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발레스산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잠발레스산맥은 필리핀 서부 팡가시난주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 뻗어 마닐라만을 둘러싸는 바탄반도까지 이르는 산맥이다. 주요 봉우리로는 타풀라오 산, 이바 산, 피나투보 산 등이 있으며, 타를라크주, 팜팡가주 등 여러 주에 걸쳐있다. 이 산맥은 쥐라기부터 마이오세에 이르는 다양한 지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피나투보산은 활화산으로 1991년 분화로 큰 피해를 입었다. 과도한 벌목과 화전 농업으로 산림 벌채가 심각하며,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잠발레스 숲쥐, 타풀라오 숲쥐 등 고유종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팡가시난주의 지형 - 링가옌만
링가옌만은 필리핀 루손 섬 북서부에 위치한 남중국해와 연결된 만으로, 어업과 제염업이 주요 산업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상륙 작전이 벌어졌던 전략적 요충지이다.
| 잠발레스산맥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위치 | 필리핀 루손섬 |
| 관할 지역 | 잠발레스주 팡가시난주 바탄주 타를라크주 팜팡가주 |
| 지역 | 중앙루손 지방 일로코스 지방 |
| 지리 | |
| 최고봉 | 타풀라오산 (하이 피크라고도 함) |
| 최고봉 위치 | 잠발레스주 |
| 해발고도 | 2037m |
| 좌표 | 15°28′51″N 120°7′16″E |
| 산맥 길이 | 180km |
| 방향 | 남-북 |
| 면적 | 300 km2 |
| 지질학적 정보 | |
| 지질 | 해당 사항 없음 |
| 조산 운동 | 해당 사항 없음 |
2. 지리
잠발레스산맥은 300 km2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11], 서부 팡가시난주의 산맥에서부터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 남쪽의 마닐라만을 둘러싸고 있는 바탄반도의 끝까지 가 있다.[12] 이 산맥에 접한 도시들로는 타를라크주의 밤반, 카파스, 산호세, 산클레멘테, 마얀톡, 산타 이그나시아, 카밀링 그리고 카밀링에 접해 있는 구릉지들이다. 팜팡가주에서는 플로리다블란카, 포락, 앙헬레스, 마발라카트가 있다.
2. 1. 주요 봉우리
잠발레스산맥은 300 km2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11], 서부 팡가시난 주의 산맥에서부터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 남쪽의 마닐라만을 둘러싸고 있는 바탄반도의 끝까지 가 있다.[12] 타를라크주의 밤반, 카파스, 산호세, 산클레멘테, 마얀톡, 산타이그나샤, 카밀링, 그리고 카밀링에 접해 있는 구릉지들, 팜팡가주의 플로리다블란카, 포를라크, 앙헬레스, 마발라카트가 이 산맥에 접해 있다.주요 봉우리로는 타풀라오 산(2,037m), 이바 산(1,655m), 네그론 산(1,583m), 피나투보 산(1,486m), 마리벨레스 산(1,388m), 쿠아드라도 산(1,324m), 맥도날드 산(1,321m), 나티브 산(1,253m), 리마이 산(909m), 도르스트 산(849m), 사맛 산(545m), 게이츠 산(507m)이 있다.
2. 2. 강
잠발레스 산맥의 강 목록은 다음과 같다.- 타를락 강: 95.2km
- 카밀링 강: 93km
- 파시그-포트레로 강: 75km
- 부카오 강: 48.3km
- 산토 토마스 강: 46.4km

3. 지질
잠발레스 산맥은 원래 화산 지형이었지만, 피나투보산은 이 산맥에서 유일한 활화산이다.[12] 1991년 6월 15일의 피나투보산 분출은 1912년 알래스카의 노바룹타산 분출 이후 20세기 두 번째로 강력한 분출이었다.[12] 태풍 유냐가 겹쳐 더 복잡해진 화산 분출로, 두터운 화산재와 화산이류가 팜팡가주 앙헬레스 근처의 클라크 공군 기지까지 덮였다.[12]
잠발레스 산맥은 쥐라기부터 마이오세에 이르는 뱀상암 괴상체를 포함하며, 여기에는 카갈루안 지층과 산타 크루즈 지층을 포함한 더 최근의 퇴적층이 덮여 있다.
4. 화산 활동
잠발레스산맥은 화산 지형이며, 피나투보산은 이 산맥에서 유일한 활화산이다.[12][2] 1991년 6월 15일 피나투보산의 분출은 1912년 알래스카의 노바룹타산 분출 이후 20세기 두 번째로 강력한 분출이었다.[12] 태풍 유냐가 겹쳐 발생한 화산 분출은 화산재와 화산이류를 분출하여 팜팡가주 앙헬레스 근처의 클라크 공군 기지까지 덮였다.[12] 태풍 유냐의 접근과 겹쳐 발생한 이 화산 폭발로 인해 앙헬레스 시 근처 클라크 필드의 미군 기지를 포함한 지역이 두꺼운 화산재와 라하르로 뒤덮였다.[4]
잠발레스 산맥의 다른 화산으로는 마리벨레스 산, 나티브 산 및 사마트 산이 있다.
5. 환경 문제 및 보존 노력
잠발레스 산맥은 과도한 벌목과 화전 농업으로 인해 막대한 산림 벌채를 겪었다.[5] 1991년 피나투보 산 폭발은 산맥의 광대한 지역을 황폐화시켰는데, 특히 잠발레스에 있는 원주민 아이타의 조상 땅을 중심으로 피해가 컸다.[6] MAD Travel과 일부 정부 기관의 지원을 받은 아이타족의 주도로 산 펠리페를 포함하여 산맥의 일부 황폐한 지역에서 재조림 노력이 성공을 거두었다.[7]
6. 생물 다양성
잠발레스 숲쥐(Apomys zambalensis)는 필리핀 잠발레스 산맥에 고유한 소형 설치류 종이다. 타풀라오 숲쥐(Apomys brownorum)와 타풀라오 집게부리쥐(Rhynchomys tapulao)는 필리핀 타풀라오 산에 고유한 소형 설치류 종이다.[8] 피나투보 숲쥐(Apomys sacobianus)는 필리핀 피나투보 산에 고유한 소형 설치류 종이다.
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Zambales Mountains
http://www.newcapp.o[...]
New Conservation Areas in the Philippines Project
2021-10-10
[2]
논문
Journal of Geology, Vol. 21 – The Geology of Luzon, P.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Department of Geology
1913
[3]
학술지
Post-emplacement history of the Zambales Ophiolite Complex: Insights from petrography, geochronology and geochemistry of Neogene clastic rocks
[4]
학술지
Report on Pinatubo (Philippines)
https://volcano.si.e[...]
Smithsonian Institution
2024-11-04
[5]
서적
Contested Nature: Promoting International Biodiversity with Social Justice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24-11-04
[6]
학술지
Review of After Duwagan: Deforestation, Succession and Adaptation in Upland Luzon, Philippines
https://www.jstor.or[...]
2024-11-04
[7]
뉴스
How the Aeta communities of San Felipe, Zambales came together to reforest their ancestral land
https://www.gmanetwo[...]
2024-07-25
[8]
학술지
Descriptions of Two New Species of ''Rhynchomys'' Thomas (Rodentia: Muridae: Murinae) from Luzon Island, Philippines
[9]
학술지
Diversity patterns of small mammals in the Zambales Mts., Luzon, Philippines
https://www.scienced[...]
2024-11-04
[10]
웹사이트
Zambales Mountains
http://www.newcapp.o[...]
2013-03-27
[11]
웹사이트
Zambales Mountains
http://www.newcapp.o[...]
NewCAPP
2012-05-16
[12]
논문
Journal of Geology, Vol. 21 - The Geology of Luzon, P.I.
http://books.google.[...]
시카고 대학교, 지질학과
1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