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마 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교구는 로마 주교가 교구장인 교황의 직무를 수행하는 교구이다. 교황은 로마 교구의 주교로서, 교황의 다른 모든 직함은 로마 주교에서 유래하며, 가톨릭교회의 으뜸인 베드로좌를 소유한다. 로마 교구는 바티칸 시국과 로마 시 전체를 관할하며, 두 명의 총대리가 교황을 대리하여 관리한다. 로마 교구는 로마 관구에 속하며, 6개의 부교구와 여러 관할 교구를 포함한다. 또한, 전 세계의 많은 교구장과 개인 성직 지구는 로마 교구에 면속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로마 교구
기본 정보
로마 교구 문장
로마 교구 문장
라틴어 명칭Dioecesis Urbis seu Romana
현지어 명칭Diocesi di Roma
국가이탈리아
바티칸 시국
관구로마
전 세계
면적881 제곱킬로미터
인구2,885,272명 (2013년 기준)
가톨릭 신자 수2,365,923명
가톨릭 신자 비율82%
본당 수334개
교회 수711개
관할교황청
교회가톨릭 교회
자치 교회라틴 교회
전례로마 전례
설립1세기
주교좌 성당산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
수호 성인성 베드로
성 바울로
성 카타리나 데 시에나
성 필립보 네리
성 라우렌시오
사제 수1,589명
웹사이트로마 교구 웹사이트
교구장
교구장교황 프란치스코
보좌 주교발다사레 레이나 (로마 대리구 추기경 대리)
마우로 감베티 (바티칸 시국 추기경 대리)
파올로 리치아르디 (부교구장)
다니엘레 리바노리
다리오 제르바시
베노니 암바루슈
다니엘레 살레라
리카르도 람바
미켈레 디 톨베
명예 주교안젤로 데 도나티스
카밀로 루이니
아고스티노 발리니
엔초 디에치
파올리노 스키아본
구에리노 디 토라
파올로 셀바다지

2. 교구장

로마 주교는 로마 교구의 교구장인 교황의 온전한 직분이다. 교황이 가진 다른 모든 직함은 로마의 성 베드로를 계승한 이로써의 교황을 가리키는 지위인 로마 주교로부터 유래한다. 로마 주교는 자신의 직분에서 비롯한 다음과 같은 직함들을 갖게 되었다.[8]


  • 교황: 로마 주교는 그리스어로 ‘아버지’를 뜻하는 단어(pappas)에서 유래한 ‘교황’이다. 로마 주교의 주교좌는 가톨릭교회 전체에서 으뜸가는 베드로좌이며, 그에게 ‘최고사제’이자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의 권한을 부여하는 자리다.
  • 서방 총대주교: 로마 주교는 근래에 폐지하긴 했지만, ‘서방 총대주교’라고도 불린다. 라틴 교회 전체에 대한 통치권을 가지고 있으며, 고대 5대 총대주교들의 지도자로 여겨진다.
  • 이탈리아의 수석 대주교: 로마 주교는 이탈리아 교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주교이다.
  • 로마 관구의 관구장 대주교: 로마 주교는 ‘로마 관구의 관구장 대주교’이다.


''교황 연감''에 공식적으로 나열된 교황의 칭호는 다음과 같다.

  • 로마 주교
  • 사도들의 수장의 후계자
  • 이탈리아의 수장
  • 로마 관구의 대주교이자 관구장 (또는 "로마 관구의 관구 대주교"로도 표기)


"교황"이라는 칭호는 공식 목록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문서의 제목에 흔히 사용되며, 교황의 서명에 약어 형태로 나타난다.

3. 역사

성 바울로의 로마서는 로마 교회의 기원에 대한 가장 확실한 증거를 제공하며, 이는 로마 교회가 서기 40년대 초에 세워졌음을 시사한다.[9] 성 베드로는 서기 58년과 60년대 초 사이 언젠가 로마 교회와 연관되었다.[9]

1세기 마지막 몇 년과 2세기 초기 몇 년은 로마의 클레멘스와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의 성서 외 기록에서 "사도 이후" 시대로 나타난다. 로마 교회는 자체 공동체를 넘어 확장되는 목회적 돌봄을 행사하여 성장하는 보편 교회의 실질적인 중심지로서 예루살렘을 대체했으며, 베드로와 바울에게 호소했다.[9]

3. 1. 기원

성 바울로의 로마서는 로마 교회의 기원에 대한 가장 확실한 증거를 제공한다. 이는 로마 교회가 서기 40년대 초에 세워졌음을 시사한다.[9] 성 베드로는 서기 58년과 60년대 초 사이 언젠가 로마 교회와 연관되었다.[9]

한 역사가에 따르면, 1세기 마지막 몇 년과 2세기 초기 몇 년은 로마의 클레멘스와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의 성서 외 기록에서 볼 수 있듯이 "사도 이후" 시대를 구성한다. 로마 교회는 자체 공동체를 넘어 확장되는 목회적 돌봄을 행사하여 성장하는 보편 교회의 실질적인 중심지로서 예루살렘을 대체했으며, 베드로와 바울에게 호소했다.[9]

3. 2. 현대

교황 프란치스코는 2023년 1월 6일 사도적 헌장 ''In Ecclesiarum Communione''를 통해 교구를 개편하여 공의성을 강화하고 교황의 역할을 강화했다.[3]

4. 관할구역

라테라노 대성전에 있는 교황의 주교좌


로마 교구의 담당 구역은 바티칸 시국과 이탈리아 공화국의 수도로마 시 전체이다. 로마 교구는 교황이 임명한 두 명의 총대리에 의해 관리된다.

  • '''로마 대리구'''(Vicariato di Romait): 안젤로 데 도나티스 추기경이 담당한다.
  • '''바티칸 시국 대리구'''(Vicariato della Città del Vaticanoit): 마우로 감베티 추기경이 담당한다.


교구는 881km2의 면적을 관할하며, 이 중 0.44km2바티칸 시국에 속하고 나머지는 이탈리아에 속한다.[10] 교구에는 1,219명의 자체 교구 사제가 있으며, 그 외 2,331명의 다른 교구 사제, 5,072명의 수도자 사제, 140명의 오푸스 데이 사제가 이 지역에 거주하고, 2,266명의 여자 수도자가 있다.[11] 2004년에는 약 2,454,000명의 신자를 담당했으며, 이는 이 지역 인구의 88%를 차지했다.

로마시는 교구 경계를 넘어 확장되었다. 도시의 주요 부분은 오스티아 교구와 포르토-산타 루피나 교구에 속한다. 오스티아는 시의 대리구와 함께 관리되지만, 포르토는 자체 교구 주교에 의해 관리된다. 교구는 849 km2의 면적을 관할하며 이탈리아 로마 시와 로마 자치구의 대부분, 그리고 바티칸 시국 전체를 포함한다.

두 명의 총대리는 로마 교구 내 각 지역에서 주교직과 사목 행정을 수행한다. 교구 주교가 특정 행위를 자신에게 유보하지 않는 한, 총대리는 법적으로 교구 내에서 주교의 특별 위임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주교에게 속하는 모든 행정 행위를 수행할 권한을 갖는다.[12]

4. 1. 바티칸 시국 대리구

로마 대리구(Vicariato di Romait)는 라테라노 대성전을 중심으로 이탈리아의 주권 아래 있는 로마 교구 구역을 담당한다. 현재 '로마 시와 로마 관구를 위한 교황 성하의 총대리'(''Vicario Generale di Sua Santità per la Città di Roma e Provincia''it)는 안젤로 데 도나티스 추기경이다. 로마 대리구에는 336개의 본당 사목구가 속해 있으며, 이들은 5개 지역(''settori'': 동로마, 서로마, 남로마, 북로마, 중로마) 산하의 36개 지구(''prefetture'')로 분류되어 있다.[19]

바티칸 시국 대리구(Vicariato della Città del Vaticanoit)는 바티칸 대성전과 바티칸 시국의 모든 영토를 담당한다. 현재 '바티칸 시국을 위한 교황 성하의 총대리'(''Vicario Generale di Sua Santità per la Città del Vaticano''it)는 마우로 감베티 추기경이다. 바티칸 시국 대리구에는 팔라프레니에리의 성녀 안나 성당과 성 베드로 대성당 2개의 본당 사목구가 속해 있다.[13][14]

이 대리구는 바티칸 시국 영토에 대한 책임을 갖고 있으며, 주로 바티칸 시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로마의 관광객, 순례자 및 기타 사람들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1991년부터 바티칸 시국 부대리구는 성 베드로 대성전의 대사제인 추기경이 맡고 있으며, 현재는 마우로 감베티 추기경이다.

}
이미지임기
1, O.S.A. | (1858–1937)}}1929년 5월 30일 – 1937년 6월 7일 (7년)
2, O.S.A. | (1885–1950)}}1937년 8월 20일 – 1950년 1월 18일 (12년)
3
1951년 1월 13일 – 1991년 1월 14일 (40년)
1991년 1월 14일 – 1991년 7월 1일 (대행)
4
1991년 7월 1일[15] – 2002년 4월 24일[16] (10년)
52002년 4월 24일[16] – 2005년 2월 5일[17] (2년)
6
2005년 2월 5일[17] – 2021년 2월 20일[18] (15년)
7
2021년 2월 20일[18] – 현재 (1년)


4. 2. 로마 대리구



'''로마 대리구'''(Vicariato di Romait)는 라테라노 대성당을 중심으로 이탈리아의 주권 아래 있는 로마 교구 구역을 담당한다. 현재 '로마 시와 로마 관구를 위한 교황 성하의 총대리'(''Vicario Generale di Sua Santità per la Città di Roma e Provincia''it)는 안젤로 데 도나티스 추기경이다.[1]

로마 대리구에는 2010년 기준으로 336개의 본당 사목구가 속해 있으며, 이들은 5개 지역(''settori'': 동로마, 서로마, 남로마, 북로마, 중로마) 산하의 36개 지구(''prefetture'')로 분류되어 있다.[1]

지역지구 수본당 사목구 수
동로마로마 대리구는 5개 지역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각 지역은 다시 여러 지구로 나뉜다.
서로마
남로마
북로마
중로마
총합36개336개


5. 로마 관구

로마 관구는 로마 교구를 중심으로 하는 이탈리아의 여러 교구를 포함한다.

로마 교구의 6개 부교구(suburbicarian)는 각각 명목상 수장으로 추기경 주교를 둔다.[23]

부교구
포르토-산타 루피나 부교구
알바노 부교구
프라스카티 부교구
팔레스트리나 부교구
사비나-포조 미르테토 부교구
벨레트리-세니 부교구



추기경단 단장으로 선출된 추기경 주교는 오스티아 교구를 겸임한다. 오스티아 교구는 1962년 로마 교구와 통합되었으며, 현재 로마 교구 총대리가 관할한다.

로마를 수도 교구로 하는 다른 이탈리아 교구는 다음과 같다.

관할 교구
가에타 대교구 (비수도 교구)
아냐니-알라트리 교구
치비타 카스텔라나 교구
치비타베키아-타르퀴니아 교구
프로시노네-베롤리-페렌티노 교구
라티나-테라치나-세제-프리베르노 교구
리에티 교구
소라-카시노-아퀴노-폰테코르보 교구
티볼리 교구
비테르보 교구
몬테카시노 영토 수도원
수비아코 수도원


5. 1. 부교구

로마 교구의 6개 교구는 부교구(suburbicarian)로 묘사된다.[23] 각 부교구는 명목상의 수장으로 추기경 주교를 둔다.

  • 포르토-산타 루피나 부교구
  • 알바노 부교구
  • 프라스카티 부교구
  • 팔레스트리나 부교구
  • 사비나-포조 미르테토 부교구
  • 벨레트리-세니 부교구


추기경단 단장으로 선출된 추기경 주교는 오스티아 교구를 겸임한다. 오스티아 교구는 1962년 로마 교구와 통합되었으며, 현재 로마 교구 총대리가 관할한다. 2012년에 오스티아 교구는 두 개의 본당으로 나뉘었고, 현재는 오스티아 안티카의 산타우레아 성당만을 관할한다.

5. 2. 관할 교구

로마를 수도 교구로 하는 다른 이탈리아 교구는 다음과 같다.

  • 가에타 대교구 (비수도 교구)
  • 아냐니-알라트리 교구
  • 치비타 카스텔라나 교구
  • 치비타베키아-타르퀴니아 교구
  • 프로시노네-베롤리-페렌티노 교구
  • 라티나-테라치나-세제-프리베르노 교구
  • 리에티 교구
  • 소라-카시노-아퀴노-폰테코르보 교구
  • 티볼리 교구
  • 비테르보 교구
  • 몬테카시노 영토 수도원
  • 수비아코 수도원

6. 면속 교구

로마 교구 관할 구역 외의 전 세계의 수많은 교구와 개인 성직 지구는 "면속"되어, 성좌에 직접 예속되며 어떠한 교회 관구에도 속하지 않는다.

6. 1. 예시

로마 교구 관할 구역 외의 전 세계의 수많은 교구장과 개인 성직 지구들은 "면속"으로, 즉 "성좌에 직접 예속"되어 있으며, 어떠한 교회 관구에도 속하지 않는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포함된다.

  • 다양한 성좌 직속의 라틴 교회 교구. 이는 교구의 유형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선교 지역의 교구 전 단계인 사도 지목구 및 사도 대목구가 있으며 (예외적으로 일부는 교회 관구에 속하기도 한다) '정식' 주교구로 승격될 때까지, 또는 바티칸이 특정 교구를 관구에 배정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등이 있다.
  • 오푸스 데이와 같은 개인 성직 지구.
  • 사도 엑사르코들, 동방 가톨릭교회의 교구 전 단계 관할 구역.
  • 하나 이상의 고유 전례 교회가 적절한 관할권을 갖지 못하는 동방 가톨릭 신자 관구
  • 성공회 신자를 위한 개인 관구
  • 군종 교구의 다양한 군대 인원

참조

[1] 보도자료 Rinunce e Nomine, 07.03.2015 http://press.vatican[...] 2017-08-16
[2]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2
[3] 웹사이트 Pope Francis reorganises Vicariate of Rome to be more collegial https://www.vaticann[...] 2023-01-06
[4] 웹사이트 Rome http://www.newadvent[...] 2020-11-26
[5] 서적 Everyday Life in the Renaissance
[6] 서적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7] 서적 The Handy Christianity Answer Book
[8]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09) https://books.google[...]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9
[9] 서적 The Church: The Evolution of Catholicism https://archive.org/[...] HarperOne 2008
[10] Catholic-hierarchy Diocese of Roma {Rome} 2015-01-21
[11] 웹사이트 Vicariatus Urbis: Persone http://www.vicariatu[...] 2017-08-16
[12] 웹사이트 Canon 479 §1 https://www.vatican.[...] 2003-12-18
[13]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2
[14] 웹사이트 Enti Gruppo http://www.vicariatu[...] Vicariatus Urbis
[15]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www.vatican.v[...] 1991
[16] 보도자료 Rinunce e Nomine, 24.04.2002 http://press.vatican[...] Holy See Press Office 2002-04-24
[17] 보도자료 Rinunce e Nomine, 05.02.2005 http://press.vatican[...] Holy See Press Office 2005-02-05
[18] 보도자료 Resignations and Appointments, 20.02.2021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21-02-20
[19] 웹사이트 Vicariatus Urbis: Parrocchie http://www.vicariatu[...] Diocesi di Roma
[20] 뉴스 Analysis: Pope Francis centralizes authority with reform of Diocese of Rome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2023-01-15
[21] 뉴스 Pope Francis reorganizes Diocese of Rome in face of 'epochal change'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2023-01-07
[22] 뉴스 Pope Francis reorganises Vicariate of Rome to be more collegial https://www.vaticann[...] Vatican News 2023-01-06
[23] 웹사이트 Etymology of the English word suburbicarian https://web.archive.[...] 2013-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