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니아 레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마니아 레우는 루마니아의 통화로, "사자"를 의미하는 네덜란드어 "leeuwendaalder"에서 유래되었다. 1867년 복본위제 통화로 처음 도입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화폐 개혁을 거쳐 현재의 레우(RON)가 사용되고 있다. 2005년 화폐 개혁을 통해 10,000 구 레우가 1 신 레우로 재평가되었으며, 현재 1, 5, 10, 20, 50, 100, 200, 500 레우 지폐와 1, 5, 10, 50 바니 주화가 유통되고 있다. 루마니아는 2007년 유럽 연합에 가입하면서 유로화 도입 의무를 지니고 있으며, 유로존 가입 시기는 아직 미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경제 - 라틴 통화 동맹
라틴 통화 동맹은 1865년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스위스가 금과 은의 가치를 고정하여 통화를 상호 교환하기 위해 결성한 통화 동맹으로, 금은 복본위제를 채택했으나 금과 은의 가치 변동 등의 문제로 1927년 공식 해체되었다. - 루마니아의 경제 - 부쿠레슈티 증권거래소
부쿠레슈티 증권거래소는 루마니아의 증권 거래소로, 1882년 개장 후 부침을 겪다 공산 정권 시기 폐쇄되었으나 1995년 재개장하여 RASDAQ 흡수 통합, 자체 시장 상장, AeRO 시장 출범 등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 유럽의 통화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유럽의 통화 - 아이슬란드 크로나
아이슬란드 크로나는 아이슬란드의 공식 통화로, 덴마크 크로네에서 유래되었으며, 독립 후 독자적인 통화 정책을 시행하여 동전 발행, 화폐 개혁, 환율 고정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중앙은행이 관리하며 캐시리스 사회로 전환 중이고, 금융 위기 이후 가치 변동을 겪고 있다. - 통화에 관한 -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사토시 나카모토가 개발한 최초의 탈중앙화 암호화폐로, 중앙 기관 없이 P2P 네트워크에서 블록체인에 기록되며 채굴을 통해 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된 자산이다. - 통화에 관한 - 피지 달러
피지 달러는 피지의 공식 통화로, 과거 피지 파운드를 대체하여 재도입되었으며, 현재 지폐와 동전에는 피지의 동식물이 도안되어 피지의 정체성을 나타낸다.
루마니아 레우 | |
---|---|
루마니아 레우 | |
![]() | |
![]() | |
ISO 코드 | RON |
ISO 코드 (이전) | ROK, ROL |
사용 국가 | 루마니아 |
인플레이션율 | 4.9% |
인플레이션 출처 날짜 | 2024년 2분기 |
보조 단위 비율 | 1/100 |
보조 단위 이름 | 반 |
복수 | 레이 |
보조 단위 복수 | 바니 |
자주 사용되는 동전 | 10 바니, 50 바니 |
드물게 사용되는 동전 | 1 반, 5 바니 |
자주 사용되는 지폐 | 1 레이, 5 레이, 10 레이, 50 레이, 100 레이, 200 레이 |
드물게 사용되는 지폐 | 20 레이, 500 레이 |
지폐 관련 문서 | 루마니아 레우 지폐 |
발행 기관 | 루마니아 국립은행 |
발행 기관 웹사이트 | www.bnr.ro |
인쇄소 | 루마니아 국립은행 |
인쇄소 웹사이트 | www.bnr.ro |
조폐국 | Monetăria Statului |
조폐국 웹사이트 | www.monetariastatului.ro |
발음 | |
루마니아 레우 (일본어) | |
![]() | |
ISO 코드 | RON |
사용 국가 | 루마니아 |
인플레이션율 | 3.8% |
인플레이션 출처 날짜 | 2007년 6월 소비자 물가 지수, 국립 통계 연구소 |
보조 단위 비율 | 1/100 |
보조 단위 이름 | 반 |
기호 | L |
보조 단위 기호 | b |
복수 | 레이 |
보조 단위 복수 | 바니 |
자주 사용되는 동전 | 5바니, 10바니, 50바니 |
드물게 사용되는 동전 | 1반 |
자주 사용되는 지폐 | 1레우, 5레이, 10레이, 50레이, 100레이 |
드물게 사용되는 지폐 | 200레이, 500레이 |
발행 기관 | 루마니아 국립은행 |
발행 기관 웹사이트 | www.bnr.ro |
인쇄소 | 루마니아 국립은행 |
인쇄소 웹사이트 | www.bnr.ro |
조폐국 | Monetăria Statului |
조폐국 웹사이트 | www.monetariastatului.ro |
루마니아 레우 (한국어) | |
![]() | |
![]() | |
ISO 코드 | RON |
기호 | L |
사용 국가 | 루마니아 |
인플레이션율 | 현재 가치: 4.11% (2019년 4월 / 2018년 4월) |
인플레이션 출처 날짜 | 루마니아 국립은행 |
보조 단위 이름 | 반 |
보조 단위 비율 | 1/100 |
자주 사용되는 동전 | 10, 50 바니 |
드물게 사용되는 동전 | 1 반, 5 바니 |
자주 사용되는 지폐 | 1 레이, 5, 10, 50, 100, 200 레이 |
드물게 사용되는 지폐 | 20, 500 레이 |
발행 기관 | 루마니아 국립은행 |
발행 기관 웹사이트 | http://www.bnr.ro/ |
발음 | |
2. 역사
"레우"라는 이름은 "사자"를 뜻하며, 네덜란드 탈러(nl: leeuwendaalder 레이우엔달더, "사자 탈러/달러")에서 유래했다.[2][3][4] 이 네덜란드 동전은 여러 독일과 이탈리아 도시에서 모방되었고, 루마니아, 몰도바, 불가리아에서 유통되면서 각국 통화 명칭(루마니아 레우, 몰도바 레우, 불가리아 레프)의 기원이 되었다.[5]
17세기 오스만 제국 영토였던 루마니아에서는 네덜란드 길더(leeuwendaalder)가 "사자"로 불렸고, 루마니아어로는 레이(lei)라고 불렸다. 이 명칭은 통화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고, 1867년 국가 공식 통화 명칭을 정할 때 레이가 채택되었다. 불가리아의 레프(bg: лев 레프, 복수형: bg: лева 레바)도 같은 어원을 가진다.
보조 통화인 반(ban)은 "돈" 또는 "화폐"를 의미한다.[19]
2. 1. 어원
"레우"라는 화폐 이름은 "사자"를 의미하며, 네덜란드 탈러(leeuwendaalder|레이우엔달더nl "사자 탈러/달러")에서 유래되었다.[2][3][4] 네덜란드의 ''leeuwendaalder''는 여러 독일과 이탈리아 도시에서 모방되었다. 이 동전들은 루마니아, 몰도바, 불가리아에서 유통되었으며, 각각의 통화 이름인 ''루마니아 레우'', ''몰도바 레우'', ''불가리아 레프''의 이름을 만들어냈다.[5]17세기, 루마니아를 포함한 당시 오스만 제국 영토 내에서 유통되던 네덜란드의 길더(''leeuwendaalder'')는 "사자"라고 불렸으며, 루마니아에서는 루마니아어로 사자를 의미하는 레이(lei)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명칭은 통화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자리 잡았다. 1867년 국가의 공식 통화 명칭을 정할 때, 더욱 국수주의적인 로뭄(român), 로므낫(românat) 등의 안을 폐기하고 레이를 국가의 공식 통화 단위 명칭으로 채택하였다. 불가리아의 레프(лев|레프bg, 복수형은 레바, лева|레바bg)도 루마니아의 레이와 이름의 유래를 같이 한다.
보조 통화인 반(ban)은 "돈" 또는 "화폐"라는 의미에서 유래했다.[19]
2. 2. 제1 레우 (1867-1947)
1867년 4월 22일, 루마니아 레우는 복본위제 통화로 채택되었으며, 5g의 83.5% 은 또는 0.29032g의 금과 같은 가치를 지녔다. 최초의 레이 동전은 1870년 루마니아에서 주조되었다.[7] 1878년 이전에는 은 러시아 루블의 가치가 높아 루마니아 동전이 유통에서 사라지기도 했다.1889년, 루마니아는 라틴 통화 동맹에 가입하고 금본위제를 채택했다. 은화는 50레이까지 법정통화였으며, 모든 세금과 관세는 금으로 납부해야 했다. 루마니아 조폐국에서 발행된 금화의 양이 적었기 때문에, 프랑스 20프랑 동전(20레이), 오스만 리라(22.70레이), 러시아 루블(20.60레이), 영국 소버린(25.22레이) 등 외국 금화가 유통되었다.
1914년, 루마니아는 금본위제를 폐지했고 레이의 가치는 하락했다. 달러 대비 환율은 1929년 2월 7일 167.20레이, 1936년 11월 5일 135.95레이, 1940년 5월 18일 204.29레이, 1941년 3월 31일 187.48레이로 변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루마니아가 나치 독일과 동맹을 맺으면서 레이는 라이히스마르크에 고정되었고, 1941년 4월에는 59.5레이=1 라이히스마르크로 하락했다. 소련 점령 중에는 1루블이 100레이였다. 전쟁 후 통화 가치가 급격히 하락했다.[6]
동전1867년에는 1, 2, 5, 10바니 동전이 발행되었고, 이듬해에는 20레이 금화(나폴레옹 금화를 본떠 "폴리(poli)"라고 불림)가 발행되었다. 1870년부터 1873년 사이에 50바니, 1레이, 2레이 은화가 발행되었고, 1880년에는 5레이 은화가 추가되었다.
종류 | 발행 연도 | 재질 | 비고 |
---|---|---|---|
1, 2, 5, 10바니 | 1867년 | 1867년 발행에는 1바누(banu) 사용 | |
20레이 금화 | 1868년 | 금 | 나폴레옹 금화를 본떠 "폴리(poli)"라고 불림 |
50바니, 1레이, 2레이 은화 | 1870년 ~ 1873년 | 은 | |
5레이 은화 | 1880년 | 은 | |
5, 10, 20바니 백동화 | 1900년 | 백동 | 1905년에 구멍 뚫린 형태 발행 |
25, 50바니 알루미늄화 | 1921년 | 알루미늄 | |
1, 2레이 백동화 | 1924년 | 백동 | |
10, 20, 50레이 니켈 황동화 | 1930년 | 니켈 황동 | |
100레이 은화 | 1932년 | 은 | |
250레이 은화 | 1935년 | 은 |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작은 크기로 발행 |
100레이 니켈화, 50레이 니켈화 | 1936년, 1937년 | 니켈 | |
아연 2, 5, 10레이, 은 200, 500레이 | 1941년 ~ 1942년 | 아연, 은 | |
100레이 니켈 도금 철화 | 1943년 | 니켈 도금 철 | |
200, 500레이 황동화 | 1945년 | 황동 | |
500레이 알루미늄화, 2,000/10,000레이 황동화, 25,000/100,000레이 은화 | 1946년 ~ 1947년 | 알루미늄, 황동, 은 |
지폐1877년, 루마니아는 5, 10, 20, 50, 100, 500레이 지폐를 도입했다. 1881년부터 루마니아 국립은행(Banca Naţională a României)은 20, 100, 1,000레이 지폐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종류 | 발행 연도 | 발행처 | 비고 |
---|---|---|---|
5, 10, 20, 50, 100, 500레이 | 1877년 | ||
20, 100, 1,000레이 | 1881년 | 루마니아 국립은행 | |
5레이 | 1914년 | 재도입 | |
1, 2레이 | 1915년 | ||
500레이 | 1916년 | ||
10, 25, 50바니 | 1917년 | 루마니아 재무부 | 소액권 |
500레이 | 1940년 | ||
10,000, 100,000레이 | 1945년 | ||
20, 100레이 | 1945년 | 루마니아 재무부 | 루마니아 국립은행 대신 발행 |
1,000,000(100만), 5,000,000(500만)레이 | 1947년 |
2. 3. 제2 레우 (1947-1952)
1947년 8월 15일, "대규모 안정화"(루마니아어: marea stabilizare)라는 명칭의 화폐 개혁이 이루어졌다. 기존 레우는 20,000:1의 비율로 새로운 안정화 레우(leu)로 교체되었다.[7] 이는 사전 경고 없이 단행되었으며, 새로운 통화로 전환할 수 있는 금액에는 제한이 있었다. 농민은 500만 레우, 근로자와 연금 수급자는 300만 레우로 제한되었다.[7]유통 중이던 485억 레우 중 약 절반만이 안정화 레우로 교체되었다.[7] 이 화폐 개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계층은 중산층과 상류층이었으며, 이들은 이후 1948년 국유화에도 영향을 받았다. 이 조치는 중산층 및 상류층의 자산을 몰수하고, 집단 농장화를 준비하여 공산주의 도입을 완료하기 위한 것이었다. 도입 당시 150레우는 1 미국 달러와 같았다.
1947년 루마니아 재무부는 20레이 지폐를, 루마니아 국립은행은 100, 500, 1,000레이 지폐를 발행했다. 1949년부터는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 은행(Banca Republicii Populare Române)이 지폐 발행 업무를 맡아 500, 1,000레이 지폐를 발행했다.
2. 4. 제3 레우 (ROL, 1952-2005)
1952년 1월 28일, 새로운 레우가 도입되었다. 이전의 평가절상과 달리, 현금, 은행 예금, 부채 등 다양한 환전 유형과 금액에 따라 다른 환율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환율은 1레우당 20~400 "구 레우"에 이르렀다. 다시 한번, 개혁이 이루어지기 전에 사전 경고는 없었다.1970년부터 1989년까지 공식 환율은 정부가 법으로 고정했다. 정부는 이 환율을 외국 무역 가치를 계산하는 데 사용했지만, 개인이 외화를 사고팔 수는 없었다. 외화를 소지하거나 사고팔려는 시도는 최대 10년(소지한 외화의 양에 따라)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는 중범죄였다. 따라서 국제 무역은 국내 무역과는 다른 경제 순환의 일부로 간주되어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받았다.
1980년대 지속적인 경기 침체로 인한 과잉 유동성과 더 많은 외화 필요성, 그리고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이 환전성을 달성하기 위해 인플레이션을 현상으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한 것이 결합되어 루마니아 역사상 가장 큰 공급 측면 위기 중 하나가 발생하여 1980년 부분적인 식량 배급제가 도입되고 1986/87년에는 모든 기본 식품에 대한 완전한 배급제가 시행되었다. 이는 차우셰스쿠에 대한 불만이 커지는 주요 요인이었으며, 1989년 공산 정권 붕괴에 일부 기여했다.
포스트 공산주의 시대에는 지폐와 동전에 사용되는 재료가 바뀌었다. 지폐는 특수 용지에서 특수 플라스틱으로, 동전은 알루미늄에서 더 일반적인 동전 합금으로 바뀌었다(아마도 일부는 동전 작동식 자동 판매기의 기술적 제한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전환은 모두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지만, 현재 모두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지폐의 경우 훨씬 더 빨랐다. 모든 지폐가 플라스틱으로, 모든 동전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매우 독특한 조합의 기간이 있었다.
1990년대 공산주의 몰락 이후 개혁 실패와 1990년 외화 소지 합법화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급증하여 1993년에는 연간 300%에 달했다. 2003년 9월까지 1유로는 40,000레우 이상으로 환전되었는데, 이것이 최고치였다.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 성공적인 통화 정책을 시행한 결과, 상황이 점차 안정되어 2005년에는 한 자릿수 인플레이션을 기록했다.
루마니아 레우는 잠시 동안 세계에서 가장 가치가 낮은 통화 단위였다.[8] (튀르키예 리라가 6개의 0을 뺀 1월)에서 2005년 7월까지. 그러나 1,000,000레우 지폐는 루마니아에서 발행된 가장 높은 액면가가 아니었다. 5,000,000레우 지폐가 1947년에 발행되었었다.
1952년 루마니아 재무부는 1레우, 3.5레이 지폐를,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 은행은 10, 25, 100레이 지폐를 발행했다. 1966년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은행(Banca Nationala a Republicii Socialiste Romania)이 모든 지폐 발행 업무를 인계받아 1, 3, 5, 10, 25, 50, 100레이 지폐를 발행했다.
1991년 500, 1,000레이 지폐가 발행되었고, 200, 5,000레이 지폐는 1992년에, 10,000레이 지폐는 1994년에, 50,000레이 지폐는 1996년에, 100,000레이 지폐는 1998년에, 500,000레이 지폐는 2000년에, 1,000,000레이 지폐는 2003년에 각각 발행되었다. 이 외에도 1999년 8월 11일 개기일식을 기념하는 디자인의 2,000레이 지폐가 1999년에 발행되었다.
2,000, 10,000, 50,000, 100,000, 500,000, 1,000,000레이 지폐의 마지막 발행은 폴리머 지폐였다.
2005년 통화 개혁 당시 유통되던 지폐는 다음과 같다.
지폐 | 가치 (신 레우) |
---|---|
10,000레이 | 1레우 |
50,000레이 | 5레우 |
100,000레이 | 10레우 |
500,000레이 | 50레우 |
1,000,000레이 | 100레우 |
2. 5. 제4 레우 (RON, 2005-현재)
168mm × 78mm147mm × 82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