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진코믹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진코믹스는 2012년 4월에 설립된 웹툰 플랫폼이다. 2013년 안드로이드 및 iOS 앱을 출시하고 웹사이트를 개시했으며, 유료 웹툰 서비스를 국내 최초로 시작했다. 이후 IMM PE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고,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레진코믹스는 웹툰 공모전을 개최하고, 레진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미디어 콘텐츠 제작 사업을 전개하며, 웹툰 단행본 출판, 굿즈 제작 등의 라이선스 사업도 진행한다. 음란물 유통 논란과 작가 처우 문제 등 논란이 있었으며, 2013년 글로벌 K-스타트업 프로그램에서 구글 특별상을, 2014년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진코믹스 - 로맨스는 없다
《로맨스는 없다》는 단행본으로 출간된 작품으로, 각 권마다 본편 에피소드와 추천사, 특별 일러스트, 후기 만화 등의 다양한 부록이 수록되었으며, 각 권 초판 한정 특별 사은품이 제공되었고, 발간 기념 팬사인회가 개최되었다. - 레진코믹스 - 천지해
천지해는 천계 질서 수호 특무기관을 배경으로 수습 륜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다양한 종족과 현실 인물들이 등장하여 천계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룬다. - 온라인 출판사 - 슈에이샤
슈에이샤는 1925년 쇼가쿠칸에서 분리되어 독립한 일본의 대형 출판사로, 주간 소년 점프 등 인기 만화 잡지를 발행하며 만화 및 출판 시장을 선도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는 한편, 노동 환경 및 우익 성향 논란 등 사회적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 온라인 출판사 - 다크 호스 코믹스
1986년 마이크 리처드슨이 설립한 다크 호스 코믹스는 《다크 호스 프레젠트》를 통해 성장하여 《고질라》, 《에일리언》, 《스타워즈》 등의 라이선스 획득과 다크 호스 엔터테인먼트 설립으로 확장되었으며, 2021년 엠브레이서 그룹에 인수되어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출판하는 미국의 만화 출판사이다. - 웹 만화 연재처 - 카카오페이지
카카오페이지는 2010년 설립된 콘텐츠 플랫폼으로, 웹툰 및 웹소설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콘텐츠 제작자가 직접 판매하고 수익을 분배하며, 현재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페이지 컴퍼니이다. - 웹 만화 연재처 - 네이버 웹툰
네이버 웹툰은 2004년 네이버에서 시작된 온라인 만화 서비스로, 세로 스크롤 방식과 요일별 연재 시스템을 통해 웹툰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만화를 대중화하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여 다양한 미디어 믹스 콘텐츠를 제작하는 세계적인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 레진코믹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회사 종류 | 주식회사 |
| 설립 | 2013년 |
| 창립자 | 한희성 |
| 본사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산업 | 웹툰 |
| 모회사 | 키다리스튜디오 |
| 자회사 | 레진스튜디오 |
| 웹사이트 | 레진코믹스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주)레진엔터테인먼트는 2012년 4월에 설립되었다.[2] 2013년 6월 7일 안드로이드 앱을 출시하고,[53] 같은 해 7월 15일 토/일 만화 연재를 추가했다. 8월 16일에는 iOS 앱을 출시했다.[53] 9월 27일에는 웹사이트를 개시했다.[53] 12월 15일에는 출판만화 카테고리와 가로 넘기기 페이지 뷰어, 크로스뷰 기능을 추가했다.
2014년 1월 10일 문화상품권/도서상품권 결제 기능을 추가했다. 4월 16일 엔씨소프트로부터 5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으며,[54] 5월 1일 검색, 내 서재 편집, 장르별 검색, 추천 만화 기능을 추가했다. 2016년 6월에는 IMM PE로부터 60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61]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제 1회 레진코믹스 세계 만화 공모전을 개최했다. 이후로도 2015년(11월~2016년 2월, 2회[58]), 2016년(11월~2017년 2월, 3회[62]) 등 공모전을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신인 작가 발굴과 콘텐츠 확보에 힘썼다.
2015년 3월 24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레진코믹스가 음란물을 유통한다는 이유로 접속 차단을 결정했으나, 같은 날 결정을 번복하고 다시 접속을 허용했다. 이후 4월 17일, 레진코믹스는 성인만화 노출 방지 탭을 추가했다.[55] 같은 해 4월 일본 서비스를 시작했고,[56] 12월에는 미국 서비스를 시작하여[59]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2015년 5월 25일에는 레진코믹스배 '하스스톤 마스터즈 코리아'를 개막했다.[57]
2017년 5월에는 UL 엔터테인먼트의 최대 주주가 되었고,[5] 2019년 4월에는 드라마 및 영화 제작사 레진 스튜디오를 설립했다.[1] 2021년 2월, 키다리스튜디오가 2020년 12월 14일에 약 1,300억 원에 레진엔터테인먼트 인수를 완료했다.[6] 2022년 8월에는 자매 사이트 "BeLToon" 서비스를 시작했다.
2. 1. 설립 및 성장
(주)레진엔터테인먼트는 2012년 4월에 설립되었다.[2] 2013년 6월 안드로이드 앱을 출시하고,[53] 같은 해 8월에는 iOS 앱을 출시했다.[53] 9월 27일에는 웹사이트를 개시했다.[53]2014년 4월 엔씨소프트로부터 5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으며,[54] 2016년 6월에는 IMM PE로부터 60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61]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레진코믹스 세계 만화 공모전'을 개최하여[58][62] 신인 작가 발굴에 힘썼다. 2015년 4월에는 일본 서비스를 시작했고,[56] 12월에는 미국 서비스를 시작하여 해외 시장으로 영역을 넓혔다.[59]
2017년 5월에는 UL 엔터테인먼트의 최대 주주가 되었고,[5] 2019년 4월에는 드라마 및 영화 제작사 레진 스튜디오를 설립했다.[1] 2021년 2월, 키다리스튜디오가 레진엔터테인먼트 인수를 완료했다.[6]
2. 2. 공모전 개최
2014년 9월 17일부터 12월 17일까지 '제1회 레진코믹스 세계 만화 공모전'을 개최했다.[70] 대상 1팀에 1억원, 최우수상 1팀에 2천만원, 우수상 10팀에 300만원 등 총 상금 1억 5천만원 규모로, 우승 시 한일 동시 연재 특전이 주어졌다. 총 2,941편이 접수되어 167: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한국(1700여 편), 일본(600여 편), 대만·중국(100여 편), 미국(12편) 등 다양한 국가에서 응모작이 접수되었다. 마카오, 말레이시아, 영국에서도 각각 1편이 접수되었다.[70] 뜨거운 관심에 따라 수상작을 기존 12편에서 15편으로 늘렸다. 수상작인 은송 작가의 <기도>, 김민소 작가의3. 특징
3. 1. 부분 유료화 모델
기존 웹툰 서비스와 레진코믹스의 가장 큰 차이는 처음부터 유료 모델로 시작했다는 것이다. 기존 웹툰들은 대형 포털(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에 트래픽을 가져다주는 목적으로 운영되어 무료로 제공되었고, 포털 서비스사들은 만화 작가들과 수익을 나누는데 소극적이었다.[65] 이러한 한국 웹툰 시장의 구조적 문제와 악순환을 개선하기 위한 유료화 시도도 있었지만, 이미 웹툰은 무료라는 인식을 가진 네티즌들의 외면으로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레진코믹스는 처음부터 대형 포털과 독자적인 웹툰 전문 플랫폼을 기반으로 유료화 모델을 도입했고 안정적인 수익을 끌어내는데 성공했다.레진코믹스의 유료화 성공 이유는 크게 네 가지로 평가할 수 있다.
- 첫째, 콘텐츠의 질이다. 레진코믹스의 이성업 총괄 이사는 콘텐츠의 질을 좋게 유지하는 것이 최고의 마케팅 방법이라고 말한다.[66] 웹툰 이용자들이 돈을 주고서라도 보고싶을 만큼 수준 있는 웹툰을 제공한다면 자연스럽게 지갑을 열 것이라는 것이다.
- 둘째, 성인 독자들을 타게팅 했다는 것이다. 레진코믹스는 '성숙한 독자들을 위한' 웹툰 서비스를 표방하고 있으며, 전체 웹툰의 20%정도가 19금 아이콘을 단 성인 웹툰인데 성인 웹툰은 거의 유료로 결제해야만 볼 수 있다.[42] 10대에 비해 구매력이 높은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 셋째, 결제 과정이 매우 간단하다. 레진코믹스 앱은 결제를 하기 위해 페이지를 벗어날 필요 없이 앱 안에서 곧바로 코인 결제를 할 수 있다. 웹사이트도 모바일 결제, 문화상품권 결제 등의 방식도 제공한다.
- 넷째, 부분 유료화 전략이 매우 영리하다. 유료 콘텐츠의 종류는 두가지인데, 무조건 결제해야만 볼 수 있는 웹툰이 있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무료로 풀리는 웹툰이 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하거나 이미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작가의 웹툰의 경우 전자에 해당되는데 기본적으로 인기가 많기 때문에 완전 유료임에도 불구하고 이용자가 많다. 대다수의 웹툰은 후자에 해당된다. 7일을 기다리면 무료로 다음 편을 볼 수 있지만, 300원~500원만 지불하면 당장 다음 편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유료로 결제의 유인이 매우 높다.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에서 2015년 6월 발표한 <웹툰 산업 현황 및 실태 조사>는 '레진코믹스로 시작된 웹툰 전문 플랫폼이 유료 기반 서비스로 작가와 일정 비율로 수익을 배분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가 수익시장 활성화에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67]
3. 2. 다양한 장르 및 성인 웹툰
네이버 웹툰, 다음 만화속세상과는 달리, 레진코믹스의 연재작품은 대체적으로 대중성보다는 성인 독자를 타겟으로 작품성 및 작가의 표현의 자유를 중시하여 주제와 장르에 관계없이 다양한 작품을 연재한다.[42] 여기서 성인만화란 꼭 성적인 콘텐츠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미생'과 같이 성인 독자에게 어필할 만한 웹툰을 의미한다.[42] 동성애 작품도 타 플랫폼에 비해 월등히 많은 편이며, BL등도 매우 충실하게 다루고 있다.[34]3. 3. 작가 중심의 수익 배분
3. 4. 기타 기능
레진코믹스는 댓글 기능이 없다. 유료 결제로 앞 내용을 미리 본 독자들의 스포일러를 막고, 공격적인 댓글로 인해 작가들이 상처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47][35] 작품을 다 읽은 독자에 의한 스포일러 방지 및 작가를 비방, 중상모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라고 한다.[35]레진코믹스는 즐겨찾기 기능도 없다. 새롭게 업데이트된 만화에 이용자들의 노출 가능성을 높이기 위함이다.[47][35]
4. 사업 영역
레진코믹스는 약 8,000편의 다양한 장르의 만화 작품을 제공하며, 한국 최초로 유료 웹툰 서비스를 시작했다. 각 독자의 취향에 맞는 작품을 추천하는 "레진 PICK"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글로벌 현지화 전략을 통해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레진 스튜디오는 웹툰을 원작으로 한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웹툰 단행본 출판, 굿즈 제작 등 라이선스 사업도 진행하고 있으며, 장르에 관계없이 누구나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작품을 수시로 모집하여 크리에이터를 지원한다. 레진 챌린지를 통해 누구나 자유롭게 작품을 업로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5. 논란 및 이슈
2015년 3월 25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음란물 유통을 이유로 레진코믹스 사이트를 차단했다가 2시간여만에 해제하는 소동을 빚었다.[71][39]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성기 노출, 성행위 묘사 등 다수의 음란물을 게재했고 청소년 보호를 위한 수단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이유로 레진 코믹스의 일부 만화를 문제삼아 사이트 접속차단 조치를 내렸다.[72] 하지만 네티즌들의 반발이 강하게 일자 2시간여만에 번복해 차단을 해지했다[72][40] 이 사건으로 인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음란성 판단 기준에 대한 의문과 온라인 표현의 자유 침해와 관련된 이슈가 다시 한 번 불거졌다. 특히 창조경제 모델로 주목받아 미래창조과학부 주관 '글로벌 K스타트업'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고 '대한민국 인터넷 대상'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던 레진코믹스를 대상으로 벌어진 사건이어서 더 논란이 되었다[73][41].
2017년 9월, 레진코믹스는 《월한강천록》의 작가 회색(Gray)이 계약 만료 후 트위터를 통해 암 투병 중임에도 불구하고 웹툰 작업을 강요했다고 밝혀 논란에 휩싸였다.[7] 같은 해 9월, 한국웹툰작가협회는 레진코믹스의 지각비 문제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했다.[8] 지각비는 마감일로부터 2일 이상 원고 제출이 늦어질 경우, 작가의 월 수입의 최대 9%를 부과하는 것이었다. 2017년 11월, 레진코믹스는 2018년 2월 1일부터 지각비 제도를 폐지하고, 작가들과의 계약 협상을 위한 3개월의 유예 기간을 갖는다는 성명을 발표했다.[9]
2017년 12월, 기사에서는 레진코믹스가 작가들에 대한 블랙리스트를 운영하여 광고 및 홍보 행사에서 배제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10] 레진코믹스는 블랙리스트의 존재를 부인했다. 2018년 1월, 서울방송은 여러 작품들을 메인 페이지와 홍보에서 제외하라는 내용의 이메일을 유출했다.[11]
2018년 1월, 레진코믹스는 작가 은송과 미치와의 계약을 2월 6일에 종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두 작가는 레진코믹스가 아닌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이 사실을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이후 레진코믹스는 은송과 미치가 허위 루머를 유포했다며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발표했다.[12][13] 1월 11일, 레진코믹스 사무실 앞에서 작가들에 대한 법적 조치와 처우에 항의하는 시위가 열렸다.[14] 같은 달 말,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한 토론회가 열려 업계 내 갑질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15]
2018년 7월, 레진코믹스 한희성 대표는 작가들의 작품 노출 및 광고에 불이익을 주는 블랙리스트를 작성했다는 의혹과 웹소설 플랫폼의 갑작스러운 서비스 종료로 작가들에게 혼란을 야기한 점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했다.[16]
5. 1. 음란물 유통 논란
2015년 3월 25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레진코믹스에 음란물이 유통된다는 이유로 사이트를 차단했다가 2시간여만에 해제하는 소동을 빚었다.[71][39]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레진코믹스에 성기 노출, 성행위 묘사 등 다수의 음란물이 게재되었고 청소년 보호를 위한 수단도 부족하다는 이유로 사이트 접속 차단 조치를 내렸다.[72] 하지만 네티즌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2시간여만에 차단을 해지했다.[72][40]이 사건으로 인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음란성 판단 기준에 대한 의문과 온라인 표현의 자유 침해와 관련된 이슈가 다시 한 번 불거졌다.[73] 특히, 미래창조과학부 주관 '글로벌 K스타트업'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고 '대한민국 인터넷 대상'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던 레진코믹스를 대상으로 벌어진 사건이어서 더 논란이 되었다.[73][41]
5. 2. 작가 처우 논란
2017년 9월, 레진코믹스는 《월한강천록》의 작가 회색(Gray)이 계약 만료 후 트위터를 통해 암 투병 중임에도 불구하고 웹툰 작업을 강요했다고 밝혀 논란에 휩싸였다.[7] 같은 해 9월, 한국웹툰작가협회는 레진코믹스의 지각비 문제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했다.[8] 지각비는 마감일로부터 2일 이상 원고 제출이 늦어질 경우, 작가의 월 수입의 최대 9%를 부과하는 것이었다. 2017년 11월, 레진코믹스는 2018년 2월 1일부터 지각비 제도를 폐지하고, 작가들과의 계약 협상을 위한 3개월의 유예 기간을 갖는다는 성명을 발표했다.[9]2017년 12월, 기사에서는 레진코믹스가 작가들에 대한 블랙리스트를 운영하여 광고 및 홍보 행사에서 배제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10] 레진코믹스는 블랙리스트의 존재를 부인했다. 2018년 1월, 서울방송은 여러 작품들을 메인 페이지와 홍보에서 제외하라는 내용의 이메일을 유출했다.[11]
2018년 1월, 레진코믹스는 작가 은송과 미치와의 계약을 2월 6일에 종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두 작가는 레진코믹스가 아닌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이 사실을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이후 레진코믹스는 은송과 미치가 허위 루머를 유포했다며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발표했다.[12][13] 1월 11일, 레진코믹스 사무실 앞에서 작가들에 대한 법적 조치와 처우에 항의하는 시위가 열렸다.[14] 같은 달 말,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한 토론회가 열려 업계 내 갑질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15]
2018년 7월, 레진코믹스 한희성 대표는 작가들의 작품 노출 및 광고에 불이익을 주는 블랙리스트를 작성했다는 의혹과 웹소설 플랫폼의 갑작스러운 서비스 종료로 작가들에게 혼란을 야기한 점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했다.[16]
6. 수상 내역
레진코믹스는 2013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주관 '글로벌 K-스타트업 프로그램 2013'에 선정되어 구글 특별상을 수상했다.[68][36] 2014년에는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국무총리상을 받았다.[69][37]
참조
[1]
뉴스
레진엔터, 레진스튜디오 지분 인수 최대주주... 웹툰IP 영상 제작 강화
http://it.chosun.com[...]
조선일보
2019-04-15
[2]
웹사이트
Lezhin Comics Plans to Hold International Comic Contest
http://www.techforko[...]
Tech for Korea
2014-09-22
[3]
웹사이트
Lezhin Comics Hopes to Foster New Webtoonists with Sangmyoung University
https://platum.kr/ar[...]
2014-11-18
[4]
웹사이트
Korea's Lezhin Brings Digital Comic Service Stateside
http://www.animation[...]
2016-07-12
[5]
뉴스
UL엔터테인먼트, 레진엔터테인먼트와 손잡아 "新 부가가치 창출할 것"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6]
웹사이트
KidariStudio, Inc. completed the acquisition of Lezhin Entertainment, Inc. from Jeong-hyuk Kwon and others. -February 22, 2021 {{!}} MarketScreener
https://www.marketsc[...]
2021-02-23
[7]
웹사이트
What’s Up With Lezhin? – A Summary
https://themagicrain[...]
2018-02-12
[8]
Facebook
한국웹툰작가협회
https://www.facebook[...]
[9]
웹사이트
Official Statement Regarding Creator Revenue Share
https://social.lezhi[...]
Lezhin Comics
[10]
웹사이트
"[단독] 레진코믹스 블랙리스트 추적"
http://www.ilyosisa.[...]
2017-12-22
[11]
Twitter
외주표준단가 ❄️메인트 확인해주세요 ❄️
https://twitter.com/[...]
[12]
Twitter
미치
https://twitter.com/[...]
[13]
웹사이트
Writers angry due to lawsuit & publishing suspension… 'Lezhin case' to get worse
http://eng.dt.co.kr/[...]
The Digital Times
2018-02-08
[14]
웹사이트
Webtoon artists protest unfair work conditions
https://koreajoongan[...]
Korea JoongAng Daily
2018-01-24
[15]
웹사이트
Webtoon artists stand up against abusive practice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8-02-02
[16]
웹사이트
웹툰 1위 '레진' 대표, '웹툰작가 블랙리스트' 인정·사과
https://www.ohmynews[...]
OhmyNews
2018-07-12
[17]
뉴스
웹툰 패러다임을 바꾼다 ‘레진코믹스’
http://www.cnet.co.k[...]
CNET
2013-08-01
[18]
뉴스
만화가 좋아 스마트폰에 만화방 차렸어요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3-12-26
[19]
뉴스
"돈 내면 먼저 본다"… 전세계 IT 수익 모델 선도하는 한국 기업들
http://m.biz.chosun.[...]
조선비즈
2014-01-18
[20]
뉴스
모바일게임 홍수 속 돈 버는 앱은?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3-12-07
[21]
뉴스
레진코믹스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3-11-30
[22]
뉴스
권정혁 레진코믹스 CTO “만화로 시작해 디지털 유통 플랫폼 꿈꾼다"
https://www.imaso.co[...]
마소
2014-06-18
[23]
간행물
웹툰 시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 레진코믹스
http://navercast.nav[...]
잡지 피플
2015-05
[24]
뉴스
숫자로 보는 레진코믹스의 지난 1년
https://www.imaso.co[...]
마소
2014-06-17
[25]
뉴스
웹툰으로 1년 매출 100억원! 권정혁 CTO 만화같은 '대박'
http://www.viva100.c[...]
VIVA100
2015-03-04
[26]
뉴스
레진코믹스 웹툰, 회원 1000만·누적조회 35억 돌파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7-06-08
[27]
간행물
웹툰 시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 레진코믹스
http://navercast.nav[...]
잡지 피플
2015-05
[28]
뉴스
레진 엔터테인먼트, 오는 8월 '게임+웹툰' 합작 프로젝트 선보인다.
http://www.inven.co.[...]
인벤
2015-06-12
[29]
Twitter
BeLTOON 2022年8月1日のツイート
2022-08-14
[30]
뉴스
웹툰, 이제 모바일로 나아간다
http://navercast.nav[...]
앱스토리
2014-12
[31]
뉴스
레진코믹스는 어떻게 만화로 100억원을 벌었나
https://www.imaso.co[...]
마소
2015-03-13
[32]
간행물
웹툰 시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 레진코믹스
http://navercast.nav[...]
잡지 피플
2015-05
[33]
보고서
웹툰 산업 현황 및 실태조사
http://www.kocca.kr/[...]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06-12
[34]
간행물
웹툰 시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 레진코믹스
http://navercast.nav[...]
잡지 피플
2015-05
[35]
뉴스
권정혁 레진코믹스 CTO “만화로 시작해 디지털 유통 플랫폼 꿈꾼다"
https://www.imaso.co[...]
마소
2014-06-18
[36]
뉴스
글로벌 K-스타트업 5곳, 구글특별상 수상
http://www.zdnet.co.[...]
ZDNet
2013-10-28
[37]
뉴스
웹툰 수익화 앞장선 레진엔터테인먼트, 2014 인터넷대상 국무총리상 수상
http://gamefocus.co.[...]
게임포커스
2014-11-26
[38]
뉴스
레진코믹스 국제 만화 공모전 수상작 발표
http://app.chosun.co[...]
조선닷컴
2015-01-30
[39]
뉴스
레진코믹스 음란물 유통으로 사이트 차단 해프닝 충격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5-03-25
[40]
뉴스
레진코믹스 일부 망에서 접속 불가.. 네티즌 "여기가 중국?" 반발도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5-03-25
[41]
뉴스
'레진코믹스 해프닝'이 남긴 것
http://www.econovill[...]
이코노믹리뷰
2015-03-27
[42]
뉴스
웹툰 패러다임을 바꾼다 ‘레진코믹스’
http://www.cnet.co.k[...]
CNET
2013-08-01
[43]
뉴스
만화가 좋아 스마트폰에 만화방 차렸어요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3-12-26
[44]
뉴스
"돈 내면 먼저 본다"… 전세계 IT 수익 모델 선도하는 한국 기업들
http://m.biz.chosun.[...]
조선비즈
2014-01-18
[45]
뉴스
모바일게임 홍수 속 돈 버는 앱은?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3-12-07
[46]
뉴스
레진코믹스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3-11-30
[47]
뉴스
권정혁 레진코믹스 CTO “만화로 시작해 디지털 유통 플랫폼 꿈꾼다"
https://www.imaso.co[...]
마소
2014-06-18
[48]
간행물
웹툰 시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 레진코믹스
http://navercast.nav[...]
잡지 피플
2015-05
[49]
뉴스
숫자로 보는 레진코믹스의 지난 1년
https://www.imaso.co[...]
마소
2014-06-17
[50]
뉴스
웹툰으로 1년 매출 100억원! 권정혁 CTO 만화같은 '대박'
http://www.viva100.c[...]
VIVA100
2015-03-04
[51]
뉴스
레진코믹스 웹툰, 회원 1000만·누적조회 35억 돌파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7-06-08
[52]
뉴스
레진 엔터테인먼트, 오는 8월 '게임+웹툰' 합작 프로젝트 선보인다.
http://www.inven.co.[...]
인벤
2015-06-12
[53]
뉴스
웹툰 앱 레진 코믹스, 출시 48시간만에 구글 앱스토어 만화 부문 매출 1위 달성
http://www.kbench.co[...]
[54]
뉴스
엔씨소프트, 웹툰 레진코믹스에 50억원 투자
http://biz.chosun.co[...]
조선비즈
2014-04-16
[55]
뉴스
레진코믹스, 성인만화 관리기능 강화... 썸네일까지 차단
http://biz.chosun.co[...]
조선비즈
2015-04-24
[56]
뉴스
레진코믹스 일본 시장 진출, 한희성 대표 "한국의 만화로 일본 웃기겠다"
http://www.ajunews.c[...]
아주경제
2015-04-21
[57]
뉴스
레진 코믹스배 '하스스톤 마스터즈 코리아' 개막
http://isplus.live.j[...]
일간스포츠
2015-05-24
[58]
뉴스
총 상금 1억5000만원, '레진코믹스 세계만화 공모전' 개최
http://news.hankyung[...]
한국경제
2015-11-10
[59]
뉴스
레진엔터테인먼트, '레진코믹스'로 미국 진출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2016-01-04
[60]
뉴스
레진코믹스, '제2회 세계만화공모전' 수상작 발표
http://www.zdnet.co.[...]
지디넷코리아
2016-04-01
[61]
뉴스
IMM PE, 웹툰 '레진코믹스'에 500억원 투자... 2019년 이내 코스닥 상장 목표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6-06-22
[62]
뉴스
'웹툰명가' 레진, 국내 최대규모 '제3회 레진코믹스 세계만화공모전' 개최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6-12-01
[63]
뉴스
레진엔터테인먼트, 제3회 레진코믹스 세계만화공모전 수상작 발표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7-04-04
[64]
뉴스
레진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추천 서비스 `포유` 선봬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7-09-18
[65]
간행물
웹툰, 이제 모바일로 나아간다
http://navercast.nav[...]
앱스토리
2014-12
[66]
뉴스
레진코믹스는 어떻게 만화로 100억원을 벌었나
https://www.imaso.co[...]
마소
2015-03-13
[67]
뉴스
웹툰 산업 현황 및 실태조사
http://www.kocca.kr/[...]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06-12
[68]
뉴스
글로벌 K-스타트업 5곳, 구글특별상 수상
http://www.zdnet.co.[...]
ZDNet
2013-10-28
[69]
뉴스
웹툰 수익화 앞장선 레진엔터테인먼트, 2014 인터넷대상 국무총리상 수상
http://gamefocus.co.[...]
게임포커스
2014-11-26
[70]
뉴스
레진코믹스 국제 만화 공모전 수상작 발표
http://app.chosun.co[...]
조선닷컴
2015-01-30
[71]
뉴스
레진코믹스 음란물 유통으로 사이트 차단 해프닝 충격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5-03-25
[72]
뉴스
레진코믹스 일부 망에서 접속 불가.. 네티즌 "여기가 중국?" 반발도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5-03-25
[73]
뉴스
'레진코믹스 해프닝'이 남긴 것
http://www.econovill[...]
이코노믹리뷰
2015-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