 싸웠으며, 이 공로로 프랑스 무공 십자 훈장과 청동 별(여단급 표창)을 받았고, 1947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프랑스 육군에서 제대한 후, 1949년 4월 프랑스 정부로부터 대위로, 1954년 12월에는 대령으로 진급했다.[2]
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44년 9월, 제2차 세계 대전 중 레니에는 자유 프랑스군에 입대하여 조제프 드 고일라르 드 몽사베르 장군의 지휘 아래 소위로 복무했다.[2] 그는 병사로서 알자스 지역에서 벌어진 독일군의 반격 작전에 참전하여 전투를 치렀다.[2] 이 공로로 프랑스 무공 십자 훈장과 청동 별(여단급 표창)을 받았으며, 1947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2] 프랑스 육군 복무 후, 1949년 4월에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대위로 진급했고, 1954년 12월에는 대령으로 진급했다.[2]2. 3. 모나코 공 즉위
1949년 5월 9일, 외조부인 루이 2세가 사망하자 레니에는 25세의 나이로 모나코의 주권 군주가 되었다.[2]


즉위 당시 모나코는 재정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으며, 그의 어머니 샤를로트 공녀가 유명 보석 도둑을 연인으로 삼는 등 스캔들로 인해 국가의 명성 또한 실추된 상태였다. 국고는 사실상 비어 있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금 사정이 어려워진 유럽 귀족들의 발길이 끊기면서 전통적인 수입원이었던 도박 산업도 위기를 맞았다. 다른 도박 중심지들이 생겨나 경쟁이 심화된 것도 재정난을 부추겼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레니에 3세는 실추된 모나코의 명성을 회복하고 재정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모나코를 조세 회피처, 상업 중심지, 부동산 개발 기회 및 국제적인 관광 명소로 적극 홍보하기로 결정했다.[4] 통치 초기에는 그리스의 선박 재벌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가 모나코 국영 기업인 소시에테 데 뱅 드 메르(SBM)를 장악하고 모나코를 단순한 도박 리조트로 만들려 했으나, 레니에 3세는 1964년 SBM의 통제권을 되찾아 자신의 비전을 실현할 기반을 마련했다.[4]
통치 중이던 1955년에는 모나코 자본의 상당 부분을 보유하고 있던 은행인 소시에테 모네가스크 드 방크 에 드 메토 프레시외가 미디어 회사 투자 실패로 파산하여 모나코 내각이 총사퇴하는 사건도 있었다. 1962년 레니에 3세는 군주의 권한을 대폭 축소하는 내용의 새로운 헌법을 비준했다.[5] 그는 1959년에 이전 헌법을 중단시킨 바 있는데, 당시 "국가의 행정 및 정치 생활을 방해했다"고 이유를 밝혔다. 새 헌법의 시행으로 모나코는 군주 독재 체제에서 벗어나 군주와 18명의 선출직 의원으로 구성된 국민 의회가 권력을 공유하는 체제로 변화했다.[6]
2. 4. 그레이스 켈리와의 결혼

레니에 3세는 1955년 칸 영화제 참석을 지원하기 위해 모나코 대공 궁전에서 열린 사진 촬영 행사에서 미국의 유명 아카데미상 수상 배우 그레이스 켈리를 만났다. 약 1년간의 교제[13] 후, 두 사람은 1956년 1월 5일 약혼을 발표했다.
이들의 결혼은 언론에서 "세기의 결혼"이자 "세계에서 가장 기대되는 결혼"으로 묘사하며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13] 1956년 4월 18일 모나코 대공 궁전에서 법적인 효력을 갖는 민간 결혼식이 먼저 열렸고, 다음 날인 4월 19일에는 성 니콜라스 대성당에서 로마 가톨릭 예식에 따른 성대한 종교 결혼식이 거행되었다. 결혼식에서 레니에 3세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군복을 모델로 직접 디자인한 군복을 착용했다. 질 바르테 주교가 주례를 맡은 이 결혼식은 MGM 스튜디오를 통해 중계되어 전 세계적으로 3천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시청한 것으로 추정된다. 결혼식 후 부부는 요트 데오 주반테 II를 타고 지중해로 신혼여행을 떠났다.
결혼 후 그레이스 켈리는 모나코의 공비가 되었으며, 부부 사이에는 세 자녀가 태어났다.
- 1957년 1월 23일 첫째 딸 캐롤라인 공주가 태어났다.
- 1958년 3월 14일 둘째이자 왕위 계승자인 알베르 공세자(현 모나코 공작 알베르 2세)가 태어났다.
- 1965년 2월 1일 막내딸 스테파니 공주가 태어났다.
세 자녀 모두 모나코 대공 궁전에서 태어났다.
1979년 레니에 3세는 그레이스 공비와 함께 모나코에서 제작된 30분 분량의 독립 영화 Rearranged|재배열영어에 직접 출연하기도 했다. 모나코에서 초연된 후, 그레이스 공비는 1982년 미국 ABC TV 관계자들에게 이 영화를 선보였고, 추가 장면 촬영을 조건으로 미국 내 방영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그러나 그레이스 공비는 같은 해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나면서 영화의 미국 개봉은 이루어지지 못했다.[14]
1982년 9월 14일, 그레이스 공비는 프랑스 남부 로크아젤(Rocagel)에 있는 별장에서 모나코로 직접 자동차를 운전하여 돌아오던 중 갑작스러운 뇌출혈[15] 증세로 운전 능력을 상실했다. 차는 통제 불능 상태로 급커브 길의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도로 옆 가파른 절벽 아래로 추락하는 큰 사고를 당했고, 이 사고로 그레이스 공비는 사망했다.[16] 레니에 3세는 아내를 잃은 깊은 슬픔 속에서도 모나코 대공으로서의 직무를 계속 수행했으며, 이후 재혼하지 않았다.[17] 그는 1982년 아내를 추모하고 미국의 젊은 예술가들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레이스 왕비 재단-USA(Princess Grace Foundation-USA)를 설립했다.
2. 5. 통치 및 업적
1949년 5월 9일, 외조부 루이 2세가 사망하자 레니에는 25세의 나이로 모나코의 주권 군주가 되었다.[2] 즉위 당시 모나코는 재정적 어려움과 스캔들로 인해 명성이 실추된 상태였다. 국고는 거의 비어 있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통적인 도박 고객이었던 유럽 귀족들의 자금 사정이 악화되었으며, 다른 도박 중심지와의 경쟁도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레니에 3세는 모나코의 경제 기반을 다변화하고 국가 이미지를 쇄신하는 데 주력했다.[4]
그는 모나코를 단순한 도박 중심지를 넘어 조세 회피처, 상업 중심지, 부동산 개발 기회 및 국제적인 관광 명소로 만들고자 했다.[4] 당시 그리스 선박 재벌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는 모나코의 주요 기업인 소시에테 데 뱅 드 메르(SBM)를 장악하고 모나코를 도박 리조트로만 유지하려 했으나, 레니에 3세는 1964년 SBM의 통제권을 되찾아 모나코 발전에 대한 자신의 비전을 실현할 기반을 마련했다.[4] 이는 국가 주도의 경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정치적으로는 1962년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여 군주의 절대적인 권한을 축소하고, 선출된 18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국민 의회와 권력을 나누는 체제를 도입했다.[5] 이는 1959년 "국가의 행정 및 정치 생활을 방해한다"며 중단했던 이전 헌법 체제를 대신하는 것으로, 모나코의 정치 시스템을 보다 민주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중요한 개혁이었다.[6]
문화 분야에서도 레니에 3세는 여러 업적을 남겼다. 1950년에는 퐁비에유 지역에 모나코의 우표 및 동전 박물관을 설립했으며,[10] 1999년에는 저명한 우표 수집가들을 위한 몬테카를로 우취 엘리트 클럽의 창설을 후원했다.[11] 그는 모나코 우표 제작 과정 전반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특히 요판화 기법과 조각가 앙리 셰페르, 체스와프 스와니아의 작품을 선호했다.[10] 또한 자신의 자동차 컬렉션을 모나코 톱 카 컬렉션으로 조성하여 대중에게 공개했다.[12]
레니에 3세는 2005년 사망 당시 태국 국왕 푸미폰 아둔야뎃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 재임한 국가 원수였으며, 유럽에서는 가장 오랫동안 재위한 군주였다.[7][8]
2. 6. 사망
레니에는 하루에 담배 60개비를 피울 정도로 애연가였다.[17] 생애 말년에 그의 건강은 점차 나빠졌다. 1999년 말과 2000년에 수술을 받았고, 2002년 11월에는 흉부 감염으로, 2004년 1월에는 일반적인 피로 증상으로 입원했다.[18] 2004년 2월에는 관상 동맥 병변과 손상된 혈관 문제로, 같은 해 10월에는 폐 감염으로 다시 병원에 입원했다. 당시 그의 아들 알베르 공은 CNN의 '래리 킹 라이브'에 출연하여 아버지가 기관지염을 앓고 있다고 언급했다.[20]2005년 3월 7일, 레니에는 다시 폐 감염으로 입원했다. 3월 22일에는 병원 중환자실로 옮겨졌고, 다음 날인 23일에는 인공호흡기를 착용했으며 신부전과 심부전을 겪고 있다는 발표가 있었다. 3월 26일 궁전은 상태가 계속 악화되고 있다고 밝혔으나,[21] 27일에는 의식이 있고 심장과 신장 상태가 안정되었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예후는 여전히 "매우 신중"한 상태였다.[21]
상황이 위중해지자 2005년 3월 31일, 모나코 왕실 자문 위원회와 협의를 거쳐 프랭세 궁전은 레니에가 더 이상 공적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알베르 공자가 섭정으로서 아버지의 임무를 맡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22] 4월 1일, 궁전은 레니에의 의사들이 그의 회복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본다고 발표했다.[23]
결국 2005년 4월 6일 오전 6시 35분(현지 시간), 레니에 3세는 모나코 심장 흉부 센터에서 폐렴 등의 합병증으로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사망으로 아들 알베르가 알베르 2세로서 새로운 모나코 공으로 즉위했다.[24]

레니에 3세의 장례식은 2005년 4월 15일 모나코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 그는 모나코 군주들의 전통적인 매장 장소이자 1956년 그레이스 공비와 결혼했던 바로 그곳에서 아내의 곁에 안장되었다.[25][26] 레니에의 사망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서거 직후에 일어나 언론의 주목을 상대적으로 덜 받았다.[26]
3. 가족
전 할리우드 배우 그레이스 켈리와의 사이에 1남 2녀를 두었다.
- '''카롤린''' 루이즈 마르그리트 (1957년 - ) - 하노버의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5세의 아내
- '''알베르''' 알렉상드르 루이 피에르 (1958년 - ) - 모나코의 알베르 2세
- '''스테파니''' 마리 엘리자베트 (1965년 - )
4. 유산
레니에 3세는 1949년 즉위 당시 재정적 어려움과 스캔들로 훼손된 모나코의 명성을 회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당시 국고는 사실상 비어 있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요 수입원이었던 도박 산업은 유럽 귀족 고객 감소와 경쟁 심화로 위기를 맞았다.[4]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레니에 3세는 모나코를 단순한 도박 중심지를 넘어 조세 회피처, 상업 중심지, 부동산 개발 기회 및 국제적인 관광 명소로 탈바꿈시키려는 비전을 추진했다.[4] 통치 초기, 그리스 선박 재벌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는 모나코의 주요 기업인 소시에테 데 뱅 드 메르(SBM)를 장악하고 자신의 구상대로 모나코를 운영하려 했으나, 레니에 3세는 1964년 SBM의 통제권을 되찾아 모나코 발전에 대한 자신의 청사진을 실현할 기반을 마련했다.[4]
레니에 3세의 통치 기간 중 중요한 정치적 변화는 1962년 새 헌법의 제정이었다. 1955년 주요 은행(소시에테 모네가스크 드 방크 에 드 메토 프레시외) 파산으로 내각이 총사퇴하는 등 정치적 불안정을 겪은 후, 그는 1959년 기존 헌법의 효력을 정지시켰고("국가의 행정 및 정치 생활을 방해했다"는 이유로), 3년 뒤 새로운 헌법을 통해 군주의 절대적인 권한을 상당히 축소했다.[5] 이 개혁은 권력을 군주와 선출된 18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국민 의회가 공유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사실상 절대군주제에서 벗어나 모나코를 입헌군주제로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6] 이는 국가 운영의 민주성을 높이고 정치적 안정을 가져오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경제 및 정치 개혁 외에도 레니에 3세는 문화 분야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1950년에는 역대 공작들의 수집품을 기반으로 퐁비에유에 우표 및 동전 박물관을 설립했으며,[10] 자신의 방대한 자동차 컬렉션을 모나코 톱 카 컬렉션으로 일반에 공개했다.[12] 또한 우표 수집에 대한 깊은 조예를 바탕으로 모나코 우표 제작 과정을 감독하고, 1999년에는 권위 있는 우취 수집가 단체인 몬테카를로 우취 엘리트 클럽 창설을 후원하는 등 모나코의 문화적 위상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했다.[10][11]
반세기 넘게 모나코를 통치한 레니에 3세는 사망 당시 태국 국왕 푸미폰 아둔야뎃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 재임한 국가 원수이자 유럽 최장수 재위 군주였다.[7][8] 그의 오랜 통치는 모나코가 현대적인 국가로 변모하고 경제적 번영과 정치적 안정을 이루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5. 훈장
수여 국가/기관 | 훈장명 |
---|---|
프랑스 | 레지옹 도뇌르 그랜드 크로스[27] |
이란 제국 왕가 | 페르시아 제국 2,500주년 기념 메달[28] |
이탈리아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칼라가 있는 그랜드 크로스[29] |
몰타 기사단 | 공로 훈장 칼라가 있는 기사단 그랜드 크로스 |
포르투갈 | 성 야고보의 검 기사단 칼라가 있는 그랜드 크로스[30] |
산마리노 | 성 마리누스 기사단 그랜드 크로스[27] |
--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 금색 올림픽 훈장[31] |
참조
[1]
백과사전
Rainier III, prince de Monaco
[2]
뉴스
Obituary: Prince Rainier III of Monaco.
The Times
2005-04-07
[3]
서적
Rainer III, Prince of Monaco
Great Neck Publishing
2017
[4]
웹사이트
The House of Grimaldi: Rainier III- The Builder Prince of Monaco
https://www.hellomon[...]
2016-09-27
[5]
웹사이트
Monaco Now {{!}} Rainier III, the Builder Prince
https://monaconow.co[...]
2019-12-16
[6]
뉴스
Prince Rainier III of Monaco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5-04-07
[7]
뉴스
Prince Rainier III of Monaco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5-07-05
[8]
뉴스
Monaco's Prince Rainier dies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8-30
[9]
뉴스
Obituary: Giselle Pascal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7-02-08
[10]
뉴스
Monaco: Refreshing Rainier
http://www.stampmaga[...]
Stamp Magazine
[11]
웹사이트
Why 100 of the world's top collectors will be in Monaco this weekend
http://www.paulfrase[...]
Paul Fraser Collectibles
[12]
웹사이트
Monaco Top Cars Collection
http://www.fiaherita[...]
FIA
[13]
웹사이트
1956: Prince Rainier marries Grace Kelly
http://news.bbc.co.u[...]
2008-05-31
[14]
웹사이트
Rearranged (1982)
https://www.imdb.com[...]
2017-03-07
[15]
웹사이트
CNN.com – Transcripts
http://transcripts.c[...]
2005-04-15
[16]
서적
Grace: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Skyhorse
2014-11-18
[17]
뉴스
Prince Rainier of Monaco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5-04-06
[18]
웹사이트
Prince Rainier moved to intensive care – World news – Europe
https://www.nbcnews.[...]
NBC News
2005-03-22
[19]
웹사이트
Prince Rainier III, 81; Ruler Transformed Monaco, Made Grace Kelly His Princess
https://www.latimes.[...]
2005-04-07
[20]
웹사이트
Interview With Prince Albert of Monaco
http://transcripts.c[...]
2008-05-31
[21]
뉴스
Rainier's condition 'stabilis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3-27
[22]
웹사이트
Son of ailing Prince Rainier takes over duties
https://www.nbcnews.[...]
2005-03-31
[23]
뉴스
Rainier's recovery chances slim, doctors say
https://www.cbc.ca/a[...]
CBC News
2005-04-01
[24]
뉴스
Monaco's Prince Rainier, 81, di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4-06
[25]
웹사이트
Monaco Cathedral
http://www.gouv.mc/d[...]
Service Informatique du Ministère d'Etat (Monaco Minister of State Information Service)
2008-07-28
[26]
뉴스
Monaco's farewell to its sovereign and friend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5-04-16
[27]
서적
The History of the Principality of Monaco as Seen Through its Postage Stamps
https://books.google[...]
Postage Stamp Issuing Office
1964
[28]
웹사이트
Grand State Banquet
http://badraie.com/g[...]
[29]
웹사이트
Le onorificenze della Repubblica Italiana
http://www.quirinale[...]
1953-05-30
[30]
웹사이트
CIDADÃOS ESTRANGEIROS AGRACIADOS COM ORDENS PORTUGUESAS – Página Oficial das Ordens Honoríficas Portuguesas
http://www.ordens.pr[...]
[31]
웹사이트
A few dates
http://www.comite-ol[...]
[32]
서적
Lines of Succession: Heraldry of the Royal Families of Europe
Little, Brown
[33]
서적
Lines of Succession: Heraldry of the Royal Families of Europe
Little, Brow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