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장드르 연관 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정의
- 3. 성질
- 4. 처음 몇 개의 연관 르장드르 함수
- 5. 재귀 공식 (Recurrence formula)
- 6. 가운트 공식 (Gaunt's formula)
- 7. 초기하 함수를 통한 일반화 (Generalization via hypergeometric functions)
- 8. 각도에 대한 재매개변수화 (Reparameterization in terms of angles)
- 9. 물리학에서의 응용: 구면 조화 함수 (Applications in physics: spherical harmonics)
- 10. 일반화 (Generalizations)
- 참조
1. 개요
르장드르 연관 함수는 일반 르장드르 다항식의 도함수를 통해 정의되며, 로 표기한다. 이 함수는 음이 아닌 정수 매개변수 ℓ과 m에 대해 정의되며, 닫힌 형식과 다양한 재귀 공식을 갖는다. 르장드르 연관 함수는 직교성을 가지며, 음의 m 및/또는 음의 ℓ, 홀짝성에 대한 성질을 갖는다. 또한 초기하 함수를 통해 일반화될 수 있으며, 각도를 사용하여 재매개변수화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물리학에서는 구면 조화 함수의 각도 부분을 구성하며, 구면 대칭성을 갖는 문제, 특히 양자역학의 수소 원자, 전자기학의 다중극 전개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르장드르 다항식은 초기하 급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리 군과 리만 대칭 공간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직교 다항식 - 르장드르 다항식
르장드르 다항식은 르장드르 미분 방정식의 해로 정의되는 직교 다항식 계열로, 생성 함수, 로드리게스 공식, 또는 점화식을 통해 정의될 수 있으며, 물리학, 공학, 수치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직교 다항식 - 라게르 다항식
라게르 다항식은 로드리게스 공식이나 점화 관계로 정의되는 직교 다항식의 일종으로, 물리학에서 인자 생략 여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며, 일반화된 라게르 다항식은 특정 미분 방정식의 해로서 양자 역학의 수소 원자 문제 등 물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원자물리학 - 보어 반지름
보어 반지름()은 물리 상수들로 정의되며, 약 5.292 × 10-11 m의 값을 가지고, 보어 모형에서 가장 안쪽 전자 궤도의 반지름으로 제시되어 원자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된다. - 원자물리학 - 스핀-궤도 상호작용
스핀-궤도 상호작용은 전자의 스핀 각운동량과 궤도 각운동량의 결합으로 발생하는 상대론적 효과로, 원자 스펙트럼의 미세 구조를 설명하고 고체 내 에너지띠 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르장드르 연관 함수 |
---|
2. 정의
연관 르장드르 다항식은 음이 아닌 정수 매개변수 ℓ과 m에 대해 정의되며, 로 표기한다.
이 함수는 일반 르장드르 다항식의 도함수(''m'' ≥ 0)를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1]
:
이때, 인자는 콘돈-쇼틀리 위상이라고 부르며, 일부 저자들은 생략하기도 한다.
로드리게스 공식을 이용하면, 는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
:
위 식을 통해 ''m''의 범위를 -''ℓ'' ≤ ''m'' ≤ ''ℓ'' 로 확장할 수 있다. 는 서로 비례하며, 그 비례 상수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
2. 1. 음이 아닌 정수 매개변수 ℓ과 m에 대한 정의
이 함수는 로 표시되며, 윗첨자는 차수를 나타내고 ''P''의 거듭제곱이 아님을 나타낸다. 이 함수는 일반 르장드르 다항식의 도함수(''m'' ≥ 0)로 가장 직접적으로 정의된다.[1]:
이 공식의 Condon–Shortley phase|콘돈-쇼틀리 위상영어 인자는 일부 저자는 생략한다. 이 방정식으로 설명된 함수가 매개변수 ''ℓ'' 및 ''m''의 표시된 값으로 일반 르장드르 미분 방정식을 만족한다는 것은 에 대한 르장드르 방정식을 ''m''번 미분하여 따른다.
또한, 로드리게스 공식에 의해,
:
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
이 방정식은 ''m''의 범위를 -''ℓ'' ≤ ''m'' ≤ ''ℓ'' 로 확장할 수 있다.
2. 2. 닫힌 형식
연관 르장드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이는 단순한 단항식과 일반화된 이항 계수를 사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2. 3. 다른 표기법
다음과 같은 다른 표기법도 문헌에서 사용된다.[2]:
3. 성질
연관 르장드르 다항식은 모든 경우에 서로 직교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는 와 직교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부분 집합에 대해서는 직교성을 만족한다.
3. 1. 직교성
고정된 m에 대해 서로 다른 ℓ에 대한 연관 르장드르 다항식은 구간 [-1, 1]에서 직교한다.:
여기서 δ''k'',''ℓ''는 크로네커 델타이다.
또한, 고정된 ℓ에 대해 다음 직교 조건을 만족한다.
:
3. 2. 음의 m 및/또는 음의 ℓ
음의 ''m''에 대한 함수는 양의 ''m''에 대한 함수와 비례한다.:
(이는 로드리게스 공식 정의에서 비롯되었으며, 이 정의는 다양한 재귀 관계가 양수 또는 음수 ''m''에 대해 모두 성립하도록 한다.)
만약 이면, 이다.
미분 방정식은 로의 변경에 대해서도 불변이므로, 음의 에 대한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3. 3. 홀짝성 (Parity)
정의로부터, 르장드르 연관 함수는 다음 식에 따라 짝함수 또는 홀함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4. 처음 몇 개의 연관 르장드르 함수
음의 ''m'' 값에 대한 함수를 포함한, 처음 몇 개의 연관 르장드르 함수는 다음과 같다.
:
:
:
:
:
5. 재귀 공식 (Recurrence formula)
연관 르장드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재귀 관계를 만족한다.
:
:
:
:
:
:
:
:
:
:
:
:
:
:
:
유용한 항등식 (첫 번째 재귀 관계의 초기값)
:
:
:
여기서 !!는 이중 계승이다.
6. 가운트 공식 (Gaunt's formula)
세 개의 연관 르장드르 다항식(차수가 일치)의 곱에 대한 적분은 르장드르 다항식의 곱을 르장드르 다항식에 선형인 급수로 전개할 때 필요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이는 하트리-폭 방법과 같은 원자 계산을 수행할 때 쿨롱 연산자의 행렬 요소가 필요할 때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가운트 공식이 있다.[3]
:
이 공식은 다음 가정을 적용하여 사용된다.
- 차수는 음이 아닌 정수
- 세 개의 차수는 모두 음이 아닌 정수
- 는 세 개의 차수 중 가장 크다.
- 차수는 로 합산된다.
- 차수는 을 따른다.
공식에 나타나는 다른 양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
적분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0이다.
- 차수의 합이 짝수이므로 는 정수이다.
- 삼각 조건 이 만족한다.
동과 레무스 (2002)[4]는 이 공식의 유도를 임의의 수의 연관 르장드르 다항식의 곱에 대한 적분으로 일반화했다.
7. 초기하 함수를 통한 일반화 (Generalization via hypergeometric functions)
연관 르장드르 다항식은 초기하 함수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복소수 매개변수와 인수에 대해 정의할 수 있다.[1]
:
여기서 는 감마 함수이고 는 초기하 함수이다.
:
이 함수들은 이러한 보다 일반적인 방식으로 정의될 때 르장드르 함수라고 불린다. 이 함수들은 이전과 동일한 미분 방정식을 만족한다.
:
이는 2차 미분 방정식이므로,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두 번째 해 를 갖는다.
:
와 는 모두 이전에 주어진 다양한 재귀 공식을 따른다.
8. 각도에 대한 재매개변수화 (Reparameterization in terms of angles)
이 함수들은 인수가 각도로 재매개변수화될 때 가장 유용하며, 로 둔다.
관계식 를 사용하여, 위에 주어진 목록은 다음과 같이 재매개변수화된 처음 몇 개의 다항식을 생성한다.
위에 주어진 직교 관계는 이 공식에서 다음과 같다. 고정된 ''m''에 대해, 는 가중치 를 사용하여 에서 θ로 매개변수화된 직교 함수이다.
또한, 고정된 ''ℓ''에 대해:
θ로 표현하면 는 다음의 해이다.
더 정확하게는, 정수 ''m''0이 주어지면, 위의 방정식은 ''ℓ''이 정수 ≥ ''m''이고, 해당 해가 에 비례할 때, 일 때만 특이점이 없는 해를 갖는다.
9. 물리학에서의 응용: 구면 조화 함수 (Applications in physics: spherical harmonics)
물리학에서 구면 좌표계를 사용하는 많은 문제들은 구면 대칭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각도에 관한 연관 르장드르 다항식이 자주 등장한다. 구면 좌표계에서 극각은 위에 사용된 각도 와 같고, 경도 각 는 곱셈 인자로 나타난다. 이 두 각도를 함께 사용하여 구면 조화 함수라고 불리는 함수 집합을 만들 수 있다. 이 함수는 리만 구의 리 군 SO(3)의 작용에 대한 대칭성을 나타낸다.[5]
이 함수들이 유용한 이유는 구 표면에서 다음과 같은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구면 좌표계 θ (극각) 및 φ (경도)에서 라플라시안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다음의 편미분 방정식
을 변수 분리 방법으로 풀면, 정수 m≥0에 대해 φ에 의존하는 부분 또는 를 얻을 수 있다. θ에 의존하는 부분에 대한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이 방정식의 해는 이고 인 이다.
따라서,
방정식은 일 때만 특이점이 없는 분리된 해를 가지며, 이 해는 다음과 비례한다.
및
각 ''ℓ''에 대해, 다양한 ''m'' 값과 사인 및 코사인의 선택에 대해 2''ℓ'' + 1 개의 함수가 존재한다. 이 함수들은 구의 표면에서 적분할 때 ''ℓ''과 ''m'' 모두에서 직교한다.
일반적으로 해는 복소 지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여기서 는 구면 조화 함수이며, 제곱근 안의 값은 정규화 인자이다. 양수 및 음수 ''m''에 대한 연관 르장드르 함수 간의 관계를 통해, 구면 조화 함수는 다음 항등식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5]
구면 조화 함수는 푸리에 급수의 의미에서 완전한 정규 직교 함수 집합을 형성한다. 측지학, 지구 자기학 및 스펙트럼 분석 분야에서는 다른 위상 및 정규화 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구면 조화 함수 참조)
3차원 구형 대칭 편미분 방정식이 구면 좌표에서 변수 분리 방법을 통해 풀리면, 반경 부분을 제거한 후 남는 부분은 일반적으로 다음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이 방정식의 해는 구면 조화 함수가 된다.
10. 일반화 (Generalizations)
르장드르 다항식은 초기하 급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는 구면 조화 함수의 형태로, 리만 구의 대칭성을 리 군(Lie group) SO(3)의 작용으로 표현한다. SO(3) 외에도 다른 많은 리 군이 존재하며, 르장드르 다항식과 유사하게 반 단순 리 군과 리만 대칭 공간의 대칭성을 표현하도록 일반화할 수 있다.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대칭 공간에서 라플라시안을 정의할 수 있고, 라플라시안의 고유 함수는 구면 조화 함수를 일반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1]
참조
[1]
서적
1953
[2]
서적
[3]
서적
Quantum Theory of Atomic Structure
McGraw-Hill
1960
[4]
논문
The overlap integral of three associated Legendre polynomials
http://www.sciencedi[...]
2002
[5]
문서
[6]
서적
工学における特殊関数
共立出版
[7]
웹사이트
Legendre Differential Equation
http://mathworld.wo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