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음은 1995년 박건희와 이재웅에 의해 설립된 대한민국의 웹 포털 서비스이다. 1997년 무료 웹메일 서비스인 한메일을 시작으로, 1999년 포털 사이트 Daum으로 재단장하며 코스닥에 등록되었다. 이후 검색, 커뮤니티, 뉴스,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성장했다. 2014년 카카오와 합병하여 다음카카오가 되었고, 2015년 카카오로 사명을 변경했다. 현재는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이며, 다음 메일, 카페, 검색, 뉴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과거에는 다음 마이피플, 다음 블로그, 다음 영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일부는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메일 웹사이트 - AOL 메일
    AOL 메일은 미국 온라인에서 제공하는 무료 웹메일 서비스로, 무제한 용량(신규 계정은 1TB 제한 가능성 있음)의 메일함, 첨부파일 지원, 스팸 및 바이러스 필터링, 다양한 도메인 사용, IMAP/POP3 프로토콜 지원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광고 표시, 계정 삭제 제약, 사용자 수 감소 추세, 낮은 한국 인지도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이메일 웹사이트 - Gmail
    구글이 제공하는 무료 이메일 서비스인 Gmail은 1GB 저장 용량, 스팸 필터링, 자동 분류, 강력한 검색 기능, 구글 워크스페이스 통합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비판도 있다.
  • 한국어 웹사이트 - 네이버
    네이버는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 및 포털 사이트로,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뉴스, 메일, 블로그,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 한국어 웹사이트 - 한국어 위키백과
    한국어 위키백과는 2002년 10월 16일에 시작된 한국어 온라인 백과사전으로, 65만 개가 넘는 문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남북한 관련 문서에서는 북한어 표기를 함께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미지 사용에 제약이 있으며, 중립성 논쟁이 있지만, 여러 포털 사이트와 연동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 포털 사이트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 포털 사이트 - MSN
    MSN은 1995년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95와 함께 출시한 웹 포털이자 관련 서비스 모음으로, 뉴스,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금융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주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합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다음
로마자 표기Daeum
한글 표기다음
한자 표기多音
종류웹 포털
상업 여부영리
회원 가입선택 사항
언어한국어
소유자(주)카카오
제작자(주)다음커뮤니케이션
출시일1997년 5월
현재 상태온라인
다음 로고
로고
사용자 정보
모바일 월간 활성 사용자 수690만 명
기타
공식 웹사이트다음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다음은 연혁 정보를 요약하여 표 형태로 제공한다.

시기내용
1995년 2월박건희이재웅다음커뮤니케이션을 공동 설립[1]
1997년 5월대한민국 최초 무료 웹메일 서비스 한메일(hanmail.net) (현재의 다음 메일) 오픈[1]
1999년 7월포털 사이트 "Daum"으로 재단장[1]
1999년 11월 11일코스닥 등록[1]
2000년 1월다음 검색 서비스 오픈[1]
2000년 7월다음 금융플라자 오픈[1]
2001년 9월다음세대재단 설립[1]
2002년 1월미디어2.0 인수[1]
2003년 1월미디어다음 오픈[1]
2004년 3월제주도 이전 협약식 체결[1]
2004년 7월일본 및 미국 라이코스 인수[1]
2004년 12월인터넷전화업체 스카이프와 전략적 제휴[1]
2005년 3월CJ인터넷과 검색, 게임 전략적 제휴[1]
2006년 4월석종훈 다음미디어 부문 대표, 각자 대표이사 선임[1]
2007년 1월다음 tv팟 오픈[1]
2007년 5월검색엔진 자체 개발[1]
2007년 7월티스토리 지분 100% 확보[1]
2008년 11월다음체 개발, 최초 무료 배포[1]
2009년 1월지도 서비스 스카이뷰, 로드뷰 정식 오픈[1]
2009년 3월최세훈 대표이사 취임[1]
2009년 4월모바일 다음 오픈[1]
2009년 11월슬로건을 "우리들의 UCC 세상, Daum"에서 "생활이 바뀐다! Life On Daum"으로 변경[1]
2010년 6월모바일 메신저 마이피플 런칭[1]
2010년 8월와이브랜트에 라이코스 매각[1]
2010년 9월인터넷 업계 최초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1]
2010년 12월모바일 광고 플랫폼 Ad@m 출시[1]
2011년 3월온라인 손해보험사 에르고다음다이렉트의 보유지분 전량 124억 처분[1]
2011년 4월사회공헌 통합사이트 희망해 오픈[1]
2011년 7월실내 로드뷰 서비스 스토어뷰 론칭[1]
2011년 12월㈜온네트 경영권 인수[1]
2012년 4월제주도 사옥 스페이스닷원(Space.1) 완공 및 본사 이전 완료, DaumTV+ 오픈[1]
2012년 9월2012대한민국지속가능성지수(KSI) 포털 부문 1위 선정[1]
2012년 10월제주 본사 건물 2012한국건축문화대상 수상[1]
2012년 12월SK컴즈와 검색광고 제휴[1]
2013년 3월 19일다음 메일 앱 출시[1]
2013년 5월슬로건을 "생활이 바뀐다! Life On Daum"에서 "Daum - 모으다 잇다 흔들다"로 변경[1]
2013년 6월6년 연속 기업지배구조 최우수기업 선정[1]
2013년 8월모바일 전용 콘텐츠 스토리볼 출시[1]
2013년 9월 11일쏠메일·쏠캘린더 앱 출시[1]
2013년 9월스마트폰 런처 개발사 버즈피아 인수[1]
2013년 11월다음 지도 대통령 표창 수상[1]
2014년 5월카카오 - 다음커뮤니케이션 합병 발표[1][5]
2015년 5월 19일키즈짱 서비스 종료[1]
2015년 6월 30일마이피플 서비스 종료[1]
2015년 9월다음카카오, 회사 명칭을 카카오로 변경[1]
2015년 10월카카오 스페이스닷투, 한국건축가협회상 수상[1]
2015년 11월카카오뱅크 인터넷 은행사업 예비인가 획득, 카카오 파머 및 카카오택시 블랙 출시[1]
2015년 12월카카오 택시 누적 호출 수 5천만 건 돌파[1]
2022년 9월 30일다음블로그 서비스 종료[1]
2024년 1월 4일다음영화 서비스 종료[1]


2. 1. 회사 설립 및 초기 성장 (1995년 ~ 2003년)

1995년 2월 박건희이재웅다음커뮤니케이션을 공동 설립하였다.[1] 1997년 5월 대한민국 최초로 무료 웹메일 서비스인 한메일(hanmail.net)을 열었는데, 이것이 현재의 다음 메일이다.[1] 1999년 7월 포털 사이트 "Daum"으로 재단장하였고,[1] 같은 해 11월 11일 코스닥에 등록되었다. 2000년 1월 다음 검색 서비스를 시작하였고,[1] 같은 해 7월 다음 금융플라자를 열었다. 2001년 9월 다음세대재단을 설립하였고, 2002년 1월 미디어2.0을 인수하였다. 2003년 1월 미디어다음을 열었다.[1]

2. 2. 서비스 확장 및 해외 진출 (2004년 ~ 2009년)

다음은 2004년 3월 제주도 이전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같은 해 7월 일본 및 미국의 라이코스를 인수하며 해외 진출을 본격화했다.[1] 2004년 12월에는 인터넷 전화 업체 스카이프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1]

2005년 3월에는 CJ인터넷과 검색 및 게임 분야에서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1] 2006년 4월에는 석종훈 다음 미디어 부문 대표가 각자 대표이사로 선임되었다.[1]

2007년 1월에는 다음 tv팟을 오픈하고, 5월에는 자체 개발한 검색 엔진을 선보였다.[1] 같은 해 7월에는 티스토리 지분 100%를 확보하며 블로그 서비스 강화에 나섰다.[1]

2008년 11월에는 다음체를 개발하여 무료로 배포하였고,[1] 2009년 1월에는 지도 서비스 스카이뷰와 로드뷰를 정식으로 오픈했다.[1] 2009년 3월에는 최세훈 대표이사가 취임했으며,[1] 4월에는 모바일 다음을 오픈했다.[1] 2009년 11월, 다음은 슬로건을 "우리들의 UCC 세상, Daum"에서 "생활이 바뀐다! Life On Daum"으로 변경했다.[1]

2. 3. 모바일 시대 대응 및 신규 서비스 출시 (2009년 ~ 2014년)

2. 4. 카카오 합병 및 이후 (2014년 ~ 현재)

2014년 5월, 카카오다음커뮤니케이션의 합병이 발표되어 다음카카오가 설립되었다.[5]

2015년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변화가 있었다.

2022년 9월 30일에는 다음블로그 서비스가 종료되었고,[1] 2024년 1월 4일에는 다음영화 서비스가 종료되었다.[1]

3. 주요 서비스

다음은 한국 최초의 웹 포털로 시작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발전해왔다. 특히 초기에 인기를 얻었던 다음 메일(이전 이름: 한메일)을 통해 많은 사용자를 확보했다.[1]

다음은 커뮤니케이션, 커뮤니티, 검색, 뉴스, 엔터테인먼트, 생활정보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3. 1. 커뮤니케이션

다음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한국 최초 웹 포털이었다는 사실에서 비롯된 인기도 상당하다. 특히 당시 가장 인기 있던 이메일 서비스인 '''daum.net''' 또는 '''hanmail.net'''과 합병하면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1]

  • 다음 메일(이전 이름: 한메일): 1997년 5월 한국 최초로 선보인 무료 웹메일 서비스로, 3,800만여 명의 회원이 가입되어 있다.
  • 다음 주소록: 다른 사람의 주소를 관리할 수 있는 주소록 서비스

3. 2. 커뮤니티

1999년에 개시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이다. 카페 개설 수 개, 가입자 수 명, 게시글 개를 기록 중이다. 정치 사상, 종교, 취미 등이 같은 사람들끼리 커뮤니티를 만들어 이야기를 나누는 서비스이다. 2023년도에 다음 테이블이라는 신규 서비스를 론칭했다. 카페 가입 없이 자유롭게 원하는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취지의 서비스이다. 하지만 대부분 모르거나 관심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6]

3. 3. 검색

다음 검색은 카페, 뉴스, 동영상 검색을 중심으로 한국의 검색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으며, 2003년 3월 구글과 제휴를 체결하여 기능을 강화하였다.[1] 2009년 5월에 구글 웹 문서 제휴계약이 종료된 이후에는 자체 웹 검색 결과를 노출하고 있다.[1]

다음 검색트렌드는 인기 검색어의 순위를 주제별, 시기별, 성별, 세대별로 알아볼 수 있는 부가 검색 서비스이다.

3. 4. 뉴스

다음에서 운영하고 있는 뉴스 애그리게이터이다.

3. 5. 엔터테인먼트


  • 다음 영화: 영화 정보, 박스오피스, 영화 예매, 영화 이벤트 등을 제공한다.
  • 다음 웹툰: 단행본, 웹진 연재 작품들을 유/무료로 감상할 수 있다.

3. 6. 생활정보


  • 다음 금융: 증권, 재테크, 펀드, 보험, 대출, 카드별로 정보를 제공한다.
  • 다음 쇼핑하우: 쇼핑 정보를 제공한다.
  • 다음 사전: 백과사전(브리태니커, 위키백과, 문화원형), 영어사전(영영사전 포함), 한자, 중국어, 일본어 사전을 제공한다. 2014년 기준으로 총 25종의 다국어 사전을 제공한다.

4. 종료된 서비스


  • 쏠그룹: 2014년에 출시된 모바일 앱으로, 지인 기반 모임을 만드는 SNS 서비스였으나, 현재는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쏠메일: 안드로이드 OS에서 사용 가능한 다계정 메일 애플리케이션이었으나, 2018년 12월 28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쏠캘린더: 안드로이드 OS에서 사용 가능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글 캘린더나 기본 캘린더 등과 자동으로 연동되었으나, 현재는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다음 마이피플
  • 다음 마이 스티커
  • 다음 클라우드
  • 다음 캘린더
  • 다음 뮤직
  • 다음 책: 책 정보 검색, 가격 비교 등이 가능했으나, 2018년 11월 1일부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다음 스토리볼: 모바일 콘텐츠로 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나, 2018년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다음 검색쇼: 사용자가 "@+검색어"를 등록하여 검색 결과 최상단에 원하는 문구를 나타낼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맞춤식 검색 서비스였으나, 2014년 12월 1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다음 디렉토리검색
  • 다음 애드클릭스: 검색어 기반의 사용자 설치형 온라인 광고 서비스로 구글의 애드센스와 유사했으나, 현재는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다음 툴바: 안랩의 백신인 V3 Lite와 결합되어 검색어 서제스트, 사전, 스크랩, 검색창 등의 다음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었던 도구 모음이었으나, 현재는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다음 tv팟: 2006년 10월에 런칭하였으나, 카카오TV에 흡수 통합되었다.
  • 다음 아고라: 누리꾼들의 자발적인 토론의 장이었으며, 고대 그리스의 회의 장소였던 아고라에서 유래되었다. 정치, 경제, 과학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토론들이 오갔으나, 2019년 1월 7일부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다음 view: 메타블로그와 유사한 형태의 블로그 뉴스 서비스로, 트랙백으로 선별적인 포스트를 송고 받는 형식을 취했으나, 2014년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다음 지도: 카카오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다음 키즈짱: 어린이 포털 사이트였으나, 2015년 5월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다음 미즈넷: 여성 커뮤니티 서비스로, 육아, 요리, 패션뷰티 등의 정보를 제공했으나, 2019년 1월 14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다음 꿈나무: 어린이를 위한 학습이나 게임 등을 제공했으나, 삭제되었다.
  • 다음 팁: 질문의 의도에 가장 잘 맞는 답변을 채택하는 문답형 지식 서비스였으나, 2020년 4월 1일부터 서비스가 종료되었고, 2020년 6월 30일까지 사진 등을 백업받을 수 있었다.
  • 실시간 검색어 순위: 4.15 총선을 앞두고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는 일시 중지되었으나, 다음은 2020년 2월 20일에 15년 만에 아예 종료하였다.
  • 다음 만화속 세상: 다음 웹툰의 커뮤니티.
  • 다음 블로그: 다음에서 직접 개설할 수 있는 서비스형 블로그였으나, 2022년 9월 30일부터 서비스가 종료되었고, 2023년 9월 28일까지 사진 등을 백업받을 수 있었다. 티스토리에 흡수 통합되었다.

5. 논란

다음은 여러 논란을 겪었다.

발생 시기내용비고
2022년 10월 15일시스템 오류다음 계정 강제 로그아웃 및 로그인 불가, PC 카카오톡 동일 현상 발생
2008년 5월, 2014년 5월, 2015년 6월세무조사광우병 촛불집회, 세월호 참사, 메르스 사태 등 정부에 대한 여론 악화 시기에 특별 세무조사 진행, 정치적 의도 논란
2018년 8월 15일"보겸티콘" 출시데이트 폭력 가해자로 지목된 보겸 이모티콘 출시에 대한 비판 여론[9]


5. 1. 시스템 오류

2022년 10월 15일 오후 3시 28분 다음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하였다. 다음 계정이 강제 로그아웃되면서 "요청하신 작업을 수행하지 못했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로그인이 안 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PC 카카오톡도 같은 상황을 겪었다. 카카오 측은 오후 3시 30분경 처음 문제를 인지했고, 내부적으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5. 2. 세무조사

2008년 5월, 2014년 5월, 2015년 6월 다음은 세무조사를 받았다.[8] 2008년 광우병 촛불집회, 2014년 세월호 참사, 2015년 메르스 사태 등 정부에 대한 여론이 악화되는 시기에 특별 세무조사가 진행되어, 정치적인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다.

카카오는 정부에 대한 여론이 나빠지는 시기마다 특별 세무조사를 받아 정부가 "포털 길들이기"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낳았다.

5. 3. 이모티콘

2018년 8월 15일 다음 카카오 이모티콘샵에서 "보겸티콘"을 출시하였다. 그러나 대중들은 데이트 폭력 가해자로 지목된 보겸이 이모티콘으로 나오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보겸 이모티콘 판매 중지하라고 카카오 고객센터에 민원을 넣었다"는 인증글이 올라오기도 했다.[9]

카카오 관계자는 고객센터에 접수되는 민원을 확인한 후,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는 이모티콘에 대해서는 회의를 거쳐 판매 중지 여부를 결정한다고 밝혔다. 한편 보겸은 일부 사람들이 자신의 이미지를 훼손하고 있으며, 악의적인 사실 왜곡 및 유포에 대해 법적 대응을 진행 중이고, 앞으로도 강경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9]

6. 본사 이전

다음은 2004년 3월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제주대학교와 본사 이전 실험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고 이를 '즐거운 실험'이라고 명명하였다. 같은 해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에 위치한 펜션을 개조해 인터넷지능화연구소(Net Intelligence Lab)로 사용하였고[10], 2004년 6월 제주시 노형동 현대해상 사옥에 미디어다음을 운영하는 미디어본부가 이전하여 1차 이전을 완료하였다. 이후 제주시 오등동에 독자 사옥을 착공, 2006년 2월에 다음글로벌미디어센터(GMC)를 완공해 입주했다.

2009년 12월 제주도에 조성 중인 첨단과학단지 중 약 30000m2를 구입하여 본사가 들어설 건물인 스페이스닷원(Space.1)을 착공하여 2012년 4월에 완공, 본사 최종 이전을 완료하였다.

2014년 4월에는 두 번째 사옥인 스페이스닷투(Space.2)가 완공되었다.[11]

다음 스페이스닷원 앞 돌하르방

참조

[1] 웹사이트 Kakao https://www.kakaocor[...] 2024-11-17
[2] 웹사이트 카카오 티스토리 블로그에 '후원' 모델 도입 https://v.daum.net/v[...] 2024-11-10
[3] 웹사이트 카카오맵 https://m.map.kakao.[...] 2024-11-10
[4] 웹사이트 NHN, 포털 1위 쉽게 내주지 않을 것-교보 https://www.edaily.c[...] 2009-06-03
[5] 웹사이트 Kakao And Daum To Merge, Creating One Of South Korea's Largest Internet Companies https://techcrunch.c[...] 2014-05-26
[6] 서적 Reuters Institute Digital News Report 2020 https://reutersinsti[...] 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 2021-05-23
[7] 웹사이트 Koreanclick「ドメイン別ウェブサイト順位」
[8] 뉴스 다음카카오 세무조사가 '특별'한 이유들 http://www.bizwatch.[...] 비즈니스워치
[9] 뉴스 http://news.kmib.co.[...]
[10] 뉴스 다음 제주지점 문 열었다 http://www.etnews.co[...] 전자신문사
[11] 뉴스 "제주시대 10년" 다음, 두 번째 사옥 '스페이스닷투' 개관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