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르의 아들 마나워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나워단 밥 리르는 형 브란 벤디게이드의 유언에 따라 프랑스 방향을 바라보도록 그의 수급을 묻고 친구 프러데리 밥 푸일과 함께 더베드로 돌아온다. 프러데리는 아내 키그바와 재회하고, 마나워단은 과부가 된 리아논과 결혼한다. 프러데리가 켄트로 떠난 뒤 마법의 안개가 나타나 네 사람을 제외한 모든 인간과 가축이 사라진다. 프러데리와 마나워단은 잉글랜드에서 쫓겨나 다시 더베드로 돌아가지만, 프러데리와 리아논은 요새에 갇히고 요새는 사라진다. 마나워단과 키그바는 잉글랜드로 향하지만 쫓겨나고, 쥐 떼에 의해 파괴된 밀밭을 발견한다. 마나워단이 쥐를 붙잡아 매달자 학자, 사제, 주교가 나타나 쥐를 풀어달라고 요청하고, 마나워단은 프러데리와 리아논의 석방과 더베드의 마법 해제를 요구한다. 주교는 쥐가 자신의 아내임을 밝히고, 마법의 안개는 리어드 압 킬 코에드의 복수였음이 드러나면서 더베드의 마법이 풀리고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이 이야기는 아일랜드 신화와 역사적 배경, 복수와 화해의 주제를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르의 아들 마나워단 | |
|---|---|
| 개요 | |
| 제목 | 마나워단 밥 리르 |
| 원제 | Manawydan fab Llŷr |
| 다른 제목 | 마나워단, 리르의 아들 목걸이와 망치의 마비노기 |
| 정보 | |
| 저자 | 미상, 일반적으로 다이페드 출신의 서기관으로 여겨짐 |
| 언어 | 중세 웨일스어 |
| 연대 | 가장 오래된 사본은 14세기, 이야기는 훨씬 오래된 것으로 추정 |
| 장르 | 웨일스 신화 |
| 주제 | 마비노기 네 가지 이야기의 세 번째 이야기. 프러데리와 마나워단의 브리튼 귀환, 다이페드의 황폐화, 리안논과 프러데리의 투옥, 그들의 석방과 다이페드의 복원. |
| 배경 | 주로 다이페드, 또한 잉글랜드 |
| 등장인물 | 마나워단, 프러데리, 리안논, 키그파, 벨리의 아들 카스왈론, 흘루이드 압 킬 코에드 |
2. 줄거리
브란 벤디게이드의 유언에 따라 그의 머리를 프랑스 방향으로 묻은 마나워단은 친구 프러데리와 함께 더베드 왕국으로 돌아온다. 프러데리는 아내 키그바와 재회하고, 마나워단은 리아논(프러데리의 모친)과 결혼한다. 프러데리는 카스왈라운에게 충성을 맹세하러 켄트로 떠난다. 얼마 후, 마법의 안개가 몰려와 네 사람을 제외한 모든 인간과 가축이 사라진다.
브란 벤디게이드가 죽고 그의 머리를 프랑스 방향을 바라보도록 묻은 후, 마나워단은 프러데리와 함께 더베드 왕국으로 돌아간다. 리아논은 마나워단과 결혼하고, 프러데리는 아내 키그바와 재회한다. 이후 프러데리는 카스왈라운에게 충성을 맹세하러 켄트로 떠난다.
프러데리와 마나워단은 잉글랜드에서 여러 직업으로 생계를 유지하지만, 그들의 뛰어난 실력을 시기한 다른 상인들과의 갈등으로 인해 쫓겨난다. 더베드로 돌아온 두 사람은 흰색 멧돼지를 따라 요새로 들어가고, 프러데리는 황금 그릇에 갇히게 된다. 리아논 역시 요새에 들어가 같은 운명을 겪고, 요새는 사라진다. 마나워단과 키그바는 다시 잉글랜드로 향하지만, 또 쫓겨난다.
불모지가 된 더베드에서 세 개의 밀밭을 발견하지만, 쥐 떼에 의해 파괴된다. 마나워단은 쥐 한 마리를 붙잡아 매달고, 학자, 사제, 주교가 나타나 쥐를 풀어달라고 요청한다. 마나워단은 프러데리와 리아논의 석방과 더베드의 마법 해제를 요구하고, 주교는 이를 수락한다. 주교는 쥐가 자신의 아내임을 밝히고, 마법의 안개는 리어드 압 킬 코에드의 복수였음이 드러난다. 더베드에 걸린 마법이 풀리면서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3. 등장인물
얼마 뒤 마법의 안개가 나타나 네 사람을 제외한 모든 것이 사라진다. 잉글랜드에서 생계를 유지하려 하지만, 뛰어난 실력 때문에 쫓겨나 더베드로 돌아온다. 흰 멧돼지를 쫓아 요새에 들어간 프러데리와 리아논은 마법에 걸리고, 요새는 안개와 함께 사라진다.
불모지가 된 더베드에서 마나워단은 생쥐떼가 밀밭을 파괴하는 것을 알고, 생쥐 한 마리를 잡아 주교와 거래를 한다. 주교의 아내가 생쥐였고, 리어드 압 킬 코에드가 리아논의 전남편 그와울 압 클루드의 친구로서 복수를 위해 마법을 건 것이 밝혀진다. 마법이 풀리면서 이야기는 끝난다.
3. 1. 주요 인물
3. 2. 기타 인물
4. 해석
윌 파커는 이 가지가 아일랜드 신화의 열왕 대계에 속하는 데시 축출사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말한다. 데시 축출사는 아일랜드 군장국가인 데시 부족이 암흑시대에 웨일스 남서부로 건너와 더베드 왕국을 세웠다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무크라머 벌판 전투와도 유사점이 발견된다. 파커는 마비노기 제3가지가 게일인과 컴리인의 결합으로 더베드 왕가가 형성되는 건국 신화라고 결론내린다.[5]
4. 1. 역사적 배경과의 연관성
윌 파커는 이 이야기가 아일랜드 신화의 열왕 대계에 속하는 데시 축출사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5] 데시 축출사는 아일랜드 군장국가인 데시 부족이 암흑시대에 웨일스 남서부로 건너와 더베드 왕국을 세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5] 무크라머 벌판 전투와도 유사점이 발견된다.[5] 따라서 파커는 마비노기 제3가지가 게일인과 컴리인의 결합으로 더베드 왕가가 형성되는 건국 신화라고 결론내린다.[5]4. 2. 신화적 요소
이야기 전개에 마법의 안개, 쥐로 변신하는 주교의 아내, 황금 그릇 등 초자연적인 요소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불모지가 된 땅, 마법에 걸린 요새 등은 신화적 모티프를 반영한다.마나워단 일행이 더베드에 도착했을 때 마법의 안개가 몰려와 다른 사람들과 가축들이 모두 사라진다. 잉글랜드에서 쫓겨난 뒤 더베드로 돌아왔을 때는 불모지가 되어 있었다.
프러데리와 마나워단은 사냥을 하다가 흰색 멧돼지를 따라 요새로 가게 된다. 마나워단의 만류에도 프러데리는 요새에 들어가 황금 그릇을 만졌다가 발과 손이 붙어버리고 말을 할 수 없게 된다.
마나워단이 세 번째 밀밭을 망치는 쥐 한 마리를 잡아 다음 날 교수형에 처하려 하자 학자, 사제, 주교가 나타나 쥐를 살려주면 선물을 주겠다고 제안했지만, 마나워단은 이를 거절한다. 마나워단은 쥐를 풀어주는 대가로 프러데리와 리아논을 풀어주고 더베드에 걸린 마법을 풀어달라고 요구한다. 주교는 마나워단에게 잡힌 쥐가 자신의 아내였기 때문에 이 요구에 동의한다. 이 모든 일은 리어드 압 킬 코에드가 푸일과 리아논에게 친구 그와울이 겪은 굴욕에 대한 복수를 하려고 꾸민 일이었다.
4. 3. 복수와 화해의 주제
벤디게이드브란의 마지막 요청을 기려 프랑스를 향해 머리를 묻어 침략을 막은 마나워단은 친구 프러데리와 함께 다페드 왕국으로 가서 프러데리가 아내 치그바와 재회하도록 돕는다. 마나워단은 프러데리의 어머니 리안논과 결혼하고, 프러데리는 켄트로 가서 카스왈론에게 경의를 표한다. 얼마 후 마법의 안개가 내려와 네 사람을 제외한 모든 것이 사라진다.프러데리와 마나워단은 잉글랜드에서 여러 직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려 하지만, 뛰어난 기술 때문에 쫓겨나 다페드로 돌아온다. 사냥 중 흰색 멧돼지를 따라 요새로 간 프러데리는 황금 그릇에 홀려 말을 잃고, 리안논 역시 같은 운명을 겪는다. "안개의 담요" 속에서 프러데리, 리안논, 요새가 사라진다.
황무지에서 세 개의 밀밭을 심지만, 처음 두 밭은 수확 전에 파괴된다. 마나워단은 세 번째 밭을 지키다 쥐를 잡아 매달려 하는데, 학자, 사제, 주교가 선물을 제안하며 쥐를 살려달라고 하지만 거절한다. 마나워단은 쥐의 목숨 대신 프러데리와 리안논의 석방, 다페드의 마법 해제를 요구하고, 주교는 쥐가 자신의 아내였기에 동의한다.
이 모든 고통은 프위릴과 리안논에게 친구 구아울 아프 클루드가 겪은 굴욕에 대한 복수를 하려는 마법사 루이드 압 킬 코에드 때문이었다. 결국 다페드에 걸린 마법이 풀린다.
참조
[1]
서적
The Oldest British Prose Literature: The Compilation of the Four Branches of the Mabinogi
[2]
서적
Trioedd Ynys Prydein
[3]
서적
Four Branches of the Mabinogi
[4]
서적
Trioedd Ynys Prydein
[5]
서적
Four Branches of the Mabinog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