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24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48년은 무신년으로, 남송, 고려, 몽골 제국 등 여러 국가에서 연호와 기년으로 사용되었다. 주요 사건으로는 쾰른 대성당의 화재와 재건 시작, 몽골 제국 구유크 칸의 사망, 십자군 6차 원정의 실패 등이 있다. 또한 프랑스 루이 9세가 이끄는 십자군이 키프로스에 집결하여 이집트 원정을 준비했으며, 신성 로마 제국과 롬바르드 동맹 간의 전투, 세비야 탈환 등의 유럽 내 사건도 발생했다. 생트샤펠 예배당 봉헌, 쾰른 대성당 초석 놓기 등 종교적인 사건도 있었으며, 여러 인물의 탄생과 사망이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248년
지도 정보
연도 정보
해당 연도1248년
세기13세기
십년대1240년대
주요 사건
정치제6차 십자군 원정 종료
문화쾰른 대성당 건축 시작

2. 연호

3. 기년

간지무신
일본
중국
중국 주변
조선
베트남
불멸기원1790년 - 1791년
이슬람력645년 - 646년
유대력5008년 - 5009년


4. 사건


  • 십자군의 6차 원정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이집트 공격에 실패했다.
  • 4월 26일 - 프랑스 파리에서 고딕 양식 예배당인 생트샤펠이 완공 및 봉헌되었고, 루이 9세는 참십자가와 성창 유물을 예배당으로 옮기는 성대한 의식을 거행했다.
  • 4월 30일 - 쾰른 대성당(구 대성당)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 8월 15일 - 쾰른 대성당의 구 대성당이 화재로 소실된 후, 대주교 콘라트 폰 호흐슈타텐이 새 대성당의 초석을 놓았다 (건설은 1880년에 완료됨).
  • 몽골 제국의 제3대 황제 구유크가 붕어했다(바투에 의한 암살설도 있음). 이로 인해 몽골 제국의 황제가 부재하게 되었다.
  •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남부 달마티아의 크로아티아인들에게 로마 전례에서 그들 자신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였다 (글라골 문자 참조).
  • 11월 23일 - 세비야 공방전: 페르난도 3세 국왕이 이끄는 카스티야 군대가 16개월간의 공방전 끝에 알모하드 왕조로부터 세비야를 탈환했다.
  • 11월 24일~11월 25일 - 밤중에 몽그라니에르 산 북쪽 사면의 대규모 암석붕괴가 발생했다. 이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암석사면 붕괴 중 하나이다.[7]
  • 12월 – 아카이아 공국의 라틴 통치자 빌르아르두앵의 윌리엄이 펠로폰네소스반도에 남아 있던 마지막 비잔티움 제국의 전초기지인 모넴바시아를 함락시켰다.
  • 12월 – 페르난도 3세가 세비야에서 알모하드 왕조를 추방하는 칙령을 발표했다. 많은 무슬림들이 북아프리카로 항해하고 다른 이들은 알 안달루스그라나다로 이동했다.
  • 2월 18일 - 파르마 전투: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이끄는 제국군(약 6,000명)이 파르마에서 롬바르드 동맹에게 패했다.
  • 8월 25일 - 네덜란드 도시 옴멘이 지역 귀족의 약탈 이후 유트레흐트 대주교 오토 3세로부터 도시 권리와 방어 시설 건설 권리를 부여받았다.

4. 1. 십자군 원정


  • 8월 12일 – 프랑스루이 9세는 왕비 프로방스의 마르그리트와 그녀의 여동생 프로방스의 베아트리체와 함께 파리를 떠났다. 루이의 두 형제인 앙주의 샤를과 아르투아의 로베르도 함께했다. 그의 사촌인 부르고뉴의 위그 4세와 브르타뉴의 피에르 1세(모클레르)도 따라갔는데, 둘 다 바론십자군에 참전한 베테랑이다.[1]
  • 8월 25일 – 루이 9세는 100척의 배에 실린 프랑스 원정군(약 1만 명)을 이끌고 에그모르트마르세유를 떠났다. 잉글랜드의 윌리엄 롱에스페(소) (잉글랜드의 헨리 3세의 손자)와 그의 정부 이다 드 토스니가 이끄는 영국 분견대(약 5,000명)가 36척의 수송선을 이끌고 바로 뒤따랐다.[2]
  • 9월 17일 – 루이 9세키프로스 섬의 리마솔에 도착했다. 그는 군대를 집결시키고 헨리 1세(비만왕)로부터 환대를 받았다. 십자군은 아크레의 귀족들, 장 드 로네와 기욤 드 소낙 대장을 포함하여 보충되었다. 루이는 이집트를 주요 목표로 하는 작전 계획을 세웠다.[3]
  • 12월 – 루이 9세키프로스 체류 중에 이란(페르시아)의 총독인 몽골 장군 엘지기데이로부터 사절단을 받았다. 그들은 (사절단이 키프로스에 도착했을 무렵 사망한) 괴욱 칸의 편지를 가져왔는데, 그 편지에는 복종을 요구하는 내용은 없고 몽골의 기독교에 대한 호의와 아이유브 왕조의 시리아 세력에 대한 공동 침공 제안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었다.[4] [5]
  • 12월 – 루이 9세는 이집트 원정을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해 키프로스에서 겨울을 보내기로 결정했다. 한편, 귀족들은 그에게 아이유브 왕조 내부 문제에 개입하기 위해 술탄 아스살리흐 아이유브와 협상을 시작하도록 설득했지만, 루이는 이 제안을 거부하고 템플 기사단에게 아스살리흐와의 협상을 중단하라고 명령했다.[6]

4. 2. 유럽


  • 2월 18일 – 파르마 전투: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이끄는 제국군(약 6,000명)이 파르마에서 롬바르드 동맹에게 패했다. 프리드리히 2세가 타로 계곡(Val di Taro)에서 사냥을 하던 중 많은 보물을 잃었다.
  • 11월 23일 – 세비야 공방전: 페르난도 3세 국왕(성왕)이 이끄는 카스티야 군대가 16개월간의 공방전 끝에 알모하드 왕조로부터 세비야를 탈환했다. 알폰소 왕자알리칸테를 점령했다.
  • 11월 24일~25일 – 밤중에 몽그라니에르 산(Mont Granier) 북쪽 사면에서 대규모 암석붕괴가 발생했다. 이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암석사면 붕괴 중 하나이다.[7]
  • 12월 – 아카이아 공국의 라틴 통치자 빌르아르두앵의 윌리엄이 펠로폰네소스반도에 남아 있던 마지막 비잔티움 제국의 전초기지인 모넴바시아를 함락시켰다.
  • 12월 – 페르난도 3세가 세비야에서 알모하드 왕조를 추방하는 칙령을 발표했다. 많은 무슬림들이 북아프리카로 항해하고 다른 이들은 알 안달루스그라나다로 이동했다.

4. 3. 기타 지역


  • 8월 25일 - 네덜란드 도시 옴멘이 지역 귀족의 약탈 이후 유트레흐트 대주교 오토 3세로부터 도시 권리와 방어 시설 건설 권리를 부여받았다.[2]
  • 4월 30일 - 쾰른 대성당(구 대성당)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같은 해에 새로운 대성당(현재의 대성당) 건설이 시작되었다.
  • 8월 15일 - 현재의 쾰른 대성당 건설이 시작되었다.
  • 2월 18일 – 파르마 전투: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 지휘하의 제국군(약 6,000명)이 파르마에서 롬바르드 동맹에게 패배했다. 프리드리히 2세가 타로 계곡(Val di Taro)에서 사냥을 하는 동안 그의 많은 보물이 유실되었다.
  • 11월 23일 – 세비야 공방전: 페르난도 3세 국왕 지휘하의 카스티야 군대가 16개월간의 공방전 끝에 알모하드 왕조로부터 세비야를 탈환했다. 알폰소 왕자는 알리칸테를 점령했다.
  • 11월 24일~25일 – 밤중에 몽그라니에르 산 북쪽 사면의 대규모 암석붕괴가 발생했다. 이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암석사면 붕괴 중 하나이다.[7]
  • 12월 – 아카이아 공국의 라틴 통치자 빌르아르두앵의 윌리엄이 펠로폰네소스반도에 남아 있던 마지막 비잔티움 제국의 전초기지인 모넴바시아를 함락시켰다.
  • 12월 – 페르난도 3세세비야에서 알모하드 왕조를 추방하는 칙령을 발표했다. 많은 무슬림들이 북아프리카로 항해하고 다른 이들은 알안달루스그라나다로 이동했다.
  • 몽골 제국의 제3대 황제 구유크가 붕어했다(바투에 의한 암살설도 있음). 이로 인해 몽골 제국의 황제가 부재하게 되었다.

4. 4. 종교

5. 탄생

5. 1. 실존 인물


  • 7월 21일 – 보고 드 클레어, 잉글랜드의 성직자이자 작가 (사망 1294년)
  • 12월 22일 – 이치조 이에쓰네, 일본 귀족 (사망 1293년)
  • 아부 사이드 파라즈, 안달루시아의 고문관이자 총독 (사망 1320년)
  • 폴리뇨의 안젤라, 이탈리아 수녀, 신비주의자이자 작가 (사망 1309년)
  • 아르투아의 블랑슈, 나바라 왕국의 왕비이자 섭정 (사망 1302년)
  • 고객공 (혹은 방산), 중국 화가 (사망 1310년)
  • 호조 아키토키, 일본의 군 지도자이자 시인 (사망 1301년)
  • 아라곤의 이사벨라, 프랑스 왕비 (사망 1271년)
  • 쿠조 다다노리, 일본 귀족이자 섭정 (사망 1332년)
  • 피에르 장 올리비, 프랑스의 수도사이자 신학자 (사망 1298년)
  • 예셰 린첸, 티베트의 황실 교사 (사망 1294년)
  • 자이나브 빈트 알 카말, 시리아 여성 학자 (사망 1339년)
  • 카를로 2세, 나폴리 왕 (사망 1309년)
  • 로베르 2세, 부르고뉴 공작 (사망 1306년)

6. 사망

6. 1. 실존 인물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2]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3]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4]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5]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6]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7] 논문 Geomorphic impacts of large and rapid mass movements: a review http://geomorphologi[...] 2015-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