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롬바르디아 동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롬바르디아 동맹은 12세기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의 이탈리아 지배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된 도시 동맹이다. 1167년 폰티다에서 결성되었으며, 베로나, 파도바, 비첸차, 베네치아 공화국을 포함하여 여러 도시와 영주들이 참여했다. 동맹은 레냐노 전투에서 황제군을 격파하고 베네치아 조약을 통해 자치권을 확보했으나, 프리드리히 2세와의 갈등으로 재차 대립하다가 1250년 해체되었다. 롬바르디아 동맹은 군사 동맹뿐만 아니라 연합 의회를 갖춘 최초의 연합 체제 중 하나였으며, 규제, 세금, 사법권을 획득하는 등 현대 공화국과 유사한 시스템을 갖추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시동맹 - 슈바벤 동맹
    슈바벤 동맹은 1488년 프리드리히 3세의 요청과 베르톨트의 지지하에 제국 평화 유지, 바이에른 공작 견제, 스위스 연방 방어를 목적으로 설립된 제후 동맹이었으나 종교 개혁으로 쇠퇴하여 1534년 해산되었다.
  • 도시동맹 - 슈바벤 도시동맹
    슈바벤 도시동맹은 1376년 울름을 중심으로 결성된 남부 독일 도시들의 동맹이며, 뷔르템베르크 백작에게 패배한 후 결성되어 황제에 대항하여 승리했으나 1389년 해산되었다.
  • 롬바르디아주의 역사 - 솔페리노 전투
    1859년 솔페리노에서 벌어진 프랑스-사르데냐 연합군과 오스트리아군 간의 대규모 전투는 막대한 사상자를 내고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앙리 뒤낭에게 영향을 주어 국제 적십자 위원회 설립의 계기가 되었다.
  • 롬바르디아주의 역사 - 스페인 제국
    1492년 이베리아 연합 왕국의 성립과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을 계기로 시작된 스페인 제국은 아메리카 대륙과 아시아 지역을 지배하며 번성했으나, 18세기 후반부터 쇠퇴하여 20세기 중반 식민지 독립으로 막을 내렸고, 스페인어와 문화적 유산을 남겼다.
롬바르디아 동맹
개요
명칭롬바르디아 동맹
로마자 표기Lega Lombarda
존속 기간1167년 ~ 1250년
성격
유형반(反) 제국 동맹
목표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 대한 저항
역사
결성 연도1167년
해체 연도1250년
구성
주요 구성원밀라노
피아첸차
크레모나
만토바
브레시아
베르가모
볼로냐
파도바
베로나
비첸차
트레비소
페라라
로디
파르마
모데나
레조에밀리아
노바라
베르첼리
토리노
알레산드리아
코모
제노바
기타 참여 도시다양한 롬바르디아 도시
군사
주요 전투레냐노 전투 (1176년)
정치
지도자렉토레스 롬바르디아 (라틴어: Rectores Lombardiae)
정치적 영향북부 이탈리아 도시들의 자치권 확보
관련 문서
관련 항목롬바르디아 동맹 (정치 단체)

2. 역사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1158년 론칼리아 법령으로 이탈리아에 대한 직접적인 지배권을 주장하며 이탈리아 도시들의 포데스타 행정관들을 자신의 수행원들로 대체하기 시작하자, 1164년 베로나, 비첸차, 파도바, 베네치아 공화국이 베로나 동맹을 조직하였다. 교황 알렉산데르 3세는 이탈리아 내에서 프리드리히 1세의 영향력이 감소하길 바라며 이를 지원했다.[9]

1167년 12월 1일 폰티다에서 결성된 롬바르디아 동맹에는 베로나 동맹에 참가했던 베로나, 파도바, 비첸차, 베네치아 외에도 크레마, 크레모나, 만토바, 피아첸차, 베르가모, 브레시아, 밀라노, 제노바, 볼로냐, 모데나, 레조에밀리아, 트레비소, 베르첼리, 로디, 페라라 같은 도시들과 에첼리노 다 로마노 같은 몇몇 영주들도 포함됐다.

동맹은 황제의 권리(Honor Imperii)에 전적으로 맞섰지만,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분리주의 모습을 보이지는 않았다. 프리드리히 1세는 1162년에 점령하여 파괴했던 밀라노를 비롯한 이 도시 연맹에 맞섰으나, 1176년 5월 29일 레냐노 전투에서 황제군이 패배하였다. 1177년 베네치아 조약으로 1178년 8월부터 1183년까지 6년 간의 강화가 이뤄졌고, 콘스탄츠 조약에서 이탈리아 도시들이 신성 로마 제국에 잔류하기로 동의하고 그 지역들에 대한 사법권과 제왕들의 임직권(droit de régale)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롬바르디아 동맹의 회원국 중 황제의 특혜를 받은 밀라노크레모나 시민들과 분쟁을 일으킨 특별한 지위를 가지기 시작하였다.

1197년 프리드리히의 아들 하인리히 6세의 죽음으로 롬바르디아 동맹은 여러 차례 재조직되었고, 로마왕으로 선출된 하인리히의 막내 아들 프리드리히 2세가 그의 경쟁 상대인 벨프 가문의 오토 4세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제위를 두고 싸워야 했다. 1226년, 프리드리히 2세는 제6차 십자군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이탈리아 내 공작들을 소집하려 했으나, 이는 롬바르디아 동맹의 반발을 샀다.

이탈리아 내에서 힘을 얻고자 하던 프리드리히 2세의 노력은 롬바르디아 동맹 소속 도시들에 의해 좌절되었고, 프리드리히 2세는 동맹을 제국 추방령에 처했다. 1237년 코르테누오바 전투에서 승리하는 등 황제의 조치들은 그에게 능수능란한 전략가라는 평판을 얻게 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밀라노의 모든 평화 제의를 거절하고 무조건 항복만을 요구하며 자신의 힘을 잘못 판단했다. 밀라노와 다른 다섯 도시는 그의 공격에 함께 맞섰고, 1238년 10월 그는 브레시아 공성전을 실패하고 만다.

교황 그레고리오 9세의 지원을 받은[10] 롬바르디아 동맹은 황제의 노력에 효과적으로 맞섰다. 1248년 파르마 공성전 동안 황제군의 야영지가 기습당해 점령당했고, 뒤이은 전투에서 황제군은 퇴각했다. 프리드리히 2세는 교황과 이탈리아 도시들에 맞선 분쟁을 지속할 희망을 상실했다. 롬바르디아 동맹은 1250년 프리드리히 2세가 사망하면서 해체되었다. 이후 그의 후임자들은 이탈리아 정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코르테누오바 전투 (1237)를 묘사한 중세 미니어처

2. 1. 배경: 프리드리히 1세의 이탈리아 정책

호엔슈타우펜 왕조 출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붉은 수염왕, 바르바로사. 재위: 1152년 - 1190년)는 이탈리아 정책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154년 첫 이탈리아 원정을 실시하여 1155년 교황 하드리아노 4세로부터 황제 대관을 받았으나, 이탈리아 지배를 둘러싸고 교황과 대립, 1158년부터 4차례에 걸쳐 이탈리아 원정을 반복했다.

1158년, 프리드리히 1세는 피아첸차 근교 론칼리아에서 제국 의회(론칼리아 제국 의회)를 열어 북이탈리아에 대한 직접 지배를 선언하고, 각 도시가 임명한 포데스타를 폐지하고 자신의 대리인으로 교체하려 했다. 이에 반발하여 1164년 베로나, 파도바, 비첸차, 베네치아 공화국은 베로나 동맹을 결성했다.

롬바르디아 동맹은 베로나 동맹을 계승하는 형태로, 교황 알렉산데르 3세(재위: 1159년 - 1181년)의 후원을 받아 결성되었다. 교황은 이탈리아 내에서 황제의 세력이 약화되기를 바랐다.[7]

2. 2. 폰티다 선서와 롬바르디아 동맹 결성 (1167년)

1167년 12월 1일, 폰티다(현재는 베르가모현 소속)에 있는 폰티다 수도원Abbazia di Pontidait에서 "폰티다의 맹세"Giuramento di Pontidait가 행해져 롬바르디아 동맹이 결성되었다.[9] 이때 참가한 도시는 베로나 동맹 가맹 도시(베로나, 파도바, 비첸차, 베네치아 공화국) 외에 크레마, 크레모나, 만토바, 피아첸차, 베르가모, 브레시아, 밀라노, 제노바, 볼로냐, 모데나, 레조에밀리아, 트레비소, 베르첼리, 로디, 파르마, 페라라였다. 동맹에는 오비초 말라스피나Obizzo Malaspinait 후작이나 트레비소 변경백 에첼리노 3세 다 로마노Ezzelino III da Romanoit 등의 제후도 참가했다. 교황 알렉산데르 3세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의 영향력이 감소하길 바라며 롬바르디아 동맹을 지원했다.

동맹은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의 분리 독립을 요구한 것은 아니었지만, 황제의 권력 (Honor Imperii)에 공개적으로 도전했다.

2. 3. 레냐노 전투 (1176년)와 베네치아 조약 (1177년)

1176년 5월 29일 레냐노 전투에서 프리드리히 1세의 군대는 패배했다. 1177년 베네치아 조약으로 1178년 8월부터 1183년 콘스탄츠 평화 조약까지 6년간의 휴전이 성립되었다. 콘스탄츠 평화 조약에서 이탈리아 도시들은 신성 로마 제국에 충성을 유지하되, 지역 관할권과 영토에 대한 droit de régale프랑스어 (제왕들의 임직권)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동맹 회원 중 황제의 호의를 받던 밀라노는 특별한 지위를 얻었고, 이는 크레모나 시민들과의 갈등을 야기했다.[9]

아모스 카시올리 (1832–1891)의 레냐노 전투에서 카로치오의 방어

2. 4. 콘스탄츠 조약 (1183년)

1177년 베네치아 조약 이후 1183년 콘스탄츠 조약이 체결되면서, 이탈리아 도시들은 신성 로마 제국에 충성을 유지하는 대신, 해당 지역에 대한 사법권과 제왕들의 임직권(droit de régale)을 인정받았다.[9] 이 조약으로 롬바르디아 동맹 회원국 중 밀라노가 황제의 특혜를 받아 특별한 지위를 얻게 되었고, 이는 크레모나 시민들과의 갈등을 유발했다.

2. 5. 롬바르디아 동맹의 재건과 프리드리히 2세와의 대립

1197년 하인리히 6세의 죽음으로 롬바르디아 동맹은 다시 조직되었고, 로마왕으로 선출된 하인리히의 막내 아들 프리드리히 2세는 벨프 가문의 오토 4세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제위를 두고 다투어야 했다. 1226년, 프리드리히 2세는 제6차 십자군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이탈리아 내 공작들을 소집하려 했으나, 이는 롬바르디아 동맹의 반발을 샀다.

이탈리아 내에서 힘을 얻고자 하던 프리드리히 2세의 노력은 롬바르디아 동맹 소속 도시들에 의해 좌절되었고, 프리드리히 2세는 동맹을 제국 추방령에 처했다. 1237년 코르테누오바 전투에서 승리하는 등 황제의 조치들은 그에게 능수능란한 전략가라는 평판을 얻게 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밀라노의 모든 평화 제의를 거절하고 무조건 항복만을 요구하며 자신의 힘을 잘못 판단했다. 밀라노와 다른 다섯 도시는 그의 공격에 함께 맞섰고, 1238년 10월 그는 브레시아 공성전을 실패하고 만다.

교황 그레고리오 9세의 지원을 받은[5] 롬바르디아 동맹은 황제의 노력에 효과적으로 맞섰다. 1248년 파르마 공성전 동안 황제군의 야영지가 기습당해 점령당했고, 뒤이은 전투에서 황제군은 퇴각했다. 프리드리히 2세는 교황과 이탈리아 도시들에 맞선 분쟁을 지속할 희망을 상실했다. 롬바르디아 동맹은 프리드리히 2세가 사망한 1250년에 해체되었다. 이후 그의 후임자들은 이탈리아 정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2. 6. 코르테누오바 전투 (1237년)와 브레시아 공방전 (1238년)

프리드리히 2세는 제6차 십자군을 준비하기 위해 이탈리아 제후들을 소집하려 했으나, 롬바르디아 동맹의 반발에 부딪혔다. 이탈리아에서 더 큰 권력을 얻으려던 프리드리히 2세는 롬바르디아 동맹에 제국 아흐트형을 선고했다. 그는 비첸차를 점령하고 1237년 코르테누오바 전투에서 승리하여 전략가로서 명성을 얻었다.[7]

그러나 프리드리히 2세는 밀라노의 평화 제의를 거부하고 무조건 항복만을 요구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밀라노는 다른 5개 도시와 연합하여 끈질기게 저항했고, 결국 1238년 10월 프리드리히 2세는 브레시아 공략을 포기하고 철수해야 했다.

이후에도 롬바르디아 동맹은 그레고리오 9세의 지지를 받으며 프리드리히 2세에 대항했다.

2. 7. 파르마 전투 (1248년)와 프리드리히 2세의 죽음 (1250년)

1248년 파르마 전투에서 황제군이 기습을 받아 점령당하고, 뒤이은 전투에서 패배했다. 프리드리히 2세는 교황과 이탈리아 도시들에 맞서 싸움을 계속할 희망을 잃었다.[10] 롬바르디아 동맹은 1250년 프리드리히 2세가 사망하면서 해체되었다. 이후 그의 후임자들은 이탈리아 정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3. 정치

롬바르디아 동맹은 군사 동맹이자 코뮌 세계 최초의 연합 체제 중 하나였다. 동맹은 각 자치시에서 임명된 대표들로 구성된 Universitas|우니베르시타스la라는 별도의 의회를 두었다. 이 의회는 새로운 회원 가입, 황제와의 전쟁 및 평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수결로 의사를 결정했으며, 그 권한은 점차 확대되었다.[6] 우니베르시타스는 규제, 세금, 사법권을 행사하며 현대 공화국과 유사한 체계를 갖추었다.[6]

초기에는 코뮌들이 연합 문제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고 우니베르시타스 구성원들은 독립적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두 번째 시기에는 자치시들의 영향력이 커졌지만, 동시에 구성원들이 시 의회 정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롬바르디아 동맹은 관세 동맹을 맺어 관세를 철폐하기도 했다.[6]

3. 1. 연합 의회 (Universitas)

군사 동맹 외에도 롬바르디아 동맹은 코뮌 세계에서 최초의 연합 체제 사례 중 하나였다. 실제로 동맹은 개별 자치 시에서 임명된 대표들로 구성된 Universitas|우니베르시타스la라고 불리는 회원들의 별도 의회를 가지고 있었으며, 새로운 회원 가입, 황제와의 전쟁과 평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수결로 투표했다. 이러한 권한은 해가 갈수록 더욱 커졌다.[6] 우니베르시타스는 규제, 세금 및 사법권을 획득했는데, 이는 현대 공화국과 유사한 시스템이다.[6]

동맹의 첫 번째 기간 동안 코뮌은 연합 문제와 거의 관련이 없었고, 우니베르시타스 구성원들은 독립적이었다. 두 번째 기간에는 자치 시가 어느 정도 영향력을 얻었지만, 그 균형추로서 구성원들은 시 의회 정책에 더 많이 참여하게 되었다. 또한 동맹은 관세 동맹을 창설하여 관세를 폐지했다.[6]

3. 2. 회원 도시 간의 관계

초기에는 코뮌이 연합 문제에 거의 관여하지 않고 우니베르시타스(Universitas)의 구성원들은 독립적이었다. 두 번째 기간에는 자치 시가 어느 정도 영향력을 얻었지만, 그 균형추로서 구성원들은 시 의회 정책에 더 많이 참여하게 되었다. 또한 동맹은 관세 동맹을 창설하여 관세를 폐지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Lombard League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02-12
[2] 웹사이트 Lega Lombarda http://www.treccani.[...] Treccani 2023-08-31
[3] 서적 The Pap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Legnano e la battaglia Edizioni Landoni
[5] 서적 Henry III of England and the Staufen Empire, 1216–1272 Boydell & Brewer
[6] 웹사이트 Lega Lombarda http://www.treccani.[...]
[7] 서적 The Pap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웹인용 Lombard League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02-12
[9] 서적 The Pap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Henry III of England and the Staufen Empire, 1216-1272 Boydell & Brew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