팡가시난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팡가시난주는 필리핀 루손섬 서부에 위치한 주로, 링가옌 만과 남중국해에 접해 있다. 팡가시난은 소금을 의미하는 현지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오스트로네시아계 민족의 정착으로 시작되어 중국, 일본 등과 교역하며 성장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저항 운동이 있었으며, 필리핀 혁명과 미국 식민 시대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중 링가옌 만 상륙작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 팡가시난은 농업을 기반으로 하며, 벼, 망고, 옥수수 등을 생산한다. 주요 도시는 다구판이며, 팡가시난어와 일로카노어를 사용하며 로마 가톨릭교를 믿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팡가시난주 - 팡가시난족
팡가시난족은 필리핀 팡가시난 주에 주로 거주하며 팡가시난어를 사용하고 팡가시난 혈통을 가진 민족 집단이다. - 일로코스 지방 - 남일로코스주
남일로코스주는 필리핀 루손섬 북부 일로코스 지방에 위치한 주로, 스페인 식민 시대부터 역사를 거쳐 1818년 일로코스 지방 분리 후 현재의 주가 되었으며, 농업 중심 경제 발전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일로코스 지방 - 라우니온주 (필리핀)
라우니온주는 필리핀 루손섬 북서부 일로코스 지방에 위치한 주로, 아름다운 해변과 서핑 명소로 유명하며 농업, 관광업, 전통 산업이 발달했고 다양한 축제와 문화유산을 자랑한다. - 루손섬 - 메트로 마닐라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수도권으로, 여러 도시와 자치구로 구성되어 다양한 지형과 역사를 지니고 필리핀 경제의 중심지이자 국제적인 도시이지만, 높은 인구 밀도와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 루손섬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팡가시난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표어 | 기적과 로맨스의 땅 |
별칭 | 필리핀의 소금 수도 |
어원 | "팡-아신-안"("소금을 만드는 곳"이라는 의미) |
국가 | 필리핀 |
지역 | 일로코스 지방 |
설립일 | 1580년 4월 5일 |
수도 | 링가옌 |
정부 형태 | 주 정부 |
주지사 | 라몬 V. 기코 3세 (NP) |
부주지사 | 마크 로널드 D. 람비노 (라카스-CMD) |
입법부 | 팡가시난 주의회 |
면적 | 5,451.01 km² |
면적 순위 | 81개 중 15위 |
최대 고도 | 737 m |
최고 지점 | 산 이시드로 산 |
인구 (2020년) | 3,163,190명 |
인구 순위 | 81개 중 6위 |
인구 밀도 | 580 명/km² |
인구 통계 | 팡가시난족 (55%) 일로카노족 (44%) 삼발족/볼리나오족 (1%) |
언어 | 팡가시난어 (공식) 볼리나오어 삼발어 일로카노어 타갈로그어 영어 |
시간대 | PST |
UTC 오프셋 | +8 |
우편 번호 | 2400–2447 |
지역 코드 | 75 |
ISO 코드 | PH-PAG |
웹사이트 | 팡가시난 주 공식 웹사이트 |
최대 도시 | 산카를로스 |
![]() | |
행정 구역 | |
독립 도시 | 다구판 (독립 구성 도시) |
구성 도시 | 알라미노스 산카를로스 우르다네타 |
자치체 | 아그노 아길라르 알칼라 안다 아싱간 발룽가오 바니 바시스타 바우티스타 바얌방 비날로난 빈말레이 볼리나오 부갈론 부르고스 칼라시아오 다솔 인판타 라브라도르 라오악 링가옌 마비니 말라시키 마나오아그 망갈단 망가타렘 마판단 나티비다드 포조루비오 로살레스 산파비안 산 하신토 산마누엘 산니콜라스 산킨틴 산타바르바라 산타마리아 산토토마스 시손 수알 타유그 우밍간 우르비스톤도 빌라시스 |
바랑가이 | 1,333개 (독립시 포함: 1,360개) |
하원 의원 선거구 | 팡가시난 선거구 (다구판 시와 공유) |
2. 역사
팡가시난은 오스트로네시아 팽창 시기에 오스트로네시아계 민족에 의해 정착되었다. 이들은 링가옌 만을 따라 정착지를 건설했으며, 적어도 8세기부터 인도, 중국, 일본으로 이어지는 고대 오스트로네시아 무역로의 일부였다. 해안 지역의 주요 산업은 소금 생산이었으며, "팡가시난"(소금을 만드는 곳)이라는 이름은 여기서 유래되었다. 내륙 지역은 볼로 대나무(''Gigantochloa levis'')가 풍부하여 "카볼로안"이라고 불렸다.[5]
팡가시난은 명나라 중국 기록에 나오는 "펑-치아-시-란"과 동일한 지역으로 여겨진다. 1403년부터 1405년까지 무역 관계 수립에 필요한 상징적인 "조공"을 가지고 중국에 사절을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6]
16세기에 팡가시난은 스페인인들에게 "일본 항구"라고 불렸다. 현지인들은 일본과 중국 비단 외에도 다른 해양 동남아시아 민족의 토착 의복을 착용했다. 일반인들도 중국과 일본산 목화 옷을 입었으며, 이빨을 검게 칠하고 외국인의 하얀 이빨을 혐오했다. 일본과 중국 가정에서 사용하던 도자기 항아리를 사용했고, 일본식 화약 무기가 이 지역 해전에서 발견되었다.[7] 아시아 전역의 상인들은 금과 노예, 사슴 가죽, 사향고양이 등을 교역하기 위해 이곳을 찾았다. 팡가시난은 남쪽의 다른 루손 집단과 문화적으로 유사했지만, 일본 및 중국과 더 광범위한 무역 관계를 맺고 있었다.
팡가시난 사람들은 스페인 정복에 저항한 호전적인 민족으로 묘사되었다. 도밍고 살라자르 주교는 이들을 가장 사나운 민족이라고 묘사했다. 이들은 기독교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기독교인들처럼 소량의 빈티지 와인을 성사 의식에 사용했다. 교회는 스페인 군대가 아닌 자신들이 필리핀 북부를 스페인에 귀속시켰다고 자랑했다. 간통한 자에게는 양측 모두 사형을 내릴 정도로 엄격했다. 팡가시난 사람들은 패배한 삼발(아에타)과 네그리토족 전사들을 중국 상인에게 노예로 팔았다.[8]
2. 1. 초기 역사
팡가시난은 필리핀 제도의 다른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오스트로네시아 팽창 기간 동안 바다를 통해 오스트로네시아계 민족에 의해 정착되었다. 그들은 링가옌 만을 따라 정착지를 건설했으며, 적어도 8세기부터 인도, 중국, 일본으로 이어지는 고대 오스트로네시아 무역로의 일부였다. 해안 지역의 주요 산업은 소금 생산이었으며, 이것이 "팡가시난"(소금을 만드는 곳)이라는 이름의 기원이다. 내륙 지역은 볼로 대나무(''Gigantochloa levis'')가 풍부하여 "카볼로안"(볼로 대나무가 있는 곳)이라고 불렸다.[5]팡가시난은 명나라 중국 기록에 나타나는 "펑-치아-시-란"과 동일시된다. 1403년부터 1405년까지 무역 관계 수립에 필요한 상징적인 "조공"을 가지고 중국에 사절을 보낸 것으로 여겨진다.[6]
16세기에 팡가시난은 스페인인들에 의해 "일본 항구"라고 불렸다. 현지인들은 일본과 중국 비단 외에도 다른 해양 동남아시아 민족 집단의 전형적인 토착 의복을 착용했다. 심지어 일반 사람들도 중국과 일본산 목화 의류를 입었다. 그들은 이빨을 검게 칠했고, 동물의 이빨과 비슷하다고 여겨지는 외국인들의 하얀 이빨에 혐오감을 느꼈다. 일본과 중국 가정에서 전형적인 도자기 항아리를 사용했으며, 일본식 화약 무기는 이 지역 해전에서 발견되었다.[7] 아시아 전역의 상인들은 주로 금과 노예를 위해, 그러나 사슴 가죽, 사향고양이 및 기타 지역 상품을 위해 무역을 하러 왔다. 일본과 중국과 더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를 제외하고는 남쪽의 다른 루손 집단과 문화적으로 유사했다.
팡가시난 사람들은 스페인 정복에 대한 저항으로 알려진 호전적인 사람들로 묘사되었다. 도밍고 살라자르 주교는 팡가시난 사람들을 그 땅에서 가장 사나운 민족이라고 묘사했다. 그들은 기독교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기독교인들처럼 소량의 빈티지 와인을 성사 의식에 사용했다. 교회는 스페인 군대가 아니라 그들이 필리핀 북부 지역을 스페인에게 획득했다고 자랑했다. 교회는 간통하는 사람들에게 엄격했으며, 처벌은 양측 모두 사형이었다. 팡가시난 사람들은 패배한 삼발족(아에타)과 네그리토족 전사들을 중국 상인들에게 노예로 팔았다.[8]
2. 2. 스페인 식민 시대
1324년, 이탈리아 프리울리 출신의 프란체스코회 선교사 오도리코 포르데노네가 볼리나오에서 천주교 미사를 집전하고 원주민들에게 세례를 베풀었다고 일부 학자들은 믿고 있다. 2007년 7월, 루이지 말라모코의 저서를 바탕으로 오도리코의 여정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볼리나오에 세워졌다. 1324년 미사는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1521년에 거행한 미사보다 197년 앞선, 필리핀 최초의 미사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역사가 윌리엄 헨리 스콧은 오도리코의 여행 기록을 조사한 결과, 그가 필리핀 땅을 밟았을 가능성은 거의 없으며, 미사를 집전했다고 볼 만한 이유도 없다고 결론지었다.[9]1565년 4월 27일, 스페인 정복자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약 500명의 병사와 함께 필리핀 제도에 도착하여 스페인 식민지를 건설했다. 1570년 5월 24일, 스페인군은 라자 술라이만과 마닐라의 다른 통치자들을 물리치고 마닐라를 스페인 동인도의 수도로 선포했다. 마닐라를 확보한 후 스페인군은 팡가시난을 포함한 루손 섬의 나머지 지역을 정복했다.
안드레스 말롱은 비날라토간(현 산 카를로스 시) 마을의 원주민 지도자로, 1660년 12월 스페인 지배로부터 판가시난 주를 해방시켰다. 판가시난 주민들은 안드레스 말롱을 "아리 나 판가시난"("판가시난의 왕")으로 선포했다. 판가시난 군대는 인근 판팡가 주와 일로코스 주를 해방시키려 했으나, 스페인이 이끄는 충성스러운 부족 전사와 용병 연합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1661년 2월, 새롭게 독립한 판가시난 왕국은 필리핀 총독령에 함락되었다.
1762년 11월 3일, 판가시난 주민들은 후안 데 라 크루스 팔라리스가 이끈 반란 이후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했다. 판가시난 반란은 1762년 10월 6일 마닐라가 영국에 함락되었다는 소식으로 촉발되었다. 파리 조약은 1763년 3월 1일 영국, 프랑스, 스페인 간의 7년 전쟁을 종식시켰다. 1765년 1월 16일, 후안 데 라 크루스 팔라리스는 체포되었고 판가시난의 독립은 다시 상실되었다.
2. 3. 필리핀 혁명과 미국 식민 시대
필리핀 혁명은 1892년 7월 7일 민족주의 비밀 결사 카티푸난이 필리핀 국민들을 결집하여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과 종교의 자유를 쟁취하기 위해 설립되면서 시작되었다. 혁명은 1896년 8월 26일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의 지휘 아래 본격화되었다. 1897년 11월 18일, 팡가시난 주 서부에는 로만 마날랑과 마우로 오르티스 장군을 최고 지도자로 하는 카티푸난 의회가 구성되었다.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은 1898년 6월 12일에 필리핀 독립을 선포하였다.1898년 7월 18일부터 23일까지 팡가시난 주의 주요 상업 중심지였던 다구판은 카티푸난군에 의해 포위되었다. 이 전투에서 프레데리코 J. 세바요스 사령관과 호아킨 드 오렌고체아 주지사가 이끄는 1,500명의 스페인군이 항복하였다. 다구판 전투는 프란시스코 마카불로스 장군 휘하의 지역 카티푸네로들과 스페인군의 잔여 세력 간의 격전이었다. 돈 다니엘 마람바, 돈 비센테 프라도, 돈 후안 케사다 등 세 명의 지역 영웅이 5일간의 전투를 이끌었고, 이들은 다구판에 집결하여 벽돌로 된 가톨릭 교회에서 최후의 항전을 벌였다.
1898년 3월 7일, 마람바는 산타 바바라 마을을 해방시켰다. 스페인군은 산타 바바라를 탈환하려 했으나 마람바의 군대에 격퇴당했다. 이후 스페인은 주도를 보호하기 위해 링가옌에 병력을 집중시켰고, 마람바는 말라시키, 우르다네타, 마판단을 차례로 점령한 후 망갈단을 거쳐 다구판의 마지막 스페인 주둔지를 공격했다. 같은 시기, 프라도와 케사다의 지휘 아래 반군은 서부 팡가시난 주를 구성하는 삼발레스 주의 수도원들을 공격하여 알라미노스, 아그노, 안다, 알로스, 바니, 발린카귄, 볼리나오, 다솔, 에기아, 포토트를 점령했다. 이후 혁명은 라보라도르, 수알, 살라사 및 서부의 다른 많은 마을로 확산되었고, 수알, 라보라도르, 링가옌, 살라사, 바얌방 마을은 프라도와 케사다의 군대가 다구판을 공격하기 전에 먼저 점령되었다.
1898년 4월 17일, 마카불로스 장군은 프라도를 팡가시난 주의 정치·군사 주지사로, 케사다를 부사령관으로 임명했다. 1898년 5월,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이 홍콩 망명에서 돌아와 혁명의 불길을 다시 지폈다. 1898년 6월 3일, 마카불로스 장군은 타를락에 진입했다.
카티푸난은 스페인군과의 전투에서 연이어 승리하였고, 1898년 6월 30일, 스페인 당국은 모든 병력을 다구판으로 철수시켜 최후의 항전을 준비했다. 1898년 7월 18일, 마람바와 프라도의 군대가 다구판에 집결하면서 포위 공격이 시작되었다. 마카불로스 장군의 도착으로 강화된 반군은 5일 후 가톨릭 교회 안에 갇힌 스페인군의 항복을 받아냈다.
필리핀-미국 전쟁 동안, 살라사 출신의 호세 토레스 부갈론 중령은 안토니오 루나 장군과 함께 북부 루손에서 미국의 식민화에 맞서 제1필리핀공화국을 방어하기 위해 싸웠으나, 1899년 2월 5일 전투에서 전사했다. 제1필리핀공화국은 1901년에 폐지되었다. 1907년 필리핀 의회가 설립되었고, 팡가시난 주민 5명이 처음으로 지역 대표로 선출되었다.
1901년, 누에바 에시하의 발룽가오, 로살레스, 산 퀸틴, 우밍간 마을들은 주도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고 이미 미국군에 의해 평정되었다는 이유로 팡가시난 주에 편입되었다.[13]
1903년 11월 30일, 아그노, 알라미노스, 안다, 바니, 볼리나오, 부르고스, 다솔, 인판타, 마비니를 포함한 북부 삼발레스의 여러 시정촌들이 역사적 근거에 따라 미국의 식민 정부에 의해 팡가시난 주에 할양되었다.
1899년 11월 11일, Battle of San Jacinto (1899)|산 하신토 전투영어가 벌어졌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1945년 링가옌 만 상륙작전(1월 6일 - 1월 9일)부터 루손 전투(1945년 1월 6일 - 8월 15일)가 시작되었다.2. 5. 현대
1946년 7월 4일 독립 선언 후, 팡가시난주 제4선거구를 대표하는 자유당 의원 에우헤니오 페레스(Eugenio Perez)가 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1953년 국민당(Nacionalista Party)이 다수당이 될 때까지 의장직을 수행했다.역사적, 지리적으로 중부 루손 지역의 일부인 팡가시난은 팡가시난 특유의 언어와 문화에도 불구하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지역구 획정 조작으로 일로코스 지역(1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팡가시난을 일로코스 지역의 일부로 정치적으로 분류한 것은 일부 필리핀인들에게 혼란을 야기했다. 팡가시난 주민들은 일로카노인이지만, 실제로 일로카노인은 이 지역에서 소수를 차지한다. 팡가시난의 경제 규모는 일로코스 노르테, 일로코스 수르, 라 우니온과 같은 일로카노 지역보다 크며, 인구는 1지역 인구의 50%가 넘는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필리핀 경제는 악화되었고,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가 초기 주요 사건 중 하나였다.[14] 경제 분석가들은 일반적으로 이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1969년 재선 운동을 촉진하기 위한 대출 자금으로 조달된 정부 지출 증가 때문으로 보고 있다.[14][15][16][17][18][19] 1970년부터 1971년과 1972년 초까지 정부와 경제 개혁을 요구하는 시위에 팡가시난 출신의 많은 학생들이 참여했다.[2] 1972년 9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1973년 마지막 헌법상 허용된 대통령 임기 만료 1년 전에 필리핀에 계엄령을 선포했다.[20] 이 조치로 그는 14년 동안 더 권력을 유지했으며, 이 기간 동안 팡가시난은 많은 사회적, 경제적 변화를 겪었다.[2]
인권 침해, 측근 자본주의, 선전성 건설 프로젝트, 그리고 사치스러운 개인 생활은 마르코스 가족에 대한 반대를 불러일으켰다.[2] 체포와 고문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많은 필리핀 시민들이 반대했다.[21] 링가옌[22]에 있는 팡가시난 필리핀 경찰(PC) 지방 캠프(2017년 캠프 안토니오 시손으로 개명)[23]는 정치범들로 가득 차서, 겨우 4mx9m 크기의 예배당이 쇠창살 벽으로 둘로 나뉘어 한 부분이 감옥으로 사용되었다.[22] 이 정권의 가장 저명한 인권 침해 피해자 중에는 팡가시난주 마판단 출신의 학생 운동가 에두아르도 아키노와 팡가시난주 바우티스타 출신의 미인 대회 출신 운동가 마이타 고메즈가 있다. 아키노는 타락에서 활동가 회의 중 군인들에게 매복 공격을 당했고, 고메즈는 여러 번 투옥되었지만 여성 인권 단체 가브리엘라의 공동 설립자가 되어 살아남았다. 두 사람은 모두 독재에 맞서 싸운 순교자와 영웅들을 기리는 필리핀의 반타요그 응가 망가 바야니 추모 벽에 사후에 이름이 새겨지는 영예를 얻었다.
1986년 2월, 중앙선거위원회(COMELEC)와 국민선거감시단(NAMFREL)의 개표 결과 모두 코라손 아키노(Corazon Aquino)가 1986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바구이오(Benguet)와 산악주(Mountain Province)와 함께 북부 다구판 시(Dagupan)에서 승리한 것으로 나타났다.[24] 이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Ferdinand Marcos)의 승리를 보장하기 위한 널리 알려진 선거 부정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결과였다.[25][26] 몇 주 후, 필리핀 통합 국가 경찰청장이자 팡가시난 출신인 참모총장 피델 라모스(Fidel V. Ramos) 장군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를 축출하고 그를 해외 망명으로 몰아넣은 EDSA 국민권력혁명에서 중요한 인물이 되었다.
마르코스의 몰락 이후, 모든 지방자치단체장은 대통령 코라손 아키노(Corazon Aquino)에 의해 직무에서 물러날 것을 명령받았다. 다솔(Dasol)의 루도비코 에스피노사(Ludovico Espinosa) 시장처럼 일부 지방 행정관들은 EDSA 혁명이 절정에 달했을 때 UNIDO에 가입했다고 주장하며 직위에 복귀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피델 라모스는 필리핀군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후안 폰세 엔릴레(Juan Ponce Enrile)를 대신하여 국방장관이 되었다. 바니(Bani) 출신 의원 오스카 오르보스(Oscar Orbos)는 아키노에 의해 교통통신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행정장관이 되었다.
1992년 5월 11일, 피델 V. 라모스는 대선에 출마하여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필리핀 최초의 팡가시난 출신 대통령이 되었다. 그의 지휘 아래 필리핀은 1991년 석유 및 전력 위기를 극복했다. 1995년 '팔라롱 팜반사'(Palarong Pambansa, 필리핀 전국 체전)를 개최하면서 그의 영향력은 팡가시난의 경제 성장을 촉진시켰다.
에우헤니오 페레스(Eugenio Perez, 그의 전 장인)와 같은 지역구를 대표했던 호세 드 베네시아(Jose de Venecia)는 1992년 두 번째 팡가시난 출신 하원의장이 되었다. 그는 1995년에 다시 선출되었다. 데 베네시아는 라모스 행정부의 집권 여당 라카스 NUCD(Lakas NUCD)에 의해 1998년 대선 후보로 지명되었다. 데 베네시아는 대선에 출마했지만 부통령 조세프 에스트라다(Joseph Estrada)에게 패했다. 오스카 오르보스는 부통령 선거에 출마했지만 전 영부인 에바 마카파갈(Evangelina Macaraeg-Macapagal)의 고향이 비날로난(Binalonan)인 상원의원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Gloria Macapagal Arroyo)에게 패했다.
아로요는 조세프 에스트라다(Joseph Estrada) 대통령이 탄핵된 두 번째 EDSA 혁명 이후 대통령직에 올랐다.
2004년 5월, 산 카를로스 시 출신 배우 출신 정치인 페르난도 포 주니어(Fernando Poe, Jr.)가 현직 대통령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Gloria Macapagal Arroyo)에 맞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팡가시난 주 유권자들은 팡가시난 주 출신인 두 대통령 후보에게 표가 나뉘었다. 아로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지만, 선거 부정과 매표 혐의로 승리가 훼손되었다.
3. 지리
팡가시난 주는 북쪽으로 라 우니온 주, 코르디예라 행정구역의 벵겟 주, 동쪽으로 카가얀 계곡 지방의 누에바 비스카야 주와 중부 루손 지방의 누에바 에시하 주, 남쪽으로 타락 주와 삼발레스 주와 접하고 있다. 서쪽은 남중국해, 북서쪽은 링가옌 만(주도 링가옌)에 접해 있다. 주요 도시는 다구판이다.
3. 1. 지형
팡가시난 주는 필리핀 루손 섬의 서중부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라 우니온 주, 북동쪽으로는 벵겟 주와 누에바비스카야 주, 남동쪽으로는 누에바에시하 주, 남쪽으로는 삼발레스 주와 타를락 주와 접한다. 팡가시난 주의 서쪽에는 남중국해가 있으며, 링가옌 만을 둘러싸고 있다.이 주의 면적은 5,451.01km²이다. 마닐라에서 북쪽으로 170km, 바기오에서 남쪽으로 50km, 수빅 국제공항 및 항만에서 북쪽으로 115km, 클라크 국제공항에서 북쪽으로 80km 떨어져 있다. 알라미노스 해안에는 백섬 국립공원의 백섬이 유명한 관광지이다.
중부 루손 평야의 일부인 이 주의 지형은 대체로 평평하지만, 일부는 구릉지 또는 산악 지형이다. 산 마누엘, 산 니콜라스, 나티비다드, 산 퀸틴, 우밍간 등 북동부 시정촌에는 코르디예라 산맥 끝자락에 구릉지대와 산악지대가 있다. 삼발레스 산맥은 라브라도르, 마비니, 부갈론, 아길라르, 망가타렘, 다솔, 인판타 등 주 서부 마을까지 뻗어 있으며, 이들 마을의 산악 지역을 형성한다.
필리핀 화산 및 지진 연구소(PHIVOLCS)는 이 주에 아모롱산(Mount Amorong), 발룽가오산(Mount Balungao), 카발루얀(Cabaluyan), 카헬리에탄(Cahelietan), 칸동(Candong), 말라보보(Malabobo) 등 여러 휴화산이 있다고 보고했다. PHIVOLCS는 팡가시난 주에 활화산이나 잠재적 활화산은 없다고 보고했다. 칼데라와 같은 지형은 말라시키와 빌라시스 마을 사이, 카바루안 구릉(Cabaruan Hills) 근처 북위 15° 55′, 동경 120° 30′ 부근에 위치한다.
이 주에는 여러 강이 흐른다. 가장 긴 강은 아그노 강으로, 벵겟 주의 코르디예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링가옌 만에서 끝난다. 다른 주요 강으로는 부에드 강, 안갈라칸 강, 시노칼란 강, 판탈 강, 파탈란 강, 카얀가 강이 있다.
3. 2. 행정 구역
팡가시난주는 44개의 자치시와 알라미노스, 산 카를로스, 우르다네타, 다구판(Dagupan)의 4개 도시, 그리고 1,364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팡가시난주에는 6개의 선거구가 있다.
주도는 링가옌이다. 과거에는 산 카를로스가 팡가시난주의 주도였으며, 일본 점령기에는 다구판이 임시 주도로 지정되기도 했다.
팡가시난주는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바랑가이가 많은 주이다. 2010년 기준으로 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바랑가이는 다구판의 보누안 게셋(Bonuan Gueset)으로 22,042명이다. 도시를 제외하면 링가옌의 포블라시온(Poblacion)이 12,642명으로 가장 인구가 많다. 바얌방의 이톤(Iton)은 99명으로 가장 인구가 적다.
필리핀에서 가장 긴 이름을 가진 바랑가이는 산 파비안에 위치한 롱고스 아망고난 파라크-파라크 파브리카(Longos Amangonan Parac‑Parac Fabrica)이다.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팡가시난 주의 인구는 3,163,190명이다.
1986년 2월, 코라손 아키노는 1986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부정선거에도 불구하고 북부 다구판 시에서 승리했다.[24][25][26] EDSA 국민권력혁명 이후 코라손 아키노는 모든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직무에서 물러날 것을 명령했고, 일부는 복귀했다.
1992년 피델 라모스는 대선에서 승리하여 필리핀 최초의 팡가시난 출신 필리핀 대통령이 되었다. 1992년 호세 드 베네시아는 두 번째 팡가시난 출신 하원의장이 되었고 1995년에 재선되었다. 그는 1998년 대선 후보로 지명되었으나 대선에서 조세프 에스트라다에게 패했다.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조세프 에스트라다 대통령 탄핵 이후 EDSA 혁명으로 대통령직에 올랐다.
4. 1. 민족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팡가시난 주의 인구는 3,163,190명이며, 인구 밀도는 580km2이다.[1]팡가시난 주민은 팡가시난(Pangasinan) 또는 스페인식 이름인 ''Pangasinense'', 또는 간단히 ''taga-Pangasinan''(팡가시난 출신이라는 뜻)이라고 불린다. 이들은 상인, 사업가, 농부, 어부로 알려져 있다. 팡가시난 주는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주이다. 팡가시난 주에서 팡가시난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원주민의 추정 인구는 거의 200만 명이며, 약 30년 안에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47%가 원주민 팡가시난 주민이고 44%가 일로카노 이주민이다.[1] 삼발 주민 원주민들은 볼리나오와 안다의 서쪽 지방 자치체에서 주로 거주하며, 다른 지역들에는 잠발레스에 속했던 마을들에 흩어져 살고 있다. 소수의 타갈로그족은 대부분 타갈로그어를 사용하는 누에바에시하와 접경하는 마을에 거주하며, 대부분 누에바에시하 자체 출신 이주민의 후손이며, 나머지는 불라칸과 아우로라 출신이다.[1] 팡가시난 주민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를 사용하는 민족인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사람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
4. 2. 언어
Pangasinan영어의 주요 언어는 팡가시난어와 일로카노어이다.[27] 201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팡가시난어 화자는 1,358,524명으로 전체의 48.9%를 차지하고, 일로카노어 화자는 1,146,456명으로 41.3%를 차지한다. 그 외 타갈로그어 화자는 93,100명(3.4%), 기타 언어 화자는 144,611명(5.2%)이다.[27]
팡가시난어는 교착어이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한다. 팡가시난 주 외에도 타락 주 북부와 라우니온 주 남서부에서도 사용된다. 팡가시난어는 필리핀의 다른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들과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시아어와 유사하며, 벵겟 주에서 사용되는 이발로이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팡가시난어와 이발로이어는 팡가시닉어군으로 분류되며, 이외에도 카라오어, 이와악어, 켈레이-I어, I-칼라한어, 티녹어, 카야파어 등이 팡가시닉어군에 속한다.
많은 팡가시난 사람들은 모어 외에도 일로카노어, 영어, 타갈로그어에 능숙하다. 팡가시난어는 주 중부의 2, 3, 4지구에서 주로 사용되며, 5, 6지구 동부 지역 주민들의 제1언어이기도 하다. 팡가시난 주의 다른 지역에서는 제2언어로 사용된다. 일로카노어는 팡가시난 주 서쪽과 동쪽 끝(1, 5, 6지구)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른 지역에서는 제2언어이다. 팡가시난 주에 거주하는 일로카노인들은 팡가시난 어투로 일로카노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1세대 일로카노인 후손들이 팡가시난어를 배웠기 때문이다. 모든 팡가시난 사람들이 일로카노어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팡가시난은 일로코스 지역으로 이관되기 전 중부 루손의 일부였다.
볼리나오어는 삼발어파 언어로, 볼리나오와 안다 마을 등 주 서쪽 끝에서 널리 사용된다. 또 다른 삼발어파 언어인 삼발어는 과거 삼발레스에 속했던 다른 마을에서 사용된다. 많은 볼리나오어 사용 삼발족과 다른 삼발족들은 팡가시난어 외에도 일로카노어, 타갈로그어, 영어에 매우 유창하다. 삼발족은 과거 삼발레스에 속했던 팡가시난 서부 지역에 일로카노 정착민들이 정착했고, 삼발족과 일로카노인 사이의 상호 작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났기 때문에 이미 일로카노어에 유창하다. 누에바 에시하와의 경계 지역 마을 주민들은 타갈로그어를 사용한다.
팡가시난에서 모어가 아닌 언어로는 팜팡가어(삼발어와 관련 있음),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마라나오어, 코르딜례라어파 등 다양한 소수 민족 집단에 의해 사용되는 언어들이 있다.
4. 3. 종교
팡가시난 주의 주요 종교는 로마 가톨릭교회이며, 인구의 80%가 믿고 있다.[28] 아글리파이안 교회는 9%의 인구를 가진 두 번째로 큰 종교이다.[28] 하나님의 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등 다른 기독교 그룹들이 나머지를 차지한다.[28]필리핀 예수 그리스도 교회는 로살레스, 우르다네타, 산 카를로스, 링가옌, 알라미노스의 5개 교구를 가지고 있으며, 팡가시난 주에서 5~6%의 신자를 확보하고 있다.[28] 각 마을과 바랑가이에는 이미 필리핀 예수 그리스도 교회의 지역 예배당이 있다.[28] 침례교, 감리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2024년 4월 28일에 봉헌된 팡가시난 주에 있는 우르다네타 필리핀 성전을 가지고 있으며,[28] 여호와의 증인과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도 있다.[28]
소수는 엄격한 신앙을 유지하며 필리핀 사람들의 대다수와 마찬가지로 토착적인 아니토 신앙과 의식을 계속해서 실천하고 있다.[28]
스페인과 미국 선교사들이 팡가시난 주에 기독교를 전파했다.[28] 1571년 스페인 정복 이전에 팡가시난 주 주민들의 주요 종교는 루손 섬의 고지대 이고롯이나 코르디예라 행정구역 주민들의 토착 종교와 유사했는데, 이들은 대부분 토착 문화와 종교를 유지했다.[28] 우르다네타에 파견된 스페인 도미니크 수도사인 프레이 니콜라스 만리케 알론소 랄라베가 번역한 신약 성경(요한계시록 제외) 팡가시난어판은 필리핀 언어로 번역된 최초의 완전한 성경 부분이었다.[28] 팡가시난 주는 기독교가 전파되기 전에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의 영향을 다소 받았다.[28] 일부 팡가시난 주민들은 아마 카올레이 또는 아마-가올레이를 숭배하는 토착 종교로 돌아갔고,[28] 서쪽의 삼발족은 말라야리를 숭배하는 토착 종교로 돌아갔다.[29]
5. 경제
팡가시난 주의 경제는 주로 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비옥한 평야가 넓게 펼쳐져 있다. 농업 지역의 44% 이상이 농작물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팡가시난은 필리핀의 주요 쌀 생산지 중 하나이며, 코코넛, 망고, 가지의 주요 생산지이기도 하다. 팡가시난은 일로코스 지역에서 가장 부유한 주이다.[38]
팡가시난에는 593개의 은행 및 금융 기관이 있다.
필리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팡가시난Pangasinan영어의 빈곤율은 다음과 같다.[43]
5. 1. 농업
팡가시난 주의 주요 농작물은 벼, 망고, 옥수수, 사탕수수이다. 팡가시난 주의 면적은 536819ha이며, 전체 면적의 44%가 농업 생산에 사용된다.5. 2. 수산업
팡가시난주는 루손 섬의 주요 어류 공급지이자 필리핀의 주요 소금 생산지이다. 팡가시난주는 링가옌 만과 남중국해 연안을 따라 주로 방구스(milkfish, 뱅어과 어류)를 양식하는 광대한 어장을 가지고 있다. 팡가시난주의 수산 양식에는 굴과 성게 양식장도 포함된다.소금도 주요 산업이다. 염전에서 바닷물은 물이 증발하고 소금만 남을 때까지 중탄산나트륨과 섞는다. 이것은 이집트에서 영감을 받은 그들의 오랜 전통이다.
5. 3. 에너지
1200메가와트 수알 석탄 화력 발전소와 345메가와트 산 로케 다목적 댐이 팡가시난 주의 주요 에너지원이다.6. 문화
팡가시난의 문화는 토착 말레이-폴리네시아 문화와 서구 히스파닉 문화가 혼합된 것으로, 인도와 한족의 영향뿐만 아니라 미국 문화의 영향도 받았다. 팡가시난은 서구화되었지만 강력한 토착 오스트로네시아적 배경을 유지하고 있다.
팡가시난 문화의 주요 중심지는 다구판, 링가옌, 마나오아그, 칼라시아오, 산 카를로스 시이다.
6. 1. 피스타이 다야트 (Pistay Dayat)
2024년 4월 5일부터 5월 4일까지 한 달 동안 라몬 구이코 주니어와 마크 로널드 D. 람비노의 주도로 "피스타이 다야트"가 개최되었다. 이 축제는 수상 퍼레이드로 시작되었으며, 기존의 경연 대회 대신 거리 댄스 공연을 선보였다. 알라미노스의 헌드레드 아일랜드 페스티벌, 산 마누엘의 파다놈 발리기 페스티벌, 링가옌의 바구옹 페스티벌, 빌라시스의 탈롱 페스티벌, 우밍간의 카라바사 페스티벌, 산 카를로스의 망고-대나무 페스티벌, 바니의 파크완 페스티벌, 아싱간의 칸카넨 페스티벌 등이 소개되었다.[39] 팡가시네 영화제, 아시난 예술 음악 축제, 의상 축제 전시회와 함께 열린 림가스 나 팡가시난 미인대회는 이 지역의 문화를 선보였다.[39]7. 주요 인물
- 호세 토레스 부갈론(José Torres Bugallón): 필리핀 혁명과 필리핀-미국 전쟁 당시 활약한 필리핀 군 장교. 그의 이름을 따서 부갈론(이전 이름은 살라사)이라는 도시가 명명되었다.[1]
- 카르멘 C. 벨라스케스(Carmen C. Velasquez): 기생충학 분야 필리핀 국가 과학자. 바얌방 출신.[2]
- 펄라 산토스-오캄포(Perla Santos-Ocampo): 소아과 분야 필리핀 국가 과학자. 다구판 출신.[3]
- 프란시스코 시오닐 호세(Francisco Sionil José): 문학 분야 필리핀 국가 예술가. 로살레스 출신.[4]
- 빅토리오 에다데스(Victorio Edades): 시각예술(회화) 분야 필리핀 국가 예술가. 다구판 출신.[5]
- 살바도르 베르날(Salvador Bernal): 연극 및 디자인 분야 필리핀 국가 예술가. 다구판 출신.[6]
- 피델 V. 라모스(Fidel V. Ramos): 필리핀 대통령 역임. 링가옌 출신, 아신간 거주.[7]
- 나르시소 라모스(Narciso Ramos): 언론인, 변호사, 의원, 대사.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창립자 중 한 명. 아신간 출신.[8]
- 마누엘 모란(Manuel Moran): 필리핀 제7대 대법원장. 비날로난 출신.[9]
- 호셉 로페즈(Jhosep Lopez): 필리핀 제190대 대법원 판사. 우밍안 출신.[10]
- 헤로니마 토멜덴-펙손(Geronima Tomelden-Pecson): 필리핀 최초의 여성 상원의원. 링가옌 출신.[11]
- 페드로 마리아 시손(Pedro María Sison): 1935년 필리핀 헌법 제정 회의 대표. 우르다네타 출신.[12]
- 시프리아노 프리미시아스 1세(Cipriano Primicias Sr.): 상원의원. 알칼라 출신.[13]
- 레티시아 라모스-샤하니(Leticia Ramos-Shahani): 1987년부터 1998년까지 상원의원 역임. 링가옌 출신, 아신간 거주.[14]
- 암브로시오 파딜라(Ambrosio Padilla): 상원의원, 1986년 필리핀 헌법 위원회 부위원장. 링가옌 출신.[15]
- 르네 카예타노(Rene Cayetano):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상원의원 역임. 산 카를로스 시티 출신.[16]
- 유제니오 페레스(Eugenio Perez): 필리핀 제8대 하원의장. 팡가시난 출신, 바시스타 출생.[17]
- 호세 드 베네시아 주니어(Jose de Venecia Jr.): 필리핀 제17대 하원의장. 다구판 출신.[18]
- 콘라도 에스트렐라 3세(Conrado Estrella III): 아보노 당선 의원, 전 팡가시난 제6지구 대표 (1987-1995; 2001-2010).[19]
- 로즈 메리 아레나스(Rose Marie Arenas): 부의장, 저명한 사교계 인사, 자선가.[20]
- 마리아 레이첼 아레나스(Maria Rachel Arenas): 전 영화 및 텔레비전 심의 및 분류 위원회 위원장, 팡가시난 최초의 여성 대표.[21]
- 에바 마카파갈(Eva Macapagal): 1961-1965년 필리핀 영부인,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Gloria Macapagal Arroyo) 전 대통령의 어머니. 비날로난 출신.[22]
- 자클린 아키노 시압노(Jacqueline Aquino Siapno): 다구판 출신 교수, 동티모르 전 임시 영부인.[23]
- 가브리엘 C. 싱손(Gabriel C. Singson): 전 필리핀 중앙은행 총재. 링가옌 출신.[24]
- 헤르모헤네스 에스페론(Hermogenes Esperon) 주니어: 전 필리핀군 참모총장, 현 필리핀 국가안보회의 고문. 아신간 출신.[25]
- 아르투로 로미바오(Arturo Lomibao): 제11대 필리핀 국가 경찰청장. 망갈단 출신.[26]
- 에드워드 소리아노(Edward Soriano): 퇴역한 미국 중장. 미국 군에서 복무한 최고위 필리핀계 미국인 장교, 최초로 장군으로 진급. 알칼라 출신.[27]
- 로메오 드 라 크루즈(Romeo de la Cruz): 전 필리핀 법무총장. 우르다네타 시티 출신.[28]
- 토마스 오르보스(Thomas Orbos): 현 필리핀 교통부 차관, 전직 주지사 오스카 오르보스(Oscar Orbos)의 형제. 바니 출신.[29]
- 오스카 오르보스(Oscar Orbos): 바니 출신, 전직 주지사, TV 진행자.[30]
- 카를로스 훌로산(Carlos Bulosan): "아메리카 이즈 인 더 하트"의 저자. 비날로난 출신.[31]
- 래리 이틀리옹(Larry Itliong): 필리핀계 미국인 노동 운동가. 산 니콜라스 출신.[32]
- 벨라 포아치(Bella Poarch): 가수,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산 파비안에서 성장, 현재 틱톡에서 가장 많은 팔로워를 보유한 가수, 플랫폼에서 전 세계적으로 세 번째로 많은 팔로워를 보유한 인물.[33]
- 어민 가르시아(Ermin Garcia): 언론인, 신문 발행인. 산 파비안 출신.[34]
- 줄리어스 바바오(Julius Babao): ABS-CBN 뉴스 앵커, TV/라디오 진행자. 다구판 출신.[35]
- 셰릴 코심(Cheryl Cosim): TV5 뉴스 앵커, TV/라디오 진행자. 다구판 출신.[36]
- 마키 풀리도(Maki Pulido): GMA 뉴스 앵커. 안다 출신.[37]
- 카르멘 로살레스(Carmen Rosales): 필리핀 배우, 제2차 세계 대전 게릴라 전사. 로살레스 출신.[38]
- 페르난도 포 시니어(Fernando Poe Sr.): 전직 액션 스타. 산 카를로스 시티 출신.[39]
- 바바라 페레스(Barbara Perez): 베테랑 배우. 우르다네타 시티 출신.[40]
- 롤리타 로드리게스(Lolita Rodriguez): 배우. 우르다네타 시티 출신.[41]
- 글로리아 로메로(Gloria Romero): 베테랑 배우. 마비니 출신.[42]
- 노바 빌라(Nova Villa): GMA 베테랑 배우. 망가타렘 출신.[43]
- 미토이 욘팅(Mitoy Yonting): 필리핀 보이스 최초 우승자, 드라이버스의 리드 싱어. 칼라시오 출신.[44]
- 파파 잭(Papa Jack): TV 라디오 방송인, DJ. 알칼라 출신.[45]
- 모차 우손(Mocha Uson): 대통령 소통 운영 사무소(PCOO) 차관보. 다구판 출신.[46]
- 종 힐라리오(Jhong Hilario): ABS-CBN 코미디언, 진행자, 무용수, 배우. 아신간 출신.[47]
- 제인 오이네자(Jane Oineza): ABS-CBN 십대 배우. 바니 출신.[48]
- 대니 일데폰소(Danny Ildefonso): PBA 시즌 MVP 2회, 최우수 선수 5회, 파이널 MVP 3회, 올스타 게임 MVP, 신인상, 커밍백 선수상, PBA 우승 8회, PBA 역사상 최고의 선수 40인 중 한 명. 우르다네타 시티 출신.[49]
- 마크 핑그리스(Marc Pingris): 파이널 MVP 2회, 최우수 수비수 3회, 올스타 게임 MVP, 최고 향상 선수, PBA 우승 8회, PBA 역사상 최고의 선수 40인 중 한 명. 포조루비오 출신.[50]
- 마를루 아키노(Marlou Aquino): 신인상, 최우수 선수, 최우수 수비수, PBA 우승 3회, PBA 역사상 최고의 선수 40인 중 한 명. 산타 바바라 출신.
- 하지 알레한드로(Hajji Alejandro): 필리핀 가수.
- 레이첼 알레한드로(Rachel Alejandro): 필리핀 가수, 배우. 알라미노스 출신.
- 로디 투가데(Lordy Tugade): 파이널 MVP, PBA 우승자. 알라미노스 출신.
- 니냐 호세(Niña Jose): ABS-CBN 배우, 정치인, 바얌방 시장. 바얌방 출신.
- 레오 소리아노(Leo Soriano): 2000년부터 2012년까지 필리핀 연합 감리교회 주교. 비날로난 출신.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s://web.archive.[...]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2-11
[2]
서적
Pangasinan Reference Grammar
University of Hawaii Press
[3]
웹사이트
"Pangasinan voters already 1,651,814," Sunday Punch. December 10, 2012
https://web.archive.[...]
2012-12-26
[4]
웹사이트
Pangasinan: The Most Populated Province in the Philippines (Results from the 200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NSO)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https://psa.gov.ph/c[...]
2021-10-11
[5]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pangasin[...]
Philippine Government
2023-07-16
[6]
학술지
Filipinos in China before 1500
https://www.asj.upd.[...]
1983
[7]
서적
Barangay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1994
[8]
서적
Barangay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1994
[9]
서적
Prehispanic source materials for the study of Philippine history
https://books.google[...]
New Day Publishers
[10]
웹사이트
History of Pangasinan
https://web.archive.[...]
2014-06-24
[11]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PRIMER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www.xeniaedit[...]
[12]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SEGUND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s://archive.org/[...]
[13]
웹사이트
Diocese of San Jose, Nueva Ecija – History
http://www.dioceseof[...]
2017-02-07
[14]
학술지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2022-11-06
[15]
서적
The Philippine Economy: Development, Polic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6]
학술지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17]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18]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19]
서적
The Philippines reader : a history of colonialism, neocolonialism, dictatorship, and resistance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987
[20]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21]
뉴스
Philippines martial law: The fight to remember a decade of arrests and torture
https://www.bbc.com/[...]
2022-09-28
[22]
문서
Panaglagip: The North Remembers – Martial Law Stories of Struggle and Survival
[23]
웹사이트
https://www.pna.gov.[...]
[24]
웹사이트
The Solid North myth: an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dissent and human rights during the Marcos Regime in Regions 1 and 2, 1969-1986
https://www.ukdr.upl[...]
2021-05
[25]
뉴스
OBSERVERS OF VOTE CITE WIDE FRAUD BY MARCOS PARTY
https://www.nytimes.[...]
1986-02-10
[26]
뉴스
The Marcoses: A history of rejecting election defeats
https://verafiles.or[...]
2020-11-27
[27]
문서
Table 10. Household Population by Country of Citizenship and Sex: 2010
http://psa.gov.ph/si[...]
[28]
웹사이트
The Lowland Cultural Community of Pangasinan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Sambal Mythology | Pantheon of Deities and Beings • THE ASWANG PROJECT
https://www.aswangpr[...]
2019-01-29
[30]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31]
Wikidata
[32]
Wikidata
[33]
Wikidata
[34]
Wikidata
[35]
Wikidata
[36]
웹사이트
2018
[37]
웹사이트
2021
[38]
웹사이트
http://www.coa.gov.p[...]
2022-06
[39]
뉴스
Pangasinan celebrates Pistay Dayat 2024
https://www.pna.gov.[...]
2024-05-01
[40]
뉴스
New commander at Fort Lewis, Army's highest-ranking Filipino
https://archive.seat[...]
2002-08-13
[41]
뉴스
Yano takes over Philippine Army
https://news.google.[...]
2007-08-23
[42]
웹사이트
The 10 musical artists with the most followers on TikTok
https://www.wecb.fm/[...]
2023-12-30
[43]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44]
웹사이트
2000
[45]
웹사이트
2003
[46]
웹사이트
2006
[47]
웹사이트
2012
[48]
웹사이트
2015
[49]
웹사이트
2018
[50]
웹사이트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