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폴트 1세 (오스트리아 변경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폴트 1세는 976년 오스트리아 변경백으로 임명된 인물이다. 그는 바이에른의 도나우가우와 트라웅가우 지역의 백작으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오토 2세에 의해 오스트리아 변경백으로 임명되었다. 레오폴트 1세는 푀클라른 요새를 중심으로 변경백국을 통치하며 멜크 수도원을 설립하고, 영토를 확장했다. 994년 뷔르츠부르크에서 사망했으며, 13세기에 유해가 멜크 수도원으로 반환되었다. 그는 바벤베르크 가문의 시조로 여겨지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천년 기념행사가 열렸다. 레오폴트 1세는 리하르디스와 결혼하여 하인리히 1세, 에른스트 1세 등을 포함한 여덟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94년 사망 - 아부 이사 알와락
아부 이사 알와락은 9세기 이슬람 학자이자 철학자로, 이성과 정의를 바탕으로 계시 종교인 이슬람과 기독교를 비판하며 무함마드의 예언자 자격과 기독교 교리의 모순을 지적했다. - 940년대 출생 - 에드위그
에드위그는 955년부터 959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앵글로색슨족 왕으로, 재임 기간 동안 가톨릭 교회와의 갈등, 왕국 분할 등의 사건을 겪었으며, 사후 부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현대 역사가들의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 940년대 출생 - 에드거 평화왕
에드거 평화왕은 10세기 잉글랜드의 왕으로, 수도원 개혁 운동을 지원하고 주화 개혁과 법률 제정을 통해 왕국의 안정과 질서 확립에 기여했다. - 독일계 오스트리아인 -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후작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후작은 오스트리아 제국의 외교관이자 정치가로서 빈 회의를 주도하여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의 세력 균형을 재정립하고, 보수주의 이념으로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를 억압하려 했으나 1848년 혁명으로 실각했다. - 독일계 오스트리아인 - 미하엘 하네케
오스트리아 출신의 영화 감독 미하엘 하네케는 철학, 심리학, 연극을 전공 후 텔레비전 감독으로 데뷔, 사회적 문제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독특한 연출 스타일로 국제적인 찬사와 논쟁을 일으키며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두 차례 수상하는 등 영화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레오폴트 1세 (오스트리아 변경백)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오스트리아 변경백 |
별칭 | 빛나는 자 (der Erlauchte) |
가문 | 바벤베르크 가 |
통치 | |
재위 기간 | 976년–994년 |
이전 | 부르하르트 (오스트리아 변경백) |
이후 | 하인리히 1세 (오스트리아 변경백) |
개인 정보 | |
출생 | 기원전 940년경 |
사망 | 994년 7월 10일 |
사망 장소 | 뷔르츠부르크, 프랑켄 공국 |
매장지 | 멜크 수도원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리하르디스 폰 수알라펠트가우 |
자녀 | 하인리히 1세 (오스트리아 변경백) 유디트 에른스트 1세 (슈바벤 공작) 아달베르트 (오스트리아 변경백) 포포 (트리어 대주교) 쿠니군다 헴마 크리스티나 |
아버지 | 아르눌프 (바이에른 공작) (?) |
2. 생애
레오폴트 1세는 962년 2월 13일 오토 1세가 발행한 문서에서 라티스본(현재의 레겐스부르크) 근처 바이에른 '''도나우가우''' 지역과 '''트라웅가우''' 지역의 백작이자[29][30] 황제의 충실한 추종자인 류포(Liupo)로 처음 언급되었다.[31] 오토 1세는 955년 레히펠트 전투에서 마자르족을 격퇴한 후 정복한 영토에 바이에른 변경백국을 재건하였다.
976년 7월 21일, 레오폴트 1세는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핵심 영토가 되는 '마르카 오리엔탈리스'의 변경백으로 임명되었다.[32] 그는 다뉴브 강 하류의 푀클라른 요새를 중심으로 변경백국을 통치하며 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2. 1. 출신 가문
레오폴트 1세의 출신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몇몇 자료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 베르톨트는 바이에른 공국의 레겐스부르크 북쪽 지역인 노르트가우 백작이었다고 한다.[27] 또 다른 최근 이론에서는 레오폴트 1세를 바이에른의 아르눌프 공작의 아들이나[28] 손자로 보며, 슈바인푸르트의 베르톨트 백작의 형제 또는 조카라고도 한다. 그의 가계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루이트폴딩스 왕조나 프랑코니아의 포포니드(바벤베르크 가문)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2. 2. 변경백 임명과 통치
962년 오토 1세가 발행한 문서에서 레오폴트 1세가 처음으로 언급된다.[29][30][31] 976년, 오토 2세 황제에 대항하는 반란에 가담했던 부르크하르트 변경백이 해임되면서, 레오폴트는 오토 2세에 의해 오스트리아 변경백으로 임명되었다.[32]레오폴트 1세는 다뉴브 강 하류의 푀클라른 요새를 중심으로 변경백국을 통치했다.[33] 그는 멜크 요새를 장악하고 수도원을 설립했으며,[33][26] 자신의 거주지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33] 변경백국의 동쪽 경계를 확장하여, 987년에는 비너발트 산맥,[34] 991년에는 피샤 강까지 이르렀다.[34]
2. 3. 사망
994년, 레오폴트 1세는 사촌인 슈바인푸르트의 하인리히 변경백과 뷔르츠부르크 주교 베른바르트 폰 로텐부르크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기 위해 뷔르츠부르크로 갔다. 하인리히 변경백이 베른바르트 주교의 기사 중 한 명을 붙잡아 눈을 멀게 했기 때문이다.[8][9] 7월 8일에 열린 토너먼트에서 레오폴트 1세는 사촌을 겨냥한 화살에 눈을 맞았다.[8][9] 이틀 후인 994년 7월 10일, 그는 부상으로 사망했다.[1][8][9][10] 그는 뷔르츠부르크에 묻혔다.[9] 1015년, 그의 아들 에른스트 1세 공작이 아버지 옆에 묻혔다.[9] 13세기에 그들의 유해는 멜크 수도원으로 이장되었다.[7]3. 역사 편찬
레오폴트 1세는 재건된 동방 변경백국(Marcha orientalis)을 18년 동안 통치하면서 뛰어난 능력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안정시켰다.[40] 동시대 연대기 작가인 티트마르는 레오폴트 1세를 모든 행동과 훌륭한 기질에서 그보다 더 현명한 사람은 없다고 묘사하며, 현명하고 유능한 통치자로 평가했다.[41] 황제 오토 3세가 레오폴트 사후 그의 아들 하인리히 1세에게 변경백 지위를 물려준 것은 레오폴트의 능력과 명성에 대한 증거로 볼 수 있다.[35]
레오폴트의 후손인 프라이징의 오토는 자신의 저서 《바벤베르크 연대기》에서 레오폴트의 손자인 아달베르트부터 기술을 시작하여 레오폴트를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레오폴트 1세는 바벤베르크 왕조의 시조로 여겨진다. 프라이징의 오토가 주장한 10세기 초 바벤베르크 반란으로 알려진 프랑켄계 바벤베르크 가문과의 연관성은 증명되지 않았지만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1976년은 레오폴트가 변경백으로 임명된 지 천년이 되는 해로, "오스트리아의 천년"으로 축하되었다. 20년 후인 1996년에는 오스트리아의 옛 독일 이름인 오슈타르리히(Ostarrîchi)를 최초로 언급한 996년 문서를 기념하는 행사가 개최되었다.
4. 가족 관계
레오폴트 1세는 리하르디스와 결혼하여 8명의 자녀를 두었다.[42][12][25]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배우자"와 "자녀"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4. 1. 배우자
레오폴트 1세는 수알라펠트가우의 백작 에른스트 4세(혹은 에초니드 백작 에른프리트 2세)의 딸인 리하르디스와 결혼했다.[42] 리하르디스는 아마도 카린티아의 아달베로 공작의 고모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2][25] 이 결혼으로 여덟 명의 자녀를 낳았다.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하인리히 1세 | 1018년 사망 | 오스트리아 변경백 (994년-1018년) |
유디트 | ||
에른스트 1세 | 1015년 사망 | 슈바벤 공작 (1012년-1015년) |
아달베르트 | 985년-1055년 | 오스트리아 변경백 (1018년-1055년) |
포포 | 986년-1047년 | 트리어의 대주교 (1016년-1047년) |
쿠니군데 | ||
헴마 | 디센의 라포토 백작과 결혼 | |
크리스티나 | 트리어의 수녀 |
4. 2. 자녀
레오폴트 1세는 리하르디스와 결혼했다.[42] 리하르디스는 주알라펠트가우의 에른스트 4세 백작의 딸(다른 자료에 따르면 에렌프리트 2세 백작의 딸)이며, 아마도 카린티아의 아달베로 공작의 고모였을 것이다.[12] 이들의 결혼으로 태어난 자녀는 다음과 같다.이름 | 설명 |
---|---|
하인리히 1세 | 1018년에 사망했으며, 994년부터 1018년까지 오스트리아 변경백이었다. |
유디트 | |
에른스트 1세 | 1015년에 사망했으며, 1012년부터 1015년까지 슈바벤 공작이었다. |
아달베르트 | 985년에 태어나 1055년에 사망했으며, 1018년부터 1055년까지 오스트리아 변경백이었다. |
포포 | 986년에 태어나 1047년에 사망했으며, 1016년부터 1047년까지 트리어 대주교였다. |
쿠니군데 | |
헴마 | 디센의 라포토 백작과 결혼했다. |
크리스티나 | 트리어의 수녀였다. |
5. 천년 기념행사
1976년, 레오폴트 1세가 변경백으로 임명된 지 1000주년이 되는 해를 기념하여 "오스트리아 천년" 행사가 개최되었다.[8] 20년 후에는 고대 독일어로 된 오스트리아 이름이 처음 언급된 996년 ''오스타리히'' 문서를 기념하는 행사가 같은 이름으로 열렸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Genealogie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Lechner 1976
[37]
서적
Lingelbach 1913
[38]
서적
Thietmar 2001
[39]
서적
Leeper 1940
[40]
서적
Leeper 1940
[41]
서적
Thietmar 2001
[42]
서적
Lechner 197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