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치아벚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치아벚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나무로, 관상수, 향신료, 약용으로 사용된다. 회갈색 수피와 잎, 향기로운 흰색 꽃, 쓴맛이 나는 열매가 특징이다. 스페인 남동부의 조류와의 생태학적 의존성이 밝혀졌으며, 검은지빠귀와 검은머리방울새가 씨앗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할레브라는 향신료를 얻기 위해 재배되기도 하며, 단단한 목재는 가구와 담배 파이프 제작에 사용된다. 나무껍질, 목재, 씨앗에는 쿠마린이 함유되어 있으며, 열매는 식용으로 부적합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스탄의 나무 - 살구나무
살구나무는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중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복숭아와 유사하며 식용, 약용, 관상용으로 이용되나 씨앗 섭취에는 주의해야 한다. - 키르기스스탄의 나무 - 자엽꽃자두
자엽꽃자두는 아시아, 오세아니아,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낙엽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이른 봄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을 피우고 식용 가능한 핵과를 맺으며, 정원 및 조경용 관상수로 널리 재배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으로도 활용된다. - 타지키스탄의 나무 - 자엽꽃자두
자엽꽃자두는 아시아, 오세아니아,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낙엽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이른 봄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을 피우고 식용 가능한 핵과를 맺으며, 정원 및 조경용 관상수로 널리 재배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으로도 활용된다. - 타지키스탄의 나무 - 무두붉나무
무두붉나무는 옻나무과 식물로서 동지중해 지역이 원산지이며 열매는 향신료로, 잎과 나무껍질은 무두질 및 염료 제조, 씨앗에서는 양초, 껍질에서는 옻칠을 추출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용된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나무 - 자엽꽃자두
자엽꽃자두는 아시아, 오세아니아,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낙엽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이른 봄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을 피우고 식용 가능한 핵과를 맺으며, 정원 및 조경용 관상수로 널리 재배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으로도 활용된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나무 - 무두붉나무
무두붉나무는 옻나무과 식물로서 동지중해 지역이 원산지이며 열매는 향신료로, 잎과 나무껍질은 무두질 및 염료 제조, 씨앗에서는 양초, 껍질에서는 옻칠을 추출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용된다.
루치아벚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상태 | 관심 필요 |
상태 기준 | IUCN3.1 |
학명 | |
속 | 벚나무속 Prunus |
아속 | 벚나무아속 Prunus subg. Cerasus |
종 | 루치아벚나무 Prunus mahaleb |
명명자 | L. |
아종 | |
이명 | |
이미지 | |
![]() | |
![]() | |
분포 | |
![]() |
2. 식물학적 특징
루치아벚나무는 늦봄에 꽃이 피고, 열매는 한여름에서 늦여름에 익는다.[5][6][7] 열매는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익으면 빨간색, 짙은 보라색을 거쳐 검은색으로 변하며, 매우 쓴 맛이 난다.[5][6][7]
2. 1. 형태
수피는 회갈색이며, 어린 줄기에는 눈에 띄는 피목이 있고, 오래된 줄기에는 얕게 갈라진다. 잎은 1.5cm~5cm 길이, 1cm~4cm 너비로 어긋나고, 어긋나게 배열된 잔가지 끝에 뭉쳐 있으며, 난형에서 심장형, 뾰족하며,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 세로 맥이 있고 털이 없고 녹색이다. 잎자루는 5mm~20mm 길이이며, 두 개의 선점을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꽃은 향기롭고, 순백색이며, 작고, 지름이 8mm~20mm이며, 8mm~15mm의 꽃자루를 갖는다. 3–10개가 3cm~4cm 길이의 총상꽃차례로 배열된다. 꽃의 수분은 주로 벌에 의해 이루어진다. 열매는 작고 얇은 과육의 벚나무와 같은 핵과로 지름이 8mm~10mm이며,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익으면 빨간색으로 변하고, 그 다음에는 짙은 보라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며, 매우 쓴맛을 낸다.[5][6][7]선택적인 열매 낙과 현상을 보이며, 낮은 결실률을 초래하는 과도한 꽃을 많이 생산한다. 이는 "품질이 낮은" 열매의 수를 줄이고 씨앗의 생존력을 높인다.[8][9]
2. 2. 생태
과학 연구에 따르면 이 식물과 스페인 남동부의 4종의 과실을 먹는 조류 사이의 생태학적 의존성이 밝혀졌으며, 검은지빠귀와 검은머리방울새가 가장 중요한 씨앗 전파자로 밝혀졌다.[15] ''P. mahaleb''가 열매를 맺을 때 이 새들은 거의 열매만 먹고 나무의 성장에 유리한 장소로 씨앗을 퍼뜨린다. 일부 새들이 열매를 먹는 방식과 이러한 새들이 사용하는 서식지가 벚나무의 어떤 유전적 변이가 번성하는지를 결정하는 선택적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16]2. 3. 아종
, Plants of the World Online에서는 다음 두 아종을 인정한다.[10]- ''Prunus mahaleb'' subsp. ''cupaniana'' (Guss.) Arcang. (''Prunus cupaniana''를 포함) – 시칠리아 북부에 제한적으로 분포[11]
- ''Prunus mahaleb'' subsp. ''mahaleb'' (''Prunus odorata''를 포함) – 해당 종의 다른 원산지[12]
3. 분포 및 서식지
루치아벚나무(''Prunus mahaleb'')는 건조한 경사지의 덤불과 탁 트인 숲에서 자생하며, 중앙 유럽에서는 1700m까지, 남부 유럽의 고지대에서는 1200m~2000m에서 자생한다.[7] 영국과 스웨덴 북부, 호주와 미국 일부 지역을 포함한 일부 온대 지역에서 귀화되었다.[7][13][14]
4. 생태학적 중요성
과학 연구에 따르면 이 식물과 스페인 남동부의 4종의 과실을 먹는 조류 사이의 생태학적 의존성이 밝혀졌으며, 검은지빠귀와 검은머리방울새가 가장 중요한 씨앗 전파자로 밝혀졌다.[15] ''P. mahaleb''가 열매를 맺을 때 이 새들은 거의 열매만 먹고 나무의 성장에 유리한 장소로 씨앗을 퍼뜨린다. 일부 새들이 열매를 먹는 방식과 이러한 새들이 사용하는 서식지가 벚나무의 어떤 유전적 변이가 번성하는지를 결정하는 선택적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16]
5. 재배 및 이용
루치아벚나무는 원산지 외 지역에서 관상수, 향신료 생산, 목재 활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재배된다.
강한 향기를 가진 꽃을 보기 위해 관상수로 재배되며, 벚나무 씨앗 안의 씨앗에서 얻는 향신료인 마할레브를 얻기 위해 재배되기도 한다. 목재는 단단하여 가구 제작 및 담배 파이프에 사용된다.[20] 나무껍질, 목재 및 씨앗에는 쿠마린이 함유되어 있다.[20][21]
5. 1. 관상수
세계 온대 지역 전역에서 강한 향기를 가진 꽃을 보기 위해 관상수로 재배된다. 'Albomarginata'는 얼룩잎을 가지고 있으며, 'Bommii'는 가지가 아래로 처지는 왜성 품종이고, 'Globosa'는 둥근 모양의 왜성 품종이며, 'Pendula'는 늘어진 가지를 가지고 있으며, 'Xanthocarpa'는 노란색 열매를 맺는 등 관상 가치가 있는 여러 품종이 선별되었다.[17]5. 2. 향신료 마할레브
루치아벚나무는 마할레브라는 향신료를 얻기 위해 재배되기도 한다. 마할레브는 벚나무 씨앗 안의 씨앗에서 추출하며, 향긋하면서도 쓴 아몬드 맛이 난다.[18] 터키 요리의 단 빵인 초레크(chorak), 그리스의 단 빵인 추레키, 아르메니아의 단 빵인 초라크와 같은 단 음식의 풍미를 더하는 데 소량 사용된다. 마할레브는 씨앗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거나 씨앗에서 추출한 오일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19]
5. 3. 기타 용도
루치아벚나무는 벚나무 씨앗 안의 씨앗에서 얻는 향신료인 마할레브를 얻기 위해 재배되기도 한다. 마할레브는 향긋하며 쓴 아몬드 맛이 난다.[18] 터키 요리의 단 빵인 초레크, 그리스의 단 빵인 추레키, 아르메니아의 단 빵인 초라크와 같은 단 음식의 풍미를 더하는 데 소량 사용된다. 이 향신료는 씨앗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거나 씨앗에서 추출한 오일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19]루치아벚나무의 목재는 단단하며, 가구 제작 및 담배 파이프에 사용된다.[20] 나무껍질, 목재 및 씨앗에는 쿠마린이 함유되어 있는데,[20][21] 이것들은 항염증, 진정 및 혈관 확장 효과가 있다.
''Prunus mahaleb''의 열매는 먹을 수 없다.[22]
6. 역사
''Prunus mahaleb''는 초기 수메르 문헌에 언급된 ḫalub 나무의 유력한 후보로, 씨앗과 잎이 약용으로 알려져 있고 여신 이난나와 관련된 내구성이 강한 열매를 맺는 활엽수이다.[23] 아랍어 محلب|mahlebar 또는 ''mahlab''는 마할레브 체리를 의미하며, 무하마드 이븐 자카리야 알 라지(925년 또는 932년 사망), 이븐 알 바이타르(1248년 사망) 및 이븐 알 아와암을 포함한 중세 이슬람 문헌에 등장한다.[24] 12세기 후반에 쓰여진 농업에 관한 그의 저서에서 이븐 알 아와암은 마할레브 나무를 재배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그는 이 나무가 활발하게 자라고 쉽게 재배할 수 있지만, 장기간의 가뭄에 강하지 않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설탕물에 삶아 마할레브 씨앗을 준비하는 방법도 설명했다.[25] 이 단어, 그리고 아마도 마할레브 자체는 고전 라틴어, 초기 또는 중세 라틴어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후기 중세 라틴어에서는 드물다. 라틴어로 된 초기 기록 중 하나는 마테우스 실바티쿠스가 쓴 백과사전으로, 1317년에 "''mahaleb''"은 아랍 국가에서 재배되는 체리 나무와 야생 체리 나무의 열매의 씨앗이라고 기록했다.[26] 라틴어로 된 또 다른 초기 기록은 1479년 요안니스 메스우에가 쓴 의학-식물학 책으로, ''almahaleb''으로 표기되었다(''“al-”''는 아랍어 정관사이다).[27] 1593년 라틴 식물학자 카롤루스 클루시우스는 이를 ''mahaleb''으로 표기했다.[27] 오늘날 그 재배와 사용은 19세기 이전 시대에 오스만 제국을 형성했던 지역으로 크게 제한된다. 시리아가 주요 수출국이다.[19]
참조
[1]
간행물
Prunus mahaleb
2021-11-24
[2]
간행물
GRIN
2008-03-14
[3]
간행물
PLANTS
2015-10-14
[4]
웹사이트
Prunus mahaleb
http://ww2.bgbm.org/[...]
2007-09-28
[5]
서적
Trees of Britain and Europe
Collins
[6]
웹사이트
Prunus mahaleb
http://ip30.eti.uva.[...]
2007-12-15
[7]
서적
Flora of Britain and Northern Europe
[8]
논문
Why Prunus mahaleb (Rosaceae) produces more flowers than fruits
[9]
논문
Selective fruit abortion in Prunus mahaleb (Rosaceae)
[10]
간행물
Prunus mahaleb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3-02-11
[11]
웹사이트
Prunus mahaleb subsp. cupaniana (Guss.) Arcang..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3-02-11
[12]
웹사이트
Prunus mahaleb subsp. mahaleb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3-02-11
[13]
웹사이트
Prunus mahaleb
http://plantnet.rbgs[...]
[14]
웹사이트
Prunus mahaleb
https://web.archive.[...]
[15]
논문
Prunus mahaleb and Birds: The High-Efficiency Seed Dispersal System of a Temperate Fruiting Tree
http://digital.csic.[...]
[16]
논문
Spatial Variation in the Interactions between Prunus mahaleb and Frugivorous Birds
[17]
서적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British Isles
John Murray
[18]
웹사이트
Mahaleb Cherry | Whitman County | Washington State University
https://extension.ws[...]
[19]
웹사이트
Mahaleb Cherry (Prunus mahaleb L.)
http://gernot-katzer[...]
[20]
서적
Trees and Bushes in Wood and Hedgerow
Metheun & Co. Ltd., London
[21]
논문
Some Coumarin Constituents of Prunus mahaleb L. Fruit Kernels V
[22]
서적
The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Trees: Eastern Region
Knopf
[23]
서적
Gilgamesh, Enkidu, and the Netherworld and the Sumerian Gilgamesh Cycle
De Gruyter
[24]
문서
Mahaleb
https://archive.org/[...]
[25]
문서
Le livre de l'agriculture
https://books.google[...]
[26]
문서
Maaleb and mahaleb
http://daten.digital[...]
[27]
웹사이트
Mahaleb @ CNRTL.fr
http://www.cnrtl.f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