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푸스 데이는 1928년 로마 가톨릭 사제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에 의해 창설된 가톨릭 교회의 개인 성직 자치단이다. 에스크리바는 노동을 하느님께 헌신하여 교회의 성스러움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저서 《길》을 통해 전 세계로 메시지를 전파했다. 1941년 로마 교황청의 승인을 받았으며, 1982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직 자치단으로 인준되었다. 현재 전 세계 40여 개국에 8만 5천 500명의 회원이 있으며, 세속적인 삶과 영적 삶의 조화를 강조하며 평신도들의 삶을 성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오푸스 데이는 창립 이후 비판과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비밀주의, 회원 모집 방식, 육체적 고행 등이 주요 비판점으로 지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푸스 데이 -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는 스페인의 로마 가톨릭 사제이자 오푸스 데이의 창립자로, 일상생활과 직업을 통해 성화를 추구하는 운동을 전개했으며, 복자,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나, 시성 과정과 오푸스 데이 활동에 대한 논란과 비판도 존재한다.
오푸스 데이 - 다빈치 코드 댄 브라운의 소설 《다빈치 코드》는 하버드 대학교 기호학 교수 로버트 랭던이 루브르 박물관 살인사건에 휘말려 성배의 비밀을 추적하는 스릴러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작품, 기독교 역사, 비밀 조직의 음모를 엮어내 논란 속에서도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영화와 뮤지컬로도 제작되었다.
1928년 설립된 종교 단체 -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는 한국의 주요 오순절 교단 중 하나로, 1991년 통합 교단인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통합)과 여의도순복음교회, 그리고 서대문총회 통합 교단이 있으며, 조용기 목사 이단 논쟁 이후 독립한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순복음)과 세계하나님의성회 소속의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광화문) 등이 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2005년 콘클라베 2005년 콘클라베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해 열린 콘클라베로, 베네딕토 16세가 새로운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115명의 추기경 선거인이 참여하였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가톨릭교회 교리서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가톨릭 교회의 신앙과 도덕에 관한 가르침을 집대성한 책으로, 신앙 선언, 그리스도교 신비 기념,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 그리스도인의 기도라는 네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되어 가톨릭 교리를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오푸스 데이는 1928년10월 2일스페인마드리드에서 가톨릭사제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에 의해 창설되었다.[8][9] 에스크리바는 일상적인 직업과 활동을 통해 성화를 추구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중심으로 조직을 설립했으며, 이는 당시 스페인 가톨릭의 성직자 중심주의에 대한 도전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3][128] 초기에는 남성 회원만 받았으나 1930년부터 여성 회원도 받아들였다.[1]
1934년 에스크리바의 영적 가르침을 담은 《길》(Caminoes)이 출간되어 오푸스 데이의 사상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15]스페인 내전(1936-1939) 시기에는 박해를 피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14] 내전 이후 프랑코 정권 하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스페인 사회 내 영향력을 확대했다. 이 시기 일부 회원들이 프랑코 정권에서 고위직을 맡으면서 정권과의 유착 논란이 일기도 했다.[18]
1941년 마드리드 교구의 인가를 받았고,[191]1943년에는 오푸스 데이 소속 사제들을 위한 성 십자가 사제회가 설립되었다. 1946년 본부를 로마로 이전했으며, 1947년교황 비오 12세로부터 교황청 직속 기구로 인정받는 첫 교황청 인가를 받았다.[1]1950년에는 기혼자의 회원 가입과 교구 사제의 성 십자가 사제회 협력을 허용하는 최종 인가를 받으며 조직의 외연을 넓혔다.[1]1945년 이후 포르투갈을 시작으로 유럽과 미주 지역으로 꾸준히 확장해 나갔다.
1975년 창립자 에스크리바가 사망하고 알바로 델 포르티요가 후계자가 되었다. 1982년11월 28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오푸스 데이를 가톨릭 교회 역사상 첫 개인 성직 자치단으로 지정했다. 이는 오푸스 데이가 자체적인 성직자단과 교구장을 가지며 전 세계 평신도 회원들의 사도직 활동을 관할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19] 요한 바오로 2세는 에스크리바를 1992년복자로, 2002년성인으로 시성하며 오푸스 데이에 대한 지지를 보였다.[21][22]
1994년 알바로 델 포르티요 사망 후 하비에르 에체바리아 로드리게스가 제2대 단장이 되었으며, 2014년 델 포르티요는 교황 프란치스코에 의해 복자로 시복되었다.[35]2016년 에체바리아 사망 후 2017년 페르난도 오카리스 브라냐가 제3대 단장으로 임명되었다.[38][39]
오푸스 데이는 비밀주의, 엄격한 내부 규율, 공격적인 회원 모집 방식, 프랑코 정권 등 권위주의 정권과의 관계로 인해 지속적인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왔다.[69][132] 특히 2005년댄 브라운의 소설 《다빈치 코드》와 2006년 영화에서 부정적으로 묘사되면서 대중적인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34] 또한 21세기 들어 미국과 스페인 등지에서 소속 성직자에 의한 성적 학대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41][42]
2022년교황 프란치스코는 교황 자의 교서 ''Ad charisma tuendum''을 통해 오푸스 데이 단장이 더 이상 주교로 서임될 수 없도록 하고, 교황청 내 감독 부서를 주교성에서 성직자성으로 이관하는 등 조직의 위상과 운영 방식에 변화를 주었다.[43][44] 이는 오푸스 데이의 '카리스마'(창립 정신)를 보호하고 교회법 안에서 다른 조직들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려는 조치로 해석된다.[47]
현재 오푸스 데이는 전 세계 약 70개국에서 활동하며 9만 명이 넘는 회원을 두고 있다.[36][195]대한민국에는 1958년 처음 소개되었고[196], 2009년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여 서울과 대전에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2. 1. 설립 배경
에스크리바가 필리핀인 그림 "Magpakabanal sa Gawain" (당신의 일로 거룩해지십시오)에서 일하는 사람들 사이에 둘러싸여 있는 모습. 오푸스 데이의 노동을 통한 성화 이념을 보여준다.
1928년10월 2일스페인마드리드에서 로마 가톨릭사제인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데 발라게르에 의해 설립되었다.[8][9] 에스크리바는 이날 "오푸스 데이를 보았다"는 환상을 경험했다고 주장하며,[8][9] 조직 이름을 라틴어로 "하느님의 사업"을 의미하는 '오푸스 데이'(Opus Deila)로 정했다.[99] 이는 이 조직이 에스크리바 개인의 사업이 아닌 하느님의 사업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10] 에스크리바는 오푸스 데이 창립이 초자연적인 계시에 의한 것이라고 일관되게 주장했다.[11][12]
오푸스 데이의 핵심 사명은 평범한 기독교인들이 자신의 일상적인 삶, 특히 노동을 통해 성화와 복음화를 이룰 수 있음을 깨닫도록 돕는 것이다.[13] 또한 이러한 이상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영적 지원과 훈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13] 이는 주일에 국한된 신앙 실천을 넘어, 모든 날의 활동을 통해 하느님께 영광을 돌리고 교회의 성스러움을 확장하려는 시도이다.
초기에는 남성 회원만 받았으나, 1930년 에스크리바는 하느님의 지시라고 믿고 여성 회원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1]스페인 내전(1936-1939) 동안 에스크리바는 박해를 피해 숨어 지내야 했으며, 여러 차례 생명의 위협을 겪었다.[14] 내전이 끝난 1939년 마드리드로 돌아온 그는 세속적인 삶 속에서의 영성에 관한 999개의 잠언을 담은 책 《길》(Caminoes)을 출판했다.[15] 이 책은 널리 읽히며 오푸스 데이의 정신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푸스 데이는 프랑코 독재 정권 시기에 스페인 내에서 빠르게 성장했으며, 1945년 이후에는 국제적으로도 세력을 확장했다.[1] 그러나 이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과 비판에 직면했다. 에스크리바 스스로도 오푸스 데이가 "개인의 자유를 억압한다"는 비판과 전통주의자들의 오해로 인해 스페인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다고 회고했다.[16] 특히 1940년대에는 예수회 총장 블로디미르 레도코프스키가 오푸스 데이를 "스페인 교회를 위해 매우 위험하다"고 바티칸에 보고하며, 그 "비밀스러운 성격"을 지적하고 "기독교 메이슨의 한 형태"라고 비판하기도 했다.[17]
1946년 에스크리바가 조직의 본부를 로마로 옮긴 후, 1947년교황 비오 12세는 오푸스 데이를 교황 직속 기구인 "교황청 권리의 기구"로 승인하며 공식적인 지위를 부여했다.[1] 이어 1950년에는 기혼자의 회원 가입과 성 십자가 사제회에 세속 성직자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허용하는 최종 승인을 내렸다.[1] 프랑코 정권 하에서의 성장은 오푸스 데이와 당시 스페인 정치권력과의 관계에 대한 논란을 낳기도 했다. 알베르토 울라스트레스와 같은 일부 오푸스 데이 회원들은 프랑코 독재 정권에서 장관직을 맡기도 했다.[18]
2. 2. 발전과 확장
1934년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의 정신이 담긴 저서 《길》이 출간되면서 에스크리바의 메시지는 전 세계로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3백만 부 이상 발행된 이 책은 인간과 하느님의 관계에 대한 에스크리바의 견해를 잠언 형식으로 담고 있으며, 오푸스 데이 회원들은 이를 중요한 영적 지침으로 여긴다.[15] 초기 오푸스 데이는 남성에게만 열려 있었으나, 1930년 에스크리바는 여성 회원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1]
스페인 내전(1936-1939) 동안 박해를 피해 숨어 지내던 에스크리바는 1939년마드리드로 돌아와 활동을 재개했다.[14]1941년3월 19일, 마드리드 교구로부터 첫 공식 인가를 받았으며,[191]1943년2월 14일에는 오푸스 데이 소속 사제들로 구성된 성 십자가 사제회가 설립되었다.
오푸스 데이는 프랑코 정권 시기에 스페인 내에서 빠르게 성장했으며, 1945년 이후 국제적으로 확장하기 시작했다.[1] 그러나 이 과정에서 어려움도 겪었다. 에스크리바는 오푸스 데이가 "개인의 자유의 적"이나 전통주의자들로부터 오해받았다고 회고했다.[16]1940년대에는 예수회 총장 블로디미르 레도코프스키로부터 "비밀스러운 성격"을 지적받으며 "기독교 메이슨의 한 형태"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7]
1946년 에스크리바는 본부를 로마로 옮겼고, 1947년교황 비오 12세로부터 교황청 직속 기구로 인정받는 '칭찬 교령'을 받았다.[1]1950년 비오 12세는 기혼자의 회원 가입과 세속 사제의 성 십자가 사제회 가입을 허용하며 최종 승인을 내렸다.[1] 프랑코 독재 정권 하에서 알베르토 울라스트레스와 같은 일부 오푸스 데이 회원들이 장관직을 맡기도 했다.[18]
1975년 에스크리바 사망 후 알바로 델 포르티요가 후계자가 되었다. 1982년11월 28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오푸스 데이를 가톨릭 교회 역사상 최초의 개인 성직 자치단으로 지정했다. 이는 오푸스 데이의 사도직 활동이 자체적인 교구장 관할 아래 있음을 의미하지만, 평신도 회원들은 여전히 자신이 속한 지역 교구 주교의 관할하에 있다.[19] 요한 바오로 2세는 1992년 에스크리바를 복자로, 2002년성인으로 시성했다. 2002년 시성식에는 약 30만 명의 신자들이 성 베드로 광장에 모였다.[21][22] 에스크리바 외에도 과테말라 소아과 의사 에르네스토 코피뇨, 카탈루냐 학생 몬세라트 그라세스[24][25], 스위스 엔지니어 토니 츠바이블[26][27], 스페인 부부 토마스 알비라와 파키타 도밍게스[28], 아르헨티나 엔지니어 이시도로 소르자노 레데스마[29], 가정부 도라 델 오요[30], 호세 마리아 에르난데스 가르니카 신부[29][31], 미국 활동을 시작한 호세 루이스 무스퀴스 데 미겔 신부[29] 등 여러 회원의 시복 절차가 진행 중이다.
2005년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성 베드로 대성당 외벽에 설치된 에스크리바의 조각상을 축복했다.[33] 같은 해, 댄 브라운의 소설 《다빈치 코드》가 큰 성공을 거두면서 오푸스 데이가 대중의 주목을 받게 되었는데, 소설과 2006년 개봉된 영화에서 오푸스 데이는 부정적으로 묘사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34]
2014년교황 프란치스코는 알바로 델 포르티요를 시복하며 "그는 우리 삶의 단순함과 평범함 속에서 성덕으로 나아가는 확실한 길을 찾을 수 있음을 가르쳐준다"고 말했다.[35]2016년 12월, 제2대 단장 하비에르 에체바리아 로드리게스가 사망하고,[37]2017년 1월 페르난도 오카리스 브라냐가 제3대 단장으로 선출되어 교황 프란치스코의 임명을 받았다.[38][39]2019년에는 초기 여성 회원 중 한 명인 과달루페 오르티스 데 란다수리 페르난데스 데 헤레디아가 오푸스 데이 최초의 여성 평신도로서 시복되었다.[40]
한편, 오푸스 데이는 성적 학대 문제로도 비판에 직면했다. 2005년 미국에서 C. 존 맥클로스키 신부 사건이 97.7만달러에 합의되었고,[41]2020년에는 스페인 마누엘 코시냐 신부 사건을 공식 인정했다.[42]
2022년7월 22일, 교황 프란치스코는 교황 자의 교서 ''Ad charisma tuendum''(카리스마를 보호하기 위하여)를 발표하여 오푸스 데이의 단장이 더 이상 주교가 될 수 없도록 규정하고, 관할 부서를 주교성에서 성직자성으로 이관했다.[43][44][45] 이는 오푸스 데이의 창립 정신인 '카리스마'를 보호하고 교회법적 위상을 명확히 하기 위한 조치로 설명되었다.[43][47]2023년 8월, 교황은 오푸스 데이와 같은 개인 성직 자치단이 '교황청 법의 공적 성직자 단체'와 유사하다고 명시하는 추가 교서를 발표했다.[48][49]
오푸스 데이는 2014년 말 기준으로 69개국으로 확산되었으며,[36] 회원들은 90개국 이상에 분포해 있다.[5]대한민국에는 1958년 진출하여[196]2009년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으며, 서울특별시와 대전광역시에 센터를 두고 있다.
오푸스 데이의 창립자인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가 저술한 《길(Camino)》은 오푸스 데이 회원들의 행동 지침이 되고 있다.
오푸스 데이는 모든 로마 가톨릭 신자들이 성스러움을 추구하고 복음을 전파하는 소명을 갖고 있다는 가르침을 널리 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창립자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는 오푸스 데이의 활동을 '병든 사회에 성스러운 주사를 놓는 것'에 비유하기도 했다. 회원은 주교와 사제(수도 사제 제외), 그리고 평신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부 사무청은 이탈리아로마의 비알레 브루노 부오치 73번지에 있다.
오푸스 데이는 교회법의 일반 규정, 교황청 사도 헌장 《Ut sit》, 그리고 자체 회칙에 따라 운영되며, 성직 자치단 단장(총괄 최고 책임자)이 관할한다. 1982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가톨릭교회 내 개인 교구로 지정되었다. 이는 오푸스 데이가 가톨릭교회의 공식적인 구조의 일부이며, 회원들의 사도직 활동이 오푸스 데이 교구장의 관할 아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평신도 회원들은 여전히 소속 교구 주교의 관할 아래 있다.[19] 자치단의 운영은 단장과 그의 대리자들이 평신도가 상당수 포함된 평의회(남성 '일반 평의회', 여성 '중앙 고문단')의 조력을 받는 집단적인 방식을 따른다.
자치단 소속 사제들은 주로 독신 평신도 회원인 '뉴머러리(Numerary)' 중에서 선발되어 로마의 산타크로체 국제 신학교에서 교육받는다. 평신도 회원은 대다수를 차지하는 기혼자 중심의 '슈퍼 뉴머러리(Super Numerary)'와 독신으로 사도직에 헌신하는 '뉴머러리' 등으로 구분된다. 모든 회원은 각자의 일을 통해 생계를 책임지며, 동시에 오푸스 데이의 사목 활동 비용을 분담한다.
오푸스 데이는 회원 각자의 사회적, 정치적 활동 등 세상적인 문제에 조직 차원에서 개입하지 않으며 오직 영적인 사명에만 관여한다고 밝힌다. 회원들은 가톨릭교회의 신앙과 도덕 교리 안에서 완전한 자유와 책임감을 가지고 행동하며, 오푸스 데이는 회원 개인의 결정을 조직 자체의 결정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1975년 창립자 에스크리바가 사망한 후 알바로 델 포르티요가 뒤를 이었다. 에스크리바는 성인 자격에 대한 논란 속에서 1992년 시복되었고, 2002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성되었다.[21][22] 그의 후계자인 알바로 델 포르티요는 2014년 교황 프란치스코에 의해 시복되었다.[35] 2019년에는 과달루페 오르티스 데 란다수리가 오푸스 데이 최초의 여성 복자가 되었다.[40] 현재 단장은 2017년 임명된 페르난도 오카리스 브라냐이다.[38][39] 오푸스 데이 회원 중 다수가 시성 절차를 밟고 있다.[212]
한편, 오푸스 데이는 2005년 출간된 소설 ''다빈치 코드''와 2006년 개봉된 동명 영화에서 부정적으로 묘사되면서 대중의 큰 주목을 받았고, 이는 조직에 대한 시각을 더욱 양극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34] 또한 2005년 미국에서 C. 존 맥클로스키 신부의 성적 학대 사건이 알려졌고,[41] 2020년에는 스페인에서 발생한 또 다른 성적 학대 사건을 조직 차원에서 처음으로 공개 인정했다.[42]
3. 1. 조직 구조
오푸스 데이는 교회법의 일반 규정, 교황청 사도 헌장 《Ut sit》, 그리고 자체 회칙에 따라 운영되는 가톨릭교회의 개인 준관구이다.[191][201] 본부는 이탈리아로마의 비알레 브루노 부오치 73번지에 사무청을 두고 있다.
최고 책임자인 성직 자치단 단장(Prelate)은 종신직이며[208], 로마 교황에 의해 임명된다. 단장은 자치단 소속 사제들에게 사목 임무를 부여하며, 이 사제들은 단장의 권한에 온전히 속한다. 자치단은 소속 사제들의 재정적 지원을 책임진다. 평신도 회원들 또한 자치단의 특수한 사명에 관한 모든 사항에 있어서는 단장의 권한에 따르지만, 동시에 일반 시민으로서 시민 사회의 법률적 권위에, 그리고 일반 평신도로서 소속 교구의 권위에도 종속된다.
자치단의 운영 방식은 집단적이며, 단장과 그의 대리자들은 평신도가 상당수 포함된 평의회의 조력을 받아 임무를 수행한다. 여성 평의회는 '중앙 고문단(Central Advisory)'이라 불리며, 남성 평의회는 '일반 평의회(General Council)'라고 칭한다. 두 평의회 모두 로마에 본부를 두고 있다. 단장을 제외한 오푸스 데이 내 모든 직책은 임기제이다.
통상 8년마다 전 세계 각국에서 활동하는 오푸스 데이 회원 대표들이 참석하는 총회가 개최된다. 이 총회에서는 자치단의 사업을 검토하고 장래의 사목 활동 방향에 대한 의견을 단장에게 제시하며, 총회 기간 동안 단장은 새로운 평의회 임원들을 임명한다.
자치단은 지리적으로 '지회(Region)'라고 불리는 영역으로 나뉘며, 이는 개별 국가의 영역과 일치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각 지회는 지역 총대리(Regional Vicar)와 남녀 각각 2개의 평의회(여성 지역 고문단, 남성 지역 위원회)가 이끈다. 일부 지회는 하위에 여러 '대표단(Delegation)'으로 나뉘기도 하며, 대표단 역시 지회와 유사한 관리 조직(대표단 대리, 두 개의 평의회)을 갖춘다. 가장 작은 단위는 '센터(Center)'로, 특정 지역 회원들의 양성과 사목적 배려를 목적으로 설립된다. 센터는 남녀 평신도 모두를 위한 것이며, 최소 2명 이상의 평신도로 구성된 지역 평의회가 관리하고, 단장이 임명한 사제가 사목적 지원을 제공한다.
회원은 주교와 사제(수도 사제 제외), 그리고 평신도로 구성된다. 자치단 소속 사제들은 단장의 권한 아래 있으며 재정적 지원을 받는다. 평신도 회원은 전체의 약 90% 이상을 차지하며,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195][208]
구분
설명
비율
수퍼누메랄리 (Supernumerary)
기혼자 회원. 오푸스 데이 평신도 회원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약 70%
누메랄리 (Numerary)
독신으로, 보통 성별로 구분된 센터에서 가족적인 공동생활을 하며 사도직에 전적으로 헌신하도록 부르심을 받은 회원. 성직자는 아니지만 그에 준하는 종교 생활을 한다.
약 20%
어소시에이트 (Associate)
독신 회원으로, 가족과 함께 생활하거나 전문적인 직업상의 이유로 센터 외부에서 생활한다.
나머지 (약 10%)
성 십자가 사제회는 1943년에 발족했으며, 오푸스 데이의 개인 준관구장이 회장을 맡는다. 이 회에는 오푸스 데이 소속으로 서품된 사제들과, 오푸스 데이에 소속되기를 희망하는 교구의 사제 및 부제들이 회원으로 참여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4,000명의 회원이 있다.[209][210]
회원들은 각자 자신의 일을 통해 생계와 가족 부양을 책임져야 하며, 동시에 자치단의 사목 활동(성직자 양성 및 지원, 본부 및 각 지회 사무소 운영 경비, 자선 기부금 등)에 필요한 비용을 분담한다. 평신도 회원들은 소속 교구와 본당 등에도 의무적으로 봉헌금을 낸다.
오푸스 데이는 조직 차원에서 회원들 각자가 직면하는 세상적인 문제(사회적, 정치적 활동 등)에 개입하지 않으며, 오직 영적인 사명에만 관여한다. 회원 각자는 가톨릭교회의 신앙과 도덕 교리의 테두리 내에서 완전한 자유의사와 책임성을 가지고 행동하며, 오푸스 데이는 회원 개인의 결정을 조직 자체의 결정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오푸스 데이 당국자들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조언하는 것을 완전히 자제해야 한다.
3. 2. 회원 구성
오푸스 데이의 회원은 주교와 사제(수도 사제 제외), 그리고 평신도로 구성된다. 2018년 기준으로 전체 신자 수는 95,318명이며, 이 중 93,203명이 평신도이고 2,115명이 사제이다. 이 통계에는 오푸스 데이의 성 십자가 사제회 소속 교구 사제 수는 포함되지 않으며, 2005년 추산으로는 약 2,000명이었다.[69] 지리적으로는 신자의 약 60%가 유럽, 35%가 아메리카 대륙에 거주하고 있다.[81] 여성 회원이 전체의 57%를 차지한다.[82] 존 앨런의 연구에 따르면, 오푸스 데이 신자들은 교육, 소득, 사회적 지위 면에서 사회의 중하위 계층에 속하는 경향이 있다.[83]
오푸스 데이에는 여러 유형의 신자가 있으며,[6] 이는 오푸스 데이의 정신에 따라 교구의 공식 활동과 교육을 위해 얼마나 헌신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84][85]
수퍼누메라리(Supernumerary): 전체 회원의 약 70%를 차지하는 가장 큰 그룹이다.[86] 주로 직업을 가진 기혼 남녀로 구성되며, 일상생활 속에서 신앙을 실천한다. 정기적인 모임과 피정 등에 참여하며 기도 생활을 하지만, 직업과 가정의 의무로 인해 다른 유형의 회원만큼 조직 활동에 전적으로 헌신하지는 않는다. 상황에 따라 재정적 기여 및 기타 방식으로 오푸스 데이를 지원한다.[87] 결혼하지 않았더라도 독신 생활을 원치 않는 회원도 수퍼누메라리가 될 수 있다.
누메라리(Numerary): 전체 회원의 약 20%를 차지하며,[86] 독신 생활을 하며 오푸스 데이의 사도직 활동에 '완전한 헌신'(plena disponibilitas|플레나 디스포니빌리타스la)을 하는 회원이다.[88] 이들은 다른 회원들에게 교리 및 영성 교육을 제공하고, 오푸스 데이의 내부 행정을 지원하며, 필요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사도직 활동을 수행한다.[90] 누메라리는 성별로 분리된 오푸스 데이 센터에서 공동생활을 하며,[91][92] 매일의 식사와 모임("만남")을 통해 교류한다.[93] 대부분 외부에서 직업을 가지지만, 일부는 오푸스 데이 내부에서 전적으로 봉사하며, 수입의 대부분을 조직에 기부한다.[94]
누메라리 보조원(Numerary Assistant): 여성 누메라리의 한 유형으로, 오푸스 데이 센터의 가사(家事)를 자신의 직업으로 삼아 봉사한다.[95]
준회원(Associate): 독신 회원으로서 사도직 활동에 참여하지만,[96] 누메라리와 달리 '완전한 헌신'을 하지는 않고 자신의 직업이나 가정 상황에 따라 활동한다.[94] 이들은 오푸스 데이 센터에서 생활하지 않고 자신의 거처에서 생활한다.[96]
교구 성직자: 오푸스 데이 성직 자치단에 소속된 사제들로, 자치단장의 관할 하에 있다. 전체 회원의 약 2%를 차지하는 소수 그룹이다.[86]
성 십자가 사제회: 오푸스 데이와 관련된 사제회로, 오푸스 데이 교구 성직자와 다른 교구 소속 사제들로 구성된다. 교구 사제들은 오푸스 데이의 영적 지도를 받지만, 자신의 교구 주교에게 소속된다.[97] 2005년 기준으로 약 2,000명의 교구 사제가 이 사제회에 속해 있었다.[69]
협력자(Collaborator): 오푸스 데이 회원은 아니지만 기도, 자선 기부, 기타 활동을 통해 오푸스 데이의 사도직 활동을 지원하는 사람들이다. 가톨릭 신자가 아니어도 협력자가 될 수 있다.[97] 2005년 기준으로 약 164,000명의 협력자가 있었다.[69]
오푸스 데이에 소속되기 위해서는 초자연적인 부르심(소명)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98] 이는 수도회에서 하는 서원(청빈, 정결, 순명)과는 다른 계약적 성격을 가진다. 회원들은 각자의 직업과 사회생활을 그대로 유지하며 세상 속에서 활동하고, 일반 가톨릭 신자로서 자신의 교구에 소속된다. 회원들은 자신의 일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오푸스 데이의 사목 활동(성직자 양성 및 지원, 운영 경비, 자선 활동 등)에 필요한 비용도 분담한다. 또한 소속 교구와 본당에도 의무적으로 봉헌금을 낸다.
오푸스 데이는 교회법의 일반 규정과 교황청 사도 헌장 《Ut sit》, 그리고 자체 규정인 회칙에 따라 운영되며, 성직 자치단 단장(총괄 최고 책임자)이 관할한다. 자치단의 사제들은 단장의 권한 아래 있으며, 평신도 회원들도 오푸스 데이의 사명과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는 단장의 지도를 따른다. 그러나 동시에 평신도들은 일반 시민으로서 시민법의 적용을 받으며, 가톨릭 신자로서 소속 교구의 권위에도 따른다. 자치단의 운영은 집단적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단장과 그의 대리자들은 평신도가 상당수 포함된 평의회(여성 평의회는 '중앙 고문단', 남성 평의회는 '일반 평의회')의 조력을 받아 임무를 수행한다.
3. 3. 활동 내용
오푸스 데이는 모든 로마 가톨릭 신자들이 성스러움을 추구하고 복음을 전파하는 소명을 갖고 있다는 가르침을 널리 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창립자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는 오푸스 데이의 활동을 '병든 사회에 성스러운 주사를 놓는 것'에 비유하기도 했다.[72] 주요 활동은 평신도 구성원(전체의 98%)이 세상 속에서 교회의 복음화 사명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개인적으로 동행하고 훈련시키는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이다.[99][100] 즉, 가톨릭 신자들이 세속적인 세상을 성화하는 개인적인 책임을 맡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는 이론 교육과 실천을 통해 이루어진다.[101] 평신도와 사제들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기독교 신앙을 실천하도록 돕기 위해 세미나, 워크숍, 피정, 강좌 등을 조직한다. 특히 경험 많은 평신도나 사제와의 일대일 코칭인 영적 지도는 훈련의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진다. 이를 통해 종교 교육(교리 형성), 영성 코칭(영적 형성), 인격 및 도덕 교육(인간 형성), 자신의 일을 성화하는 방법(전문적 형성), 가정과 직장을 복음화하는 방법(사도적 형성) 등을 제공한다.
프렐라투라(성직 자치단)를 설립한 공식 가톨릭 문서에 따르면, 오푸스 데이는 "성덕에 대한 보편적 부르심의 가르침을 실천하고, 사회의 모든 수준에서 평범한 일의 성화를 촉진하며, 평범한 일을 통해 이를 수행"하기 위해 노력한다.[73] 설립자와 추종자들은 오푸스 데이 회원들이 초기 기독교 교회의 구성원들처럼, 다른 시민들과 구별되는 외적인 특징 없이 진지하게 성덕을 추구하는 평범한 일꾼들이라고 설명한다.[99][102][103]
=== 조직 및 운영 ===
오푸스 데이는 교회법의 일반 규정, 교황청 사도 헌장 《Ut sit》, 그리고 자체 규정인 오푸스 데이 회칙에 따라 운영된다. 최고 책임자인 성직 자치단 단장(프렐라트)이 조직 전체를 관할하며, 본부는 이탈리아로마의 비알레 브루노 부오치 73번지에 있다.
자치단의 신부들은 자치단장의 권한 아래 있으며, 사목적 임무를 부여받아 각자 생활하는 교구의 사목 방침을 따른다. 자치단은 소속 신부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할 책임이 있다. 평신도 회원들 또한 자치단의 특수한 사명과 관련된 모든 사항에 대해 자치단장의 권한에 따른다. 동시에 이들은 일반 시민으로서 시민 사회의 법률과 교구의 권위에도 종속된다.
자치단의 관리는 집단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단장과 그의 대리자들은 항상 상당수 평신도로 구성된 평의회의 도움을 받아 임무를 수행한다. 여성 평의회는 '중앙 고문단(Central Advisory)', 남성 평의회는 '일반 평의회(General Council)'라 불리며 모두 로마에 본부를 두고 있다.
자치단 총회는 통상 8년마다 개최되며, 세계 각국의 회원 대표들이 참석하여 자치단의 사업을 논의하고 미래의 사목 활동 방향을 단장에게 제안한다. 총회 기간 동안 단장은 새로운 평의회 임원들을 임명한다. 자치단은 각 '지회'라고 불리는 영역으로 나뉘는데, 이는 국가 경계와 일치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각 지회는 지역 총대리와 두 개의 평의회(여성 지역 고문단, 남성 지역위원회)가 이끈다. 일부 지회는 다시 여러 '대표단'으로 나뉘며, 각 대표단 역시 대표단 대리와 두 개의 평의회를 둔다. 가장 작은 단위는 '센터'로, 특정 지역 회원들의 양성과 사목적 배려를 위해 설립되며 남녀 평신도 모두를 대상으로 한다. 각 센터는 최소 2명 이상의 회원으로 구성된 평신도 지역 평의회가 관리하며, 신자들에 대한 사목적 배려를 위해 단장이 신부를 파견한다.
단장을 제외한 오푸스 데이의 모든 직책은 임기가 정해져 있다.
=== 회원 ===
회원은 주교, 신부(수도 사제 제외), 그리고 평신도로 구성된다. 평신도 회원은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는 '슈퍼 뉴머러리(Super Numerary)'와 약 20%인 '뉴머러리(Numerary)'로 나뉜다. 뉴머러리는 약 1,700개의 성별로 구분된 센터에서 생활하며, 결혼하지 않고 성직자와 유사한 수준의 종교 생활을 한다.
오푸스 데이 소속 사제들은 뉴머러리 가운데 선발되어, 로마에 있는 산타크로체 국제 신학교에서 교육을 받는다.
뉴머러리는 오푸스 데이의 핵심적인 존재이다. 오푸스 데이와의 교류를 통해 활동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 평신도에게 독신 회원(뉴머러리)이 될 것을 제안한다. 입회 전 '서클(Circle)'이라 불리는 교육 과정을 거치며, 이는 각 센터의 평신도 영적 지도자와의 일대일 방식으로 진행된다. 과정을 마치고 입회를 수락하면, 단장 주교에게 입회 허가를 요청하는 편지를 보내는데, 이를 오푸스 데이 용어로 "휘파람 불기(whistling)"라고 한다. 이는 일반적인 수도회의 서원(誓願)과 달리, 오푸스 데이와 평신도 간의 '계약 관계'라는 특징이 있다. 계약은 1년마다 갱신되며, 5년 후에는 종신 계약이 가능하다.
뉴머러리에게는 다음과 같은 의무가 주어진다:
자신의 모든 수입을 오푸스 데이에 헌납해야 함
고해성사는 오푸스 데이 소속 사제에게만 청할 수 있으며, 그 외 사제로부터는 고해성사를 받을 수 없다는 것.
주 1회 채찍질, 매일 2시간의 마미단(Cilice, 가시 허리띠) 의무 착용[240]
라틴어로 된 오푸스 데이 고유 기도 〈프레체스(Preces)〉를 암송할 것
매일 아침 기상시[241] 바닥에 엎드려 입을 맞추며 “봉헌하겠나이다(Serviam)”하고 라틴어로 기도할 것
이밖에도, 항상 많은 친구를 사귀고 그들이 오푸스 데이의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도록 요구를 받는다.
남성 뉴머러리와는 달리 여성 뉴머러리는 그들이 조직 내에서 맡은 역할에 따라 더 세분화된다.
슈퍼 뉴머러리는 주로 기혼자들이지만, 결혼하지 않았더라도 독신 생활을 원치 않는 회원도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은 오푸스 데이가 주최하는 영성 지도 프로그램에 정기적으로 참여하며, 물적으로 오푸스 데이의 사도직 활동을 후원한다.
'협력자'는 오푸스 데이의 영성을 따르며 영적·물적으로 협력하는 이들이다. 반드시 가톨릭 신자일 필요는 없으며, 불교도나 이슬람교도까지도 협력자가 될 수 있다.
모든 회원은 자신의 일을 통해 자신과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한다. 또한 오푸스 데이 회원들과 협력자들은 회의 사목 활동에 필요한 비용(성직자 양성 및 지원, 본부 및 지회 운영비, 자선 기부금 등)을 분담한다. 이와 별도로 소속 교구와 본당에도 헌금을 낸다.
오푸스 데이는 회원 각자의 세상적인 문제(정치, 사회 활동 등)에 개입하지 않고 오직 영적인 사명에만 관여한다고 밝힌다. 회원들은 완전한 자유 의사와 책임감을 가지고 행동하며, 오푸스 데이는 회원 개인의 결정을 조직 자체의 결정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회칙은 회원들이 신앙과 도덕에 관한 교회의 교리 안에서 다른 가톨릭 신자들처럼 완전한 자유를 누린다고 명시하며, 오푸스 데이 당국자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조언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 정신적 특징 ===
오푸스 데이의 활동은 다음과 같은 정신적 특징을 기반으로 한다.[198]
'''하느님과의 부자(父子) 관계''': 세례를 통해 하느님의 자녀가 된다는 기독교의 기본 진리를 중시한다. 회원들은 하느님의 자녀로서의 신분을 자각하고, 하느님의 섭리에 대한 신뢰, 단순함, 인간 존엄성 존중, 형제애, 현실에 기반한 사랑, 침착함과 낙관주의를 바탕으로 생활한다.
'''일상생활의 성화''': 가정, 결혼 생활, 직업 등 일상의 모든 활동이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고 따르는 기회가 된다고 본다. "이 세상의 가장 물질적인 일들 안에서" 하느님과 이웃을 섬기며 자신을 성화해야 한다고 가르친다.[199]
'''일의 성화''': 직업 활동에서 성성(聖性)을 추구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전문성과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자각을 가지고 일을 더 잘 수행하며, 하느님에 대한 사랑과 사람들에 대한 봉사로서 일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도와 희생''': 일상생활의 성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기 위해 기도와 속죄를 강조한다. 묵상, 매일 미사 참여, 고해 성사, 로사리오 기도, 영적 독서, 복음서 묵상 등을 실천하며, 특히 성모 신심을 중시한다. 의무를 더 쉽게 이행하거나 타인의 삶을 돕기 위한 작은 희생, 단식, 헌금 등을 소중히 여긴다.
'''생활의 일치''': 내적 신앙생활과 외적인 가정, 직업, 사회생활이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삶'을 강조한다. 영혼과 육체 모두 성화되어 하느님으로 충만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자유를 사랑함''': 회원들은 다른 시민들과 동등한 권리와 의무를 지닌다. 정치, 경제, 문화 활동에서 개인의 자유로운 책임 하에 행동하며, 자신의 결정에 교회나 오푸스 데이를 연관시키지 않고 타인의 자유와 의견을 존중한다.[200]
'''사랑''': 그리스도를 아는 기쁨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는 것을 강조한다. 모범과 언어를 통해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전파하며, 이는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물질적 필요를 돕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진다고 본다.
=== 사회적 활동 및 관련 기관 ===
오푸스 데이는 전 세계에 기숙형 센터를 운영하며, 독신 회원들에게 숙소와 교리 및 신학 교육을 제공한다. 또한 "오푸스 데이의 법인 사업"이라 불리는 다양한 비영리 기관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다.[104] 2005년 연구에 따르면, 회원들은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여 총 608개의 사회적 계획(학교 및 대학 기숙사 68%, 기술 또는 농업 훈련 센터 26%, 대학교, 경영대학원, 병원 6% 등)을 수립했다.[69]
나바라 대학교의 중앙 건물
스페인팜플로나의 나바라 대학교와 아르헨티나부에노스아이레스의 오스트랄 대학교는 오푸스 데이 법인 사업의 대표적인 예이다. 이 대학들은 국제 순위에서 높은 평가를 받기도 하며, 특히 나바라 대학교의 경영대학원인 IESE는 ''파이낸셜 타임스''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에 의해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았다.[105] 오푸스 데이와 관련된 비영리 단체의 총 자산 가치는 최소 28억달러로 추정된다.[106]
요한 바오로 2세는 로마 중심부에 교황청립 성 십자가 대학교(이탈리아어: Pontificia Università della Santa Croce)를 설립하고 오푸스 데이에 대학 지도를 위임했다.
신자들이 공동으로 진행하는 각종 교육 사업 등에서 오푸스 데이는 영적인 지도를 담당하지만, 시설 소유나 운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푸스 데이와 관련된 주요 교육 기관은 다음과 같다.
오푸스 데이는 가톨릭교회 교리의 특정 측면, 특히 가톨릭 평신도의 삶에 초점을 맞춘다.[50][51][52] 핵심 가르침은 "보편적 성화의 부르심"으로, 모든 사람이 성인이 되기를 열망해야 한다는 믿음이다. 이는 "마음을 다하여 주 너의 하느님을 사랑하라"(마태오 22:37)[53] 와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 완전하신 것처럼 너희도 완전한 사람이 되어라"(마태오 5:48)[54]라는 예수의 계명에 근거한다. 오푸스 데이는 성화가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으며, 하느님의 도움으로 이를 이룰 수 있다고 가르친다.[55][56][57]
오푸스 데이에는 수도자나 수녀가 없으며, 회원 대부분은 평신도이고 소수만이 사제이다.[58] 영적 생활과 직업, 사회, 가정생활의 통합을 강조하며, 회원들은 전통적인 가족과 세속적인 경력을 가진 평범한 삶 속에서 "평범한 삶을 성화"하려고 노력한다.[68]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창립자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를 "평범한 삶의 성인"이라고 칭했다.[59]
일과 전문적인 능력의 중요성 또한 강조된다.[60][61] 회원들과 모든 평신도 가톨릭 신자들은 "일상에서 하느님을 찾고" 자신의 일을 사회에 대한 봉사이자 하느님께 대한 봉헌으로 수행하도록 권고받는다.[62] 오푸스 데이는 일이 사회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성화의 길"이라고 가르친다.[63] 이러한 가르침의 성경적 뿌리는 "하느님은 사람을 일하도록 창조하셨다"(창세기 2:15)[64] 와 예수가 나자렛에서 목수로서 보낸 시간에서 찾을 수 있다.[65] 에스크리바는 예수께서 "모든 것을 훌륭하게 하셨다"(마르코 7:37)는 복음서 기록을 지적하며 일의 성화를 강조했다.[66][67]
에스크리바가 강조하는 기독교 생활의 기초는 '신적 자녀됨'이다. 즉, 그리스도인은 세례를 통해 하느님의 자녀가 되며, 그리스도의 삶과 사명에 동참한다는 것이다. 오푸스 데이의 다른 주요 이상으로는 자유, 선택 존중, 개인적 책임, 자선, 그리고 무엇보다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 있다.[68]
현 오푸스 데이 단장인 페르난도 오카리즈에 따르면, 에스크리바가 이해한 "보편적 성화의 부르심"에는 주관적 차원과 객관적 차원이 있다. 주관적 차원은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성인이 되라는 부르심이며, 객관적 차원은 에스크리바가 기독교적 유물론이라고 부른 것으로, 가장 물질적인 상황을 포함한 모든 창조물이 하느님과의 만남의 장이며 그분과의 일치로 이어진다는 것이다.[69]
모든 회원은 '생활 계획' 또는 '경건의 규범'이라 불리는 전통적인 가톨릭 신심을 따르도록 훈련받는다. 이는 "정해진 시간에 기도하여...끊임없는 기도를 함양하라"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가르침을 실천하기 위함이다.[70] 또한 고행 또는 자기 학대 행위도 실천하는데, 이는 십자가형으로 죽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방법으로 여겨진다. 예로는 단식, 침묵 등이 있으며, 이는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면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오너라"(루카 9:23)라고 말한 것에 근거한다.[71]
오푸스 데이의 영성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198]
'''하느님과의 부자 관계''': 세례를 통해 하느님의 자녀가 된다는 기본적인 진리는 오푸스 데이 영성의 근본이다. 회원들은 하느님의 자녀로서의 신분을 깊이 인식하고, 하느님의 섭리에 대한 신뢰, 단순함, 인간 존엄성 존중, 형제애, 세상에 대한 사랑, 침착함과 낙관주의를 바탕으로 생활한다.
'''일상생활''': 가정, 결혼 생활, 직업 등 일상의 모든 활동이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고 따르는 기회가 된다. 사랑, 인내, 겸손, 근면, 정의, 기쁨 등의 덕을 실천하며 "이 세상의 가장 물질적인 것의 한가운데서" 자신을 성화한다.[199]
'''일의 성화''': 전문성과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자각을 가지고 일을 더 잘 수행하는 것, 즉 하느님에 대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봉사로서 일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일상적인 일이 그리스도를 만나는 장이 된다.
'''기도와 희생''': 일상생활을 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기 위해 기도와 속죄를 중시한다. 묵상, 매일의 미사 참여, 고해 성사, 로사리오 기도, 영적 독서, 복음서 묵상 등을 실천하며, 특히 성모 신심을 소중히 여긴다. 의무를 더 쉽게 수행하게 하거나 타인의 삶을 더 쾌적하게 하기 위한 희생, 작은 만족 포기, 단식, 헌금 등을 실천한다.
'''생활의 일치''': 내적 생활(하느님과의 관계)과 가정, 직업, 사회생활이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통합되어야 한다고 본다. 영혼과 육신 모두 성화되고 하느님으로 충만해야 할 단 하나의 삶만이 존재한다고 가르친다.
'''자유를 사랑함''': 회원들은 다른 시민들과 동등한 권리와 의무를 지닌다. 정치, 경제, 문화 활동에서 개인적인 책임 아래 자유롭게 행동하며, 자신의 결정에 교회나 오푸스 데이를 연관시키지 않는다. 타인의 자유와 의견을 존중한다.[200]
'''사랑''': 그리스도를 아는 기쁨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자 한다. 모범과 언어를 통해 친척, 친구, 동료들에게 그리스도의 희망을 전파한다. 이러한 열정은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물질적 필요를 돕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진다.
오푸스 데이에 소속되기 위해서는 하느님으로부터의 초자연적인 소명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는 자신의 전 생애를 하느님께 봉사하고, 모든 사람이 일과 일상생활을 통해 성성에 이를 수 있다는 가르침을 널리 알리라는 부르심이다. 오푸스 데이에 소속되어도 일반 시민이자 가톨릭 신자로서의 정체성은 변하지 않으며, 이전과 같이 교구에 소속되고 자유로운 사회 활동을 한다. 오푸스 데이와의 약속은 계약의 성격을 가지며, 수도회의 서원(청빈, 정결, 순명)과는 다르다.
회원들은 세상 속에서 살아가며 일상에서 하느님을 만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푸스 데이는 회원들이 스스로 성성을 추구하고 주변 사람들이 일상의 작은 일들 속에서 성성을 추구하도록 돕도록 격려한다. 회원들은 자신의 소명을 자연스럽게 살아가며, 이를 과시하거나 숨기지 않는다. 그들의 업무 방식과 신앙 전파 열의에는 하느님과의 약속이 반영되어 있다.
4. 비판과 논란
‘오푸스 데이’에 관한 비판은 창립 초기인 1940년대 예수회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가톨릭교회 내에서 지속적인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오푸스 데이를 탈퇴한 전 뉴머러리 회원들이 조직한 '반-오푸스 데이' 단체들도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영어권 탈퇴자들이 만든 '오푸스 데이 감시 네트워크(Opus Dei Awareness Network, ODAN)'[225]가 있다. 유명 비판자로는 전 고위직 뉴머러리였던 마리아 델 카르멘 타피아(Maria del Carmen Tapia)[226], 예수회 소속 제임스 마틴(James Martin) 신부 등이 있다.
주요 비판 중 하나는 '극단적인 비밀주의'이다. 회원들은 영입 대상에게 접근할 때 자신이 오푸스 데이 소속임을 밝히지 않으며, 지부 영성 지도자의 허락 없이는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 엄격히 금지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창립자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가 만든 1950년 회헌에 근거한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기만적이고 공격적인 회원 영입 방식에 대한 비판도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다. 정체를 숨기는 것 외에도, 영입 대상에게 과도한 관심과 애정을 보이는 '사랑 폭격(Love Bombing)', 영입만을 목적으로 한 사교 활동, 대상자에 대한 상세 정보(학력, 성격, 관심사, 감정 상태 등)를 비밀리에 수집하고 보고하는 행위, 뉴머러리들의 일일 회합에서 영입 전략을 논의하는 것 등이 비판점으로 거론된다.[227] 전 뉴머러리 회원들은 이러한 주장이 일관되게 나타난다고 증언하며, '우정(friendship)'을 미끼로 접근하지만 실제로는 진실된 관계 형성에 관심이 없다고 주장한다.
비판자들은 오푸스 데이가 회원들에게 과도한 통제를 가한다고 지적한다. 편지 수발신 시 영적 지도자의 검열과 허락이 필요하며, 가톨릭 교회에는 공식적으로 폐지된 '금서 목록'을 자체적으로 운영하며 독서에도 허락을 받아야 한다고 한다. 브라질 출신 전 뉴머러리들은 가족 편지가 검열 후 전달되었다고 증언했으며[228](《오푸스 데이의 비밀》(現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임두빈 교수 역) 참고), 오푸스 데이가 회원들에게 비회원(가족 포함)과의 관계 단절을 압박한다는 증언도 있다. 실제로 센터 내 뉴머러리들은 가족 사진을 둘 수 없다. 사이비 종교 전문가이자 카운슬러인 데이빗 클럭(David Clark)은 오푸스 데이를 "매우 컬트적 요소가 많은(Very Cult-like)" 집단으로 묘사하기도 했다.[229]
육체적 고행에 사용되는 마미단(Cilice)을 가까이에서 촬영한 사진.
뉴머러리들은 매일 2시간씩 마미단(Cilice)[230] 착용, 매일 아침(계절 무관) 단장 주교를 위한 고행으로 찬물 샤워, 주 1회 채찍질 등 육체적 고행(Self-mortification)을 요구받는다. 오푸스 데이는 이를 과거 성인들이 성화하기 위해 사용했던 방법 중 하나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고통에 동참하는 자기 봉헌의 한 형태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육체적 고행은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또한, 뉴머러리들만 열람 가능한 대외비 출판물인 남성용 〈크로니카〉(Cronica)[231]와 여성용 〈노티시아스〉(Noticias)[232]의 존재와 그 내용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된다. 이 잡지들은 스페인어로 되어 있으며, 때로 영어 해설이 첨부된다고 한다.
회원 영입의 엘리트주의 성향도 비판받는다. 주로 사회 유력 인사(정치인, 재계 거물 등)를 대상으로 하며, 사회적 지위에 따라 생활상의 제약이 완화되거나 면제된다는 주장과 탈퇴 회원들의 증언이 있다.
신입 회원 교육 방식(서클, Circle)에 대한 비판도 있다. 각 센터 영적 지도자(또는 지정된 뉴머러리)와 1:1로 진행되는 이 과정에서 피교육자의 질문이 허용되지 않고 교육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했다는 증언이 존재한다.
'우애적 교정(fraternal correction)'이라 불리는 신앙 및 일상생활에 대한 뉴머러리 회원 상호 간의 생활 지도가 실제로는 상호 감시 및 통제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비판자들은 (1) 입회 대상자가 자신의 삶을 결정하기에 미성숙한 청소년에게도 입회를 장려하며, (2) 부모의 동의를 받거나 오푸스 데이에 관해 부모와 상담하는 것을 막는다고 지적한다. 실례로 1981년 영국의 웨스트민스터 대교구장 바실 흄(Basil Hume, 1923년~1999년)[233] 추기경은 교구 내 오푸스 데이 활동에 대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권고[234]를 내렸다.
# 18세 미만인 사람은 오푸스 데이와 결합하는 서원이나 장기 헌신이 허용되지 않는다.
# 오푸스 데이에 가입하고자 하는 이는 합법적 보호자와 상의해야 하며, 예외적인 경우 해당 주교나 대리인에게 먼저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
# 가입한 사람은 부당한 압력 없이 가입하거나 탈퇴할 자유와 영성 지도 신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 웨스트민스터 교구 내에서의 오푸스 데이 활동은 후원이나 경영을 분명히 드러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권고들이 지켜지지 않거나 무시되었다는 증언이 존재한다.[235]
오푸스 데이 내에서 여성의 존재가 남성에게 종속되어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이러한 내용은 예수회 소속 마이클 월쉬(Michael Walsh)[236] 신부의 ‘오푸스 데이’ 연구물인 《오푸스 데이의 비밀 세계(1989)》[237]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238] 반면, 오푸스 데이 지도부의 절반이 여성이며 이들이 남성을 이끌기도 한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한편, 존 알렌 주니어(John L. Allen, Jr.), 비토리오 메조리(Vittorio Messori), 파트리체 데 플륀케(Patrice de Plunkett), 메기 화이트하우스(Maggy Whitehouse), 노암 프리드랜더(Noam Friedlander) 등 몇몇 저널리스트들은 오푸스 데이에 가해지는 많은 비판들이 사실이 아니거나 근거 없는 낭설이라고 주장한다.[69][83][137][135][136] 이들은 비판의 상당 부분이 오푸스 데이의 반대자들에 의해 만들어졌으며[169][170], 비밀주의에 대한 비판은 평신도 조직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성직주의적 시각'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한다.[83][171]
오푸스 데이 측은 "오푸스 데이로 인하여 상처를 받은 사람들이 있었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그러한 일은 특수한 상황에 국한된 것이고 일부의 사람들에게만 일어났던 일이기 때문에 모든 오푸스 데이 회원들이 비판자들이 말하는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공식 입장을 내놓고 있다.[239] 일부 전문가들은 ‘오푸스 데이’로부터 피해를 받았다는 주장이, 사실은 ‘오푸스 데이’가 ‘수도회’에도, 완전히 ‘평신도’ 영역에도 속하지 않는 애매한 위치에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개 오푸스 데이의 전 회원들로 구성된 ‘반-오푸스 데이’ 활동을 하는 제 조직들과 그 회원들은 시대와 지역을 넘어, 오푸스 데이 회원으로 활동했을 때 자신들이 겪었던 체험을 일관성 있게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루어 보아 그들의 주장과 의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이에 대해 가톨릭 저널리스트 존 L. 알렌 주니어는 ‘오푸스 데이’에 대한 사람들의 부정적 인식이 “오푸스 데이에 대해서 잘 알지 못 하기 때문”에 기인한다고 말한다. 한편 그는 오푸스 데이에 관한 연구를 마친 뒤 (1) 조직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며 (2) 다른 신앙 관련 기관들과 협동해야 하고 (3) 조직에 관한 비판에 대해 환기시킬 수 있도록 회원들을 장려해야 한다고 피력한 바 있으며, 또한 적지 않은 사람들이 오푸스 데이에 가해지는 비판에 대해 오푸스 데이가 이를 스스로 적극 해명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점에 대해 동의하고 있다.
5. 대중 문화 속 오푸스 데이
댄 브라운의 소설 『다빈치 코드』(2003년)와 이를 원작으로 한 동명의 영화(2006년)에서는 오푸스 데이가 무자비하게 사람을 죽이는 집단으로 묘사되었다. 이러한 묘사로 인해 오푸스 데이가 마치 컬트 단체인 것처럼 오해하는 경우가 생겼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르며, 오푸스 데이 내부에서는 살인을 대죄로 여긴다. 오푸스 데이는 교황청으로부터 정식으로 인가받은 가톨릭교회의 한 조직이며[220], 기관지 "로마나" 등을 통해 조직 구성원의 이동 등 상세한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221]. 오푸스 데이는 "작품 속에 묘사된 모든 것은 허구이다"라는 공식 성명을 발표했으며[222][223], 일본의 나카이 토시미는 『「다빈치 코드」는 왜 문제인가?』(그래프사, 2006년)라는 책을 출판하여 소설의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했다[224].
한편, 오푸스 데이 창설자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신부의 일대기와 오푸스 데이 창설 과정을 그린 영화 《데어 비 드래곤스》(There Be Dragons, 2011년)도 있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스페인 내전 발발 직전, 신학교 동기이자 절친한 친구였던 호세 마리아(찰리 콕스 분)와 마놀로(웨스 벤틀리 분)의 이야기를 다룬다. 당시 스페인은 성상파괴운동이 벌어지고 사제들이 공격받는 등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격변의 시대에 호세 마리아는 로마 가톨릭교회 평신도들의 영성 생활을 돕기 위한 조직인 오푸스 데이를 창설한다. 반면 마놀로는 사제의 길을 포기하고 프랑코 정권의 스파이가 되어 인민전선에 잠입, 내부 정보를 누설하여 인민전선의 괴멸에 기여하고 호세 마리아 신부의 스페인 탈출을 돕는 등 복잡한 행보를 보인다. 마놀로는 인민전선 내 여전사 일디코를 짝사랑하지만, 그녀에게 스파이 누명을 씌워 처형당하게 하고 그녀의 아이를 키우다 죽기 전 아들에게 죄를 고백한다.
6. 자산 규모와 영향력
지금까지 알려진 오푸스 데이의 자산 규모는 전 세계적으로 약 28억달러, 미국 내에서는 약 3.4억달러 정도로 추정된다. 이는 듀크 대학교의 연간 기부금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일각의 소문처럼 교황청의 재정 위기를 해결할 정도의 규모는 아니다. 오푸스 데이는 공식적으로 15개의 대학교, 11개의 경영대학원, 36곳의 초·중등학교, 7곳의 병원을 협력 기관으로 두고 있다고 밝히고 있으나, 이들 기관을 오푸스 데이가 직접적으로 지배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2년 7월 22일,[44][45]교황 프란치스코는 사도적 서한의 형태로 교황 자의 교서 Ad charisma tuendumla를 발표했는데, 이는 "카리스마", 즉 원래의 창립 정신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교회의 진정으로 카리스마적인 영역에서 오푸스 데이의 자치권을 확인하고, 창립자의 증언에 따라 그 조직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이다.[43] 무엇보다도, 이 새로운 규정은 오푸스 데이의 수장이 더 이상 주교가 될 수 없도록 규정했지만, "그 직무로 인해, 명예 몬시뇰이라는 칭호와 함께 명예 사도 원장이라는 칭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칭호에 해당하는 문장을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43] 또한 개인 자치구 오푸스 데이에 대한 책임을 주교성에서 성직자성으로 이전하여[44][45] 사도적 헌장 복음을 선포하십시오에 따르도록 하고, 이러한 개혁에 따라 개인 자치구의 정관을 개정하도록 명령했다. 이 개혁은 2022년 8월 4일에 발효되었으며,[45][46][43] 교황 프란치스코는 이러한 조치가 오푸스 데이의 교회법 학자들과 협의하여 수행되었으며 오푸스 데이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정적인 의미는 없다고 설명했다.[47] 2023년 8월 8일, 교황 프란치스코는 오푸스 데이와 같은 개인 자치구가 생 마르탱 공동체와 마리아의 가족과 같은 "교황청 법상 공적 성직자 단체와 유사하다"고 명시하는 새로운 교황 자의 교서를 발표했다.[48]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49]
참조
[1]
서적
Opus Dei: Life and Work of Its Founder, Josemaria Escriva
http://www.ewtn.com/[...]
Scepter Publishers, Inc.
2008-03-29
[2]
웹사이트
Upon whom does the prelate of Opus Dei depend? Who appoints him?
https://opusdei.org/[...] [3]
뉴스
Decoding secret world of Opus Dei
http://news.bbc.co.u[...]
2006-11-27
[4]
뉴스
Bishop confirms connection to group
2005-10-19
[5]
웹사이트
Opus Dei to produce Italian cartoon and mini-series on St. Josemaria Escriva
https://www.catholic[...]
2016-12-11
[6]
웹사이트
Opus Dei
http://www.bbc.co.uk[...]
2006-11-27
[7]
웹사이트
'Da Vinci Code' mania opened up Opus Dei
http://www.abqtrib.c[...]
2007-04-02
[8]
웹사이트
Opus Dei
http://www.josemaria[...]
2006-11-27
[9]
뉴스
Vatican proves the power of Opus Dei Founder
https://www.telegrap[...]
2002-10-05
[10]
웹사이트
Pope Benedict XVI on St. Josemaría Escrivá
http://www.opusdei.o[...]
Opus Dei
2006-11-27
[11]
웹사이트
The Founding of Opus Dei
https://opusdei.org/[...]
Opus Dei
2024-10-17
[12]
웹사이트
The Founding of Opus Dei
http://www.josemaria[...]
2006-11-27
[13]
웹사이트
'Conversations' 60
http://www.escrivawo[...]
2006-05-16
[14]
웹사이트
Historical Overview
http://www.josemaria[...]
2006-11-27
[15]
웹사이트
The Way
http://www.escrivawo[...]
2006-11-27
[16]
웹사이트
''Conversations'' 33
http://www.escrivawo[...]
2007-05-30
[17]
웹사이트
Deciphering the Da Vinci Code
http://www.philipcop[...]
2006-11-27
[18]
간행물
Opus Dei in Spain
https://www.jstor.or[...] [19]
웹사이트
Opus Dei
http://uk.encarta.ms[...]
2006-11-27
[20]
웹사이트
Blessed Josemaría Escrivá to be canonised
http://www.opusdei.u[...]
Opus Dei
2006-11-27
[21]
웹사이트
300,000 pilgrims turn out for canonisation of Opus Dei founder
http://www.natcath.o[...]
2006-11-27
[22]
웹사이트
The Process of Canonization
http://www.josemaria[...]
2006-11-27
[23]
웹사이트
Dr. Ernesto Cofiño
https://www.position[...]
2021-07-27
[24]
웹사이트
Montse Grases, a typical girl
http://www.synod.va/[...]
Synod of Bishops
2021-07-27
[25]
웹사이트
A regular teenager who lived heroic virtue in a simple life: Meet Montse Grases
https://aleteia.org/[...]
2021-07-27
[26]
웹사이트
La storia. Toni Zweifel, ingegneria della santità
https://www.avvenire[...]
2021-07-27
[27]
웹사이트
Diocesan Phase of Toni Zweifel's Beatification Cause Concludes
https://opusdei.org/[...]
Opus Dei
2021-07-27
[28]
웹사이트
Cardinal Rouco opens cause of canonization for Spanish couple
https://www.catholic[...]
2009-03-04
[29]
간행물
"'We find our sanctity in the middle of the world': Father José Luis Múzquiz and the Beginnings of 'Opus Dei' in the United States, 1949–1961"
https://www.jstor.or[...] [30]
웹사이트
Dora del Hoyo's Cause of Canonization Opened in Rome
http://www.opusdei.p[...]
Opus Dei
2016-12-11
[31]
웹사이트
The Church studies the sanctity of Jose Maria Hernandez Garnica
https://en.romana.or[...]
Opus Dei
2021-07-27
[32]
웹사이트
Cardinals Tauran and Herranz installed at their titular churches
http://www.opusdei.o[...]
Opus Dei
2006-11-27
[33]
뉴스
Pope blesses statue of Opus Dei founder
http://www.cathnews.[...]
2007-04-02
[34]
뉴스
What is Opus Dei, and why is it so controversial – both in and out of the Catholic Church?
https://www.abc.net.[...]
2023-05-18
[35]
뉴스
Don Alvaro del Portillo Beatified in Madrid
http://www.zenit.org[...]
2024-10-17
[36]
웹사이트
Letter from the Prelate
http://www.opusdei.o[...]
2014-12-10
[37]
뉴스
Fallece en Roma el prelado del Opus Dei, monseñor Javier Echevarría
http://www.lainforma[...]
2016-12-12
[38]
웹사이트
Monsignor Ocariz confirmed as new prelate of Opus Dei
https://www.catholic[...]
2021-07-27
[39]
웹사이트
Ocáriz elected as fourth prelate of Opus Dei, confirmed by Pope Francis
https://www.thetable[...]
2021-07-27
[40]
웹사이트
Guadalupe Ortiz, the first woman member of Opus Dei to be beatified
https://www.thetable[...]
2021-07-27
[41]
웹사이트
Opus Dei settles sexual misconduct claim against prominent U.S. priest
https://www.ncronlin[...]
2019-01-08
[42]
웹사이트
Opus Dei confirms one of its priests sentenced by Vatican for abuse
https://cruxnow.com/[...]
2020-07-16
[43]
웹사이트
Apostolic Letter issued 'Motu proprio' of the Supreme Pontiff Francis 'Ad charisma tuendum'
https://www.vatican.[...]
Press Office of the Holy See
2022-10-24
[44]
웹사이트
Pope Francis makes changes to Opus Dei in new decree
https://www.catholic[...]
2022-07-22
[45]
웹사이트
Motu Proprio on ''Opus Dei'' to protect charism and promote evangelization
https://www.vaticann[...]
2022-07-22
[46]
웹사이트
Motu Proprio 'Ad charisma tuendum': Questions and Answers
https://opusdei.org/[...]
2022-07-24
[47]
웹사이트
Pope Francis to Spanish Press: 'I'm a Very Close Friend of the Opus Dei, I Love Them a Lot and the Good They Do Is Very Great'
https://zenit.org/20[...]
2022-12-19
[48]
웹사이트
Pope modifies Church law on personal prelatures
https://www.vaticann[...]
2023-08-08
[49]
웹사이트
What has changed in personal prelatures?
https://omnesmag.com[...]
2023-08-08
[50]
웹사이트
The Pope and Opus Dei
http://www.catholici[...]
1995-03
[51]
웹사이트
Opus Dei's focus on secular life
http://www.opusdei.o[...]
2006-11-28
[52]
웹사이트
'Da Vinci' And Opus Dei
http://www.nysun.com[...]
2006-11-27
[53]
bibleverse
Matthew
[54]
bibleverse
Matthew
[55]
bibleverse
Matthew
[56]
서적
Christ is Passing By
[57]
뉴스
A Glimpse Inside a Catholic 'Force': Opus Dei
https://www.npr.org/[...]
NPR
2006-11-27
[58]
웹사이트
Opus Dei called 'complete opposite' of 'The Da Vinci Code' portrayal
http://www.catholic.[...]
2006-11-27
[59]
웹사이트
Decree of Canonization
http://www.voanews.c[...]
2006-11-27
[60]
웹사이트
Chapter 15: "Work"
http://www.escrivawo[...]
2006-11-27
[61]
웹사이트
Josemaria Escrivá: Work and Holiness
http://www.ewtn.com/[...]
2006-11-27
[62]
웹사이트
Opus Dei as a Political Force in Post Cold War Latin America: Civil Society, Associationalism, and Democracy
http://www.paulrich.[...]
2006-11-27
[63]
웹사이트
Interview with Opus Dei National Spokesman
https://abcnews.go.c[...]
2011-01-11
[64]
bibleverse
Genesis
[65]
웹사이트
What is the Attraction of Opus Dei
http://www.escrivawo[...]
2007-07-04
[66]
bibleverse
Mark
[67]
웹사이트
Working for God
http://www.escrivawo[...]
2007-07-04
[68]
웹사이트
Message of Opus Dei
http://www.opusdei.u[...]
2007-03-11
[69]
서적
Opus Dei: An Objective Look Behind the Myths and Reality of the Most Controversial Force in the Catholic Church
https://archive.org/[...]
Doubleday Religion
[70]
웹사이트
The Life of Prayer
https://www.vatican.[...]
2007-08-20
[71]
웹사이트
The Da Vinci Code, the Catholic Church and Opus Dei
http://www.opusdei.u[...]
Opus Dei
2006-11-27
[72]
웹사이트
Opus Dei prelate responds to those who consider group 'secretive'
https://www.catholic[...]
2024-10-17
[73]
웹사이트
Apostolic Constitution ''Ut Sit'', Establishing Opus Dei as the first Personal Prelature of the Catholic Church
http://www.ewtn.com/[...]
2006-11-27
[74]
웹사이트
Place in the Church
http://www.opusdei.u[...]
2006-11-27
[75]
웹사이트
Original Latin version
http://www.opusdei.u[...] [76]
웹사이트
What is Opus Dei – Governance
http://www.opusdei.u[...]
2006-11-28
[77]
웹사이트
Monsignor Ocariz confirmed as new Prelate of Opus Dei
https://www.catholic[...]
2017-01-24
[78]
웹사이트
Opus Dei
http://www.ideasrapi[...]
2006-11-27
[79]
웹사이트
Strathmore University, about us
https://strathmore.e[...] [80]
Youtube
https://www.youtube.[...] [81]
웹사이트
Opus Dei: Its Mission, Structure and Members
http://www.zenit.org[...]
2006-11-27
[82]
웹사이트
This is the process for Opus Dei's election of a new prelate
https://www.catholic[...] [83]
서적
Opus Dei, Leadership and Vision in Today's Catholic Church
https://archive.org/[...]
Regnery Publishing
[84]
웹사이트
Statutes of Opus Dei
http://opusdei.us/en[...] [85]
문서
Statutes of Opus Dei 2.7
[86]
뉴스
Catholics scrutinise enigmatic Opus Dei
https://www.chicagot[...]
2003-12-07
[87]
웹사이트
Letter from the Prelate (28 October 2020)
https://opusdei.org/[...] [88]
문서
Statutes of Opus Dei 2.9
[89]
서적
Opus Dei und Scientology: Die staats- und gesellschaftspolitischen Vorstellungen. Kollision oder Übereinstimmung mit dem Grundgesetz?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24-08-28
[90]
웹사이트
Christians in the Middle of the World
http://www.opusdei.o[...] [91]
웹사이트
Conservative Catholic Influence in Europe
http://www.populatio[...]
2006-11-27
[92]
문서
Statutes of Opus Dei 2.8
[93]
문서
J. Allen, Opus Dei, Ch. 3
[94]
웹사이트
Opus Dei in the United States
http://www.americama[...]
2006-11-27
[95]
문서
Statutes of Opus Dei Chapter 2, Paragraph 9
[96]
문서
Statutes of Opus Dei 2.10
[97]
서적
Opus Dei in the Church
Scepter
[98]
웹사이트
Joining Opus Dei
https://opusdei.org/[...] [99]
간행물
The Ways of Opus Dei
http://www.time.com/[...]
2007-03-24
[100]
웹사이트
Catechetical Trips
http://www.josemaria[...]
2006-11-27
[101]
웹사이트
Opus Dei Celebrates 25th Anniversary of Status: Church Leaders Reflect on 1st Personal Prelature
http://www.zenit.org[...]
2008-03-20
[102]
웹사이트
St. Liguori et Als on vocation and Opus Dei
http://lukeraid.trip[...]
2006-11-27
[103]
웹사이트
The Example of the Early Christians in Blessed Josemaria's Teachings
http://en.romana.org[...]
2006-11-27
[104]
웹사이트
Opus Dei Corporate Works
http://opusdeisites.[...]
2006-11-27
[105]
웹사이트
Top of the Class
http://mba.eiu.com/i[...]
2007-07-05
[106]
웹사이트
Opus Dei has stake in new pope
https://web.archive.[...]
2006-11-27
[107]
서적
The Founder of Opus Dei: The life of Josemaría Escrivá
New York
[108]
간행물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s in Sydney: Warrane College and the student protests of 1970
http://warrane.unsw.[...]
Studia et Documenta
2010
[109]
웹사이트
24 February 1947 – Granting of the 'decretum laudis'
http://opusdeitoday.[...]
2016-12-11
[110]
웹사이트
Papal statements on Opus Dei
http://www.opusdei.u[...]
Opus Dei
2006-11-27
[111]
웹사이트
The Ethics of Opus Dei
https://web.archive.[...]
2006-11-27
[112]
간행물
Opus Dei Over Time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Cultic Studies Association
2015-01-01
[113]
웹사이트
Seeking God Through Everyday Work: A profile of the Founder of Opus Dei, Josemaria Escrivá
https://web.archive.[...]
Ohio State University
2007-04-03
[114]
뉴스
You can trust them to sell you a car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5-10-23
[115]
웹사이트
What is Opus Dei, and what role does it play at Franciscan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06-11-27
[116]
웹사이트
Opus Dei: An Open Book
https://archive.toda[...]
2008-04-02
[117]
웹사이트
Opus Dei
http://www.sourcewat[...]
2006-11-27
[118]
웹사이트
Ut Sit
http://www.ewtn.com/[...]
2006-11-27
[119]
웹사이트
St. Josemaría's Canonisation
https://web.archive.[...]
2006-11-27
[120]
웹사이트
Opus Dei's focus on secular life
http://www.opusdei.o[...]
Opus Dei
2006-11-27
[121]
뉴스
Papa Francesco ricorda san Josemaría come 'precursore del Concilio Vaticano II'
http://www.opusdei.i[...]
Opus Dei
2016-12-11
[122]
웹사이트
Let There Be Light: A look inside the hidden world of Opus Dei
https://web.archive.[...]
2006-11-27
[123]
웹사이트
The Personal Prelature: a Framework which Enriches the Communion of the Church
http://www.opusdei.u[...]
Opus Dei
2007-02-17
[124]
웹사이트
Opus Dei Opens its Doors to Everyone: Interview With the Vicar General of the Personal Prelature
https://web.archive.[...]
2008-04-02
[125]
뉴스
Interview with Vicar General of Opus Dei
http://opusdei.org.a[...]
2016-12-11
[126]
웹사이트
The Pope and the Poor
http://www.catholicw[...]
2016-12-11
[127]
웹사이트
Pope Francis to Spanish Press: 'I'm a Very Close Friend of the Opus Dei, I Love Them a Lot and the Good They Do Is Very Great'
https://zenit.org/20[...]
2022-12-19
[128]
웹사이트
Australian cardinal faces the Vatican's law of the jungle
https://web.archive.[...]
2014-09-27
[129]
웹사이트
Presentar a la Iglesia como grupos separados sería propio de una óptica carente de fe
http://www.opusdei.e[...]
2016-12-11
[130]
웹사이트
Javier Echevarría: 'El Papa Francisco sentirá la fuerza y la compañía espiritual de Benedicto XVI'
http://www.es.josema[...]
2013-05-04
[131]
웹사이트
La autenticidad del Papa Francisco nos ha cautivado
http://www.opusdei.o[...]
Opus Dei
2013-05-03
[132]
웹사이트
Who Stood For and Against Hitler?
http://www.americanc[...]
2006-11-27
[133]
뉴스
The truth about Opus Dei
https://www.theguard[...]
2010-05-30
[134]
서적
Opus Dei: An Investigation into the Powerful Secretive Society within the Catholic Church.
Harper San Francisco
[135]
서적
Opus Dei: The Truth Behind the Myth
Hermes House
[136]
뉴스
A wholesome reality shines beyond the dark conspiracy
https://www.thetimes[...]
2005-10-08
[137]
웹사이트
Entretien avec l'auteur de L'Opus Dei – Enquête sur le 'monstre'
https://web.archive.[...]
2007-06-20
[138]
서적
The Da Vinci Hoax: Exposing the Errors in The Da Vinci Code
Ignatius Press
2004-01
[139]
뉴스
THE LAST WORD; The Da Vinci Con
https://query.nytime[...]
2009-02-03
[140]
웹사이트
Dechristianizing America
http://www.firstthin[...]
2006-06
[141]
서적
The Truth Behind the Da Vinci Code: A Challenging Response to the Bestselling Novel
https://archive.org/[...]
Harvest House
[142]
뉴스
Beyond the Threshold
https://archive.nyti[...]
2018-03-30
[143]
서적
The triumph of democracy in Spain
Methuen
1986
[144]
서적
Secret societies
Chartwell
2005
[145]
서적
Geheimbünde Freimaurer und Illuminaten, Opus Dei und Schwarze Hand
Rowohlt Taschenbuch
2015
[146]
서적
Die Geheimnisse des Vatikan: Eine andere Geschichte der Papststadt
C. H. Beck
2012
[147]
서적
Beyond the Threshold: A Life in Opus Dei
https://archive.org/[...]
Continuum
[148]
뉴스
Opus Dei's influence promotes a sainthood
2002-10-06
[149]
간행물
Opus Dei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americam[...]
2017-12-22
[150]
웹사이트
Opus Dei members: 'Da Vinci' distorted
http://www.religionn[...]
2006-11-27
[151]
웹사이트
Opening the doors of Opus Dei: Part 2
https://www.thecrims[...]
2020-04-17
[152]
웹사이트
Het Belgische sektenrapport
https://skepsis.nl/s[...]
2024-08-28
[153]
뉴스
La mediación del Vaticano en favor de Pinochet se gestó en la sede del Opus dei en Roma
https://elpais.com/d[...]
2018-12-31
[154]
뉴스
El Opus Dei y su 'opción preferencial por los ricos' al servicio de la economía neoliberal en Chile
http://www.elclarin.[...]
2018-12-31
[155]
뉴스
El arzobispo Cipriani, 'teólogo de Fujimori'
https://elpais.com/d[...]
2018-12-31
[156]
서적
Opus Dei, The Truth about its Rituals, Secrets and Power
Penguin
[157]
웹사이트
Rocky Road to Sainthood for a 'Choleric' Cleric
http://www.iht.com/a[...]
2006-11-28
[158]
뉴스
Catholics scrutinize enigmatic, strict Opus Dei
2003-12-06
[159]
뉴스
A creepy scrape with the Da Vinci Code set
https://www.telegrap[...]
2005-01-18
[160]
간행물
Opus Dei Prepares to Stand By Its Man
1992-01-13
[161]
서적
Their Kingdom Come: Inside the Secret World of Opus Dei
Thomas Dunne
[162]
뉴스
The Way of the Faithful
https://www.washingt[...]
1997-08-10
[163]
웹사이트
A Primer on Opus Dei in Latin America
http://www.catholics[...]
Catholics for Choice
2012-10-23
[164]
뉴스
Culpan a Opus Dei por golpe en Honduras
http://www.elunivers[...]
2012-10-23
[165]
뉴스
Spain's stolen babies and the families who lived a lie
https://www.bbc.co.u[...]
2011-10-18
[166]
웹사이트
On the trail of Spain's stolen children
https://english.elpa[...]
2021-06-16
[167]
뉴스
Vatikan intern: Der Aufstieg der Santa Mafia
https://www.spiegel.[...]
2005-04-07
[168]
웹사이트
The Opus Dei diaries
https://www.ft.com/c[...]
2024-03-17
[169]
웹사이트
Unveiling Opus Dei: Interview with John L. Allen
http://oldarchive.go[...]
2008-02-23
[170]
웹사이트
Interview with John Allen
https://www.pbs.org/[...]
2006-11-27
[171]
웹사이트
Profiles: John Allen
http://www.theameric[...]
2006-11-27
[172]
서적
Franco. A Biography
HarperCollins
[173]
서적
Franco: A Biographical History
Little, Brown and Company
[174]
논문
The Opus Dei Ethic, the Technocrats and the Modernization of Spain
http://berkleycenter[...]
1983-02-01
[175]
서적
Immersed in God: Blessed Josemaria Escrivá, Founder of Opus Dei As Seen by His Successor, Bishop Álvaro del Portillo
Scepter
[176]
웹사이트
El hombre de Villa Tevere
http://www.pontealdi[...]
2007-01-28
[177]
서적
En las afueras de Jericó: recuerdos de los años con san Josemaría y Juan Pablo II
Rialp
[178]
뉴스
Opus Dei welcomes left-wingers, too
https://www.catholic[...]
2022-06-19
[179]
뉴스
The Business of Opus Dei
http://www.thestanda[...]
Bloomberg L.P.
2007-12-02
[180]
웹사이트
Are there sects in the Catholic Church?
http://www.ewtn.com/[...]
2006-11-27
[181]
뉴스
Tall tale ignites an overdue debate
https://www.smh.com.[...]
2007-04-04
[182]
뉴스
El análisis del ADN de 81 casos descarta que fueran bebés robados
https://elpais.com/e[...]
2018-10-20
[183]
웹사이트
El Supremo no considera probado el primer caso que analiza de bebés robados
https://elpais.com/s[...]
2020-06-11
[184]
뉴스
La burbuja de los bebés robados
https://elpais.com/c[...]
2012-12-02
[185]
서적
Many Globalizations: Cultural Diversity in the Contemporary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86]
웹사이트
Pastoral Constitution on the Church in the Modern Word-Gaudium et Spes
https://www.vatican.[...]
Holy See
[187]
URL
https://opusdei.org/[...] [188]
서적
Opus Dei
https://www.penguin.[...]
Penguin
2006-05-04
[189]
URL
https://ericsammons.[...] [190]
서적
Holiness for Everyone
https://ericsammons.[...]
Sophia Institute Press
2022-11-22
[191]
문서
"なお、「'''オプスデイ'''」([[ナカグロ]]なし)と表記されることもあるが、日本語の正式名称は「'''オプス・デイ'''」(中黒あり)である。"
[192]
URL
ホセマリア・エスクリバーのプロフィール(バチカンHP、英語)
http://www.vatican.v[...] [193]
웹사이트
Centro Internazionale Cavabianca
https://opusdei.org/[...]
2023-10-07
[194]
웹사이트
Nuova sede del Collegio Romano di Santa Maria
https://romana.org/i[...]
2022-10-07
[195]
웹사이트
Datos informativos sobre la Prelatura de Opus Dei
https://odnmedia.s3.[...]
2020-07-20
[196]
뉴스
オプス・デイ来日50年
https://opusdei.org/[...]
2018-11-13
[197]
URL
Opus Dei よくある質問
http://www.opusdei.j[...] [198]
URL
http://opusdei.org/j[...] [199]
뉴스
愛すべき天地―この世を熱烈に愛する
http://opusdei.org/j[...]
2018-04-06
[200]
뉴스
属人区長の手紙(2018年1月9日)
http://opusdei.org/j[...]
2018-04-21
[201]
웹사이트
The Canonical Configuration of Opus Dei as Foreseen by St. Josemaría {{!}} Prelaturas, Ordinariatos y otras circunscripciones personales
http://prelaturasper[...]
2020-09-23
[202]
문서
スペイン語でprelatura personal、英語ではpersonal prelature。
[203]
문서
ほかには軍属区という区分もある。
[204]
웹사이트
Anglicanorum coetibus Providing for Personal Ordinariates for Anglicans Entering into Full Communion with the Catholic Church (November 4, 2009) {{!}} BENEDICT XVI
http://w2.vatican.va[...]
2018-05-28
[205]
웹사이트
Complementary Norms for the Apostolic Constitution Anglicanorum coetibus
http://www.vatican.v[...]
2018-05-28
[206]
웹사이트
南十字星の聖母の属人区 カンタベリーの聖オーガスチン(日本語)会衆 Personal Ordinariate of Our Lady of the Southern Cross Ordinariate Community of St. Augustine of Canterbury (Japanese speaking) Home Page
http://www.ordinaria[...]
2018-05-28
[207]
뉴스
Ordinariate ordination in Hiroshima, Japan
https://ordinariatee[...]
2018-05-28
[208]
문서
聖職者以外の信者。
[209]
웹사이트
聖十字架司祭協会とは何ですか?
https://opusdei.org/[...]
2021-11-30
[210]
뉴스
Priestly Society of the Holy Cross
http://opusdei.org/e[...]
2018-06-01
[211]
웹사이트
教皇フランシスコ、オプス・デイ属人区長にフェルナンド・オカリス神父を任命
http://www.opusdei.j[...] [212]
웹사이트
http://opusdei.org/e[...] [213]
웹사이트
福者グアダルーペ!
https://opusdei.org/[...]
2019-06-07
[214]
웹사이트
Guadalupe Ortiz, First Lay Person of the Opus Dei Beatified
https://zenit.org/ar[...]
2019-06-07
[215]
웹사이트
モンツェについての資料
https://opusdei.org/[...]
2021-11-30
[216]
웹사이트
Biografia resumida
https://marcelocamar[...]
2021-11-30
[217]
웹사이트
Biografía: Álvarez Ramírez, Arturo
http://enciclopedia.[...]
2021-11-30
[218]
웹사이트
聖ホセマリアの生涯ー6
https://opusdei.org/[...]
2021-04-21
[219]
웹사이트
Guadalupe Ortiz, the first woman member of Opus Dei to be beatified
https://www.thetable[...]
2022-06-05
[220]
웹사이트
Comments by the Popes on Blessed Josemaria and Opus Dei
http://www.vatican.v[...] [221]
웹사이트
http://en.romana.org[...] [222]
웹사이트
ダ・ヴィンチ・コードに対するオプス・デイの見解
http://www7.ocn.ne.j[...]
2006-06-01
[223]
서적
『ダ・ヴィンチ・コード』はなぜ問題なのか?
グラフ社
2006-08-05
[224]
뉴스
『ダヴィンチ・コード』とオプス・デイ
http://opusdei.org/j[...]
2018-04-19
[225]
웹사이트
오푸스 데이 바로 알기 네트워크로 연결하려면 링크를 클릭하시오.
http://www.odan.org/ [226]
문서
[227]
문서
[228]
문서
[229]
문서
[230]
문서
[231]
문서
[232]
문서
[233]
문서
[234]
웹사이트
“웨스트민스터 교구 내 오푸스 데이 활동 지침(The guidelines for Opus Dei within the Diocese of Westminster)”
http://en.wikisource[...]
웨스트민스터 교구장 바실 흄 추기경
2014-07-14
[235]
서적
《오푸스 데이의 비밀 세계(한국어판)》
분도출판사
[236]
문서
[237]
문서
[238]
인용
[239]
문서
[240]
문서
[241]
문서
[24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