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누엘 데란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누엘 데란다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실험 영화를 제작하며 영화계에 입문했다. 그는 뉴욕 시각예술학교에서 영화를 공부하며 여러 실험 영화를 제작했고, 노웨이브 운동의 영향을 받은 슈퍼 8mm 및 16mm 필름 작품을 선보였다.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영화 이론에 대한 관심을 줄이고,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 과학, 인공 생명, 경제학 등을 아우르는 독자적인 철학을 구축했다. 데란다는 '새로운 유물론'의 주요 흐름을 제시하며 심신 이원론, 문화/자연의 이분법 등에 의문을 제기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지능 기계 시대의 전쟁』, 『비선형 역사의 천년』, 『강도의 과학과 잠재성의 철학』, 『사회의 새로운 철학: 어셈블리지 이론과 사회적 복합성』 등이 있다. 그의 철학은 한국의 진보 진영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의 철학자 - 후아나 이네스 데 라 크루스
    후아나 이네스 데 라 크루스는 17세기 누에바 에스파냐의 수녀, 시인, 극작가, 사상가로, 뛰어난 지적 능력과 선구적인 페미니즘 사상으로 스페인 황금세기를 대표하는 작가이자 라틴 아메리카 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친 멕시코 문화의 아이콘이다.
  • 멕시코의 철학자 - 옥타비오 파스
    옥타비오 파스는 멕시코의 시인이자 외교관, 문학 평론가로, 멕시코 혁명의 영향을 받아 초기에는 문학 활동을 시작하여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고,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21세기 미국 작가 - 폴 크루그먼
    폴 크루그먼은 국제 무역, 경제 지리, 국제 금융 분야의 업적으로 2008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뉴욕 타임즈 칼럼니스트로서, 새로운 무역 이론과 경제 지리학적 분석에 기여하고 복잡한 경제 이론을 대중에게 쉽게 설명하며 진보적인 관점에서 정치·경제 현안을 비판한다.
  • 21세기 미국 작가 - 클리퍼드 기어츠
    클리퍼드 기어츠는 인도네시아 현지 조사와 다양한 저술을 통해 상징 인류학, 인볼루션, 극장 국가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사회 및 문화 이론에 기여한 미국의 문화인류학자이다.
  • 대륙철학자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대륙철학자 - 이마누엘 칸트
    이마누엘 칸트는 1724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나 평생 그곳에서 연구하며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등을 통해 인식론, 윤리학, 미학에 혁신적인 사상을 제시하여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마누엘 데란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누엘 데란다, 2011년
2011년 촬영
이름마누엘 데란다
출생1952년
출생지멕시코 멕시코시티
국적멕시코인, 미국인
학문 분야
주요 관심사과학철학
학파대륙 철학, 사변적 실재론, 신유물론
사상적 영향
영향미셸 푸코, 질 들뢰즈, 페르낭 브로델

2. 영화

데란다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뉴욕에서 실험 영화를 제작하며 영화계에 발을 들였다. 이후 보드리야르들뢰즈의 이론, 명령 및 제어 기법, 복잡계세포 자동자를 포함하는 인공생명에 대한 유물론적 관점 등을 망라하는 비결정론적 종합으로 관심을 옮기면서, 1980년대 중반에는 "영화 이론에 대한 관심은 물론이고 프로이트 이후의 무의식 개념"에 대한 관심에서 상당히 멀어졌다.[36]

2. 1. 초기 영화 활동

데란다는 뉴욕으로 이주한 후, 1975년부터 1982년까지 시각예술학교(SVA)에서 수학하며 실험 영화를 제작했다. SVA에서 비디오 아티스트 조앤 브래더만에게 배우고, 이후 결혼하여 공동 작업을 진행했으나 이혼했다.[34] 노 웨이브 운동의 영향을 받아 슈퍼 8 및 16mm 필름을 활용한 실험 영화를 제작했다.[34] 원본 네거티브 필름을 유실한 뒤에는 자신의 영화 작품 유통을 중단시켰지만, 2011년에 앤솔로지 필름 아카이브에서 이것들을 복원하여 재발매했다.

영화 제작자 닉 제드는 그의 트랜스그레션 시네마 선언에서 데란다를 언급했으며, 데란다는 이 뉴욕 기반 운동의 많은 실험 영화 제작자들과 교류했다. 2010년에는 셀린 단히어의 회고 다큐멘터리 ''Blank City''에 출연했다.[35] 그의 작품 대부분은 대륙 철학비판 이론에 대한 그의 초기 관심에서 영감을 받았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영화 중 하나는 ''Raw Nerves: A 라캉식 스릴러'' (1980)이다.

2. 2. 영화 철학 및 제작 중단

노 웨이브 운동의 영향을 받은 데란다의 슈퍼 8 및 16mm 필름 작품들은 영화 형식에 대한 방법론적, 이론적 접근을 보여주었다.[34] 그는 원본 네거티브를 유실한 뒤 자신의 영화 작품 유통을 중단시켰지만, 2011년에 앤솔로지 필름 아카이브에서 이것들을 복원하여 재발매했다.

닉 제드의 「위반 영화 선언」(Cinema of Transgression Manifesto)에 따르면, 데란다는 뉴욕 기반의 많은 실험 영화 제작자들과 관계를 맺었다. 그의 영화 작업은 대륙 철학비판 이론에 대한 초기 관심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날 것의 신경: 라캉주의 스릴러》 (Raw Nerves: A Lacanian Triller, 1980)이다.[35]

3. 철학

마누엘 데란다는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의 철학을 바탕으로 현대 과학, 자기조직성 물질, 인공생명인공지능, 경제학, 건축, 혼돈 이론, 과학사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독자적인 철학을 구축했다.[37][11][20] 그의 철학은 '새로운 유물론'의 주요 흐름으로 평가받으며, 심신 이원론, 문화/자연의 이분법, 초월론적 철학, 휴머니즘적 철학에 의문을 제기한다.[22]

데란다는 『지능 기계 시대의 전쟁』(1991), 『비선형 역사의 천년』(1997), 『강렬한 과학과 가상 철학』(2002), 『새로운 사회 철학』(2006) 등의 저서를 통해 자신의 철학을 전개했다.

3. 1. 들뢰즈 철학과의 관계

데란다는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의 저작, 특히 『천 개의 고원』에 나타난 철학을 주요 이론적 기반으로 삼는다.[37][11][20] 그는 들뢰즈의 철학을 복잡계 과학의 맥락에서 해설하며, 관념론과 분석 철학의 간극을 메우려 시도했다. 『강렬한 과학과 가상 철학』(2002년)에서 데란다는 관념론의 계보에 있는 대륙 철학과 영미권의 분석 철학이 물과 기름이라고 말하며, 양자를 연결하여 분석 철학자나 과학자가 들뢰즈 사상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해시키려는 의도를 내비쳤다.

데란다는 1990년대 후반 철학자이자 페미니즘 이론가인 로시 브라이도티와 함께 "새로운 유물론"이라는 용어를 제시하며, 심신 이원론, 문화/자연의 이분법, 초월론적 철학, 휴머니즘적 철학의 전통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22]

3. 2. 주요 개념 및 주제

데란다는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의 철학을 바탕으로[37] '강도'(intensity), '잠재성'(virtuality), '배치'(assemblage), '비선형성'(nonlinearity)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자신의 철학을 전개한다. 그는 현대 과학, 자기조직성 물질, 인공생명인공지능, 경제학, 건축, 혼돈 이론, 과학사, 비선형 동역학, 세포 자동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11]

특히, 데란다는 복잡계 과학의 관점에서 들뢰즈의 사상을 해석하고, 이를 통해 관념론적 경향을 보이는 대륙 철학과 영미권의 분석 철학을 연결하고자 했다.[20]

또한, 데란다는 '새로운 유물론'의 주창자 중 한 명이다. 그는 1990년대 후반 로시 브라이도티와 함께 "새로운 유물론"이라는 용어를 제시하며, 심신 이원론, 문화/자연의 이분법, 초월론적 철학, 휴머니즘적 철학에 의문을 제기했다.[22]

3. 3. 비판적 수용과 한국 사회에의 영향

데란다의 철학은 서구 학계에서 다양한 비판과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그의 사상은 한국의 진보 진영, 특히 사회 운동 및 정치 이론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저서들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다. 그의 복잡계 이론과 사회 분석은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작업은 한편으로는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의 이론에 초점을 맞추면서,[37] 다른 한편으로는 현대 과학, 자기조직성 물질, 인공생명인공지능, 경제학, 건축, 혼돈 이론, 과학사, 비선형 동역학, 세포 자동자 등의 주제를 아우른다.[20]

『강렬한 과학과 가상 철학』(2002년)에서는 관념론의 계보에 있는 대륙 철학과 영미권의 분석 철학이 물과 기름이라고 설파하는 한편, 양자를 연결하여 분석 철학자나 과학자가 들뢰즈 사상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해시키려는 의도에서, 복잡계 과학의 맥락에서 해설을 시도한다는, 데란다 특유의 들뢰즈 이해가 언급되어 있다.

또한, "새로운 유물론"이라고 불리는 조류의 제창자로 알려져 있다. 데란다는 1990년대 후반에 철학자이자 페미니즘 이론가인 로시 브라이도티와 함께 "새로운 유물론"이라는 용어를 제시하며, 심신 이원론, 문화/자연의 이분법, 초월론적 철학, 휴머니즘적 철학의 전통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22]

4. 저작

데란다는 철학,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왕성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1991년 《지능 기계 시대의 전쟁》을 시작으로, 《비선형 역사의 천년》(1997), 《강도의 과학과 잠재성의 철학》(2002), 《사회의 새로운 철학》(2006), 《들뢰즈: 역사와 과학》(2010), 《철학과 시뮬레이션: 합성적 추론의 출현》(2011), 《철학적 화학: 과학 분야의 계보학》(2015) 등을 출간했다. 《강도의 과학과 잠재성의 철학》과 《사회의 새로운 철학》은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4. 1. 주요 저서 목록

출판 연도제목출판사ISBN
1991지능 기계 시대의 전쟁 (War in the Age of Intelligent Machines)Zone Books978-0942299755
1997비선형 역사의 천년 (A Thousand Years of Nonlinear History)Zone Books978-0942299328
2002강도의 과학과 잠재성의 철학 (Intensive Science and Virtual Philosophy)Bloomsbury Academic978-1780937991
2006사회의 새로운 철학 (A New Philosophy of Society: Assemblage Theory And Social Complexity)Bloomsbury Academic978-0826491695
2010들뢰즈: 역사와 과학 (Deleuze: History and Science)Atropos Press978-0982706718
2011철학과 시뮬레이션: 합성적 추론의 출현 (Philosophy & Simulation: The Emergence of Synthetic Reason)Bloomsbury Academic978-1474252843
2015철학적 화학: 과학 분야의 계보학 (Philosophical Chemistry: Genealogy of a Scientific Field)Bloomsbury Academic978-1472591838
2016배치 이론 (Assemblage Theory)Edinburgh University Press978-1474413633
2017실재론의 부상 (The Rise of Realism)Wiley978-1509519026
2021유물론적 현상학: 지각의 철학 (Materialist Phenomenology: A Philosophy of Perception)Bloomsbury Academic978-1350263956


4. 2. 한국어 번역본


  • 김영범·이정우 옮김, 《강도의 과학과 잠재성의 철학: 잠재성에서 현실성으로》, 그린비 (2009). ISBN 978-89-7682-326-7.
  • 김영범 옮김, 《새로운 사회철학: 배치 이론과 사회적 복합성》, 그린비 (2019). ISBN 978-89-7682-490-5.

참조

[1] 서적 The Speculative Turn: Continental Materialism and Realism re.press
[2] 서적 New Materialism: Interviews & Cartographies http://www.openhuman[...] Open Humanities Press 2013-01-01
[3] 웹사이트 Manuel DeLanda - the European Graduate School http://egs.edu/facul[...] 2017-12-22
[4] 웹사이트 Pratt Institute https://www.pratt.ed[...] Pratt.edu 2016-11-05
[5] 웹사이트 Graduate Architecture | PennDesign https://www.design.u[...] Design.upenn.edu 2016-11-05
[6] 웹사이트 Manuel DeLanda | Princeton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https://soa.princeto[...]
[7] 웹사이트 Manuel DeLanda | Princeton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http://soa.princeton[...] Soa.princeton.edu 2016-11-05
[8] 웹사이트 Manuel De Landa Lecture Series http://parasite.usc.[...]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13-04-06
[9] 웹사이트 Pratt Institute http://www.pratt.edu[...] Pratt.edu 2016-11-05
[10] 웹사이트 "SIMULATIONS IN MUSIC:" An Open Lecture by Manuel De Landa (Feb 9th, 2012) http://music.columbi[...] Columbia University 2016-11-05
[11] 웹사이트 Abstract Machines. Nonlinear dynamics and the films of Manuel DeLanda http://www.movingima[...] Museum of the Moving Image 2011-03-04
[12] 영화 Blank City (2010)
[13] 웹사이트 http://soa.princeton[...]
[14] 웹사이트 http://www.egs.edu/f[...]
[15] 웹사이트 아카이브된 사본 http://parasite.usc.[...] 2016-11-05
[16] 웹사이트 http://www.pratt.edu[...]
[17] 웹사이트 https://www.design.u[...]
[18] 웹사이트 http://music.columbi[...]
[19] 웹사이트 https://www.pratt.ed[...]
[20] 웹사이트 Abstract Machines. Nonlinear dynamics and the films of Manuel DeLanda http://www.movingima[...] Museum of the Moving Image 2011-03-04
[21] 영화 https://www.imdb.com[...]
[22] 저널 Karen Michelle Barad, ‟Meeting The Universe Halfway : Quantum Physics and The Entanglement of Matter and Meaning” 공생학 저널
[23] 웹사이트 https://www.jimbunsh[...]
[24] 서적 The Speculative Turn: Continental Materialism and Realism re.press
[25] 저널 New Materialism: Interviews & Cartographies http://www.openhuman[...] 2013-01-01
[2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egs.edu/facul[...] 2019-10-20
[27] 웹인용 Pratt Institute https://www.pratt.ed[...] Pratt.edu 2016-11-05
[28] 웹인용 Graduate Architecture | PennDesign https://www.design.u[...] Design.upenn.edu 2016-11-05
[29] 웹사이트 https://soa.princeto[...]
[30] 웹인용 Manuel DeLanda | Princeton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http://soa.princeton[...] Soa.princeton.edu 2016-11-05
[31] 웹인용 Manuel De Landa Lecture Series http://parasite.usc.[...]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2016-11-05
[32] 웹인용 Pratt Institute http://www.pratt.edu[...] Pratt.edu 2016-11-05
[33] 웹인용 "SIMULATIONS IN MUSIC:" An Open Lecture by Manuel De Landa (Feb 9th, 2012) http://music.columbi[...] Columbia University 2016-11-05
[34] 웹사이트 Abstract Machines. Nonlinear dynamics and the films of Manuel DeLanda http://www.movingima[...] Museum of the Moving Image 2011-03-04
[35] 영화 Blank City (2010)
[36] 웹사이트 Abstract Machines. Nonlinear dynamics and the films of Manuel DeLanda http://www.movingima[...] 2011-03-04
[37] 웹사이트 Abstract Machines. Nonlinear dynamics and the films of Manuel DeLanda http://www.movingima[...] 2011-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