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게르 다항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게르 다항식은 로드리게스 공식으로 정의되는 다항식의 일종이다. 물리학에서는 1/n! 인자를 생략하고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라게르 다항식은 재귀적 정의, 닫힌 형식, 그리고 생성 함수를 통해 표현될 수 있으며, 일반화된 라게르 다항식도 존재한다. 라게르 다항식은 직교성을 가지며, 양자역학에서 수소 원자, 진동 전자 전이, 3차원 양자 조화 진동자 등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에드몽 라게르에 의해 1878년에 처음 소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직교 다항식 - 르장드르 다항식
    르장드르 다항식은 르장드르 미분 방정식의 해로 정의되는 직교 다항식 계열로, 생성 함수, 로드리게스 공식, 또는 점화식을 통해 정의될 수 있으며, 물리학, 공학, 수치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직교 다항식 - 체비쇼프 다항식
    체비쇼프 다항식은 재귀적 정의, 삼각 함수 정의, 최소 상한 노름 등 여러 동치 조건으로 정의되는 실수 다항식으로, 제1종 다항식(T_n)과 제2종 다항식(U_n)으로 나뉘며 수치 해석 분야에 활용된다.
  • 특수 초기하함수 - 지수 함수
    지수 함수는 양의 상수 *a*를 밑으로 하는 *y = ax* 형태의 함수이며, 특히 자연로그의 역함수인 *ex*는 다양한 정의와 응용을 가지며 복소수로 확장될 수 있다.
  • 특수 초기하함수 - 르장드르 다항식
    르장드르 다항식은 르장드르 미분 방정식의 해로 정의되는 직교 다항식 계열로, 생성 함수, 로드리게스 공식, 또는 점화식을 통해 정의될 수 있으며, 물리학, 공학, 수치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다항식 - 르장드르 다항식
    르장드르 다항식은 르장드르 미분 방정식의 해로 정의되는 직교 다항식 계열로, 생성 함수, 로드리게스 공식, 또는 점화식을 통해 정의될 수 있으며, 물리학, 공학, 수치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다항식 - 행렬식
    행렬식은 정사각 행렬에 대해 정의되는 값으로, 선형 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선형 독립성을 확인하며 기저의 방향과 부피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가우스 소거법 등의 계산 기법과 가역성 판단, 고유값 연관성 등의 성질을 갖는다.
라게르 다항식
개요
종류직교 다항식
변수x
기호Lₙ(x)
정의'Lₙ(x) = (eˣ/n!) dⁿ/dxⁿ (e⁻ˣxⁿ)'
성질직교성, 점화식, 로드리게스 공식, 생성 함수
라게르 다항식 (Laguerre Polynomials)
정의n차 라게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됨: Lₙ(x) = (eˣ/n!) dⁿ/dxⁿ (e⁻ˣxⁿ)
로드리게스 공식'Lₙ(x) = (eˣ/n!) dⁿ/dxⁿ (e⁻ˣxⁿ)'
직교성'∫₀^∞ e⁻ˣ Lₘ(x) Lₙ(x) dx = δₘₙ' (m ≠ n일 때 0, m = n일 때 1)
생성 함수'∑ₙ₀^∞ Lₙ(x) tⁿ = 1/(1-t) e^(-xt/(1-t))'
점화식L₀(x) = 1
L₁(x) = 1 - x
(n+1)Lₙ₊₁(x) = (2n+1-x)Lₙ(x) - nLₙ₋₁(x)
예시L₀(x) = 1
L₁(x) = -x + 1
L₂(x) = (x² - 4x + 2) / 2
L₃(x) = (-x³ + 9x² - 18x + 6) / 6
일반화된 라게르 다항식 (Associated Laguerre Polynomials)
다른 이름라게르 곁다항식, 연관 라게르 다항식
정의Lₙ^(k)(x) = (-1)ᵏ dᵏ/dxᵏ Lₙ₊ₖ(x)
로드리게스 공식'Lₙ^(α)(x) = (x⁻ᵅ eˣ / n!) dⁿ/dxⁿ (e⁻ˣ x^(n+α))'
직교성'∫₀^∞ xᵅ e⁻ˣ Lₘ^(α)(x) Lₙ^(α)(x) dx = Γ(n+α+1)/n! δₘₙ'
생성 함수'∑ₙ₀^∞ Lₙ^(α)(x) tⁿ = (1-t)^(-α-1) e^(-xt/(1-t))'
점화식L₀^(α)(x) = 1
L₁^(α)(x) = 1 + α - x
(n+1)Lₙ₊₁^(α)(x) = (2n+1+α-x)Lₙ^(α)(x) - (n+α)Lₙ₋₁^(α)(x)
예시L₀^(α)(x) = 1
L₁^(α)(x) = -x + α + 1
L₂^(α)(x) = (x² + 2(-α - 2)x + (α + 2)(α + 1)) / 2
응용
양자역학수소 원자의 슈뢰딩거 방정식의 해
관련 함수
라게르 함수'f(x) = e^(-x/2) Lₙ(x)'
참고 문헌

2. 정의

'''라게르 다항식'''(L_n)은 로드리게스 공식(Rodrigues formula영어)으로 정의된다.

:L_n(x)=\frac1{n!}\exp(x)\frac{d^n}{dx^n}\exp(-x)x^n

물리학에서는 1/n! 인자를 생략하고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라게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처음 두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L_0(x) = 1

:L_1(x) = 1 - x

그 다음, 임의의 k \ge 1에 대해 다음 점화 관계를 사용한다.

:L_{k + 1}(x) = \frac{(2k + 1 - x)L_k(x) - k L_{k - 1}(x)}{k + 1}.

또한, 다음 관계식도 성립한다.

: x L'_n(x) = nL_n (x) - nL_{n-1}(x).

일부 경계값 문제에서 다음 특성값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L_{k}(0) = 1, L_{k}'(0) = -k.

'''닫힌 형식'''은 다음과 같다.

:L_n(x)=\sum_{k=0}^n \binom{n}{k}\frac{(-1)^k}{k!} x^k .

이에 대한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sum_{n=0}^\infty t^n L_n(x)= \frac{1}{1-t} e^{-tx/(1-t)}.

연산자 형태는 다음과 같다.

:L_n(x) = \frac{1}{n!}e^x \frac{d^n}{dx^n} (x^n e^{-x})

음수 지수의 다항식은 양수 지수의 다항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L_{-n}(x)=e^xL_{n-1}(-x).

임의의 실수 \alpha에 대한 다음 미분 방정식의 다항식 해[2]는 '''일반화 라게르 다항식''' 또는 '''연관 라게르 다항식'''이라고 한다.

:x\,y'' + \left(\alpha +1 - x\right) y' + n\,y = 0

처음 몇 개의 일반화 라게르 다항식


일반화 라게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처음 두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L^{(\alpha)}_0(x) = 1

:L^{(\alpha)}_1(x) = 1 + \alpha - x

그리고 k \ge 1인 모든 경우에 대해 다음 재귀 관계를 사용한다.

:L^{(\alpha)}_{k + 1}(x) = \frac{(2k + 1 + \alpha - x)L^{(\alpha)}_k(x) - (k + \alpha) L^{(\alpha)}_{k - 1}(x)}{k + 1}.

단순 라게르 다항식은 일반화 라게르 다항식의 특수한 경우(\alpha = 0)이다.

:L^{(0)}_n(x) = L_n(x).

로드리게스 공식은 다음과 같다.

:L_n^{(\alpha)}(x) = {x^{-\alpha} e^x \over n!}{d^n \over dx^n} \left(e^{-x} x^{n+\alpha}\right)

= \frac{x^{-\alpha}}{n!}\left( \frac{d}{dx}-1\right)^nx^{n+\alpha}.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sum_{n=0}^\infty t^n L^{(\alpha)}_n(x)= \frac{1}{(1-t)^{\alpha+1}} e^{-tx/(1-t)}.

3. 성질

라게르 다항식은 여러 가지 흥미로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라게르 다항식은 재귀적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처음 두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 L_0(x) = 1
  • L_1(x) = 1 - x


이후, k ≥ 1 인 경우 다음 점화식을 사용한다.

:L_{k + 1}(x) = \frac{(2k + 1 - x)L_k(x) - k L_{k - 1}(x)}{k + 1}.

또한, 다음 관계식이 성립한다.

: x L'_n(x) = nL_n (x) - nL_{n-1}(x).

경계값 문제에서 유용한 특성값은 다음과 같다.

:L_{k}(0) = 1, L_{k}'(0) = -k.

닫힌 형식은 다음과 같다.

:L_n(x)=\sum_{k=0}^n \binom{n}{k}\frac{(-1)^k}{k!} x^k .

생성함수는 다음과 같다.

:\sum_{n=0}^\infty t^n L_n(x)= \frac{1}{1-t} e^{-tx/(1-t)}.

음수 지수 다항식은 양수 지수 다항식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L_{-n}(x)=e^xL_{n-1}(-x).

일반화 라게르 다항식(연관 라게르 다항식)은 다음 미분 방정식의 다항식 해이다.[2]

:x\,y'' + \left(\alpha +1 - x\right) y' + n\,y = 0

일반화 라게르 다항식은 재귀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처음 두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 L^{(\alpha)}_0(x) = 1
  • L^{(\alpha)}_1(x) = 1 + \alpha - x


그리고 k ≥ 1 인 모든 경우에 대해 다음 재귀 관계를 사용한다.

:L^{(\alpha)}_{k + 1}(x) = \frac{(2k + 1 + \alpha - x)L^{(\alpha)}_k(x) - (k + \alpha) L^{(\alpha)}_{k - 1}(x)}{k + 1}.

일반 라게르 다항식은 일반화 라게르 다항식의 특수한 경우(α = 0)이다.

:L^{(0)}_n(x) = L_n(x).

로드리게스 공식은 다음과 같다.

:L_n^{(\alpha)}(x) = {x^{-\alpha} e^x \over n!}{d^n \over dx^n} \left(e^{-x} x^{n+\alpha}\right)

= \frac{x^{-\alpha}}{n!}\left( \frac{d}{dx}-1\right)^nx^{n+\alpha}.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sum_{n=0}^\infty t^n L^{(\alpha)}_n(x)= \frac{1}{(1-t)^{\alpha+1}} e^{-tx/(1-t)}.

  • 라게르 함수는 합류적 초기하 함수와 Kummer 변환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3]

: L_n^{(\alpha)}(x) := {n+ \alpha \choose n} M(-n,\alpha+1,x).

  • n차 일반화 라게르 다항식의 닫힌 형식은 다음과 같다.[5]

: L_n^{(\alpha)} (x) = \sum_{i=0}^n (-1)^i {n+\alpha \choose n-i} \frac{x^i}{i!}

처음 몇 개의 일반화된 라게르 다항식은 아래 표와 같다.

nL_n^{(\alpha)}(x)\,
01\,
1-x+\alpha +1\,
2 \tfrac{1}{2} (x^2-2\left( \alpha +2 \right) x+\left( \alpha +1 \right) \left( \alpha +2 \right)) \,
3\tfrac{1}{6} (-x^3+3\left( \alpha +3 \right) x^2-3\left( \alpha +2 \right) \left( \alpha +3 \right) x+\left( \alpha +1 \right) \left( \alpha +2 \right) \left( \alpha +3 \right)) \,
4\tfrac{1}{24} (x^4-4\left( \alpha +4 \right) x^3+6\left( \alpha +3 \right) \left( \alpha +4 \right) x^2-4\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4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4 \right)) \,
5\tfrac{1}{120} (-x^5+5\left( \alpha +5 \right) x^4-10\left( \alpha +4 \right) \left( \alpha +5 \right) x^3+10\left( \alpha +3 \right) \cdots \left( \alpha +5 \right) x^2-5\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5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5 \right)) \,
6\tfrac{1}{720} (x^6-6\left( \alpha +6 \right) x^5+15\left( \alpha +5 \right) \left( \alpha +6 \right) x^4-20\left( \alpha +4 \right) \cdots \left( \alpha +6 \right) x^3+15\left( \alpha +3 \right) \cdots \left( \alpha +6 \right) x^2-6\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6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6 \right)) \,
7\tfrac{1}{5040} (-x^7+7\left( \alpha +7 \right) x^6-21\left( \alpha +6 \right) \left( \alpha +7 \right) x^5+35\left( \alpha +5 \right) \cdots \left( \alpha +7 \right) x^4-35\left( \alpha +4 \right) \cdots \left( \alpha +7 \right) x^3+21\left( \alpha +3 \right) \cdots \left( \alpha +7 \right) x^2-7\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7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7 \right)) \,
8\tfrac{1}{40320} (x^8-8\left( \alpha +8 \right) x^7+28\left( \alpha +7 \right) \left( \alpha +8 \right) x^6-56\left( \alpha +6 \right) \cdots \left( \alpha +8 \right) x^5+70\left( \alpha +5 \right) \cdots \left( \alpha +8 \right) x^4-56\left( \alpha +4 \right) \cdots \left( \alpha +8 \right) x^3+28\left( \alpha +3 \right) \cdots \left( \alpha +8 \right) x^2-8\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8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8 \right)) \,
9\tfrac{1}{362880} (-x^9+9\left( \alpha +9 \right) x^8-36\left( \alpha +8 \right) \left( \alpha +9 \right) x^7+84\left( \alpha +7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x^6-126\left( \alpha +6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x^5+126\left( \alpha +5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x^4-84\left( \alpha +4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x^3+36\left( \alpha +3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x^2-9\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
10\tfrac{1}{3628800} (x^{10}-10\left( \alpha +10 \right) x^9+45\left( \alpha +9 \right) \left( \alpha +10 \right) x^8-120\left( \alpha +8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7+210\left( \alpha +7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6-252\left( \alpha +6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5+210\left( \alpha +5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4-120\left( \alpha +4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3+45\left( \alpha +3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2-10\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


  • 최고차항의 계수는 (−1)''n''/''n''! 이다.
  • 상수항(0에서의 값)은 L_n^{(\alpha)}(0) = {n+\alpha\choose n} = \frac{\Gamma(n + \alpha + 1)}{n!\, \Gamma(\alpha + 1)};이다.


α가 음수가 아니면, ''L''''n''(''α'')은 ''n''개의 실수, 엄격하게 양의 을 가지며, 이 모든 근은 구간 \left( 0, n+\alpha+ (n-1) \sqrt{n+\alpha} \, \right] 안에 있다.

큰 n에 대한 다항식의 점근적 거동은 다음과 같다(단, α와 x > 0는 고정).[6][7]

:

\begin{align}

& L_n^{(\alpha)}(x) = \frac{n^{\frac{\alpha}{2}-\frac{1}{4}}}{\sqrt{\pi}} \frac{e^{\frac{x}{2}}}{x^{\frac{\alpha}{2}+\frac{1}{4}}} \sin\left(2 \sqrt{nx}- \frac{\pi}{2}\left(\alpha-\frac{1}{2} \right) \right)+O\left(n^{\frac{\alpha}{2}-\frac{3}{4}}\right), \\[6pt]

& L_n^{(\alpha)}(-x) = \frac{(n+1)^{\frac{\alpha}{2}-\frac{1}{4}}}{2\sqrt{\pi}} \frac{e^{-x/2}}{x^{\frac{\alpha}{2}+\frac{1}{4}}} e^{2 \sqrt{x(n+1)}} \cdot\left(1+O\left(\frac{1}{\sqrt{n+1}}\right)\right),

\end{align}



이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rac{L_n^{(\alpha)}\left(\frac x n\right)}{n^\alpha}\approx e^{x/ 2n} \cdot \frac{J_\alpha\left(2\sqrt x\right)}{\sqrt x^\alpha},

여기서 J_\alpha는 베셀 함수이다.

일반화된 라게르 다항식은 에르미트 다항식과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 H_{2n}(x) = (-1)^n 2^{2n} n! L_n^{(-1/2)} (x^2)
  • H_{2n+1}(x) = (-1)^n 2^{2n+1} n! x L_n^{(1/2)} (x^2)

여기서 H_n(x)는 가중 함수 \exp(-x^2)를 기반으로 하는 에르미트 다항식(물리학자 버전)이다.

이러한 관계 때문에 일반화된 라게르 다항식은 양자 조화 진동자를 다룰 때 나타난다.

라게르 다항식은 초기하 함수, 구체적으로는 합류형 초기하 함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L^{(\alpha)}_n(x) = {n+\alpha \choose n} M(-n,\alpha+1,x) =\frac{(\alpha+1)_n} {n!} \,_1F_1(-n,\alpha+1,x)

여기서 (a)_n포흐하머 기호(상승 계승)이다.

일반화된 라게르 다항식은 하디-힐 공식을 만족한다.[14][15]

:\sum_{n=0}^\infty \frac{n!\,\Gamma\left(\alpha + 1\right)}{\Gamma\left(n+\alpha+1\right)}L_n^{(\alpha)}(x)L_n^{(\alpha)}(y)t^n=\frac{1}{(1-t)^{\alpha + 1}}e^{-(x+y)t/(1-t)}\,_0F_1\left(;\alpha + 1;\frac{xyt}{(1-t)^2}\right),

여기서 왼쪽의 급수는 \alpha>-1|t|<1에 대해 수렴한다. 다음 항등식을 사용하면,

:\,_0F_1(;\alpha + 1;z)=\,\Gamma(\alpha + 1) z^{-\alpha/2} I_\alpha\left(2\sqrt{z}\right),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다.

:\sum_{n=0}^\infty \frac{n!}{\Gamma(1+\alpha+n)}L_n^{(\alpha)}(x)L_n^{(\alpha)}(y) t^n = \frac{1}{(xyt)^{\alpha/2}(1-t)}e^{-(x+y)t/(1-t)} I_\alpha \left(\frac{2\sqrt{xyt}}{1-t}\right).

3. 1. 직교성

라게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직교 관계를 만족시킨다.

:\int_{0}^\infty L_m(x)L_n(x)e^{-x}=\delta_{mn}

여기서 \delta_{mn}크로네커 델타이다.

일반화된 라게르 다항식은 가중 함수 x^\alpha e^{-x}에 대해 (0, \infty)에서 직교성을 갖는다.[10]

:\int_0^\infty x^\alpha e^{-x} L_n^{(\alpha)}(x)L_m^{(\alpha)}(x)dx=\frac{\Gamma(n+\alpha+1)}{n!} \delta_{n,m},

이는 다음에서 비롯된다.

:\int_0^\infty x^{\alpha'-1} e^{-x} L_n^{(\alpha)}(x)dx= {\alpha-\alpha'+n \choose n} \Gamma(\alpha').

만약 \Gamma(x,\alpha+1,1)이 감마 분포를 나타낸다면, 직교 관계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int_0^{\infty} L_n^{(\alpha)}(x)L_m^{(\alpha)}(x)\Gamma(x,\alpha+1,1) dx={n+ \alpha \choose n}\delta_{n,m},

양자 역학에서 수소 원자를 다룰 때 필요한 적분은 다음과 같다.

:\int_0^{\infty}x^{\alpha+1} e^{-x} \left[L_n^{(\alpha)} (x)\right]^2 dx= \frac{(n+\alpha)!}{n!}(2n+\alpha+1).

3. 2. 점화식과 생성함수

라게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따른다.[8]

:L_{n+1}(x)=\frac1{n+1} \left( (2n+1- x)L_n(x)-nL_{n-1}(x)\right)

라게르 다항식의 생성함수는 다음과 같다.[8]

:\sum_n^\infty t^nL_n(x)=\frac1{1-t}\exp\left(\frac{-tx}{1-t}\right)

이를 전개하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얻을 수 있다.[8]

:L_n(x)=\sum_{k=0}^n (n-k)\binom nk^2 \frac{(-1)^k}{k!}x^k

라게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처음 두 다항식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8]

:L_0(x) = 1

:L_1(x) = 1 - x

그 다음, 임의의 k ≥ 1 에 대해 다음의 점화 관계를 사용한다.[8]

:L_{k + 1}(x) = \frac{(2k + 1 - x)L_k(x) - k L_{k - 1}(x)}{k + 1}.

또한, 다음 식이 성립한다.[8]

: x L'_n(x) = nL_n (x) - nL_{n-1}(x).

일부 경계값 문제의 해에서 특성 값이 유용할 수 있다.[8]

:L_{k}(0) = 1, L_{k}'(0) = -k.

라게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점화 관계를 만족한다.[8]

:L_n^{(\alpha)}(x)= \sum_{i=0}^n L_{n-i}^{(\alpha+i)}(y)\frac{(y-x)^i}{i!},

특히[8]

:L_n^{(\alpha+1)}(x)= \sum_{i=0}^n L_i^{(\alpha)}(x)

그리고[8]

:L_n^{(\alpha)}(x)= \sum_{i=0}^n {\alpha-\beta+n-i-1 \choose n-i} L_i^{(\beta)}(x),

또는[8]

:L_n^{(\alpha)}(x)=\sum_{i=0}^n {\alpha-\beta+n \choose n-i} L_i^{(\beta- i)}(x);

더욱이[8]

:\begin{align}

L_n^{(\alpha)}(x)- \sum_{j=0}^{\Delta-1} {n+\alpha \choose n-j} (-1)^j \frac{x^j}{j!}&= (-1)^\Delta\frac{x^\Delta}{(\Delta-1)!} \sum_{i=0}^{n-\Delta} \frac{(n-i){n \choose i}}L_i^{(\alpha+\Delta)}(x)\\[6pt]

&=(-1)^\Delta\frac{x^\Delta}{(\Delta-1)!} \sum_{i=0}^{n-\Delta} \frac{(n-i){n \choose i}}L_i^{(n+\alpha+\Delta-i)}(x)

\end{align}

이들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네 개의 3점 규칙을 도출할 수 있다.[8]

:\begin{align}

L_n^{(\alpha)}(x) &= L_n^{(\alpha+1)}(x) - L_{n-1}^{(\alpha+1)}(x) = \sum_{j=0}^k {k \choose j}(-1)^j L_{n-j}^{(\alpha+k)}(x), \\[10pt]

n L_n^{(\alpha)}(x) &= (n + \alpha )L_{n-1}^{(\alpha)}(x) - x L_{n-1}^{(\alpha+1)}(x), \\[10pt]

& \text{또는 } \\

\frac{x^k}{k!}L_n^{(\alpha)}(x) &= \sum_{i=0}^k (-1)^i {n+i \choose i} {n+\alpha \choose k-i} L_{n+i}^{(\alpha-k)}(x), \\[10pt]

n L_n^{(\alpha+1)}(x) &= (n-x) L_{n-1}^{(\alpha+1)}(x) + (n+\alpha)L_{n-1}^{(\alpha)}(x) \\[10pt]

x L_n^{(\alpha+1)}(x) &= (n+\alpha)L_{n-1}^{(\alpha)}(x)-(n-x)L_n^{(\alpha)}(x);

\end{align}

이들을 결합하면 다음과 같은 추가적이고 유용한 점화 관계가 얻어진다.[8]

:\begin{align}

L_n^{(\alpha)}(x)&= \left(2+\frac{\alpha-1-x}n \right)L_{n-1}^{(\alpha)}(x)- \left(1+\frac{\alpha-1}n \right)L_{n-2}^{(\alpha)}(x)\\[10pt]

&= \frac{\alpha+1-x}n L_{n-1}^{(\alpha+1)}(x)- \frac x n L_{n-2}^{(\alpha+2)}(x)

\end{align}

3. 3. 일반화 라게르 다항식

임의의 실수 α에 대한 다음 미분 방정식의 다항식 해는[2] '''일반화 라게르 다항식''' 또는 '''연관 라게르 다항식'''이라고 한다.

:x\,y'' + \left(\alpha +1 - x\right) y' + n\,y = 0

일반화 라게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L^{(\alpha)}_0(x) = 1

:L^{(\alpha)}_1(x) = 1 + \alpha - x

그리고 k ≥ 1 인 모든 경우에 대해 다음의 재귀 관계를 사용한다.

:L^{(\alpha)}_{k + 1}(x) = \frac{(2k + 1 + \alpha - x)L^{(\alpha)}_k(x) - (k + \alpha) L^{(\alpha)}_{k - 1}(x)}{k + 1}.

단순 라게르 다항식은 일반화 라게르 다항식의 특수한 경우( α = 0 )이다.

:L^{(0)}_n(x) = L_n(x).

로드리게스 공식은 다음과 같다.

:L_n^{(\alpha)}(x) = {x^{-\alpha} e^x \over n!}{d^n \over dx^n} \left(e^{-x} x^{n+\alpha}\right)

= \frac{x^{-\alpha}}{n!}\left( \frac{d}{dx}-1\right)^nx^{n+\alpha}.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sum_{n=0}^\infty t^n L^{(\alpha)}_n(x)= \frac{1}{(1-t)^{\alpha+1}} e^{-tx/(1-t)}.

  • 라게르 함수는 합류적 초기하 함수와 Kummer 변환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3]

: L_n^{(\alpha)}(x) := {n+ \alpha \choose n} M(-n,\alpha+1,x).

: 여기서 {n+ \alpha \choose n}은 일반화된 이항 계수이다. n이 정수일 때 함수는 n차 다항식으로 축소된다. 이는 제2종 쿠머 함수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다른 표현식을 갖는다.[4]

:L_n^{(\alpha)}(x)= \frac {(-1)^n}{n!} U(-n,\alpha+1,x)

  • n차 일반화 라게르 다항식의 닫힌 형식은 다음과 같다.[5]

: L_n^{(\alpha)} (x) = \sum_{i=0}^n (-1)^i {n+\alpha \choose n-i} \frac{x^i}{i!}

:이는 곱의 미분에 대한 라이프니츠 정리를 로드리게스 공식에 적용하여 얻어진다.

  • 라게르 다항식은 밀접하게 관련된 에르미트 다항식과 마찬가지로 미분 연산자 표현을 갖는다. 즉, D = \frac{d}{dx}이고 미분 연산자 M=xD^2+(\alpha+1)D를 고려한다. 그러면 \exp(-tM)x^n=(-1)^nt^nn!L^{(\alpha)}_n\left(\frac{x}{t}\right)이다.
  • 처음 몇 개의 일반화된 라게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nL_n^{(\alpha)}(x)\,
01\,
1-x+\alpha +1\,
2 \tfrac{1}{2} (x^2-2\left( \alpha +2 \right) x+\left( \alpha +1 \right) \left( \alpha +2 \right)) \,
3\tfrac{1}{6} (-x^3+3\left( \alpha +3 \right) x^2-3\left( \alpha +2 \right) \left( \alpha +3 \right) x+\left( \alpha +1 \right) \left( \alpha +2 \right) \left( \alpha +3 \right)) \,
4\tfrac{1}{24} (x^4-4\left( \alpha +4 \right) x^3+6\left( \alpha +3 \right) \left( \alpha +4 \right) x^2-4\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4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4 \right)) \,
5\tfrac{1}{120} (-x^5+5\left( \alpha +5 \right) x^4-10\left( \alpha +4 \right) \left( \alpha +5 \right) x^3+10\left( \alpha +3 \right) \cdots \left( \alpha +5 \right) x^2-5\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5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5 \right)) \,
6\tfrac{1}{720} (x^6-6\left( \alpha +6 \right) x^5+15\left( \alpha +5 \right) \left( \alpha +6 \right) x^4-20\left( \alpha +4 \right) \cdots \left( \alpha +6 \right) x^3+15\left( \alpha +3 \right) \cdots \left( \alpha +6 \right) x^2-6\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6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6 \right)) \,
7\tfrac{1}{5040} (-x^7+7\left( \alpha +7 \right) x^6-21\left( \alpha +6 \right) \left( \alpha +7 \right) x^5+35\left( \alpha +5 \right) \cdots \left( \alpha +7 \right) x^4-35\left( \alpha +4 \right) \cdots \left( \alpha +7 \right) x^3+21\left( \alpha +3 \right) \cdots \left( \alpha +7 \right) x^2-7\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7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7 \right)) \,
8\tfrac{1}{40320} (x^8-8\left( \alpha +8 \right) x^7+28\left( \alpha +7 \right) \left( \alpha +8 \right) x^6-56\left( \alpha +6 \right) \cdots \left( \alpha +8 \right) x^5+70\left( \alpha +5 \right) \cdots \left( \alpha +8 \right) x^4-56\left( \alpha +4 \right) \cdots \left( \alpha +8 \right) x^3+28\left( \alpha +3 \right) \cdots \left( \alpha +8 \right) x^2-8\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8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8 \right)) \,
9\tfrac{1}{362880} (-x^9+9\left( \alpha +9 \right) x^8-36\left( \alpha +8 \right) \left( \alpha +9 \right) x^7+84\left( \alpha +7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x^6-126\left( \alpha +6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x^5+126\left( \alpha +5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x^4-84\left( \alpha +4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x^3+36\left( \alpha +3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x^2-9\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9 \right)) \,
10\tfrac{1}{3628800} (x^{10}-10\left( \alpha +10 \right) x^9+45\left( \alpha +9 \right) \left( \alpha +10 \right) x^8-120\left( \alpha +8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7+210\left( \alpha +7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6-252\left( \alpha +6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5+210\left( \alpha +5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4-120\left( \alpha +4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3+45\left( \alpha +3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2-10\left( \alpha +2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x+\left( \alpha +1 \right) \cdots \left( \alpha +10 \right)) \,


  • 최고차항의 계수는 (−1)''n''/''n''! 이다.
  • 상수항, 즉 0에서의 값은

:L_n^{(\alpha)}(0) = {n+\alpha\choose n} = \frac{\Gamma(n + \alpha + 1)}{n!\, \Gamma(\alpha + 1)};

  • 만약 α 가 음수가 아니면, ''L''''n''(''α'')은 ''n''개의 실수, 엄격하게 양의 을 갖는다. 이 모든 근은 구간 \left( 0, n+\alpha+ (n-1) \sqrt{n+\alpha} \, \right] 안에 있다.
  • 큰 n에 대한 다항식의 점근적 거동은 다음과 같다. (단, α 와 x > 0 는 고정)[6][7]

:

\begin{align}

& L_n^{(\alpha)}(x) = \frac{n^{\frac{\alpha}{2}-\frac{1}{4}}}{\sqrt{\pi}} \frac{e^{\frac{x}{2}}}{x^{\frac{\alpha}{2}+\frac{1}{4}}} \sin\left(2 \sqrt{nx}- \frac{\pi}{2}\left(\alpha-\frac{1}{2} \right) \right)+O\left(n^{\frac{\alpha}{2}-\frac{3}{4}}\right), \\[6pt]

& L_n^{(\alpha)}(-x) = \frac{(n+1)^{\frac{\alpha}{2}-\frac{1}{4}}}{2\sqrt{\pi}} \frac{e^{-x/2}}{x^{\frac{\alpha}{2}+\frac{1}{4}}} e^{2 \sqrt{x(n+1)}} \cdot\left(1+O\left(\frac{1}{\sqrt{n+1}}\right)\right),

\end{align}



:이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rac{L_n^{(\alpha)}\left(\frac x n\right)}{n^\alpha}\approx e^{x/ 2n} \cdot \frac{J_\alpha\left(2\sqrt x\right)}{\sqrt x^\alpha},

:여기서 J_\alpha는 베셀 함수이다.

4. 처음 몇 개의 라게르 다항식

라게르 다항식의 값들은 다음과 같다.

nn!Ln(x)
01
1-x+1
2{1\over2} (x^2-4x+2)
3{1 \over 6} (-x^3+9x^2-18x+6)
4{1\over24}(x^4-16x^3+72x^2-96x+24)
5{1\over120}(-x^5+25x^4-200x^3+600x^2-600x+120)
6{1 \over 720} (x^6-36x^5+450x^4-2400x^3+5400x^2-4320x+720)



다음은 처음 몇 개의 라게르 다항식이다.

nL_n(x)\,
01\,
1-x+1\,
2 \tfrac{1}{2} (x^2-4x+2) \,
3\tfrac{1}{6} (-x^3+9x^2-18x+6) \,
4\tfrac{1}{24} (x^4-16x^3+72x^2-96x+24) \,
5\tfrac{1}{120} (-x^5+25x^4-200x^3+600x^2-600x+120) \,
6\tfrac{1}{720} (x^6-36x^5+450x^4-2400x^3+5400x^2-4320x+720) \,
7\tfrac{1}{5040} (-x^7+49x^6-882x^5+7350x^4-29400x^3+52920x^2-35280x+5040) \,
8\tfrac{1}{40320} (x^8-64x^7+1568x^6-18816x^5+117600x^4-376320x^3+564480x^2-322560x+40320) \,
9\tfrac{1}{362880} (-x^9+81x^8-2592x^7+42336x^6-381024x^5+1905120x^4-5080320x^3+6531840x^2-3265920x+362880) \,
10\tfrac{1}{3628800} (x^{10}-100x^9+4050x^8-86400x^7+1058400x^6-7620480x^5+31752000x^4-72576000x^3+81648000x^2-36288000x+3628800) \,



5. 응용

라게르 다항식은 양자역학에서 양자 조화 진동자를 분석하거나 수소 유사 원자에 대한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 때, 진동 전자 전이를 설명할 때 사용된다.[11][12]

5. 1. 양자역학

양자역학에서 라게르 다항식은 3차원 등방 양자 조화 진동자를 분석할 때 등장한다. 수소 유사 원자에 대한 슈뢰딩거 방정식은 구면 좌표계에서 변수 분리를 통해 정확히 풀 수 있는데, 파동 함수의 방사형 부분은 일반화된 라게르 다항식이다.[11]

진동 전자 전이는 프랑크-콘돈 근사에서 라게르 다항식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도 있다.[12]

5. 2. 기타 응용

라게르 다항식은 양자역학에서 3차원 등방 양자 조화 진동자를 분석할 때 등장한다.

6. 역사

에드몽 라게르(Edmond Laguerre프랑스어)가 1878년 도입하였다.[24]

참조

[1] 논문 Recherches sur les fonctions cylindriques et le développement des fonctions continues en séries http://www.digizeits[...] 1880
[2] 문서 A&S p. 781
[3] 문서 A&S p. 509
[4] 문서 A&S p. 510
[5] 문서 A&S p. 775
[6] 문서 Szegő, p. 198.
[7] 논문 Effective Laguerre asymptotics 2008
[8] 문서 A&S equation (22.12.6), p. 785
[9] 논문 Identities for families of orthogonal polynomials and special functions
[10] 웹사이트 Associated Laguerre Polynomial http://mathworld.wol[...]
[11] 서적 Quantum Mechanics in Chemistry Prentice Hall
[12] 논문 Resolving the ambiguity in the relation between Stokes shift and Huang–Rhys parameter https://pubs.rsc.org[...] 2015-06-24
[13] 간행물 On the Addition and Multiplication Theorems for the Special Functions http://www.pnas.or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Mathematics 1950
[14] 문서 Szegő, p. 102.
[15] 논문 Operational representations for Laguerre and other polynomials https://projecteucli[...] 1964
[16] 서적 Introduction to quantum mechanics Pearson Prentice Hall 2005
[17] 서적 Modern quantum mechanics Addison-Wesley 2011
[18] 서적 Quantum mechanics Wiley 1998
[19] 서적 Handbook of mathematical functions, with formulas, graphs, and mathematical tables Dover Publications 1965
[20] 서적 Quantum mechanics McGraw-Hill 1968
[21] 서적 Quantum Mechanics. Dover Publications 2014
[22] 서적 Mathematical methods in the physical sciences Wiley 2006
[23] 논문 On the foundations of combinatorial theory. VIII. Finite operator calculus 1973-06-01
[24] 저널 Sur le transformations des fonctions elliptiques https://eudml.org/do[...] 18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