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스 이리가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뤼스 이리가레는 벨기에 출신의 철학자, 심리학자, 언어학자로, 서양 철학과 정신분석학의 남근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여성의 언어와 성차를 탐구했다. 그는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접하고, 파리 제8대학교에서 해직된 후 《다른 여성의 검시경》을 발표하며 독자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이리가레는 남녀의 성차를 강조하며, 남성적 논리와 표상 체계와 다른 "여성적인 언어"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그는 남근중심주의 비판, 여성적 글쓰기, 성차의 윤리학 등을 통해 여성의 자아와 정체성을 탐구하며, 여성의 언어와 젠더 정체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리가레의 사상은 본질주의, 과학 용어 사용, 레비나스 비판 등 다양한 비판에 직면했으며, 이탈리아 페미니스트 운동에 참여했지만 특정 운동에 속하는 것을 거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언어학자 - 클로드 피롱
클로드 피롱은 벨기에 출신의 에스페란토 작가이자 심리 치료사, 교수였으며, 국제 연합과 세계 보건 기구에서 근무하며 제네바 대학교 심리학부 교수를 역임했고, 에스페란토를 활용하여 다양한 작품을 저술했다. - 벨기에의 언어학자 - 마르티너 로베이츠
마르티너 로베이츠는 한국어와 일본어가 튀르크어, 몽골어, 만주어 등과 함께 트랜스유라시아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을 연구하며, 농경/언어 확산 가설과 베이즈 계통발생학적 방법을 통해 이를 뒷받침하는 네덜란드 언어학자이다. - 여성주의 이론가 - 주디스 버틀러
주디스 버틀러는 젠더 수행성 이론으로 여성주의, 퀴어 이론, 정치철학에 큰 영향을 준 미국의 철학자이자 성별 연구의 선구자이며, 사회 정치적 이슈에 적극적으로 발언하는 정치 활동가이다. - 여성주의 이론가 - 샌드라 하딩
샌드라 하딩은 미국의 철학자이자 페미니스트 인식론 연구가로, "강한 객관성" 연구 기준 개발과 관점 방법론 정립에 기여하여 페미니스트 인식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과학 기술 관련 국제 연합 산하 기구 자문으로도 활동했다. - 여성과 심리학 - 연극성 인격장애
연극성 인격장애는 과도한 감정 표현, 타인의 관심에 대한 갈망, 피상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며, 심리 치료, 인지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정신 질환이다. - 여성과 심리학 - 팜 파탈
팜 파탈은 서구 문화에서 유행한 서사적 기법으로, 신화와 역사 속 인물에서 원형을 찾아볼 수 있는 파멸을 초래하는 매혹적인 여성을 의미하며, 영화, 드라마, 만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매력적인 악녀 캐릭터로 나타난다.
뤼스 이리가레 | |
---|---|
기본 정보 | |
이름 | 뤼스 이리가레 |
원어명 | Luce Irigaray |
출생일 | 1930년 5월 3일 |
출생지 | Blaton, Bernissart, Wallonia, 벨기에 |
국적 | 벨기에, 프랑스 |
학력 | 루뱅 가톨릭 대학교 파리 8대학교 |
직업 | 페미니스트, 철학자, 언어학자, 정신분석학자, 문화 이론가 |
학문적 배경 | |
연구 분야 | 철학 언어학 정신분석 페미니즘 |
연구 기관 |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 |
활동 지역 | 파리 프로이트 학파 |
박사 과정 지도 교수 | 자크 라캉 |
철학적 정보 | |
지역 | 서양 철학 |
시대 | 현대 철학 |
학파 | 대륙 철학 프랑스 페미니즘 |
국적 | 프랑스 |
주요 아이디어 | 남근 중심주의 시장의 여성 |
영향 | 지그문트 프로이트 자크 라캉 에마뉘엘 레비나스 자크 데리다 모리스 메를로퐁티 마르틴 하이데거 프리드리히 니체 |
영향받은 인물 | 카트린 말라부 마사 P. 노침슨 주디스 버틀러 엘리자베스 그로스 티나 베티 |
주요 관심사 | |
연구 주제 | 언어학 정신분석 페미니즘 철학 페미니즘 이론 철학 심리학 정신분열증 성 정체성 |
주요 저서 | |
관련 인물 | |
주요 사상가 | 바트키 베이어 보부아르 베벨 보그스 버틀러 식수 드 클레르 데 라 크루스 콜린스 데일리 데이비스 데마르 드워킨 페데리치 파이어스톤 푸리에 프리단 프라이 드 가몽 골드만 그로스 해슬랭거 훅스 이리가레 재거 크리스테바 러너 로드 루고네스 룩셈부르크 매키넌 마마 미셸 밀 테일러 밀 밀레 누스바움 파글리아 팬크허스트 패터먼 플럼우드 루빈 엘 사다위 쇼월터 솔라나스 스피박 보일퀸 위티그 월스턴크래프트 영 체트킨 |
주요 개념 | |
아이디어 | 페미니즘 분석 인식론 윤리학 실존주의 형이상학 과학 성 평등 성 수행성 젠더의 사회적 구성 돌봄 윤리 교차성 관점 이론 |
2. 생애
뤼스 이리가레는 1955년 벨기에 루뱅 가톨릭 대학교(1834–1968) 철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1956년부터 1959년까지 브뤼셀의 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다. 1960년대 초 파리로 건너가 1961년 파리 대학교 심리학 석사 학위를, 1962년 정신병리학 디플로마 학위를 받았다. 1962년부터 1964년까지 벨기에 국립과학연구기금(NFWO)에서 일했고, 이후 파리 중앙국립과학연구소(CNRS) 연구 조교가 되었다.
1960년대 이리가레는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 세미나에 참여했고, 1968년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9년 프랑스 여성운동가 앙투아네트 푸크(Antoinette Fouque)를 분석했다. 1970년부터 파리 제8대학교에서 강의했고, 파리 프로이드학교 회원이었다. 파리 제8대학교에서 면직된 후 두 번째 박사 학위 논문 《다른 여성의 검시경》을 발표했다.
1982년 로테르담 에라스무스 대학교 철학 강좌를 통해 《성적 차이의 윤리학》을 출판, 철학자로서 입지를 굳혔다. 1980년대부터 파리 중앙국립과학연구소에서 여성과 남성 언어 차이를 연구했고, 1986년 철학 위원회로 옮겼다.
런던 대학교(2003),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2008)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노팅엄 대학교 방문교수(2004-2006)였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뤼스 이리가레는 1954년 루뱅 가톨릭 대학교(1834–1968)에서 학사 학위를, 1955년 같은 대학교에서 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0] 1956년부터 1959년까지 브뤼셀의 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했다.1960년 파리로 이주하여 1961년 파리 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62년에는 같은 대학교에서 정신병리학 디플로마를 받았다. 1962년부터 1964년까지 벨기에 국립과학연구기금(NFWO)에서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1964년부터 파리의 중앙국립과학연구소(CNRS)에서 연구 조교, 이후 연구 책임자로 재직하고 있다.[11]
2. 2. 정신분석과의 만남과 결별
1960년대 초반 이리가레는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 세미나에 참여했고, 분석학자로서 훈련을 받았다. 1968년에 언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69년 프랑스 여성운동의 선구자인 앙투아네트 푸크(Antoinette Fouque)를 분석하였다. 1970년부터 1971년까지 파리 제8대학교에서 가르쳤는데, 이 시기에 그녀는 라캉이 지도했던 학교 파리 프로이트학교(École Freudienne de Paris)의 회원이었다.[1]파리 제8대학교에서 면직을 당한 직후 이리가레의 두 번째 박사학위논문인 《다른 여성의 검시경》을 발표하였다.[2]
2. 3. 독자적 연구 활동
이리가레는 1980년대부터 파리의 중앙국립과학연구소에서 여성과 남성 언어의 차이점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11] 1986년 심리학 위원회에서 철학 위원회로 전향했다.1982년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대학교에서 철학 강좌를 진행했고, 이 연구 성과는 《성적 차이의 윤리학》으로 출판되어 대륙철학자로서의 입지를 다지게 했다.
2003년 12월 런던 대학교에서, 2008년에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0]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노팅엄 대학교 근대 언어학과 방문교수였다.
2021년 《새로운 에너지 문화: 동서양을 넘어》를 출판했는데, 이 책에서 수십 년간의 요가 수련 경험을 바탕으로 요가가 몸과 정신 사이의 다리를 놓는다고 주장한다.[11]
3. 주요 사상
뤼스 이리가레는 서양 철학과 정신분석 이론에 나타난 남근중심주의를 비판하고, 여성적 글쓰기와 성차의 윤리학을 제시하며, 언어와 젠더 정체성의 관계를 탐구했다.
이리가레는 칼 마르크스의 자본 및 상품 이론을 바탕으로 여성이 남성 간에 교환되는 상품과 같다고 주장한다. 사회 전체가 여성의 교환에 기초하고 있으며, 여성의 교환 가치는 사회에 의해 결정되는 반면, 여성의 사용 가치는 여성의 본성적 특성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여성의 자아는 사용 가치와 교환 가치로 나뉘며, 여성은 오직 교환 가치 때문에 욕망된다고 본다. 이 시스템은 어머니, 처녀, 매춘부라는 세 가지 유형의 여성을 만들어낸다고 분석한다.[12]
이리가레는 이탈리아의 페미니스트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여러 페미니스트 운동들 간의 경쟁적인 역학 관계를 좋아하지 않아 특정 운동에 속하는 것을 거부했다.[13] 1990년 이후 이리가레의 연구는 여성과 남성을 함께 다루는 방향으로 점점 더 전환되었다. 그녀는 저서 《동과 서 사이, 특이성에서 공동체로》(1999)와 《사랑의 방식》(2002)에서 세계 민주주의 공동체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사랑을 상상한다.[13]
3. 1. 남근중심주의 비판
이리가레는 저서 『타자의 거울』(Speculum de l'autre femme)에서 서양 철학과 정신분석 이론에 나타난 남근중심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프로이트, 헤겔,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 칸트 등의 텍스트를 분석하며, 이들의 사유 체계가 남성 중심적이라고 지적한다.[12] 특히 프로이트의 여성성 이론에서 남근 선망 개념을 비판하며, 여성성을 남성의 결핍으로 정의하는 것에 반대한다.칼 마르크스의 자본 및 상품 이론을 바탕으로 여성이 남성 간에 교환되는 상품과 같다고 주장한다. 사회 전체가 여성의 교환에 기초하고 있으며, 여성의 교환 가치는 사회에 의해 결정되는 반면, 여성의 사용 가치는 여성의 본성적 특성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여성의 자아는 사용 가치와 교환 가치로 나뉘며, 여성은 오직 교환 가치 때문에 욕망된다고 본다. 이 시스템은 어머니, 처녀, 매춘부라는 세 가지 유형의 여성을 만들어낸다고 분석한다.[12]
이리가레는 남녀의 성차를 강조하며, 특히 언어와 관련하여 "남성적 논리"나 "남성적 표상 체계"와는 다른 "여성으로서 말하는 언어"의 가능성과 실현을 모색한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질을 "(페니스가 삽입되는) 수동적인 것", 음핵을 "작은 페니스"로 보았지만, 이리가레는 여성기를 "끊임없이 입맞춤하는 두 개의 입술로 이루어진 것"으로 묘사하며, 남녀 성기의 삽입은 여성기의 "자기애"에 폭력적이라고 간주한다.
기존의 담론이 남성적이라면, 여성이 말을 하는 것은 남성적 체계에 대한 여성의 종속을 의미한다. 따라서 "여성적으로 말하는 것"을 모색하는데, 이는 담론 체제의 단순한 역전이 아니다. 여성을 기준으로 남성을 결여태로 말하는 것 역시 남근적 논리라고 비판한다. "여성적 통사론"에는 더 이상 "주체(주어)"도 "객체(목적어)"도 없다고 주장한다.[23]
3. 2. 여성적 글쓰기 (Écriture féminine)
이리가레는 언어와 관련하여 "남성적 논리"나 "남성적 표상 체계"와는 다른 "여성으로서 말하는 언어"(Écriture féminine프랑스어)의 가능성과 실현을 모색했다.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질을 "(페니스가 삽입되는) 수동적인 것"으로, 음핵은 "작은 페니스"로 보았는데, 이는 남성 중심적인 시각이다. 이리가레는 여성기를 "끊임없이 입맞춤하는 두 개의 입술"로 표현하며, 남녀 성기의 삽입은 여성기의 "자기애"에 폭력적이라고 보았다. 그녀는 언어에서도 이러한 인식을 언급하며, "남근 주권, 의미의 남근적 논리, 남근적 표상 체계는 모두 여성 성기를 그 자체로부터 떼어내어 여성으로부터 자기애를 빼앗는 방법이다"[21]라고 주장했다.
기존의 담론이 남성적이라면, 여성이 말을 하는 것은 남성적 체계에 대한 여성의 종속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리가레는 "여성적으로 말하는 것"을 추구한다. "여성적으로 말하는 것"은 담론 체제의 단순한 역전이 아니다. 이리가레는 이러한 종류의 역전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22] 그것은 오히려 여성의 남성화를 의미한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하나의 성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다른 성을 결여나 부정으로 간주하는 것은, 프로이트와 반대로 여성을 기준으로 남성을 결여로 말하더라도, 여전히 동일자에 대한 타자의 종속이라는 남근적 논리에 불과하다고 이리가레는 지적한다.
이리가레는 "여성적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 "'나는 한 명의 여성입니다'라는 확신에서 출발하여 말하거나 쓰는 것은, 다시 남근 지배적인 담론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라고 설명한다. 또한 "여성적 통사론"에는 더 이상 "주체(주어)"도 "객체(목적어)"도 없다.[23]
3. 3. 성차(性差)의 윤리학
이리가레는 《성차 윤리》에서 재생산이 아닌 다른 유대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남녀 관계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한다.[13] 그녀는 유한함과 상호주관성, 구현된 신성함, 그리고 두 성별 간의 감정적 구분을 포함한 주제들을 인정한다. 이리가레는 서구 문화가 성차별로 인해 비윤리적이라고 결론짓는다.3. 4. 언어와 젠더 정체성
뤼스 이리가레는 남성과 여성이 말하는 방식의 차이점을 연구했다. 이러한 성 차이에 대한 초점은 이리가레 작품의 핵심 특징인데, 그녀는 여성적인 언어가 발생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리가레는 연구를 통해 서구 세계에서 여성의 생각 억압과 남녀의 언어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그녀는 남성에게 지배성을, 여성에게 주체성을 나타내는 성별화된 언어 패턴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21]이리가레는 남녀의 성차를 강조하는데, 특히 언어와 관련하여 "남성적 논리"나 "남성적 표상 체계"와는 다른 "여성으로서 말하는 언어"의 가능성과 실현을 모색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남성기와 여성기에 대해 남성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질은 "(페니스가 삽입되는) 수동적인 것"으로, 음핵은 "작은 페니스"로 보았다. 이리가레는 "끊임없이 입맞춤하는 두 개의 입술로 이루어진" 여성기를 이야기하며, 남녀 성기의 삽입은 여성기의 "자기애"에 폭력적이라고 간주한다. 언어에 관해서도 "남근 주권, 의미의 남근적 논리, 남근적 표상 체계는 모두 여성 성기를 그 자체로부터 떼어내어 여성으로부터 자기애를 빼앗는 방법이다"라고 말한다.[21]
기존의 담론이 남성적이라면, 여성이 말을 하는 것은 남성적 체계에 대한 여성의 종속이다. 그렇기에 이리가레는 "여성적으로 말하는 것"을 모색한다. "여성적으로 말하는 것"은 담론 체계의 역전이 아니다. 이리가레는 이러한 역전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22] 그것은 여성의 남성화이기 때문이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기준이 되는 하나의 성을 설정하고, 그 성의 결여태나 음화로서 다른 성을 말한다면, 프로이트와 반대로 여성을 기준으로 남성을 결여태로 말해도, 동일자에 대한 타자의 종속이라는 남근적 논리라고 이리가레는 말한다.
"여성적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 이리가레는 "만약 '나는 여성입니다'라는 확신에서 말하거나 쓰고 싶다고 주장한다면, 다시 남근 지배적인 담론 속으로 들어가 버릴 것이다."라고 말한다. 또한 "여성적 통사론"에는 "주체(주어)"도 "객체(목적어)"도 없다.[23]
3. 5. 정치 및 사회 참여
이리가레는 이탈리아의 페미니스트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여러 페미니스트 운동들 간의 경쟁적인 역학 관계를 좋아하지 않아 특정 운동에 속하는 것을 거부했다.[13] 1990년 이후 이리가레의 연구는 여성과 남성을 함께 다루는 방향으로 점점 더 전환되었다. 그녀는 저서 《동과 서 사이, 특이성에서 공동체로》(1999)와 《사랑의 방식》(2002)에서 세계 민주주의 공동체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사랑을 상상한다.[13] 《성차 윤리》에서 그녀는 재생산이 아닌 다른 유대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남녀 관계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그녀는 유한함과 상호주관성, 구현된 신성함, 그리고 두 성별 간의 감정적 구분을 포함한 주제들을 인정한다. 그녀는 서구 문화가 성차별로 인해 비윤리적이라고 결론짓는다.4. 주요 저작
제목 | 출판 연도 | 비고 |
---|---|---|
다른 여성의 검시경 (Speculum de l'autre femme) | 1974 | |
하나가 아닌 성 (Ce sexe qui n'en est pas un) | 1977 | |
And the One Doesn't Stir without the Other | 1979 | And the One Doesn't Stir without the Other영어 |
해양 연인: 프리드리히 니체에 관하여 (Amante marine: de Friedrich Nietzsche) | 1980 | |
원초적 열정 (Passions élémentaires) | 1982 | |
Belief Itself | 1983 | Belief Itself영어 |
공기의 망각: 마르틴 하이데거에서 (Loubli de lair: chez Martin Heidegger) | 1983 | |
성적 차이의 윤리학 (Éthique de la différence sexuelle) | 1984 | |
말하는 것은 결코 중립적이지 않다 (Parler n'est jamais neutre) | 1985 | |
성과 친족 (Sexes et parentés) | 1987 | |
차이의 시대: 평화로운 혁명을 위해 (Le temps de la différence: pour une révolution pacifique) | 1989 | |
나, 너, 우리: 차이의 문화를 위해 (Je, tu, nous: pour une culture de la différence) | 1990 | |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역사 속의 행복에 대한 스케치 (Jaime à toi: esquisse dune félicité dans l'histoire) | 1990 | |
Democracy Begins Between Two | 1994 | Democracy Begins Between Two영어 |
둘이 되기 (Être deux) | 1997 | |
동양과 서양 사이: 특수성에서 공동체로 (Entre orient et occident: de la singularité à la communauté) | 1999 | |
Why Different? | 2000 | Why Different?영어 |
The Way of Love | 2002 | The Way of Love영어 |
Sharing the World | 2008 | Sharing the World영어 |
Conversations | 2008 | Conversations영어 |
In the Beginning, She Was | 2013 | In the Beginning, She Was영어 |
Through Vegetal Being: Two Philosophical Perspectives | 2016 | Through Vegetal Being: Two Philosophical Perspectives영어 |
To Be Born: Genesis of a New Human Being | 2017 | To Be Born: Genesis of a New Human Being영어 |
Sharing the Fire: Outline of a Dialectics of Sensitivity | 2019 | Sharing the Fire: Outline of a Dialectics of Sensitivity영어 |
A New Culture of Energy: Beyond East and West | 2021 | A New Culture of Energy: Beyond East and West영어 |
5. 비판
뤼스 이리가레의 사상은 여러 측면에서 비판을 받아왔다.
- 본질주의 논쟁: 일부 페미니스트들은 이리가레의 성차 이론이 여성의 본질을 고정된 것으로 간주하는 본질주의라고 비판한다.[14] 그러나 이리가레의 이론이 실제로 본질주의적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쟁이 있다. 헬렌 필딩은 이리가레에 대한 비판이 "[그녀의 비판자들의] 상속된 문화적 이해"에서 비롯되며, 본질주의에 대한 우려는 "[이분법적 사고]]에 근거하고 있다"고 주장한다.[15]
- 철학적 비판: W. A. 보로디는 이리가레의 남근중심적 주장이 서구 철학의 "불확정성" 역사를 잘못 표현했다고 비판한다. 남성은 확정성, 여성은 불확정성에 해당한다는 이리가레의 주장은 문화적, 역사적 타당성이 있지만, 젠더 타자화를 복제하는 데 사용될 때는 그렇지 않다고 지적한다.[16]
- 과학 용어 사용 관련 비판: 앨런 소칼과 장 브리몽은 저서 《유행하는 헛소리》에서 이리가레가 과학 용어를 사용하는 방식을 비판했다. 이들은 이리가레가 특수 상대성 이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을 혼동하고, ''E'' = ''mc''2이 "성적인 방정식"이라는 주장을 비판했다.[17][18] 리처드 도킨스는 이리가레가 유체 역학이 "여성적인" 유체와 연관되어 부당하게 무시되었다는 주장을 "터무니없는 억지"라고 평가했다.[19][20]
- 페미니즘 관점의 비판: 주디스 버틀러는 이리가레가 여성 특유의 섹슈얼리티를 외음부의 구조에서 도출하려는 주장이 "생물학은 숙명이 아니다"라는 페미니즘의 전제를 무효화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비판한다.[25] 또한, 다양한 타자 문화를 남근 로고스 중심주의의 확대로 보는 것은, 다양한 차이를 식민지화하는 것이라고 지적한다.[24]
- 레비나스 비판 관련 논쟁: 우치다 타츠루는 이리가레가 "여성적으로 유성(有性)화된 어법"이 없기 때문에 여성들이 중성의 언어를 만드는 데 이용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어법을 통해서만 여성적 주체로서 기술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우치다는 이리가레 자신이 '여성으로서 말하는 언어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말하면서, 아직 존재하지 않는 언어로 에마뉘엘 레비나스가 말하지 않은 것을 비판할 권한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28]
5. 1. 본질주의 논쟁
일부 페미니스트들은 뤼스 이리가레의 성차 이론이 여성의 본질을 고정된 것으로 간주하는 본질주의라고 비판한다.[14] 그러나 이리가레의 이론이 실제로 본질주의적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쟁이 있다. 헬렌 필딩은 이리가레에 대한 비판이 "자연을 불변하는 유기체 또는 질서, 조작, 기록될 수 있는 물질로 가정하는 [그녀의 비판자들의] 상속된 문화적 이해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하며, 본질주의에 대한 우려는 "자연보다 문화를 우위에 두는 이분법적 사고에 그 자체로 근거하고 있다"고 주장한다.[15]W. A. 보로디는 이리가레의 남근중심적 주장이 서구 철학의 "불확정성" 역사를 잘못 표현했다고 비판하며, 남성은 확정성, 여성은 불확정성에 해당한다는 이리가레의 주장은 문화적, 역사적 타당성이 있지만, 젠더 타자화를 복제하는 데 사용될 때는 그렇지 않다고 지적한다.[16]
앨런 소칼과 장 브리몽은 유행하는 헛소리에서 이리가레가 과학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비판했다. 특수 상대성 이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을 혼동하고, E = mc²|E = mc²영어이 "빛의 속도를 특권화"하기 때문에 "성적인 방정식"이라는 주장을 비판했다.[17][18] 리처드 도킨스는 이리가레가 유체 역학이 "여성적인" 유체와 연관되어 부당하게 무시되었다는 주장을 "터무니없는 억지"라고 평가했다.[19][20]
주디스 버틀러는 이리가레가 여성 특유의 섹슈얼리티를 외음부의 구조에서 도출하려는 주장이 "생물학은 숙명이 아니다"라는 페미니즘의 전제를 무효화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비판한다.[25] 또한, 다양한 타자 문화를 남근 로고스 중심주의의 확대로 보는 것은, 전체화 개념에 의문을 제기했을 다양한 차이를 식민지화하는 것이라고 지적한다.[24]
우치다 타츠루는 이리가레가 "여성적으로 유성(有性)화된 어법"이 없기 때문에 여성들이 중성의 언어를 만드는 데 이용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어법을 가지고서만 여성적 주체로서 기술할 수 있다고 말한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우치다는 이리가레 자신이 '여성으로서 말하는 언어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말하면서, 아직 존재하지 않는 언어로 에마뉘엘 레비나스가 말하지 않은 것을 비판할 권한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28]
5. 2. 과학 용어 사용 관련 비판
앨런 소칼과 장 브리몽은 저서 《유행하는 헛소리》에서 이리가레가 과학 용어를 사용하는 방식을 비판했다. 이들은 이리가레가 아인슈타인이 "전자기적 평형화가 없는 가속"에 관심을 가졌다고 주장한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특수 상대성 이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을 혼동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E'' = ''mc''2이 "우리에게 매우 필요한 다른 속도보다 빛의 속도를 특권화하기" 때문에 "성적인 방정식"이라는 이리가레의 주장을 비판했다.[17][18] 리처드 도킨스는 소칼과 브리몽의 책을 검토하면서, 이리가레가 유체 역학이 "여성적인" 유체("남성적인" 고체와 대조적으로)와 연관되어 있다는 이유로 물리학에서 부당하게 무시되었다고 주장한 것을 "터무니없는 억지"라고 썼다.[19][20]5. 3. 레비나스 비판 관련 논쟁
우치다 타츠루는 자신의 저서 《레비나스와 사랑의 현상학》 제3장에서 뤼스 이리가레를 언급한다. 이리가레는 1991년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에마뉘엘 레비나스에게의 질문〉[26]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는데, 우치다는 이 책에서 이리가레의 레비나스 비판을 검토하고 있다. 우치다는 "「여성적으로 유성(有性)화된 어법」이 없기 때문에, 그녀들은 이른바 중성의 언어를 만들어내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27]"와 같은 이리가레의 문장을 인용하면서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여성적으로 유성(有性)화된 어법」을 통해서만 여성적 주체로서 기술할 수 있다고 이리가레는 말한다. 그렇다면, 그러한 어법으로 말하지 않았던 레비나스는 비난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이 비판이 성립하려면, 그 어법이 '이러한 것이다'라는 것을 누군가가 몸소 보여주어야 한다. 하지만 이리가레 자신은 '여성으로서 말하는 언어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아직 존재하지 않는 언어로 레비나스가 말하지 않았다고 고발할 권한이 그녀에게 있을까?[28]"
참조
[1]
서적
Cixous, Irigaray, Kristeva: The Jouissance of French Feminism
Crescent Moon Publishing
2016
[2]
서적
Women on the Market
Cornell University Press
1985
[3]
웹사이트
God's Mother, Eve's Advocate: a Gynocentric Refiguration of Marian Symbolism in Engagement with Luce Irigaray
https://research-inf[...]
1998
[4]
서적
Routledg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Queer Culture
https://archive.org/[...]
Routledge
[5]
학술지
Crossing Lovers: Luce Irigaray's Elemental Passions
2000
[6]
서적
The Forgetting of Air in Martin Heidegger
https://philpapers.o[...]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9
[7]
서적
Cixous, Irigaray, Kristeva: The Jouissance of French Feminism (European Writers)
Crescent Moon Publishing
[8]
서적
Elemental passions
Routledge
1992
[9]
백과사전
Luce Irigaray (1932?—)
http://www.iep.utm.e[...]
[10]
백과사전
Dictionary of Women Worldwide: 25,000 Women Through the Ages
Yorkin Publications
[11]
백과사전
Luce Irigaray: French linguist, psychoanalyst, and philosopher
https://www.britanni[...]
2019-10-29
[12]
서적
Literary theory, an anthology
Blackwell
[13]
서적
Europe Since 1914: Encyclopedia of the Age of War and Reconstruction
https://link.gale.co[...]
Charles Scribner's Sons
[14]
간행물
L'Ennemi principal, tome 2: Penser le genre
[15]
학술지
Questioning nature: Irigaray, Heidegger and the potentiality of matter
[16]
문서
Figuring the Phallogocentric Argument with Respect to the Classical Greek Philosophical Tradition
http://kenstange.com[...]
Nebula: A Netzine of the Arts and Science
1998
[17]
Citation
Introduction
http://dx.doi.org/10[...]
Routledge
2017-09-25
[18]
서적
Fashionable nonsense: postmodern intellectuals' abuse of science
https://archive.org/[...]
Picador
[19]
학술지
Postmodernism disrobed
1998
[20]
웹사이트
Jane Clare Jones on Luce Irigaray: The murder of the mother
https://www.newstate[...]
2021-12-01
[21]
문서
『一つではない女の性』所収、「質問録」より。
[22]
문서
「むろん男性権力にとって代わる女性権力などは問題になりえません。なぜなら、このような逆転は常に同一者体制の中に、同じ体制の中に、とらえられるでしょうから。(中略)そこにあるのは男根的な権力の掌握でしょう」(『一つではない女の性』所収、「質問録」より)
[23]
문서
『一つではない女の性』所収「質問録」より。
[24]
문서
ジュディス・バトラー『ジェンダー・トラブル フェミニズムとアイデンティティの撹乱』第1章第4節「二元体、一元体、そのかなたの理論化」
[25]
문서
上掲書第1章第6節「言語、権力、置換戦略」
[26]
학술지
エマニュエル・レヴィナスへの質問 (上村くにこ訳)
[27]
문서
イリガライ『性的差異のエチカ』
[28]
문서
内田樹『レヴィナスと愛の現象学』第三章「愛の現象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