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링가옌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링가옌만은 필리핀 루손 섬 북서부에 위치한 만으로, 남중국해와 연결되어 있으며 삼발레스 산맥과 코르디예라 센트랄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만에는 백 섬 국립공원을 비롯한 여러 섬들이 있으며, 팡가시난 주의 주도인 링가옌과 다구판, 산 페르난도 등의 도시가 해안에 접해 있다. 링가옌만은 과거 마닐라와 연결되는 철도 개통으로 인해 항구 도시들이 쇠퇴하기도 했지만, 어업과 제염업이 주요 산업이며, 필리핀 최대 규모의 석탄 화력 발전소인 수알 발전소가 위치해 있기도 하다. 링가옌만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과 미군의 상륙 작전이 벌어졌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현재는 참전 용사들을 기리는 기념 행사가 열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팡가시난주의 지형 - 잠발레스산맥
    잠발레스산맥은 필리핀 서부에서 시작하여 바탄반도까지 뻗어 있으며, 다양한 지질 구조와 활화산인 피나투보 산을 포함하고, 산림 벌채와 생물 다양성 보존 문제가 있으며, 잠발레스 숲쥐 등 고유종이 서식한다.
  • 필리핀의 만 - 마닐라만
    마닐라만은 필리핀 루손섬 남서부에 위치한 만으로, 어업과 산업의 중심지이자 메트로 마닐라의 레크리에이션 공간으로 활용되지만 심각한 수질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만 - 오르모크만
링가옌만

2. 지리

북쪽에서 본 링가옌 만의 위성 사진


링가옌만은 북쪽으로 남중국해와 연결되어 있다. 삼발레스산맥과 중앙 산악 지대 사이에 위치하며, 남서쪽으로는 아그노강이 흘러든다. 만 안에는 백 섬 국립공원을 비롯한 많은 섬이 있다. 만 내에는 대형 선박이 정박하기 좋은 항구가 있다.[1]

2. 1. 주요 섬

백 섬 국립공원


링가옌만에는 수많은 섬들이 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곳은 백 섬 국립공원이다. 이 관광 명소에는 123개의 섬이 있으며, 대부분 크기가 작다.[1] 가장 큰 섬은 안다 자치구를 이루는 카바루얀 섬이며, 그다음은 만 입구에 있는 산티아고 섬이다.

2. 2. 해안 및 해저 특징

라브라도르에서 산 파비안까지의 해안은 긴 회색 모래 해변으로 특징지어진다. 보누안-톤달리간, 볼리나오, 산 페르난도 시에도 잘 알려진 해변이 있다.[1]

링가옌 만의 물은 모래 바닥 때문에 탁하다. 다이너마이트 낚시로 인해 산호초가 거의 파괴되었지만, 백 섬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산호초 복원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

2. 3. 주요 하천

링가옌 만에는 5개의 주요 하천이 수원지를 두고 있다. 남쪽의 팡가시난주에서는 아그노강, 다구판강, 안갈라칸-부에드강이 흐르고, 동쪽의 라 union 주에서는 아링가이강과 바우앙강이 흐른다.[2]

2. 4. 연안 도시

팡가시난주다구판과 알라미노스, 라우니온주의 주도인 산 페르난도가 링가옌 만의 해안을 따라 위치한다. 팡가시난 주의 주도인 링가옌 역시 이 만의 해안에 있다.[1] 마닐라와 링가옌 만 연안 지역을 잇는 국도 3호선 철도가 개통된 이후, 과거에 번성했던 다구판, 수알 등의 항만 도시는 쇠퇴해 갔다.

3. 역사

링가옌 만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중국 상인들과의 교역 장소였다.[7] 1590년 다구판이 링가옌 만 일대에서 가장 큰 도시로 발전했다.[7]

미국-필리핀 전쟁 중에는 1899년 11월 11일 산하신토 전투가 벌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1941년 12월 22일 혼마 마사하루가 지휘하는 일본군이 링가옌 만에 상륙하여 루손섬을 침공했고, 1945년 1월 9일 더글러스 맥아더가 이끄는 미국군이 링가옌 만에 상륙하여 루손 섬 탈환 작전을 개시했다. (링가옌 만 상륙)

3. 1. 스페인 식민지 이전

링가옌 만은 스페인 선박이 내항하기 전부터 중국 상인들과의 교역 장소였다.[7] 1590년에 건설된 다구판은 링가옌 만 일대에서 가장 큰 도시로 발전하였다.[7]

3.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스페인 선박 내항 이전, 링가옌 만은 중국 상인과의 교역 장소였다.[7] 1590년에 건설된 다구판은 링가옌 만 일대에서 가장 큰 도시로 발전하였다.[7]

3. 3. 미국-필리핀 전쟁

미국-필리핀 전쟁에서는 1899년 11월 11일 산하신토 전투가 벌어졌다.

3.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1941년 12월 22일 혼마 마사하루가 지휘하는 일본군루손섬 침공 시 링가옌만에 상륙했고, 1945년 1월 9일 더글러스 맥아더가 지휘하는 미군이 루손섬을 공격할 때도 링가옌만에 상륙했다(링가옌 만 상륙, 1945년 1월 6일~1월 9일). 이후 ‘다이에이’(The Daiei, Inc.)를 창업하는 이사오 나카우치는 링가옌만 침공전에 하사관으로 참여했다.[3] 일본의 점령 기간 동안 링가옌 만은 링가옌 만 상륙 작전 전까지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4]

3. 4. 1. 일본군 상륙 (1941년)

1941년 12월 22일~24일 링가옌 만 상륙 및 일본군 진격


태평양 전쟁 당시, 링가옌 만은 미국과 일본 군대 간의 전략적으로 중요한 전쟁터였다. 1941년 12월 22일, 혼마 마사하루 중장 휘하의 일본 제14군은 산 페르난도 시, 바왕, 산티아고, 카바, 아링가이, 아구, 산토 토마스 등 만 동부에 상륙했다. 이들은 주로 장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필리핀군미국 육군으로 구성된 방어군과 몇 차례 비교적 작은 규모의 교전을 벌였으며[3], 링가옌 만 침공에 성공하여 점령했다. 패배 이후 다음 날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루손섬에서 철수하여 바탄 반도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3. 4. 2. 미군 상륙 (1945년)

1945년 1월 9일 09시 30분, 미국 제6군은 엄청난 해상 포격 이후 링가옌 만에 상륙 작전을 수행했다. 첫날에만 68,000명의 병력이 상륙했고, 서쪽의 수알, 링가옌, 다구판 (제14군단)에서 동쪽의 산 파비안 (제1군단)까지 약 32.19km에 달하는 해안 교두보를 따라 총 203,608명이 상륙했다.[4]

미국은 링가옌 만에 주둔한 일본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지만, 특히 일본의 ''가미카제'' 자살 공격으로 인해 호송선에서 비교적 큰 피해를 입었다. 1944년 12월 13일부터 1945년 1월 13일까지 총 24척의 선박이 침몰하고 67척이 ''가미카제'' 비행기에 의해 피해를 입었으며, 여기에는 전함 와 (아군 오사로 피격), 중순양함 USS 루이빌, 경순양함 , 기뢰 제거함 과 가 포함되었다.[4]

3. 4. 3. 일본군의 가미카제 공격

미국은 링가옌 만에 주둔한 일본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지만, 특히 일본의 ''가미카제'' 자살 공격으로 인해 호송선에서 비교적 큰 피해를 입었다. 1944년 12월 13일부터 1945년 1월 13일까지 총 24척의 선박이 침몰하고 67척이 ''가미카제'' 비행기에 의해 피해를 입었다. 피해를 입은 대표적인 함선으로는 전함 와 (아군 오사로 피격), 중순양함 USS 루이빌, 경순양함 , 기뢰 제거함 과 가 있다.[4]

3. 4. 4. 미군의 보급 기지

상륙 작전 이후, 링가옌 만은 마닐라와 나머지 루손섬, 그리고 거기에서 오키나와현에 대한 미국 및 필리핀의 공격을 지원하기 위한 전쟁 기간 동안 광대한 보급 기지로 바뀌었다.

3. 5. 전후 기념 사업

2008년 1월 9일, 아마다 에스피노 주지사와 말린 프리미시아스-아가바스 부지사는 참전 용사들을 기리기 위해 연례 기념 행사를 제정했다. 이 결의안은 1월 9일을 팡가시난 참전 용사의 날로 지정했다. 링가옌 만 상륙 63주년 기념일에 필리핀 대통령 피델 라모스 (웨스트포인트 졸업생)는 24,000명의 생존 참전 용사를 대신하여 1968년부터 미국 하원에 계류 중이던 두 개의 법안, 즉 전 상원 의원 다니엘 이노우에가 후원한 2006년 필리핀 참전 용사 형평법과 2005년 필리핀 참전 용사 형평법의 통과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에게 호소했다.[5]

제2차 세계 대전 기념관 부지, 타운 공원 및 주 의사당 부지(링가옌, 팡가시난).

4. 산업

링가옌 만의 주요 산업은 어업제염이다. 팡가시난이라는 이름은 "소금이 만들어지는 곳"을 의미한다. [1]

필리핀 최대의 석탄 화력 발전소인 1200MW 규모의 수알 발전소도 링가옌 만에 위치해 있다.[1]

4. 1. 어업

어업과 제염은 링가옌 만의 주요 산업이다. 팡가시난이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소금이 만들어지는 곳"을 의미한다. 소금은 해수를 증발시켜 결정화된 소금을 얻는 방식으로 채취한다.[1]

링가옌 만에는 필리핀 최대의 석탄 화력 발전소인 1200MW 규모의 수알 발전소도 위치해 있다.[1]

4. 2. 제염업

어업제염은 링가옌 만의 주요 산업이다. 팡가시난이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소금이 만들어지는 곳"을 의미한다. 소금은 해수를 증발시켜 결정화된 소금을 얻는 방식으로 채취한다.

4. 3. 발전소

링가옌 만에는 필리핀 최대 규모의 석탄 화력 발전소인 1200MW급 수알 발전소가 있다.[1]

참조

[1] 서적 Lonely Planet: Philippines Lonely Planet Publications Pty Ltd. 2006-06-01
[2] 서적 The Coastal Environmental Profile of Lingayen Gulf,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Center for Living Aquatic Resources Management on behalf of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United States Coastal Resources Management Project 1990-01-01
[3]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American History http://www.answers.c[...]
[4] 웹사이트 Pacific wrecks - Lingayan Gulf http://www.pacificwr[...]
[5] 뉴스 Abs-Cbn Interactive, 63rd anniversary of Lingayen Gulf Landing commemorated https://archive.toda[...]
[6] 서적 リンガエン湾
[7] 서적 リンガエン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